KR20040037020A -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 포장 콘테이너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 포장 콘테이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37020A
KR20040037020A KR1020030083781A KR20030083781A KR20040037020A KR 20040037020 A KR20040037020 A KR 20040037020A KR 1020030083781 A KR1020030083781 A KR 1020030083781A KR 20030083781 A KR20030083781 A KR 20030083781A KR 20040037020 A KR20040037020 A KR 200400370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t glass
display
loading
door
packaging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37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38201B1 (ko
Inventor
박원규
김영택
김준한
임상재
김성철
김중한
이범로
이충길
이영호
Original Assignee
삼성코닝정밀유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03-00837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8201B1/ko
Application filed by 삼성코닝정밀유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코닝정밀유리 주식회사
Priority to TW092136497A priority patent/TWI233421B/zh
Priority to JP2003427757A priority patent/JP3638937B1/ja
Priority to CNB2003101215981A priority patent/CN100540414C/zh
Publication of KR200400370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70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82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8201B1/ko
Priority to JP2004337188A priority patent/JP3739382B2/ja
Priority to TW93135942A priority patent/TWI261569B/zh
Priority to CNB2004100889854A priority patent/CN1314570C/zh
Priority to EP20040027838 priority patent/EP1533251B1/en
Priority to EP07117795A priority patent/EP1884484B1/en
Priority to DE200460029623 priority patent/DE602004029623D1/de
Priority to DE200460016267 priority patent/DE602004016267D1/de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85/4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glass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65D81/0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 B65D81/1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using blocks of shock-absorbing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ing Frangible Articles (AREA)
  • Buffer Packag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정 각도 기울어진 'L' 자형 프레임에 복수의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를 대량 적재하고, 포장재가 프레임과 일체형으로 이루어져 작업효율을 높일 수 있는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 포장 콘테이너 및 포장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 포장 콘테이너의 기본 골격을 형성하며, 적재되는 각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의 하단을 지지하기 위하여 형성되는 적재면 및 적재면의 후단부에 적재면과 수직을 이루며 형성되어 각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의 배면을 지지하는 등받이면을 구비하는 적재 프레임과, 적재된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를 고정하기 위한 평판유리 고정장치와, 적재 프레임 정면의 일단에 일측단이 고정되어 여닫히면서 적재 프레임의 개방된 정면을 개폐하는 정면 도어, 그리고 적재 프레임의 상단에 일측단이 고정되어 여닫히면서 적재 프레임의 개방된 상면을 개폐하는 상면 도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 포장 콘테이너{PACKING CONTAINER FOR FLAT DISPLAY GLASS}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 포장 콘테이너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소정 각도 기울어진 'L' 자형 프레임에 복수의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를 대량 적재하고, 포장재가 프레임과 일체형으로 이루어져 작업효율을 높일 수 있는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 포장 콘테이너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의 대형화에 따라 액정 모니터 패널이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과 같은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의 기판재료로서 이용되는 평면유리 또한 대형화되어 가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의 적재 및 이송을 위하여 종래와 같이 수평적재 방식을 사용할 경우 작업의 효율성이 현저하게 떨어질 뿐만 아니라 평판유리 간의 상호 접촉이나 외부 오염물질로 인하여 평판유리가 오염 또는 손상될 수 있어 문제점으로 지적되어 왔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평판유리의 오염을 방지함과 동시에 적재효율을 높일 수 있는 기술들이 대두되었는데, 그 실례로서 일본국 특개평 2000-203679호(유리판의 수납 방법, 이하 '공개특허'라 한다.)를 들 수 있으며 이는 도 1 에 도시되어 있다.
도 1 은 상기 공개특허에서 제시된 평판유리 수납체의 측면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공개특허에서 제시된 수납체는, 평판유리(G)를 수직방향에 적재하기 위한 적재면(14a)과 적재면의 후단부로부터 수직방향에 연장되는 등받이면(14b)이 'L' 자형 지지대 위에 형성되며, 적재면이 등받이면을 향해서 2 내지 20도 경사지게 형성되어 복수의 평판유리(G)를 등받이면(14b)에 기대어 세움으로써 적재하게 된다. 또한, 각 평판유리(G)의 테두리 부분과 각 평판유리 사이에는 적층되는 평판유리의 테두리부에만 둘러지는 이간부재(15)를 넣도록 하며, 최전방에 위치하는 평판유리 외측 및 최후방에 위치하는 평판유리와 등받이면(14b) 사이에는 보강판(16, 17)을 배치시키고 평판유리(G)와 보강판 사이에도 이간부재(15)를 넣어 평판유리의 오염 및 손상을 방지하고자 하였다. 한편, 상기 공개특허에서는 적재된 평판유리를 고정하기 위하여 등받이면(14b)과 최전방의 보강판(16)에 고무밴드(18, 19)를 걸어 고정하였으며, 그 위로 포장자루(20)를 씌운 뒤 다시 고무밴드(21) 등으로 묶어 밀봉하였다.
또한, 평판유리(G)를 이송할 때에는 포장자루(20)에 의해 밀봉한 후, 전체를 덮을 수 있는 별도의 박스를 씌운 상태로 이송한 후, 박스와 포장자루를 해체하고 고무밴드를 풀어 적재된 유리를 내려놓게 된다.
그러나, 상기 공개특허의 경우 적재된 평판유리를 포장하기 위한 포장자루나 박스와 같은 외부포장재를 별도로 관리해야 하고, 이송 후 해체된 외부포장재를 적재할 공간을 확보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평판유리의 대형화에 따라 작업에 필요한 인원이 늘어나게 되고 그에 따라 작업효율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수작업으로 마무리 포장작업을 할 경우 작업자가 다칠 위험이 있으며 작업실수로인해 적재된 평판유리가 손상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기술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적재되는 평판유리의 테두리부만을 이간시키는 이간부재를 사용할 경우에는 평판유리가 대형화됨에 따라 비록 수직으로 세워서 적재되더라도 적재된 유리의 중간부분이 처지는 현상(새깅(sagging) 현상)이 발생되어 새로운 이간부재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제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적재된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의 포장작업을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 포장 콘테이너를 제공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적재된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를 포장하기 위한 포장재를 일체형으로 형성하여, 포장재를 별도로 관리할 필요가 없어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작업에 필요한 작업자의 수를 현저하게 줄여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포장재를 따로 적재할 별도 공간을 확보할 필요가 없는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 포장 콘테이너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 은 일본국 특개평 2000-203679호에서 제시된 평판유리 수납체의 측면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 포장 콘테이너의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 포장 콘테이너의 사용 상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 포장 콘테이너의 또 다른 실시례의 사용 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0 :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 포장 콘테이너
110 : 적재 프레임 111, 113, 115 : 완충재
112 : 적재면 114 : 등받이면
120 :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 122 : 이간재
124 : 보강재 130 : 평판유리 고정장치
140a, 140b : 좌우 도어 145 : 슬라이딩 도어
150a, 150b : 접이식 도어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 포장 콘테이너는, 다수의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를 수직으로 적재 및 포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 포장 콘테이너로서,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 포장 콘테이너의 기본 골격을 형성하며, 적재되는 각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의 하단을 지지하기 위하여 형성되는 적재면 및 적재면의 후단부에 적재면과 수직을 이루며 형성되어 각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의 배면을 지지하는 등받이면을 구비하는 적재 프레임; 적재된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를 고정하기 위한 평판유리 고정장치; 적재 프레임 정면의 일단에 일측단이 고정되어 여닫히면서 적재 프레임의 개방된 정면을 개폐하는 정면 도어; 및 적재 프레임의 상단에 일측단이 고정되어 여닫히면서 적재 프레임의 개방된 상면을 개폐하는 상면 도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적재면의 상면, 등받이면의 정면 및 등받이면과 적재면의 양 측단을 연결하며 형성되는 적재 프레임의 측면벽의 내측으로,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를 보호하기 위한 완충재를 더 구비하도록 하고, 적재된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 사이에 배치되며 적재된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의 전체면 또는 전체면의 적어도 90% 이상을 덮는 이간재; 및 적재된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 중 최전방에 적재된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의 앞에 적재되는 보강재를 더 구비하도록 한다.
또한, 평판유리 고정장치는 클램프로 구성하거나, 좌우 한쌍의 신축성 있는 밸트와, 각 밸트의 고정되지 않은 일단으로 상호 결속을 이루는 결속수단으로 구성하도록 한다.
정면 도어는, 등받이면과 적재면의 양 측단을 연결하며 형성되는 적재 프레임의 좌우 측면벽에 각기 일측단이 고정되며, 병풍과 같이 다단으로 이루져 여닫히면서 적재 프레임의 개방된 정면을 개폐하는 좌우 도어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 포장 콘테이너가, 적재 프레임의 좌우 측면벽의상단을 상호 연결하며, 좌우 도어의 고정되지 않은 일측단의 상단이 각기 결착되어 좌우 도어의 움직임을 안내하는 제 1 도어레일; 및 적재 프레임의 좌우 측면벽의 하단을 상호 연결하며, 좌우 도어의 고정되지 않은 일측단의 하단이 각기 결착되어 좌우 도어의 움직임을 안내하는 제 2 도어레일을 더 구비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면 도어는, 등받이면과 적재면의 양 측단을 연결하며 형성되는 적재 프레임의 좌우 측면벽의 상단에 형성되는 레일을 따라 전후로 움직이면서 적재 프레임의 개방된 상면을 개폐하는 슬라이딩 도어, 또는 등받이면의 상단에 일측단이 고정되어 여닫히면서 적재 프레임의 개방된 상면을 개폐하는 여닫이 도어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장점, 특징 및 바람직한 실시례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 포장 콘테이너의 사시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 포장 콘테이너의 사용 상태도로서,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 포장 콘테이너에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를 적재한 상태를 도시한 도이고, 도 3(b)는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를 적재한 후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 포장 콘테이너의 도어를 닫은 상태를 도시한 도이다. 도 2 및 도 3 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 포장 콘테이너에 대하여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 포장 콘테이너(100)는, 콘테이너의 기본 골격을 형성하며 수평방향으로 적재면(112)이 형성되고 적재면과 수직방향으로는 등받이면(114)이 형성되는 적재 프레임(110), 적재된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 (120)를 보호하기 위하여 최전방에 적재된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의 전면에 배치되는 보강재(124), 적재된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120)를 고정하기 위한 평판유리 고정장치(130a, 130b) 및 적재된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를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좌우 도어(140a, 140b)와 슬라이딩 도어(145)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적재 프레임(110)은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 포장 콘테이너 (100)의 기본골격을 형성하며, 수평방향으로는 하단에 적재면(112)이 형성되고 수직방향으로는 등받이면(114)이 형성된다. 적재면(112)은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 (120) 적재시에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의 하단을 지지하는 부분으로 상면에 완충재 (113)를 부착하여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 자체의 하중과 외부로부터의 진동이나 충격을 완충시키도록 한다. 또한, 등받이면(114)은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120) 적재시에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의 배면을 지지하는 부분으로 정면에 완충재(115)를 부착하여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 자체의 하중과 외부로부터의 진동 및 충격을 완충시키도록 한다. 한편, 등받이면(114)과 적재면(112)의 양 측단을 연결하며 전방을 향해 돌출 형성되는 적재 프레임(110)의 양 측면벽(110a, 110b)의 내측으로도 완충재(111)를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측면벽(110a, 110b), 적재면 (112) 및 등받이면(114)에 부착되는 완충재(111, 113, 115)는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하여 필요시 교체할 수 있도록 하며, 이를 위하여 측면벽, 적재면 및 등받이면의접촉면과 완충재의 일면을 벨크로(Velcro) 테이프로 형성할 수 있다.
적재면(112)과 등받이면(114)은 상호 수직을 이루어 'L' 자 형상으로 형성되는데, 적재면과 등받이면의 결합체가 전체적으로 후방을 향해 소정 각도 기울어진 상태로 적재 프레임(110)에 장착되도록 한다. 즉, 적재면(112)은 상부를 향해 소정 각도만큼 기울어지고 등받이면(114) 또한 후방을 향해 소정 각도만큼 기울어지도록 한다. 따라서, 적재면과 등받이면에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120)를 안정적으로 적재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보강재(124)는 적재된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120)를 외부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적재된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 중 최전방에 적재된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의 정면에 배치된다. 또한, 보강재(124)는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120)를 고정할 때 평판유리 고정장치(130)가 보강재의 정면에서 결착 및 조여지도록 하여 평판유리 고정장치로 인해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120)에 충격이 가해지거나 손상을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평판유리 고정장치(130)는 적재된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 (120)를 적재 프레임(110)에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등받이면(114)의 양쪽에 형성되는 홈에 일체형으로 고정되는 좌우 한쌍을 이루는 밸트(130a, 130b)로 이루어진다. 이때, 평판유리 고정장치의 양 밸트(130a, 130b)는 신축성이 뛰어난 고무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적재되는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120)의 양에 따라 가방끈과 같이 길이를 자유로이 조절할 수 있도록 길이조절 수단(미도시)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양 밸트(130a, 130b)의 고정되지 않은 일단으로는 상호 결착할 수 있도록 결속수단(132a, 132b)을 구비하도록 하며, 바람직하게는 결속수단을 버클이나 후크 형태로 형성하도록 한다. 따라서, 평판유리 고정장치 (130)는 적재된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120)를 감싸서 조이게 되며, 보강재(124)의 정면에서 결속수단(132)에 의해 상호 결속되게 된다. 또한, 적재된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120)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평판유리 고정장치(130)는 상하로 적어도 두개 이상 구비하도록 한다. 그리고, 도 2 및 도 3 에서는 평판유리 고정장치가 좌우 한쌍의 밸트로 이루어지는 경우를 도시하였으나, 이와는 달리 상하 한쌍을 이루는 두개의 밸트로 구성할 수도 있으며, 밸트 이외에 지지막대 또는 클램프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따른 도어는 외부의 물리적 충격으로부터 적재된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120)를 보호하기 위한 일체형 포장재로서, 적재 프레임(110)의 정면을 커버하는 좌우 도어(140a, 140b)와 상면을 커버하기 위한 슬라이딩 도어(145)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좌우 도어(140a, 140b)는 좌우 각기 병풍과 같이 다단으로 형성하여 여닫을 수 있도록 구성되며, 도 3(a) 및 도 3(b)에서는 좌우 도어가 각기 2단으로 구성된 경우를 도시하였다. 또한, 좌우 도어(140a, 140b)를 닫은 후에 임의로 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어 잠금장치(미도시)를 별도 구비하도록 한다. 도어 잠금장치는 좌우 도어(140a, 140b)에 상호 결속될 수 있도록 후크 형태로 구성할 수 있으며, 좌우 도어의 접촉면에 자석을 구비하여 자력에 의해 좌우 도어를 결속시킬 수도 있다.
한편, 도 3(a) 및 도 3(b)에서는 좌우 도어(140a, 140b)의 양단부만이 적재 프레임(110)의 측면벽에 결착되어 병풍과 같이 여닫히는 실시례를 도시하였으나, 좌우 도어의 상단 및/또는 하단의 움직임을 지지하는 레일을 설치하여 좌우 도어가 레일을 따라 여닫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적재면(112)의 전단부에 소정 깊이의 홈으로 형성된 도어레일을 구비하고, 적재 프레임(110)의 측면벽에 결착되지 않은 좌우 도어(140a, 140b)의 나머지 일측단의 하단부를 상기 도어레일에 결착시킴으로써 좌우 도어가 도어레일을 따라 여닫힐 수 있도록 한다. 이 경우, 좌우 도어를 보다 안정적으로 여닫을 수 있으며 좌우 도어를 닫았을 때 각 도어의 하단이 자연스럽게 고정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도 3(a) 및 도 3(b)에서는 좌우 양측에 각기 좌우 도어(140a, 140b)를 하나씩 구비하는 경우를 도시하였으나, 이와는 달리 하나의 도어로 구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 경우, 좌측단 또는 우측단이 적재 프레임에 고정되고 다단으로 이루어진 하나의 도어를 측면 방향으로 여닫을 수 있게 된다.
슬라이딩 도어(145)는 적재 프레임(110)의 측면벽 상단에 형성되는 레일을 따라 전후로 슬라이딩하면서 적재 프레임의 개방된 상면 영역을 커버하게 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120) 적재 후 좌우의 도어(140a, 140b)를 닫고 슬라이딩 도어(145)를 잡아당겨 닫음으로써 적재된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 전면을 포장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슬라이딩 도어 대신 적재 프레임(110)의 상면 후방, 즉 등받이면(114)의 상단에 결착되어 여닫히는 여닫이 도어를 구비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좌우 도어(140a, 140b)의 상단과 접촉하게 되는 여닫이 도어 저면의 전단으로는 좌우 도어의 상단부를 끼울 수 있도록 좌우 도어의 상단부와 동일한 폭과 일정 깊이를 갖는 홈을 형성하도록 한다. 따라서, 여닫이 도어를 이용해 좌우 도어를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 포장 콘테이너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를 적재 및 이송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클린룸에서 검사가 끝난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120)를 이송하기 위하여 적재 프레임(110)에 적재한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120)의 하단은 적재면(112)에 의해 지지되며 배면은 등받이면(114)에 기대어 지지하도록 한다. 이때, 적재면과 등받이면의 결합체가 후방을 향해 소정 각도 기울어져 있으므로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의 적재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120)를 적재함에 있어서 각각의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 사이에는 이간재(122)을 넣어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 간에 상호 접촉으로 인하여 오염되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며, 등받이면(114)에 장착된 완충재(115)와 최후방에 적재되는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 사이에도 이간재(122)를 넣을 수 있다. 한편, 이간재(122)와는 별도로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120)의 정면과 배면에 각기 필름을 입혀 오염으로부터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120) 간에는 필름이 코팅되고 이간재(122)가 배치되거나 또는 필름의 코팅없이 이간재 (122) 만이 배치되는 등 다양한 형태로 실시가 가능하게 된다.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120)를 모두 적재한 후에는 최전방에 적재된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 정면으로 보강재(124)를 적재한 후 평판유리 고정장치(130)의 좌우 양 밸트(130a, 130b)를 잡아당겨 서로 결착시킴으로써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를 고정시킨다. 이때,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120)와 보강재(124) 사이에도 이간재 (122)를 넣을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120)의 적재 및 고정이 끝나면 좌우 도어(140a, 140b)를 가운데로 잡아당겨 닫은 후 도어 잠금장치를 결속시켜 좌우 도어를 잠근다. 한편, 도어 잠금장치를 자석으로 구성할 경우 좌우 도어를 완전히 닫는 것만으로 좌우 도어가 상호 결속될 것이다. 이후에, 슬라이딩 도어(145)를 앞으로 잡아당겨 닫아 포장을 완료한 후 이송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슬라이딩 도어 대신 여닫이 도어를 구비하는 경우에는 여닫이 도어를 닫은 후 여닫이 도어 저면의 홈에 좌우 도어의 상단을 끼우게 된다.
한편, 이송 후 적재된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를 내릴 때에는 슬라이딩 도어 (145) 또는 여닫이 도어를 열고 도어 잠금장치의 결속을 해제하여 좌우 도어(140a, 140b)를 연다. 그리고, 평판유리 고정장치(130)의 결속상태를 해제한 후에 보강재(124)를 꺼내고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120)를 하나씩 내리면 된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 포장 콘테이너의 또 다른 실시례의 사용상태도로서,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 포장 콘테이너의 또 다른 실시례에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를 적재한 상태를 도시한 도이고, 도 4(b)는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를 적재한 후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 포장 콘테이너의 또 다른 실시례의 도어를 닫은 상태를 도시한 도이다. 도 4(a) 및 도 4(b)에 도시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 포장 콘테이너의 또 다른 실시례는, 도어로 접이식 도어(150a, 150b)와 슬라이딩 도어(145)를 구비한 실시례이다. 이하에서는,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 포장 콘테이너의 또 다른 실시례에 대하여 설명하되, 도 2 및 도 3 을 통해 이미 설명된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4(a) 및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 포장 콘테이너(100)의 또 다른 실시례는 적재 프레임(100)의 개방된 정면을 개폐하기 위하여 좌우 도어(140a, 140b) 대신에 접이식 도어(150a, 150b)를 구비한다. 접이식 도어(150a, 150b)는 부채와 같이 폭이 좁은 일련의 구성각편이 접혔다 펴졌다 하면서 여닫히는 도어로서 블라인드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두개의 접이식 도어가 일측단이 적재 프레임(110)의 양 측면벽(110a, 110b)에 고정된 상태로 여닫히게 된다.
그러나, 접이식 도어(150a, 150b)를 구성하는 구성각편이 폭이 좁기 때문에 접이식 도어의 움직임을 안내하는 레일이 없을 경우 흐트러지거나 펄럭거릴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접이식 도어의 움직임을 안내하기 위한 도어레일(152, 154)을 상단과 하단에 구비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는, 적재 프레임의 양 측면벽(110a, 110b)의 상단과 하단을 상호 연결하면서 도어레일(152, 154)을 설치하고, 접이식 도어(150a, 150b)의 고정되지 않은 일측단의 상단과 하단을 각기 도어레일에 결착시키도록 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120)의적재가 완료되면 접이식 도어(150a, 150b)를 가운데로 잡아당겨 적재 프레임(110)의 개방된 정면을 폐쇄하고, 적재된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120)를 내릴 때에는 접이식 도어(150a, 150b)를 양 옆으로 밀어 열게 된다. 이때,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120)를 적재하거나 내리는 작업을 함에 있어 접이식 도어(150a, 150b)에 걸리지 않도록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와 적재 프레임(110)의 측면벽(110a, 110b) 사이의 공간은 충분한 여유를 두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접이식 도어(150a, 150b)를 닫은 후에 임의로 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후크 또는 자석으로 이루어진 도어 잠금장치(미도시)를 별도 구비하도록 한다. 그리고, 도 4(a) 및 도 4(b)에서는 접이식 도어(150a, 150b)를 좌우로 각기 구비한 경우를 도시하였으나, 이와는 달리 하나의 접이식 도어로 구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적재 프레임(110)의 개방된 상면 영역을 커버하기 위하여 슬라이딩 도어(145)를 구비하도록 하며, 슬라이딩 도어 대신 여닫이 도어를 구비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때, 접이식 도어(150a, 150b)는 도어레일(152, 154)에 의해 고정/결착되어 있으므로, 여닫이 도어 저면의 전단으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좌우 도어의 상단부를 결착시키기 위한 홈을 구비할 필요가 없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 포장 콘테이너의 또 다른 실시례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를 적재 및 이송하는 과정은 상기에서 설명한 적재 및 이송 과정과 동일 유사하므로 생략하도록 한다.
이상 설명한 바대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 포장 콘테이너는,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를 적재하기 위한 적재 프레임과 적재된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를 포장하기 위한 포장재를 일체형으로 구성함으로써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의 적재 및 포장작업을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 포장 콘테이너는,
첫째로, 좌우 도어 및 슬라이딩 도어와 같이 적재 프레임과 일체형으로 구성된 일체형 포장재를 사용하므로 포장재를 별도로 관리하기 위한 인력 및 공간이 필요없어 작업비용 절감과 함께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둘째로, 종래의 경우에는 수직방향으로 적재되는 평판유리 사이에 삽입되는 이간부재로 평판유리의 테두리 부위만 이간시키도록 하는 이간재를 삽입함으로써 큰 사이즈의 유리(대체로 가로 세로의 길이가 1m가 넘는 유리)의 경우 새깅 (sagging) 현상이 발생하였으나, 본 발명에 의하면 수직으로 적재되는 평판유리와 평판유리 사이에 전체면 또는 전체면의 적어도 90% 이상의 면이 접촉하도록 하는 이간재를 사용함으로써 새깅현상을 없앨 수 있으며,
셋째로, 적재된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가 접촉하는 전면에 완충재를 부착하여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의 손상을 방지하고, 완충재를 탈부착 가능하도록 하여마모되거나 손상된 완충재를 교체할 수 있으며,
넷째로,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 사이에 이간재를 넣어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 간 접촉으로 인한 오염을 방지하고, 최전방에 적재된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 정면에는 보강재를 적재하여 외부 충격이나 평판유리 고정장치로 인한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다섯째로, 평판유리 고정장치를 신축성 있는 고무재질로 형성하고 길이조절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적재량이나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의 두께가 상이한 경우에도 공히 적용 가능하고,
마지막으로, 도어의 구조 및 형상을 다양하게 변형시킬 수 있어 응용의 폭이 넓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례가 특정 용어들을 사용하여 기술되어 왔지만, 그러한 기술은 오로지 설명을 하기 위한 것이며, 다음의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고서 여러 가지 변경 및 변화가 가해질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야 한다.

Claims (9)

  1. 다수의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를 수직으로 적재 및 포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 포장 콘테이너로서,
    상기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 포장 콘테이너의 기본 골격을 형성하며, 적재되는 상기 각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의 하단을 지지하기 위하여 형성되는 적재면 및 상기 적재면의 후단부에 상기 적재면과 수직을 이루며 형성되어 상기 각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의 배면을 지지하는 등받이면을 구비하는 적재 프레임;
    상기 적재된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를 고정하기 위한 평판유리 고정장치;
    상기 적재 프레임 정면의 일단에 일측단이 고정되어 여닫히면서 상기 적재 프레임의 개방된 정면을 개폐하는 정면 도어; 및
    상기 적재 프레임의 상단에 일측단이 고정되어 여닫히면서 상기 적재 프레임의 개방된 상면을 개폐하는 상면 도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 포장 콘테이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면 도어가,
    상기 등받이면과 상기 적재면의 양 측단을 연결하며 형성되는 상기 적재 프레임의 좌우 측면벽에 각기 일측단이 고정되며, 병풍과 같이 다단으로 이루져 여닫히면서 상기 적재 프레임의 개방된 정면을 개폐하는 좌우 도어로 이루어지는 것을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 포장 콘테이너.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 포장 콘테이너가,
    상기 적재 프레임의 좌우 측면벽의 상단을 상호 연결하며, 상기 좌우 도어의 고정되지 않은 일측단의 상단이 각기 결착되어 상기 좌우 도어의 움직임을 안내하는 제 1 도어레일; 및
    상기 적재 프레임의 좌우 측면벽의 하단을 상호 연결하며, 상기 좌우 도어의 고정되지 않은 일측단의 하단이 각기 결착되어 상기 좌우 도어의 움직임을 안내하는 제 2 도어레일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 포장 콘테이너.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 도어가,
    상기 등받이면과 상기 적재면의 양 측단을 연결하며 형성되는 상기 적재 프레임의 좌우 측면벽의 상단에 형성되는 레일을 따라 전후로 움직이면서 상기 적재 프레임의 개방된 상면을 개폐하는 슬라이딩 도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 포장 콘테이너.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 도어가,
    상기 등받이면의 상단에 일측단이 고정되어 여닫히면서 상기 적재 프레임의 개방된 상면을 개폐하는 여닫이 도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 포장 콘테이너.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면의 상면, 상기 등받이면의 정면 및 상기 등받이면과 상기 적재면의 양 측단을 연결하며 형성되는 상기 적재 프레임의 측면벽의 내측으로, 상기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를 보호하기 위한 완충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 포장 콘테이너.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된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적재된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의 전체면의 적어도 90% 이상의 면과 접촉되는 이간재; 및
    상기 적재된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 중 최전방에 적재된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의 앞에 적재되는 보강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 포장 콘테이너.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평판유리 고정장치가 클램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 포장 콘테이너.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평판유리 고정장치가 좌우 한쌍의 신축성 있는 밸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각 밸트의 고정되지 않은 일단으로 상호 결속을 이루는 결속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 포장 콘테이너.
KR10-2003-0083781A 2003-11-24 2003-11-24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 포장 콘테이너 KR1004382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3781A KR100438201B1 (ko) 2003-11-24 2003-11-24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 포장 콘테이너
TW092136497A TWI233421B (en) 2003-11-24 2003-12-23 Packaging container of flat glass plate for display device
JP2003427757A JP3638937B1 (ja) 2003-11-24 2003-12-24 ディスプレイ用平面ガラス板の包装コンテナ
CNB2003101215981A CN100540414C (zh) 2003-11-24 2003-12-29 显示器用平面玻璃板的包装箱-ⅰ
JP2004337188A JP3739382B2 (ja) 2003-11-24 2004-11-22 ディスプレイ用平面ガラス板の包装コンテナ
CNB2004100889854A CN1314570C (zh) 2003-11-24 2004-11-23 显示用平面玻璃板的包装箱
TW93135942A TWI261569B (en) 2003-11-24 2004-11-23 Displaying glass plate container
EP20040027838 EP1533251B1 (en) 2003-11-24 2004-11-24 Packing container for flat display glass
EP07117795A EP1884484B1 (en) 2003-11-24 2004-11-24 Packing container for flat display glass
DE200460029623 DE602004029623D1 (de) 2003-11-24 2004-11-24 Verpackungsbehälter für Flachbildschirmglas
DE200460016267 DE602004016267D1 (de) 2003-11-24 2004-11-24 Verpackungsbehälter für Flachbildschirmscheib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3781A KR100438201B1 (ko) 2003-11-24 2003-11-24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 포장 콘테이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7020A true KR20040037020A (ko) 2004-05-04
KR100438201B1 KR100438201B1 (ko) 2004-07-02

Family

ID=365017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3781A KR100438201B1 (ko) 2003-11-24 2003-11-24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 포장 콘테이너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3638937B1 (ko)
KR (1) KR100438201B1 (ko)
CN (1) CN100540414C (ko)
TW (1) TWI233421B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7655B1 (ko) * 2006-09-18 2007-11-21 (주)천하테크 패널적치장치
KR20170045793A (ko) * 2015-10-19 2017-04-28 코닝정밀소재 주식회사 유리기판 운송용 구조물 및 운송 방법
KR200484668Y1 (ko) 2016-07-08 2017-11-06 (주)다보스티엔지 회전 테이블
CN110498142A (zh) * 2019-08-28 2019-11-26 袁舜 一种集装箱玻璃运输装置及其使用方法
CN112693719A (zh) * 2020-12-14 2021-04-23 江西唯美陶瓷有限公司 一种用于陶瓷板转运的载物架
CN113697233A (zh) * 2021-09-27 2021-11-26 歌尔科技有限公司 一种音箱包装盒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17841A1 (en) * 2005-07-22 2007-01-25 Corning Incorporated Restraining dense packaging system for LCD glass sheets
JP4905676B2 (ja) * 2006-12-07 2012-03-28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ガラス板梱包用パレット及びガラス板梱包体
US7686550B2 (en) * 2006-12-21 2010-03-30 Corning Incorporated Container for packaging and transporting glass sheet(s)
CN103596849B (zh) * 2011-04-29 2016-03-02 京洛株式会社 矩形薄板面板的搬运单元
KR101176034B1 (ko) 2011-12-21 2012-08-24 주식회사 코아테크시스템 엘시디 글라스 크레이트용 차폐장치
KR101571012B1 (ko) * 2014-04-04 2015-11-23 (주)젠틸패키징시스템 글라스패널 운반용 적재장치
KR101571818B1 (ko) * 2014-04-04 2015-11-25 (주)젠틸패키징시스템 글라스패널 운반용 적재장치
KR102081313B1 (ko) * 2017-12-06 2020-02-25 주식회사 엔에스엠 디스플레이의 프레임 이송용 공용화 간지
CN111886186B (zh) * 2018-03-29 2022-08-12 特种东海制纸株式会社 玻璃板用衬纸及其制造方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7655B1 (ko) * 2006-09-18 2007-11-21 (주)천하테크 패널적치장치
KR20170045793A (ko) * 2015-10-19 2017-04-28 코닝정밀소재 주식회사 유리기판 운송용 구조물 및 운송 방법
KR200484668Y1 (ko) 2016-07-08 2017-11-06 (주)다보스티엔지 회전 테이블
CN110498142A (zh) * 2019-08-28 2019-11-26 袁舜 一种集装箱玻璃运输装置及其使用方法
CN110498142B (zh) * 2019-08-28 2024-04-05 甘肃赛陆达物流技术服务有限公司 一种集装箱玻璃运输装置
CN112693719A (zh) * 2020-12-14 2021-04-23 江西唯美陶瓷有限公司 一种用于陶瓷板转运的载物架
CN113697233A (zh) * 2021-09-27 2021-11-26 歌尔科技有限公司 一种音箱包装盒
CN113697233B (zh) * 2021-09-27 2023-04-25 歌尔科技有限公司 一种音箱包装盒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638937B1 (ja) 2005-04-13
TW200426086A (en) 2004-12-01
TWI233421B (en) 2005-06-01
JP2005153989A (ja) 2005-06-16
CN1621323A (zh) 2005-06-01
CN100540414C (zh) 2009-09-16
KR100438201B1 (ko) 2004-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38200B1 (ko)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 포장 콘테이너 및 포장방법
KR100438201B1 (ko)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 포장 콘테이너
RU2555894C2 (ru) Контейнер на колесах
JP3739382B2 (ja) ディスプレイ用平面ガラス板の包装コンテナ
KR101367444B1 (ko) 유리시트 패키징 및 전송용 컨테이너
EP2157022B1 (en) Wardrobe box
KR100439604B1 (ko)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 포장 콘테이너
KR101097077B1 (ko) 유리판 곤포 상자, 곤포 방법 및 개곤 방법
KR101550235B1 (ko) 광학 필름 보관 상자
JP5406863B2 (ja) リユースコンテナ
JP5607885B2 (ja) エレベータ乗場側の扉構造
US4756108A (en) Display frame
PL192735B1 (pl) Przenośny pojemnik do pulpitu mikserskiego dla prezentacji "światło i dźwięk"
JP3121018U (ja) 平板体用集合包装装置
JP3995047B2 (ja) 積層ガラス体の収納ケース
JP3192321B2 (ja) ドアユニットの梱包構造
KR100631405B1 (ko) 운반장치
KR200237747Y1 (ko) 액자 겸용 증서 및 그림 보관함
JP3286928B2 (ja) 展示ケース
KR20070003746A (ko) 글라스 이송용 팔레트
JP3073874B2 (ja) ドアユニットの梱包構造
JP3650094B2 (ja) 防虫・防鼠シャッター
JP2000275735A (ja) 大型スクリーンの搬送方法およびその搬送方法に使用する収納箱
JPH10236520A (ja) 扉の養生シート
JPH02252884A (ja) ガラスパネルシヤッタ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9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5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