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34503A - 난연성 중합체 조성물 - Google Patents

난연성 중합체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34503A
KR20040034503A KR1020030072242A KR20030072242A KR20040034503A KR 20040034503 A KR20040034503 A KR 20040034503A KR 1020030072242 A KR1020030072242 A KR 1020030072242A KR 20030072242 A KR20030072242 A KR 20030072242A KR 20040034503 A KR20040034503 A KR 200400345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uminum hydroxide
product
flame retardant
polymer composition
particle siz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22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41624B1 (ko
Inventor
라인네르 사우에르바인
디테르 프레셰
조세프 브란들
고코르쉬한스
Original Assignee
나발텍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발텍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나발텍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400345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45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16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162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1/00Fireproofing materials
    • C09K21/02Inorganic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FCOMPOUNDS OF THE METALS BERYLLIUM, MAGNESIUM, ALUMINIUM, CALCIUM, STRONTIUM, BARIUM, RADIUM, THORIUM, OR OF THE RARE-EARTH METALS
    • C01F7/00Compounds of aluminium
    • C01F7/02Aluminium oxide; Aluminium hydroxide; Aluminates
    • C01F7/021After-treatment of oxides or hydroxides
    • C01F7/023Grinding, deagglomeration or disinteg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FCOMPOUNDS OF THE METALS BERYLLIUM, MAGNESIUM, ALUMINIUM, CALCIUM, STRONTIUM, BARIUM, RADIUM, THORIUM, OR OF THE RARE-EARTH METALS
    • C01F7/00Compounds of aluminium
    • C01F7/02Aluminium oxide; Aluminium hydroxide; Aluminates
    • C01F7/44Dehydration of aluminium oxide or hydroxide, i.e. all conversions of one form into another involving a loss of water
    • C01F7/441Dehydration of aluminium oxide or hydroxide, i.e. all conversions of one form into another involving a loss of water by calcin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7/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1/00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1/04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C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TO ENHANCE THEIR PIGMENTING OR FILLING PROPERTIES ;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PREPARATION OF INORGANIC MATERIALS WHICH ARE NO SINGLE CHEMICAL COMPOUNDS AND WHICH ARE MAINLY USED AS PIGMENTS OR FILLERS
    • C09C1/00Treatment of specific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C09C1/40Compounds of aluminium
    • C09C1/407Aluminium oxides or hydrox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1/00Fireproofing materials
    • C09K21/14Macromolecular mat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17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external factors, e.g. sheaths or armouring
    • H01B7/29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extremes of temperature or by flame
    • H01B7/295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extremes of temperature or by flame using material resistant to flame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4/00Particle morphology
    • C01P2004/60Particles characterised by their size
    • C01P2004/61Micrometer sized, i.e. from 1-100 microme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4/00Particle morphology
    • C01P2004/60Particles characterised by their size
    • C01P2004/62Submicrometer sized, i.e. from 0.1-1 microme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00Physical properties of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12Surface area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00Physical properties of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19Oil-absorption capacity, e.g. DBP value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00Physical properties of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22Rheological behaviour as dispersion, e.g. viscosity, sedimentation stability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00Physical properties of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80Compositional purity
    • C01P2006/82Compositional purity water cont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00Physical properties of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90Other properties not specified abov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08K2003/2227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aluminium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log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Compounds Of Alkaline-Earth Elements, Aluminum Or Rare-Earth Metals (AREA)
  • Fireproofing Substance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Insulated Conductors (AREA)

Abstract

난연성 중합체 조성물은:
a) 열가소성 및(또는) 가교된 또는 가교성 엘라스토머 20 - 60중량% 및
b) 난연제로서
- BET에 따른 비표면 3 - 5 mg2/g
- 평균 입도 d501.0 - 1.5 ㎛
- 잔류 습도 0.1 - 0.4%
- 오일 흡수도 19 - 23%
- 수분 흡수도 0.4 - 0.6 ㎖/g의 물질 값을 갖는 수산화알루미늄
또는 - BET에 따른 비표면 5 - 8 mg2/g
- 평균 입도 d500.8 - 1.3 ㎛
- 잔류 습도 0.1 - 0.6%
- 오일 흡수도 21 - 25%
- 수분 흡수도 0.6 - 0.8 ㎖/g의 물질 값을 갖는 수산화알루미늄 40 - 80 중량%로 구성된다.
난연성 제제를 생산하는 공정은 침전 및 여과에 의해 얻어진 0.8 내지 1.5㎛의 평균 입자 크기를 갖는 필터-모이스트 수산화알루미늄은 입자 분포가 대부분 유지되면서, BET 표면이 적어도 20% 증가되는 방식으로 고온의 난기류에서 분쇄 건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난연성 중합체 조성물{FLAME RETARDANT POLYMER COMPOSITION}
본 발명은 난연성 중합체 조성물 및 난연제의 생산 방법에 관한 것이다.
건축, 가구, 수송 또는 전기 업계에서 및 전자 업계에서, 플라스틱들이 원료 재료들로서 사용되고 있다. 많은 용도들에서, 중합체들은 국내 또는 국제 불꽃 지연 표준들에 부합해야 한다. 대부분의 중합체들은 그들 자체가 가연성이기 때문에, 이들 중합체는 난연성인 것으로 분류되기 위해서는 변형되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이것은 유기 또는 무기 난연제들을 부가함으로써 달성된다. 많은 상이한 난연제들 중에서, 금속 수화물들, 특히, 알루미늄의 수화물들은 매우 중요해지고 있다(G. 커쉬바움, 쿤스트스토프,79, 199, 제1205-1208페이지, 및 R. 슈미트, 쿤스트스토프,88, 1988, 제2058-2061페이지).
수산화알루미늄의 난연 효과는 200 - 400℃에서 화학적으로 결합된 물의 열적 분열(splitting-off)에 기초한다. 상기 흡열적 분해 과정에서, 에너지가 소비되고, 결과적으로, 플라스틱 재료의 표면이 냉각된다. 또한, 방출된 수증기는 중합체들의 가연성 유기 감성 생성물들을 희석시킨다. 잔류물로서 남아있는 산화알루미늄은 중합체 매트릭스를 태울 때 형성되는 폴리시클릭 방향족 화합물들을 흡착시킨다. 이들 화합물들은 검은 연기의 구성 성분들이므로, 수산화알루미늄 역시 화재의 경우에 연기 밀도의 감소에 기여한다. 따라서, 무독성의 할로겐이 없는 수산화알루미늄을 사용할 때, 연기 생성에 있어서 낮은 할로겐 없는 중합체 화합물들을 생성할 수 있다.
단점은 난연성 재료들에 관한 여러 가지 표준들에 부합될 수 있기 위해 입자들 내에 존재해야 하는 대량의 수산화알루미늄에 관한 것이다. 상기 대량성 때문에, 압출 등의 그러한 난연성 중합체 혼합물들의 가공 방법들은 어렵고, 그러한 화합물들의 기계적 입자들은 종종 부적절하다.
구리 결들을 코팅하면서 또는 케이블 구조물에 대해 케이블 덮개를 도포하면서 달성할 수 있는 압출 속도는 케이블 생산의 중요한 비용 인자를 구성한다. 표준 전기적, 기계적 요건들 및 난연성 요건들을 만족시키는 것 외에, 큰 압출 속도를 허용하는 미세하게 침전된 알루미늄 수산화물들로 충전된 중합체 화합물들은 대안의 기술들에 비교하여 시장 점유율을 얻기 위해 할로겐이 없는 난연성 케이블에있어서 중요하다.
추가의 개선점들을 달성할 한 가지 가능성은 유기 첨가제들, 예를 들면 실란들 또는 티탄염들의 층을 수산화알루미늄 표면에 도포하는 것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코팅된 수산화알루미늄이 열가소성 플라스틱 내에 포함되는 경우, 보다 빠른 압출 속도를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표준인 대량의 미세-침전된 수산화알루미늄으로 충전되고 상기 단점들을 갖지 않지만, 80%에 이르는 충전제 레벨로도, 여전히 용이하게 처리될 수 있는 중합체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코팅 방법들에 비해, 생산 방법은 단순하고, 비용 효과적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품 A 및 상용 제품들 B, C 및 D에 대한 바우만에 따른 수분 흡수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품 E 및 비교 제품 F 및 G에 대한 바우만에 따른 수분 흡수를 나타낸다.
도 3은 아미노 실란 함량의 함수로서 MFI 값들을 나타낸다.
도 4는 전단 속도의 함수로서 전단 점도를 나타낸다.
상기 목적은 특수한 분쇄 건조 공정에 적용되는 미세-침전된 수산화알루미늄을 사용함으로서 달성된다. 건조 분쇄 유닛은 고형 축 상에 확고하게 설치되고, 큰 원주 속도로 회전하는 회전자로 구성된다. 큰 공기 배출과 관련한 상기 회전 운동은 직통 고온 공기를 건조되어야 하는 재료를 포착하고, 동일물을 가속시키고 동일물을 미세하게 분배함으로써 보다 큰 표면이 달성되는 극도로 빠른 공기 소용돌이들로 변환시킨다. 완전히 건조된 후, 난류 상태로 수송된 수산화알루미늄 입자들은 분쇄 건조 유닛에 남겨지고, 고온 공기 및 수증기로부터 분리된다. 회전자의 원주 속도는 40-140 m/sec 범위이다. 건조 목적으로 사용된 고온 공기는 150 -450℃의 온도를 갖는다. 종래의 분쇄 건조 유닛들을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Lueger, Lexikon der Technix, 48권 394페이지 참조.
이러한 방식으로 얻어진 초미세 수산화물 분말은 매우 낮은 오일 흡수를 특징으로 한다. 상용 제품들에 비교한 바, 본 발명의 제품의 오일 흡수는 적어도 20% 만큼 감소된다. 이는 비교할 만한 정도의 미세도 및 BET(Brunnauer, Emmet, Teller법)에 따른 비교할 만하거나 또는 심지어 더 큰 비표면을 갖는 제품들과의 비교에 적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산화알루미늄의 경우에, 예상되는 결정 변형 깁사이트 외에 X-선 회절계 스캔들은 약 1%의 보에마이트 백분율을 보여준다. 이는 분쇄 건조용으로 선택된 고온 공기 온도가 >270℃인 경우이다. 비교 목적들로 사용된 상용의 미세-결정질 알루미늄 수산화물들은 통상적으로 순수한 깁사이트들이다. 본 발명의 제품에서, 보에마이트 백분율은 입자들의 표면 상에서 대부분 밝혀졌다.
수분 흡수는 바우만에 따라 시험되었다(H. Baumann, Fette, Seifen, Anstrichmittel, 68, 1966, 741-743페이지). 이 방법은 재료들 및 무기질 충전제 재료들을 극성 및 친수성에 따라 차별화시키기 위해 사용되었다. 보다 상세하게는, 이 방법은 각각의 충전제 재료가 충분히 소수화되었는지 여부에 관하여 유기 첨가제들로 무기 충전제 재료들의 표면 코팅을 액세싱하기 위해 사용된다. 충전제 재료의 질량 단위당 많은 양의 수분을 흡수하는 기질들은 소량의 물을 흡수하는 것들보다는 큰 친수성이다. 본 발명의 난연제들은 상용 표준 제품들과 비교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산화알루미늄의 수분 흡수율은 35%이고, 상용 비교 제품들의 그것보다 27% 더 낮다.
상기 방법에 따라 생산된 제품들은 보다 용이하게 중합체들 내에 혼입될 수 있고, 지금까지 시판중인 비교 제품들보다 혼합물의 더 양호한 유동학적 특성들을 유도할 수 있다. 사용된 무기질 충전제 재료들은 지금까지 사용된 충전제 재료들보다 소수성이었던 것이 인식되었다. 놀랍게도, 새로운 충전제 재료들은 중합체 매트릭스에 보다 필적한다. 오일 흡수도가 낮을 수록, 무기질 표면을 습윤시키기 위해 더 적은 중합체가 필요하다. 무기질 표면을 습윤시키기 위해 보다 적은 중합체가 사용되는 경우, 상호 슬라이딩을 위해 매트릭스 내에 보다 많은 중합체 사슬들이 유효할 수 있다. 최종 분석에서, 낮은 오일 지수를 갖는 충전제 재료들로 이루어진 중합체 혼합물들은 큰 오일 흡수 지수를 갖는 충전제 재료들로 생산된 것보다 낮은 점도 값들을 갖는다. 이는 경화를 완료하기 전에 실온에서, 심지어 80%에 이르는 높은 충전제 레벨들에서 액체인 중합체 용융물들 및 반응성 수지들에 적용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특성화된 제품이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UP 수지로 축약됨) 내로 혼합되는 경우, 동일한 농도로 상용의 비교 제품들을 함유하는 혼합물들의 경우보다 훨씬 더 낮은 점도 값들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품은 또한 여전히 매우 잘 유동하는 보다 큰 충전제 레벨을 갖는 혼합물들을 생산하는 데 적절하다. 상대적인 점성 값들이 비교되는 경우, 50중량%의 충전제 레벨을 갖는 본 발명의 제품의 점도는 표준 제품들의 그것보다 약 60% 낮다.
상기 방법에 따라 건조된 수산화알루미늄이 용융 방법들을 통해 열가소성 중합체 매트릭스 내에 혼입되는 경우, 결과의 화합물은 용융 지수들로서 결정되는 예상되는 저온 용융 점성들을 포함한다. 이러한 효과는 에틸-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EVA 또는 EVA-공중합체로 축약됨) 및 아미노-실란(실시예 4)을 참조하여 시험된 농도 시리즈에 의해 예시된 바와 같이, 표준 저분자량 커플링제들의 사용 하에 및 사용 없이 달성된다. 시험들은 충전제 재료와 중합체 간의 고정된 관계 및 아미노-실란의 변화하는 백분율들에 따라 수행되었다. 본 발명의 제품은 상용 표준 제품과 비교되었다. 예상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품은 전체 범위에 비해 보다 큰 융용 유동 지수를 포함한다. 표준 제품을 참조한 백분율의 증가는 20 내지 40% 범위이다.
기재된 수산화알루미늄에 기초하여, 할로겐이 없는 난연성 케이블 시팅 또는 케이블 절연 재료로서의 용도에 대해 기술적 중요성을 갖는, 단순한 기본 중합체 혼합물들 형태의 중합체 화합물들이 생산되었다. 매우 유리한 기계적 특성 및 방염 특성들과는 별도로, 생성된 중합체 화합물들은 우수한 용융 유동 특성들을 포함한다. 상용의 초미세 결정질 알루미늄 수산화물들의 그룹의 표준 제품들에 비교한 바, 상기 고온 용융 유동 지수 및 상기 점성 각각은 특히 두드러진다.
큰 충전제 레벨을 갖는 화합물들의 상기 크게 개선된 융용 유동 특성들은 상기 난연성 재료들을 전기 도전체들에 인가할 때 큰 압출 속도들을 달성하기 위한 기본적인 예비 조건을 구성한다. 실시예 9는 2개의 플라스틱 화합물들을 구리 도전체 상으로 압출할 때 얻어진 결과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품을 함유하는 혼합물을 가공할 때, 상용 제품을 함유하는 화합물에 비교한 바, 전자는 보다 낮은용융 압력 및 보다 낮은 용융 온도를 갖는 한편, 나머지 파라메터들, 즉 압출기 스크류 속도 및 추출 속도는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압출 공정을 신뢰하는 사람들을 위해, 이는 스크류 속도를 증가시킴으로써 절연 와이어들 및 케이블들을 생산할 때 보다 큰 압출 속도 및 추출 속도로 이러한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임으로, 낮은 용융 점성들 및 표준 높은 충전제 레벨들과 관련하여, 훨씬 더 양호한 난연성 중합체 화합물들을 달성하기 위해 충전제 레벨을 추가로 증가시킬 수 있다. 그러나, 용융 점성 및 기계적 특성들은 표준 제품들에 의해 가능하지 않은 정상적인 레벨로 유지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은 여러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기재될 것이다. 실시예 1 및 2는 본 발명의 제품들 및 이들의 생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실시예 3 내지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품들의 장점들을 나타내는 비교 실시예들을 포함한다.
실시예들
실시예 1 및 2는 본 발명의 제품의 생산 방법을 개시한다.
실시예 1
약 3m2/g의 비표면 및 약 50중량%의 잔류 습도를 갖는 미세 결정질 수산화알루미늄의 필터 케이크가 종래의 수송 소자들을 통해 분쇄 건조 유닛으로 도입되었다. 도입된 고체 물질은 200kg/h에 달하였다. 270 - 290℃의 도입 온도를 갖는 고온 공기가 부가되었다. 공기의 양은 5000 Bm3/h에 달하였다. 회전자의 회전 속도는 80 m/sec로 설정되었다. 건조된 제품은 충분한 치수의 제품 필터에 의해 분리되고 회전자 밸브를 통해 제거되었다.
표 1은 이러한 방식으로 얻어진 분말의 가장 중요한 특성들을 요약하고, 이를 초미세 수산화알루미늄에 기초한 3개의 상용 난연제들의 특성들과 비교한다. 비교 제품 B는 본 발명의 제품 A와 동일한 필터-모이스트 초미세 수산화물에 기쵸하여 얻어졌다.
본 발명의 제품 A 및 비교 제품들 B, C 및 D는 바우만에 따른 수분 흡수 시험에 적용되었다. 디바이스 및 시험 방법은 문헌(H. Baumann, GIT-Fachzeitschrift fur das laboratorium, Heft 6, 6, Juni, 1967, 540-542페이지 및 H. Baumann, Fette, Seifen, Anstrichmittel, 68, 1966, 741-743페이지)에 기재되어 있다.
도 1은 시험 기간의 함수로서 비교되는 난연제들의 수분 흡수를 보여준다. 5 - 15분 후, 제품들은 물로 포화된다. 보다 긴 시험 기간이 수분 흡수율을 더 이상 증가시키지 못한다. 본 발명의 제품 A의 수분 흡수율은 비교 제품들의 그것보다 적어도 36% 더 낮다. 이 값은 오일 흡수 값들과 동일하다. 제품 A는 이미 21% 포화된 한편(충전제 재료 1g 당 올레산 0.21g), 상용 제품들은 27-35% 포화되었다.
[표 1]
특성 방법4m2/g의 알루미늄 수산화물들
제품 A제품 B제품 C제품 D
d90(㎛) 레이저 과립 측정계 0.5 0.5 0.6 0.6
d50(㎛) 레이저 과립 측정계 1.2 1.4 1.6 1.6
d10(㎛) 레이저 과립 측정계 2.6 3.2 3.4 5.3
BET(m2g)DIN 66131 3.8 3.1 3.5 4.6
보에마이트(%)XRD 1% - - -
습기(%)DIN EN ISO 787-2 0.19 0.19 0.24 0.23
오일 흡수율(%) DIN EN SIO 787-5 21 27 29 35
수분 흡수(㎖/g)바우만에 따름 0.43 0.68 0.68 0.71
d90은 모든 입자들의 90%가 보다 큰 것임에 적용되는 입자 크기 값을 기재한다.
d50은 모든 입자들의 50%가 보다 큰 것이고, 모든 입자들의 50%가 보다 작은 것임에 적용되는 평균 입자 직경 및 그에 따른 값을 기재한다.
d10은 모든 입자들의 10%가 보다 큰 것임에 적용되는 입자 크기 값을 기재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품 A 및 상용 제품들 B, C 및 D에 대한 바우만에 따른수분 흡수를 나타낸다.
실시예 2
약 5m2/g의 비표면 및 약 50중량%의 잔류 습도를 갖는 미세 결정질 수산화알루미늄의 필터 케이크가 종래의 수송 소자들을 통해 분쇄 건조 유닛으로 도입되었다. 도입된 고체 물질은 200kg/h에 달하였다. 250 - 280℃의 도입 온도를 갖는 고온 공기가 부가되었다. 공기의 양은 5000 Bm3/h에 달하였다. 회전자의 회전 속도는 2000 - 3000 rpm으로 설정되었다. 건조된 제품은 충분한 치수의 제품 필터에 의해 분리되고 회전자 밸브를 통해 제거되었다.
표 2는 이러한 방식으로 얻어진 분말 E의 가장 중요한 특성들을 요약하고, 이를 상용 제품 F의 특성들과 비교한다. 또한, 표 2는 본 발명의 제품 E와 동일한 필터-모이스트 초미세 수산화물에 기초하지만, 상용 제품 F가 기초하는 방법에 따라 생산된 제품 G의 데이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품 E 및 상용 제품 F 뿐만 아니라 제품 G는 바우만에 따른 수분 흡수 시험에 적용되었다. 도 2는 시험 기간의 함수로서 2 충전제 재료들의 수분 흡수를 보여준다. 5 - 15분 후, 제품들은 물로 포화된다. 보다 긴 시험 기간이 수분 흡수율을 더 이상 증가시키지 못한다. 본 발명의 제품 E의 수분 흡수율은 제품 F 및 G의 그것보다 적어도 27% 더 낮다. 이 값은 오일 흡수 값들과 동일하다. 제품 E는 이미 24% 포화되고, 제품 F는 단지 34%이다. 역시 31%인 제품 G는본 발명의 제품 E의 그것보다 약 30% 더 높은 오일 흡수 지수를 포함한다.
[표 2]
특성 방법6m2/g의 알루미늄 수산화물들
제품 E제품 F제품 G
d90(㎛) 레이저 과립 측정계 0.5 0.5 0.6
d50(㎛) 레이저 과립 측정계 0.0 1.1 1.1
d10(㎛) 레이저 과립 측정계 2.6 2.7 2.4
BET(m2g)DIN 66131 6.9 6.0 5.2
보에마이트(%)XRD 1% - -
습기(%)DIN EN ISO 787-2 0.19 0.40 0.26
오일 흡수율(%) DIN EN SIO 787-5 24 34 31
수분 흡수(㎖/g)바우만에 따름 0.77 1.00 0.98
도 2는 본 발명의 제품 E 및 비교 제품 F 및 G에 대한 바우만에 따른 수분 흡수를 나타낸다.
실시예 3
본 발명의 제품 A 및 비교 제품들 B, C 및 D는 BASF AG사가 제조한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인 팔라프레그 P17과 혼합되었다. 충전제 재료를 도입하기 위해IKA-RE 166 타입의 진탕기가 사용되었다. 50중량%의 충전제 레벨을 갖는 미세-분포된 혼합물을 얻기 위해, 동일한 양의 팔라프레그 P17 및 충전제 재료가 3분 동안 3500 rpm으로, 순차로 다시 2분 동안 5500 rpm으로 도입되었다. 이러한 방식으로 얻어진 충전된 수지는 22℃로 2시간 동안 항온되고, 순차로 브룩필드 RVT 점성도계 내에서 (스핀들 6을 사용하여) 20 rpm으로 측정되었다. 표 3은 그 결과들을 비교한다.
[표 3]
난연제절대 점도(Pas)상대 점도
없음 3.81 1
제품 A 32.4 8.5
제품 B 95.2 25.0
제품 C 99.0 26.0
제품 D >200 -
제품 A의 점도는 가장 낮다. 제품들 B 및 C는 인자 3에 의해 보다 점성이고, 제품 D는 점성이 너무 높기 때문에 사용된 장치로는 측정할 수 없다.
실시예 4
본 발명의 제품 A 및 비교 제품들은 비닐 아세테이트 함량이 19중량%인 EVA 공중합체로 혼합되었다. 충전제 재료는 일정한 61.3중량%에 달하고, 커플링제로서사용된 아미노 실란(다이나실란 AMEO, 데구싸 AG 제조)의 함량은 변화하였다. 혼합물들은 워너 및 플라이드러사가 제조한 타입 LDUK 1.0의 분산 교반기 상에서 생산되었다. 용융 유동 지수는 멜트 플로우 테스터 6942(190℃/21.6kg) 내에서 ASTM D 1238에 따라 측정하였다. 도 3은 얻어진 용융 유동 지수들의 관계를 보여준다. 또한, 도 3은 아미노 실란 함량의 함수로서 MFI 값들을 보여준다.
전반적으로, 제품 A는 보다 큰 MFI 값들을 포함한다. 제품들 A, B, C 및 D에 대한 값의 커브들은 증가하는 아미노 실란 함량과 평행하게 하향 확장한다.
실시예 5 내지 10은 사용자-관련 열가소성 플라스틱 화합물들과 관련하여 얻어졌다.
실시예 5
표 4는 비닐 아세테이트 함량이 19중량%인 EVA 공중합체에 기초하여 중합체 화합물의 조성물들 및 가장 중요한 파라메터들을 요약한다. 비교된 난연제들은 BET에 따라 약 4m2/g의 비표면을 갖는 초미세 결정질 알루미늄 수산화물들이다. 본 발명의 타입과 비교되는 3개의 알루미늄 수산화물 등급들은 상용 제품들이다.
혼합물은 워너 및 플라이드러사가 제조한 타입 LDUK 1.0의 분산 교반기 상에서 생산되었다. 후속 시험들을 위한 시험편들은 타입 폴리스태트 300S의 "슈와벤던 프레스(Schwabenthan press)" 내의 압축 몰딩에 의해 생산된 플레이트들에서 벗어나 펀치되었다. DIN 53504에 따른 기계적 시험들은 타입 Tiratest 2705의 인장시험기에서 수행되었다. ASTM D 1238에 따른 용융 흐름 지수는 멜트 플로우 테스터 6942에 의해 결정되고, ISO 4589 (ASTM D 2863에 따른 산소 지수는 스탠톤 레드크로프트사가 제조한 FTA에서 결정되었다.
[표 4]
조성 4.1 4.2 4.3 4.4
에스코렌 UL 0011938.338.338.338.3
다이나실란 AMEO 0.4 0.4 0.4 0.4
제품 A61.3
제품 B61.3
제품 C61.13
제품 D61.3
∑100100100100
인장 강도(MPa)13.513.513.513.5
파열 신장률(%)210210193181
LOI (%O2)38.237.636.337.5
MFI (cm3/10분)
(21.6kg/160℃)1.61.11.01.2
MFI (cm3/10분)
(21.6kg/190℃)4.23.12.63.0
에스코렌 UL00119는 엑손모빌사가 제조한 EVA 공중합체이다.
다이나실란 AMEO는 데구싸 AG사가 제조한 아미노 실란이다.
인장 강도 - DIN 53504에 따른 응력 변형도 요건들로부터 얻어짐
파열 시장률 - DIN 53504에 따른 응력 변형도 요건들로부터 얻어짐.
LOI = ISO 4589에 따라 제한되는 산소 지수
MFI = ASTM D 1238에 따른 용융 유동 지수
비교는 본 발명의 제품 A가 비교된 모든 제품들의 최상의 값들을 나타내는 것을 보여준다. 매우 유리한 기계적 특성들은 별도로, 제형 4.1의 용융 유동 지수는 비교 재료들의 그것보다 적어도 35% 더 높다.
실시예 6
표 5는 비닐 아세테이트 함량이 26중량%인 EVA 공중합체에 기초하여 중합체 화합물의 조성물들 및 가장 중요한 파라메터들을 요약한다. 비교된 난연제들은 BET에 따라 약 4m2/g의 비표면을 갖는 초미세 결정질 알루미늄 수산화물들이다. 본 발명의 타입과 비교되는 3개의 알루미늄 수산화물 등급들은 상용 제품들이다. 화합물들 및 시험편들은 실시예 5에 기재한 바와 같이 생산하였다.
이러한 제형에서 역시. 본 발명의 수산화알루미늄은 가장 큰 용융 흐름 지수를 포함한다. 표준 등급들에 비교한 바, 그 값은 적어도 25% 증가된다(5.2 - 5.4와 비교하여 5.1 참조).
[표 5]
조성 5.1 5.2 5.3 5.4
에스코렌 UL 0022638.338.338.338.3
다이나실란 AMEO 0.4 0.4 0.4 0.4
제품 A61.3
제품 B61.3
제품 C61.13
제품 D61.3
∑100100100100
인장 강도(MPa)12.612.212.010.5
파열 신장률(%)243256221220
LOI (%O2)37.136.136.737.1
MFI (cm3/10분)
(21.6kg/160℃)3.83.02.63.1
MFI (cm3/10분)
(21.6kg/190℃)10.68.57.07.2
에스코렌 UL00226은 엑손모바일사가 제조한 EVA 공중합체이다.
실시예 7
표 6은 비닐 아세테이트 함량이 19중량%인 EVA 공중합체에 기초하여 중합체 화합물의 조성물들 및 가장 중요한 파라메터들을 요약한다. 이 실시예의 경우에, BET에 따라 약 6m2/g의 비표면을 갖는 초미세 결정질 알루미늄 수산화물들이 비교되었다. 본 발명의 타입은 실시예 2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생산되었다. 상용 수산화알루미늄 등급과의 비교가 수행되었다. 화합물들 및 시험편들은 실시예 5에 기재한 바와 같이 생산하였다.
이 실시예의 경우 역시, 본 발명의 제품 E는 우세한 용융 유동 지수를 포함한다. 양호한 파열 신장률 값은 별도로, 측정 조건들에 좌우되는 본 발명의 제품 E의 MFI 값들은 적어도 28% 증가된다
[표 6]
조성 6.1 6.2
에스코렌 UL 0011938.338.3
다이나실란 AMEO 0.4 0.4
제품 E61.3
제품 F61.3
∑100100
인장 강도(MPa)14.714.8
파열 신장률(%)173152
LOI (%O2)42.642.7
MFI (cm3/10분)
(21.6kg/160℃)1.00.5
MFI (cm3/10분)
(21.6kg/190℃)2.71.6
실시예 8
표 7은 비닐 아세테이트 함량이 26중량%인 EVA 공중합체에 기초하여 중합체 화합물의 조성물들 및 가장 중요한 파라메터들을 요약한다. 이 실시예의 경우에, BET에 따라 약 6m2/g의 비표면을 갖는 실시예 7의 2개의 초미세 결정질 알루미늄 수산화물들이 비교되었다. 화합물들 및 시험편들은 실시예 5에 기재한 바와 같이 생산하였다.
다시, 본 발명의 제품 E는 유리한 기계적 특성들, 높은 LOI 값 및 매우 높은 용융 유동 지수들을 포함한다.
[표 7]
조성 7.1 7.2
에스코렌 UL 0011938.338.3
다이나실란 AMEO 0.4 0.4
제품 E61.3
제품 F61.3
∑100100
인장 강도(MPa)14.915.2
파열 신장률(%)206184
LOI (%O2)42.340.6
MFI (cm3/10분)
(21.6kg/160℃)2.61.7
MFI (cm3/10분)
(21.6kg/190℃)7.33.9
실시예 9
표 8은 PE/EVA 혼합물(비닐 아세테이트 함량이 26중량%인 EVA)에 기초하여 중합체 화합물의 조성물들 및 가장 중요한 파라메터들을 요약한다. 비교된 난연제들은 BET에 따라 약 4m2/g의 비표면을 갖는 초미세 결정질 알루미늄 수산화물들이다. 본 발명의 타입과 비교되는 3개의 알루미늄 수산화물 등급들은 실시예 4 및 5에 사용된 바의 상용 제품들이다. 화합물들 및 시험편들은 실시예 5에 기재된 바와 같이 생산되었다.
이러한 화합물의 결과들은 상기 실시예들에서 식별된 바의 증가된 용융 유동 지수의 결과치들을 다시 한번 확인한다.
[표 8]
조성 8.1 8.2 8.3 8.4
엑손 모바일 LL 1004 YB 9.66 9.66 9.66 9.66
에스코렌 UL 0022629 29 29 29
실퀘스트 FR-693 0.8 0.8 0.8 0.8
실퀘스트 PA-826 0.30 0.30 0.30 0.30
인터록스 TMCH-75-AL 0.04 0.04 0.04 0.04
이가녹스 1010 0.20 0.20 0.20 0.20
제품 A 60
제품 B 60
제품 C 60
제품 D 60
∑100100100100
인장 강도(MPa) 8.5 8.7 8.6 7.4
파열 신장률(%)200187143118
LOI (%O2)36.835.633.433.5
MFI (cm3/10분)
(21.6kg/160℃)6.85.25.15.0
엑손 모바일 LL 1004 YB는 엑손 모바일사의 LLDPE이다.
실퀘스트 FR-693은 Osi 스페셜티의 비닐 실란 에스테르이다.
실퀘스트 PA-826은 비닐-변형된 폴리디메틸실록산이다
인터록스 TNCH-75-AL은 퍼옥시드 케미사가 제조한 지방족들 중의 3차 아밀퍼옥시 피발레이트의 75% 용액이다.
이가녹스 1010은 시바 SC사가 제조한 열안정제이다(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키스 3-(3,5-디-터트-부틸-4-히드록시페닐) 프로프리오네이트).
실시예 10
후속 시험들을 위한 비교 제품들은 표 8에 따른 최상의 비교 값들을 갖는 제품들이었다.
표 9는 응력 변형도 시험들의 결과 및 실시예 9에 비교한 바 변형된 방법에 의해 생산된 제형들 8.1 및 8.2의 화합물들의 용융 유동 지수들을 보여준다. 이러한 경우에, 중합체 혼합물은 타입 MDK/E 46-11D의 부스-코-교반기에서 생산되었다. 기계적 시험들을 위한 시험편들은 단일-스크류 압출기(엑스트루덱스사가 제조한 ED 30-GL) 상에 생산된 압출된 스트립들에서 벗어나 펀치되었다
이러한 생산 방법에 따라, 기계 값들 및 용융 유동 지수들 모두는 표 7에 기재된 값들에 비교한 바 개선되었다. 이 경우, 역시, 본 발명의 제품을 함유하는 화합물의 높은 MFI는 강조되어야 한다.
[표 9]
사용된 난연제인장 강도(MPa)파열시 신장률(%) MFI(cm310min)
21.6kg/160℃
제품 A 10.2258 9.4
제품 B 10.4264 5.9
이러한 방식으로 생산된 화합물들은 모세관 유동측정기(보흐린, 타입 로샌드 RH7-2, 측정 온도 150℃)에서 용융-유동학적 측정치들에 적용되었다. 도 4는 전단 속도의 함수로서 전단 점도를 보여준다. 또한, 도 4는 표 8에 열거된 화합물들의 전단 점도를 보여준다.
MFI 값들에 따라, 전체 전단 속도 범위에 걸쳐, 본 발명의 제품 A의 조성은 비교 제품 B보다 낮은 용융 점성을 포함한다.
또한, 모든 화합물들은 0.5mm2의 단면적을 갖는 박막의 둥근 구리 도전체 상에서 압출되었다. 상기 시험들은 BM 스크류를 구비한 프랜시스 쇼우 압출기("브레베트 메일러(Brevet Mailler)" = 메일레퍼 특허) 상에서 수행되었다. 가장 중요한 파라메터들은 표 10에 열거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산화알루미늄을 함유하는 화합물은 추출 및 압출 온도가 동일하게 유지되면서 낮은 압력 및 낮은 용융 온도에서 구리 도전체에 인가될 수 있다. 반대로: 절연된 구리 와이어의 증가된 추출 속도는 회전 스크류 속도를 30rpm을 초과하는 값으로 증가시키고, 따라서 용융 압력 및 용융 온도를 예를 들면 비교 제품 B를 함유한 화합물의 경우에 자체를 설정하는 레벨로 30rpm의 회전 스크류 속도로 증가시킴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그러나, 기재된 시험들이 수행되는 시험 장비는 보다 높은 추출 속도들 용으로 고안되지 않았다.
[표 10]
충전제 재료파라메터들 설정압출 중에 발생하는 파라메터들
압출 속도 스크류 속도 노즐 직경 용융 온도 용융 압력
(m/분) (rpm)(내부/외부)(mm) (℃) 바
제품 A 650 30 0.85/1.4 151 750
제품 B 650 30 0.85/1.4 168 800
상기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을 실시함으로써, 80%에 이르는 충전제 레벨로도, 여전히 용이하게 처리될 수 있는 중합체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으며, 또한 코팅 방법들에 비해, 생산 방법이 단순하고, 비용 효과적이다.

Claims (8)

  1. a) 열가소성 및(또는) 가교된 또는 가교성 엘라스토머 20 - 60중량% 및
    b) 난연제로서
    - BET에 따른 비표면 3 - 5 mg2/g
    - 평균 입도 d501.0 - 1.5 ㎛
    - 잔류 습도 0.1 - 0.4%
    - 오일 흡수도 19 - 23%
    - 수분 흡수도 0.4 - 0.6 ㎖/g의 물질 값을 갖는 수산화알루미늄
    또는 - BET에 따른 비표면 5 - 8 mg2/g
    - 평균 입도 d500.8 - 1.3 ㎛
    - 잔류 습도 0.1 - 0.6%
    - 오일 흡수도 21 - 25%
    - 수분 흡수도 0.6 - 0.8 ㎖/g의 물질 값을 갖는 수산화알루미늄 40 - 80 중량%로 구성된 난연성 중합체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에 따른 수산화알루미늄이 추가로 0.5 내지 1.5% 보에마이트(boehmite)에 의한 깁사이트 구조물을 포함하는 것인 난연성 중합체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에 개재된 중합체가 폴리올레핀들, 비닐 중합체들, 공중합체들 또는 삼원 공중합체들 및 그래프트된 폴리메틸아크릴레이트, 천연 및 합성 고무들 및 이들의 혼합물들의 군으로 구성된 것인 난연성 중합체 조성물.
  4. 침전 및 여과에 의해 얻어진 0.8 내지 1.5㎛의 평균 입자 크기를 갖는 필터-모이스트 수산화알루미늄은 입자 분포가 대부분 유지되면서, BET 표면이 적어도 20% 증가되는 방식으로 고온의 난기류에서 분쇄 건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 BET에 따른 비표면 3 - 5 mg2/g
    - 평균 입도 d501.0 - 1.3 ㎛
    - 잔류 습도 0.1 - 0.4%
    - 오일 흡수도 19 - 23%
    - 수분 흡수도 0.4 - 0.6 ㎖/g의 물질 값을 갖는 수산화알루미늄
    또는 - BET에 따른 비표면 5 - 8 mg2/g
    - 평균 입도 d500.8 - 1.5 ㎛
    - 잔류 습도 0.1 - 0.6%
    - 오일 흡수도 21 - 25%
    - 수분 흡수도 0.6 - 0.8 ㎖/g의 물질 값을 갖는 수산화알루미늄인 난연제.
  5. 제4항에 있어서, 고형 축 상에 단단히 고정된 회전자가 10-40 m/sec의 원주 속도로 회전하고, 3000 - 7000 Bm3/h의 큰 공기 배출과 관련하여, 150 - 450℃의 직통 고온 공기가 >3000의 레이놀즈 인자에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자의 원자 속도는 필터-모이스트 수산화알루미늄에 함유된 집괴물들을 1차 결정들로 전환시키기 위해 >60m/sec에 이르는 것인 방법.
  7.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5000 Bm3/h를 초과하는 고온 기류 형태로 >270℃의 온도에서 및 >70m/sec의 회전자의 원주 속도로 도입된 에너지는 표면 상의 깁사이트 입자들을 보에마이트로 전환시키기에 충분한 것인 방법.
  8. 표준 수산화알루미늄들에 비교한 바, 용융물이 적어도 20%로 증가된 용융 유동 지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 방법들에 의해 코팅된 전기 도전체들 및 케이블들을 생산하기 위한 상기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난연성 중합체 조성물의 사용 방법.
KR1020030072242A 2002-10-16 2003-10-16 난연성 중합체 조성물 KR1006416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48174.1 2002-10-16
DE10248174A DE10248174C1 (de) 2002-10-16 2002-10-16 Flammgeschützte Polymerzusammensetzung und deren Verwendung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Flammschutzmittels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8049A Division KR100733493B1 (ko) 2002-10-16 2006-04-27 난연성 중합체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4503A true KR20040034503A (ko) 2004-04-28
KR100641624B1 KR100641624B1 (ko) 2006-11-02

Family

ID=2922522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2242A KR100641624B1 (ko) 2002-10-16 2003-10-16 난연성 중합체 조성물
KR1020060038049A KR100733493B1 (ko) 2002-10-16 2006-04-27 난연성 중합체 조성물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8049A KR100733493B1 (ko) 2002-10-16 2006-04-27 난연성 중합체 조성물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7144941B2 (ko)
EP (2) EP1411079B1 (ko)
JP (2) JP4579524B2 (ko)
KR (2) KR100641624B1 (ko)
CN (1) CN1260286C (ko)
AT (1) ATE324401T1 (ko)
CA (1) CA2444712C (ko)
DE (2) DE10248174C1 (ko)
ES (2) ES2262933T3 (ko)
HU (1) HUE032060T2 (ko)
MX (1) MXPA03009430A (ko)
NO (1) NO20034611L (ko)
RU (1) RU2262526C2 (ko)
UA (1) UA74877C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110921A1 (en) * 2004-05-13 2005-11-24 Showa Denko K.K. Aluminum hydroxide and use thereof
FR2889537B1 (fr) * 2005-08-08 2007-09-28 Nexans Sa Composition resistante au feu notamment pour materiau de cable d'energie et/ou de telecommunication
KR100702739B1 (ko) * 2005-09-30 2007-04-03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굽힘 변형시 백화현상이 억제된 난연성 수지 조성물
KR101374985B1 (ko) * 2005-11-24 2014-03-14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깁사이트 유형 수산화 알루미늄 입자
RU2008143216A (ru) * 2006-03-31 2010-05-10 Альбемарл Корпорейшн (Us) Гидроксид магния, обладающий улучшенными характеристиками смешиваемости и вязкости
WO2007117841A2 (en) * 2006-03-31 2007-10-18 Albemarle Corporation Magnesium hydroxide with improved compounding and viscosity performance
US20090131574A1 (en) * 2006-06-21 2009-05-21 Martinswerk Gmbh Coated aluminum hydroxide particles produced by mill-drying
CN101711225B (zh) * 2006-06-21 2012-08-29 马丁斯韦克有限公司 氢氧化铝
US20090176921A1 (en) * 2006-06-21 2009-07-09 Martinswerk Strasse Gmbh Process For Producing Thermally Stable Aluminum Trihydroxide Particles Through Mill-Drying A Slurry
EP2029486A2 (en) * 2006-06-21 2009-03-04 Martinswerk GmbH A process for producing aluminum hydroxide particles
TW200811047A (en) * 2006-07-05 2008-03-01 Martinswerk Gmbh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aluminum hydroxide
MX337770B (es) * 2006-11-10 2016-03-18 Servicios Administrativos Peñoles S A de C V Procedimiento para la preparacion de aditivo retardador de flama para recubrimientos y productos resultantes.
US8642001B2 (en) 2007-02-27 2014-02-04 Albemarle Corporation Aluminum hydroxide
US20090020735A1 (en) * 2007-07-16 2009-01-22 Conocophillips Company Flame retardant composition employing oil sand tailings
WO2009097410A1 (en) * 2008-01-30 2009-08-06 Dow Global Technologies Inc. Thermoplastic halogen-free flame retardant formulations
EP2247655A1 (en) * 2008-02-21 2010-11-10 Dow Global Technologies Inc. Halogen-free flame retardant formulations
GB2466921B (en) * 2009-01-07 2013-06-05 Tyco Electronics Ltd Uk Flame retardant material and a cable having a cable sheath composed of the same
ES2426140T3 (es) * 2009-06-08 2013-10-21 Huntsman International Llc Composición termoplástica retardadora de la llama
EP2275477B1 (en) * 2009-06-10 2011-12-14 Borealis AG Flame retardant polymer composition comprising an ethylene copolymer with maleic anhydride units as coupling agent
DE102009034880A1 (de) * 2009-07-27 2011-02-24 Altenburger Maschinen Jäckering GmbH Verwendung eines Kunststoff-haltigen Einsatzstoffes für Zementöfen
US8431037B2 (en) * 2009-10-11 2013-04-30 Indian Institute Of Technology Madras Liquid composite dielectric material
JP5310472B2 (ja) * 2009-10-15 2013-10-09 日立化成株式会社 高耐熱性水酸化アルミニウム粒子、その製造方法及びこの粒子を含む樹脂組成物並びにこの樹脂組成物を使用したプリント配線板
JP5310471B2 (ja) * 2009-10-15 2013-10-09 日立化成株式会社 高耐熱性水酸化アルミニウム粒子、その製造方法及びこの粒子を含む樹脂組成物並びにこの樹脂組成物を使用したプリント配線板
AU2010324128B2 (en) 2009-11-25 2013-11-07 Akusta Unternehmensberatung Fire retardant moldings and method for producing and using such a molding
DE102009055635B4 (de) * 2009-11-25 2020-12-31 Katharina Stadter Brandhemmender Formkörper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solchen sowie dessen Verwendung
US8173255B2 (en) * 2010-01-07 2012-05-08 King Abdulaziz City Science And Technology Clean flame retardant insulation composition to enhance mechanical properties and flame retardancy for wire and cable
US9085678B2 (en) 2010-01-08 2015-07-21 King Abdulaziz City For Science And Technology Clean flame retardant compositions with carbon nano tube for enhancing mechanical properties for insulation of wire and cable
PL2420474T3 (pl) 2010-08-18 2017-09-29 Nabaltec Ag Sposób mielenia połączonego z suszeniem wodorotlenku glinu
NO2656356T3 (ko) * 2010-12-23 2018-01-06
JP2012131682A (ja) * 2010-12-24 2012-07-12 Sumitomo Chemical Co Ltd 微粒水酸化アルミニウム及びその製造方法
US8871019B2 (en) 2011-11-01 2014-10-28 King Abdulaziz City Science And Technology Composition for construction materials manufacturing and the method of its production
RU2533137C1 (ru) * 2013-03-27 2014-11-20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Учреждение Науки Институт Биохимической Физики Им. Н.М. Эмануэля Российской Академии Наук (Ибхф Ран) Полимерная композиция на основе олефинов, характеризующаяся пониженной горючестью
CN106458619B (zh) * 2014-05-29 2018-06-05 住友化学株式会社 耐热氢氧化铝和其制造方法
JP5847262B1 (ja) 2014-09-29 2016-01-20 住友理工株式会社 防振ゴム組成物
CN104610608B (zh) * 2015-01-09 2016-05-25 芜湖航天特种电缆厂股份有限公司 电缆用阻燃丁苯橡胶套及其制备方法
CN104592571B (zh) * 2015-01-09 2016-08-24 芜湖航天特种电缆厂股份有限公司 电缆用阻燃天然橡胶及其制备方法
CN104592569B (zh) * 2015-01-09 2016-08-24 芜湖航天特种电缆厂股份有限公司 电缆用阻燃天然橡胶套及其制备方法
AT517060B1 (de) 2015-03-25 2017-03-15 Bategu Gummitechnologie Gmbh & Co Kg Flammgeschützte polymere Zusammensetzung
US10222547B2 (en) 2015-11-30 2019-03-05 Corning Incorporated Flame-retardant optical fiber coating
CN113724928A (zh) * 2016-06-17 2021-11-30 日立金属株式会社 绝缘电线和电缆
US11380459B2 (en) * 2016-06-17 2022-07-05 Hitachi Metals, Ltd. Insulated wire
US10167396B2 (en) * 2017-05-03 2019-01-01 Corning Incorporated Low smoke fire-resistant optical ribbon
JP7135921B2 (ja) * 2019-02-14 2022-09-13 日本軽金属株式会社 水酸化アルミニウム粉体及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344588C2 (de) 1983-12-09 1994-12-15 Kabelmetal Electro Gmbh Polymermischung zur Ummantelung von Kabeln und Leitungen
DE3407414A1 (de) 1984-02-29 1985-09-05 Standard Elektrik Lorenz Ag, 7000 Stuttgart Flammwidrige isoliermischung fuer kabel und leitungen
DE3543370A1 (de) * 1985-12-07 1987-06-11 Jackering Altenburger Masch Muehle mit mehreren mahlstufen
JPS63139364A (ja) * 1986-06-25 1988-06-11 Ricoh Co Ltd 静電荷像現像用トナ−
GB8617387D0 (en) * 1986-07-16 1986-08-20 Alcan Int Ltd Alumina hydrates
CN87107410A (zh) 1986-12-31 1988-08-03 Bp化学有限公司 填充高弹体共混物
KR0159504B1 (ko) * 1989-01-26 1999-01-15 무라다 하지메 수산화 알루미늄의 제조방법
GB2231333B (en) 1989-05-11 1991-12-18 Bowthorpe Hellermann Ltd Flame retardant polymer compositions
US5127950A (en) 1989-09-14 1992-07-07 Lonza Ltd. Short-prismatic aluminum hydroxide, process for preparing same from supersaturated sodium aluminate-liquor, and compositions containing same
DE19611112C2 (de) * 1996-03-21 2002-04-18 Jackering Altenburger Masc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von extrem feinen Pulvern
JP3784538B2 (ja) 1998-03-23 2006-06-14 株式会社クラレ 難燃性樹脂組成物
EP1146075A1 (de) * 2000-04-10 2001-10-17 Alusuisse Martinswerk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Füllstoffen mit verbesserter Schüttdichtestabilität und Rieselfähigkeit
JP2002211918A (ja) * 2000-11-17 2002-07-31 Showa Denko Kk 水酸化アルミニウム、その製造方法および該水酸化アルミニウムを含む樹脂組成物ならびにこの樹脂組成物を使用したプリント配線基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UE032060T2 (hu) 2017-08-28
JP4579524B2 (ja) 2010-11-10
ES2262933T3 (es) 2006-12-01
KR100641624B1 (ko) 2006-11-02
US20040147659A1 (en) 2004-07-29
EP1411079B1 (de) 2006-04-26
ES2619205T3 (es) 2017-06-23
ATE324401T1 (de) 2006-05-15
EP1411079A2 (de) 2004-04-21
DE10248174C1 (de) 2003-11-13
CN1513905A (zh) 2004-07-21
CN1260286C (zh) 2006-06-21
NO20034611L (no) 2004-04-19
KR100733493B1 (ko) 2007-06-28
JP5205410B2 (ja) 2013-06-05
JP2010168589A (ja) 2010-08-05
NO20034611D0 (no) 2003-10-15
CA2444712A1 (en) 2004-04-16
CA2444712C (en) 2008-07-29
RU2003130406A (ru) 2005-04-10
EP1555286A3 (de) 2011-08-17
KR20060074917A (ko) 2006-07-03
US7144941B2 (en) 2006-12-05
EP1411079A3 (de) 2004-06-30
EP1555286A2 (de) 2005-07-20
RU2262526C2 (ru) 2005-10-20
DE50303093D1 (de) 2006-06-01
JP2004156030A (ja) 2004-06-03
EP1555286B1 (de) 2016-12-14
MXPA03009430A (es) 2004-10-15
UA74877C2 (en) 2006-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3493B1 (ko) 난연성 중합체 조성물
CA2481475C (en) Novel boehmite particles and polymer materials incorporating same
KR101963926B1 (ko) 폴리염화비닐과 바이오-기반 가소제의 혼합 방법
NO308171B1 (no) Flammehemmende polyetylenmaterialer
Cerezo et al. Structural, mechanical and dielectric properties of poly (ethylene-co-methyl acrylate-co-acrylic acid) graphite oxide nanocomposites
HU222452B1 (hu) Eljárás böhmit töltőanyag előállítására és ezt tartalmazó lángálló műanyagkeverékek
EP1490428A1 (en) Flame retardant polymer compositions comprising a particulate clay mineral
JP4953421B2 (ja) 複合水酸化マグネシウム粒子の製造方法
CN106751369A (zh) 一种有机硅阻燃护套料及其制备方法
EP4067424A1 (en) Thermally conductive fillers
CN106589758A (zh) 一种机械强度高的新型玻璃棉数据线护套料及其制备方法
EP1177252B2 (en) Fire retardant compositions
CN106751368A (zh) 一种钼酸钙耐迁移阻燃护套料及其制备方法
JPH0280441A (ja) 難燃性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組成物
Abitha et al. Studies in Effect of Nano Aluminium Trihydroxide Concentration on Flame Retardant Properties of Ethylene Propylene Diene Rubber
Datta et al. Surface Treatment of Conductive Carbon Blacks and Their Effect on the Properties of Conductive Composit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J501 Disposition of invalidation of trial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5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