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32206A - 용지이송롤러 - Google Patents

용지이송롤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32206A
KR20040032206A KR1020020059772A KR20020059772A KR20040032206A KR 20040032206 A KR20040032206 A KR 20040032206A KR 1020020059772 A KR1020020059772 A KR 1020020059772A KR 20020059772 A KR20020059772 A KR 20020059772A KR 20040032206 A KR20040032206 A KR 200400322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rubber roller
roller
paper
paper f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97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태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597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32206A/ko
Publication of KR200400322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2206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17Apparatus for continuous web copy material of plain paper, e.g. supply rolls; Roll holders therefo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29Transport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livering By Means Of Belts And Rollers (AREA)

Abstract

개시된 용지이송롤러는, 샤프트와, 이 샤프트의 외주에 몰딩 또는 압입되는 고무롤러를 포함하며, 샤프트와 고무롤러가 몰딩 또는 압입되는 부위에 몰입부 또는 요철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몰입부 또는 요철부에 의해 샤프트와 고무롤러와의 접촉면적이 넓어져서 밀착성이 좋아짐과 동시에 몰입부 또는 요철부에 충전된 고무가 쐐기작용을 하여 고무롤러와 샤프트가 슬립되지 않으므로 용지의 미스피딩이나 사행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용지이송롤러 {Paper feed roller}
본 발명은 용지이송롤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샤프트의 외주에 고무롤러가 결합된 용지이송롤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프린터, 복사기 등의 사무기기는 인쇄매체로서 용지를 사용하므로 용지를 이송시키기 위한 용지이송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용지이송장치를 간략히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보면, 구동모터(10)와 동력연결된 이송롤러(20)에 가압롤러(30)가 접촉되어 있다. 이송롤러(20)는 보통 금속재질의 샤프트(21)에 원통형의 고무롤러(22)가 결합된 것으로서 샤프트(21)의 일단에는 구동모터(10)와의 동력연결을 위한 기어(50)가 결합된다. 가압롤러(30)는 고무롤러(22)의 외주면에 접촉된다. 스프링(40)은 가압롤러(30)에 고무롤러(22)쪽으로 소정의 가압력(F)을 가한다. 이송롤러(20)가 구동모터(10)에 의해 회전되면 가압롤러(30)가 함께 회전된다.
용지(S)를 적재한 급지카세트(미도시)로부터 한 장씩 인출된 용지(S)는 회전하는 가압롤러(30)와 고무롤러(22)의 사이로 인입된다. 그러면, 고무롤러(22)와 용지(S)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 용지(S)가 고무롤러(22)의 외주면의 선속도와 같은 속도로 이송된다.
이송롤러(20)는 샤프트(21)에 중공부(23)가 형성된 고무롤러(22)를 삽입하여 제작되는데, 중공부(23)의 직경은 샤프트(21)의 외경보다 작다. 따라서, 고무롤러(21)가 샤프트(22)에 억지끼워맞춤에 의해 삽입되면 고무롤러(22)의 탄성력에 의해 고무롤러(22)와 샤프트(21)가 밀착된다. 용지(S)를 이송시킬 때 고무롤러(22)와 샤프트(21) 사이에는 스프링(40)의 가압력(F)과 고무롤러(22)와 용지(S)사이의 마찰계수와 고무롤러(22)의 반경에 비례하는 비를림 모멘트(M)가 작용된다. 만일 고무롤러(22)와 샤프트(21)의 밀착력이 이 비틀림 모멘트(M)를 견디지 못하면 샤프트(21)와 고무롤러(22)가 서로 헛돌게 된다. 그러면, 구동모터(10)가 회전하더라도 예정된 이송거리만큼 용지(S)가 이송되지 못하는 미스피딩(misfeeding)이 발생된다. 또, 만일 고무롤러(22)가 일부분에서 샤프트(21)와 밀착되지 못하는 경우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틀림이 발생되면서 용지(S)가 좌우로 기울어져서 이송되는 사행(skew)이 발생된다. 즉, 고무롤러(22)와 샤프트(21)가 잘 밀착된 A부에서는 용지(S)가 제대로 이송되지만 고무롤러(22)와 샤프트(21)가 밀착되지 못한 B부에서는 용지(S)가 제대로 이송되지 못한다. 그러면, 용지(S)가 참조부호 S1으로 표시된 것처럼 똑바로 이송되지 못하고 참조부호 S2로 표시된 것처럼 도면의 오른쪽으로 비스듬하게 기울어져서 이송된다. 만일 사행이 심해지면 용지(S)가 구겨지거나 찢어져서 이송되지 못하는 용지 잼(jam)이 발생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고무롤러와 샤프트가 헛돌지 않도록 개선된 용지이송롤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용지이송장치를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용지이송장치에 의한 용지사행현상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용지이송롤러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C-C' 단면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용지이송롤러의 몰딩과정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용지이송롤러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7는 도 6의 D-D'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구동모터 30......가압롤러
40......스프링 50......기어
110,310......샤프트 120,320......고무롤러
111......몰입부 311......요철부
321......종공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용지이송롤러는, 회전축이 되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의 외주에 몰딩되는 고무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샤프트의 상기 고무롤러가 몰딩되는 부위에는 안쪽으로 몰입된 적어도 하나의 몰입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몰입부는 요(凹)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몰입부들은 상기 샤프트의 회전중심에 대해 대칭되게 복수개소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용지이송롤러는, 회전축이 되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의 외주에 압입되는 고무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샤프트의 상기 고무롤러가 압입되는 부위에는 요철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요철부는 상기 샤프트의 외주면에 산과 골이 교대로 형성된 톱니모양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용지이송롤러를 도시한 것이며, 도 4는 도 3의 C-C'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보면, 용지이송롤러(100)는 길이방향으로 파여진 몰입부(111)가 형성된 샤프트(110)와 이 샤프트(110)에 몰딩(molding)된 고무롤러(120)를 구비한다. 몰입부(111)는 샤프트(110)를 절삭가공하여 형성하며, 가급적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지이송롤러(100)의 회전중심(X)에 대해 회전 대칭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2개의 몰입부(111)를 형성하였으나, 1개의 몰입부만으로도 충분할 수 있으며 3개 이상의 몰입부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고무롤러(120)는 샤프트(110)에 몰딩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무롤러(120)의 형상이 음각된 음각부(211,221)을 가진 상하 몰딩금형(210,220) 사이에몰입부(111)가 형성된 샤프트(110)를 넣고 고무롤러(120)의 재료가 되는 고무를 주입한다. 그러면 샤프트(110)의 주위에 음각부(211,221)의 형상대로 고무가 충전된다. 소정의 고무성형공정을 거쳐 몰딩금형(210,220)을 분리하고 고무롤러(120)의 외형을 가공하여 소정의 직경이 되도록 하면 용지이송롤러(100)가 완성된다. 이와 같이 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몰입부(111)에 고무가 충전되어 성형된다.
몰입부(111)의 길이(L2)는 반드시 고무롤러(120)의 길이(L1)와 같을 필요는 없으며 그 보다 짧거나 더 길 수 있다. 몰입부(111)의 깊이(d)는 너무 깊을 경우에는 스프링(40)에 의한 수직방향의 가압력(F)을 받을 때 샤프트(110)가 휘어질 수 있으므로 샤프트(110)의 직경(Ds)과 가압력(F)의 크기를 고려하여 적절히 결정한다. 또한, 몰입부(111)의 깊이(d)와 폭(W)은, 샤프트(110)와 고무롤러(120)가 슬림되지 않도록 가압력(F), 용지(S)와 고무롤러(120) 사이의 마찰계수, 고무롤러(120)의 직경(Dr)에 비례하는 비틀림 모멘트의 크기를 고려하여 결정한다. 보통은 고무롤러(120)가 샤프트(110)에 몰딩될 경우 고무재질의 특성상 고무롤러(120)가 샤프트(110)에 접착되므로, 이 접착력을 넘어서는 비틀림 모멘트에 의해 샤프트(110)와 고무롤러(120)가 슬림되지 않을 정도의 쐐기작용을 할 수 있으면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고무롤러(120)와 샤프트(110) 사이에 비틀림 모멘트가 작용되더라도 고무롤러(120)와 샤프트(110)의 접촉면적이 몰입부(111)가 없는 경우에 비해 넓어져서 샤프트(110)와 고무롤러(120)의 밀착도가 증가될 뿐 아니라 몰입부(111)와 여기에 충전된 고무가 쐐기작용을 하여 고무롤러(120)와 샤프트(110)가 슬립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구동모터(10)의 회전력은 기어(50)를거쳐 샤프트(110)에 몰딩된 고무롤러(120)에 전달되며, 고무롤러(120)쪽으로 스프링(40)에 의해 가압된 가압롤러(30)도 고무롤러(120)와 함께 회전된다. 따라서, 고무롤러(120)와 가압롤러(30) 사이로 인입된 용지(S)는 고무롤러(120)의 외주면의 선속도와 같은 속도로 이송되며, 종래의 용지이송롤러에서와 같은 용지의 미스피딩이나 사행을 방지할 수 있다.
용지이송롤러는 고무롤러를 샤프트에 압입함으로써 제작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용지이송롤러를 도시한 것이며, 도 7는 도 6의 D-D'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을 보면, 용지이송롤러(300)는 길이방향으로 파여진 요철부(311)가 형성된 샤프트(310)와 이 샤프트(310)에 압입되는 고무롤러(320)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샤프트(310)의 외주면에 산과 골이 교대로 형성된 톱니모양의 요철부(311)를 예시하고 있으나, 이외에도 다양한 응용예가 가능하다. 요철부(311)는 샤프트(310)의 길이방향으로 고무롤러(320)가 압입되는 부위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요철부(311)의 길이(L3)는 상술한 비틀림 모멘트의 크기를 고려하여 적절히 선정하면 되며, 반드시 고무롤러(320)의 길이(L2)보다 길 필요는 없다. 고무롤러(320)에는 샤프트(310)의 외주에 압입될 수 있도록 샤프트(310)의 직경(Ds2)보다 약간 작게 형성된 중공부(321)가 형성된다.
샤프트(310)에 고무롤러(320)를 압입하면 중공부(321)의 직경(Dc)과 샤프트(310)의 직경(Ds2)의 차이만큼 고무롤러(320)가 탄성적으로 압축되면서 이 탄성력에 의해 샤프트(310)와 고무롤러(320)가 밀착된다. 요철부(311)에는 도 7에도시된 바와 같이 고무롤러(320)의 중공부(321)가 요철부(311)의 형상을 따라 탄성변형되어 밀착된다. 요철부(311)의 크기는 중공부(321)의 변형에 의해 고무롤러(320)의 외경(Dr2)이 영향을 받지 않는 한도 내에서 결정된다. 또한, 고무롤러(320)를 제작할 때 요철부(311)의 크기에 따른 고무롤러(320)의 변형을 고려하여 적절한 크기의 외경을 갖도록 제작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요철부(311)와 중공부(321)가 탄성밀착되면서 샤프트(310)와 고무롤러(320)의 접촉면적이 요철부(311)를 형성하지 않은 경우에 비해 매우 넓어지므로 고무롤러(320)와 샤프트(310)와의 밀착도가 증가된다. 또한, 요철부(311)의 골 쪽으로 탄성변형되어 들어온 고무가 쐐기작용을 하므로 고무롤러(320)와 샤프트(310)가 슬립되지 않아 종래의 용지이송롤러에서와 같은 용지의 미스피딩이나 사행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용지이송롤러에 의하면, 고무롤러와 샤프트와의 사이에서 접촉면적을 넓혀줌과 동시에 쐐기작용을 하는 몰입부 또는 요철부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고무롤러와 샤프트가 서로 헛도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용지이송롤러에서와 같은 용지의 사행이나 미스피딩을 방지할 수 있으며, 안정적인 용지의 이송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상기에 설명되고 도면에 예시된 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음에 기재되는 청구의 범위 내에서 더 많은 변형 및 변용예가 가능한 것임은 물론이다.

Claims (6)

  1. 회전축이 되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의 외주에 몰딩되는 고무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샤프트의 상기 고무롤러가 몰딩되는 부위에는 안쪽으로 몰입된 적어도 하나의 몰입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이송롤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몰입부는 요(凹)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이송롤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몰입부들은 상기 샤프트의 회전중심에 대해 대칭되게 복수개소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이송롤러.
  4. 회전축이 되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의 외주에 압입되는 고무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샤프트의 상기 고무롤러가 압입되는 부위에는 요철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이송롤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부는 상기 샤프트의 외주면에 산과 골이 교대로 형성된 톱니모양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이송롤러.
  6.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롤러는 상기 샤프트에 압입될 때 탄성변형되면서 상기 요철부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이송롤러.
KR1020020059772A 2002-10-01 2002-10-01 용지이송롤러 KR2004003220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9772A KR20040032206A (ko) 2002-10-01 2002-10-01 용지이송롤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9772A KR20040032206A (ko) 2002-10-01 2002-10-01 용지이송롤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2206A true KR20040032206A (ko) 2004-04-17

Family

ID=373321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9772A KR20040032206A (ko) 2002-10-01 2002-10-01 용지이송롤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32206A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27396U (ko) * 1993-05-19 1994-12-10 금전등록기용 프린터의 로울러 베이스 구조
JP2000185832A (ja) * 1998-12-22 2000-07-04 Ricoh Co Ltd ゴムローラ
JP2001031265A (ja) * 1999-07-27 2001-02-06 Sumitomo Rubber Ind Ltd ローラ部材
JP2001031280A (ja) * 1999-07-23 2001-02-06 Alps Electric Co Ltd プリンタ用圧接ローラ
JP2001281963A (ja) * 2000-03-28 2001-10-10 Tokai Rubber Ind Ltd 事務機器用ローラ及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27396U (ko) * 1993-05-19 1994-12-10 금전등록기용 프린터의 로울러 베이스 구조
JP2000185832A (ja) * 1998-12-22 2000-07-04 Ricoh Co Ltd ゴムローラ
JP2001031280A (ja) * 1999-07-23 2001-02-06 Alps Electric Co Ltd プリンタ用圧接ローラ
JP2001031265A (ja) * 1999-07-27 2001-02-06 Sumitomo Rubber Ind Ltd ローラ部材
JP2001281963A (ja) * 2000-03-28 2001-10-10 Tokai Rubber Ind Ltd 事務機器用ローラ及びその製造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734873B1 (en) Roller for image-forming apparatus and mold for forming the same
KR900016827A (ko) 운반회전부재 및 운반장치
KR101280039B1 (ko) 마찰롤러를 이용한 동력전달장치, 이를 이용한화상형성장치의 배지장치 및 화상형성장치
JPH09150984A (ja) 用紙搬送装置
JPH0745476Y2 (ja) 用紙送り機構
KR20040032206A (ko) 용지이송롤러
JPS62157167A (ja) 帯状印刷担体を搬送するための輪転印刷機用の引張りロ−ラ対
JP2006001656A (ja) ローラ及びそれを備える給紙装置及び画像読取装置
JP7193819B1 (ja) 押圧ローラ
JP3022119U (ja) 搬送用の外径可変ローラ
JP4771980B2 (ja) シート送りローラ
JPS62275943A (ja) 紙搬送ロ−ラ
JP2004224457A (ja) 紙送りローラ、紙送りローラ用支持体、及び、紙送り装置
KR200176126Y1 (ko) 표면에 요철을 형성한 용지 급배지 롤러
JP2706403B2 (ja) 送りローラ
JP6930786B2 (ja) シート搬送装置およびシート搬送方法
JPH0355573Y2 (ko)
JPH066122Y2 (ja) 搬送用ローラにおける端部部材の固定構造
KR200202660Y1 (ko) 물체이송용고무롤러의구조
JPS6093646U (ja) 複写機等の紙葉類搬送ロ−ラ
JPH09202485A (ja) 用紙搬送ローラ
JPH01181633A (ja) 給紙装置
US20060180982A1 (en) Air suction feed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JP3735542B2 (ja) 搬送ローラ
KR100419213B1 (ko) 화상독취장치의 화이트롤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