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24504A - 낚싯대 - Google Patents

낚싯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24504A
KR20040024504A KR1020030063042A KR20030063042A KR20040024504A KR 20040024504 A KR20040024504 A KR 20040024504A KR 1020030063042 A KR1020030063042 A KR 1020030063042A KR 20030063042 A KR20030063042 A KR 20030063042A KR 20040024504 A KR20040024504 A KR 200400245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e
circumference
protruding member
rod
fishing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30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95521B1 (ko
Inventor
마츠모토키요히코
타니가와쇼타로
타니구치카즈마
시오타니유키노부
호소야야스노리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ublication of KR200400245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45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55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552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7/00Fishing rods
    • A01K87/08Handgrip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7/00Fishing rods
    • A01K87/04Fishing-line guides on rods, e.g. tip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Fishing Rods (AREA)

Abstract

[과제] 장대의 배기성·배수성이 풍부한 한편 조작성도 배려한 낚싯대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이 원대(2)의 장대 기단측 단부(端部)의 둘레면에는 구멍(2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구멍(2a) 위에는 원대(2)의 둘레면보다 돌출하는 돌출 부재(10)이 배치된다. 돌출 부재(10)에는 구멍(2a)에 연통(連通)하는 관통로(10a)가 경사하여 형성되어 있어 원대(2) 내부에 모인 물은 여기로부터 배수되고, 공기도 여기로 출입한다.

Description

낚싯대{FISHING ROD}
본 발명은 낚시에 이용하는 낚싯대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낚싯대는 일반적으로 원대로 불리는 장대 기단측에 위치하는 큰 지름의 장대 수선측에, 복수의 장대를 연결하여 한 자루의 낚싯대로 이루어져 있다. 이 원대의 둘레면에는 릴을 장착하기 위한 릴 시트 및 낚시꾼이 원대를 파지(把持)하기 위한 그립(grip)이 설치된다. 또한, 이른바 외통 장대에서는 각 장대의 둘레면에 릴로부터의 낚싯줄을 안내하는 낚싯줄 가이드가 장착되고, 이른바 중통 장대에서는 낚싯줄을 장대 내부에 도입하기 위한 낚싯줄 도입구가 장대의 둘레면에 형성된다. 그리고, 외통 장대에서는 릴로부터의 낚싯줄을 낚싯줄 가이드를 통하여 수선측으로 이끌고, 중통 장대에서는 낚싯줄 내부로 낚싯줄을 관통시켜 낚시를 행하게 된다.
종래의 이러한 낚싯대에 있어서는 몇 가지 문제점이 지적되어 왔다. 예를 들면, 중통 장대의 경우 감아 올리는 낚싯줄과 함께 물이 장대 내부로 침입하여 그 배수가 필요하게 된다. 또한, 뽑이식으로 장대를 연결하는 낚싯대에 있어서는, 뽑이식으로 각 장대를 연결할 경우 수선측 장대를 손잡이측 장대 안으로부터 출납할 때에 손잡이측 장대 내의 공기가 빠질 틈이 없어지게 되어 순조롭게 출납할 수 없게될 우려가 있다.
이 때문에 장대의 후단(後端) 또는 뒷마개에 개폐 가능하게 배수부를 설치한 낚싯대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등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이 기술은 배수에만 주목한 것에 지나지 않아 낚싯대 조작성에서의 배려가 부족하다. 낚싯대의 장대 기단측의 단부(端部) 부근은 낚시꾼이 파지하여 낚시 조작을 행하는 곳으로 불필요한 부재를 장착하면 조작성을 손상시킬 우려가 있다.
한편, 장대의 장대 기단측 둘레면에 조작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고무제의 그립편(片)을 장착하는 낚싯대도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면, 특허 문헌 2). 그러나, 이 기술은 배수·배기 등을 배려하는 것이 아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개평 7-213200호 공보(도 1, 도 5등)
<특허 문헌 2>
일본 특개평 11-046634호 공보(도 1)
본 발명의 과제는 장대의 배기성·배수성이 풍부한 한편 조작성도 배려한 낚싯대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낚싯대의 전체도.
도 2는 도 1의 원대(2)의 장대 기단측 단부 부근의 단면도.
도 3(a)는 도 2의 돌출 부재(10)의 이면 방향에서 본 도.
도 3(b)는 측면 방향에서 본 도.
도 3(c)는 표면 방향에서 본 도.
도 4는 도 1의 돌출 부재(10)을 도시한 도.
도 5는 도 4의 V-V단면도.
도 6은 도 1의 원대(2)의 참고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원대(2)의 장대 기단측 단부 부근을 도시한 도.
도 8은 도 7의 돌출 부재(20)의 단면도.
도 9는 돌출 부재의 변형예(30)을 도시한 도.
  <도면의 주요한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장대 유닛
 2: 원대
 2a: 구멍
 10, 20, 30: 돌출 부재
 10a, 20a, 30a: 관통로
발명 1의 낚싯대는 가장 손잡이측에 위치하는 통상체(筒狀體)로서, 둘레면에 릴을 탈착 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는 릴 시트를 가지는 한편 릴 시트와 동일한 둘레방향 위치의 장대 기단측 단부 둘레면에 축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의 구멍이형성되어 있는 원대와, 원대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둘레면 부분 위에 취부(取付)되는 부재로서, 구멍에 연통(連通)하는 관통로가 형성되어 있는 돌출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이 낚싯대에서는 원대의 구멍과 이것에 연통하는 돌출 부재의 관통로를 통하여 원대 내부에 침입한 물이 외부로 배출된다. 원대 내의 공기도 이 구멍 및 관통로를 통하여 출입한다. 특히, 원대의 구멍이 릴 시트와 동일한 둘레방향 위치의 원대 둘레면에 형성되어 있어 예를 들면, 스피닝 릴을 지면 방향을 향하여 낚싯대를 사용하는 것에 있어서는 원대 내의 물이 양호하게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또한, 돌출 부재는 구멍의 형성에 의하여 저하되는 원대의 강도를 보강하는 한편, 낚시꾼이 이 돌출 부재를 포함하여 원대를 파지하는 것으로 둘레방향의 미끄럼 방지에도 도움이 된다.
발명 2의 낚싯대는 발명 1의 낚싯대에 있어서, 돌출 부재는 원대의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재이고, 그 이면은 원대의 둘레면 형상에 합치하여 폭 방향 중앙이 가장 오목하게 들어가 곡면화되며, 그 표면은 폭 방향 중앙이 원대의 둘레면보다 가장 돌출하도록 곡면화되어 있고, 관통로는 표면으로부터 수선측 방향으로 경사하여 형성되어 있다.
돌출 부재의 곡면화된 이면은 원대에 고정되어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있다. 또한, 돌출 부재 표면의 곡면화에 의하여 낚시꾼은 돌출 부재를 순조롭게 잡을 수 있어 둘레방향의 미끄럼 방지에 도움이 된다. 또한, 수선측 방향으로 경사하고 있는 관통로는 원대 내부로부터의 배수 및 배기 흡기를 원활화하게 되고, 외부로부터장대 내부가 직접 보이지 않게 되므로 의장성도 뛰어나다.
발명 3의 낚싯대는 발명 2의 낚싯대에 있어서, 돌출 부재의 이면의 관통로의 출구 둘레 가장자리에는 원대의 관통공에 삽입되는 계지(係止) 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계지 돌기가 원대의 관통공에 삽입되는 것으로 돌출 부재의 위치 결정이 용이하게 되며 안정성도 향상된다.
<실시예>
[제1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낚싯대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장대 관(管)을 뽑이식으로 연결하여 구성되는 장대 유닛(unit)(1)과, 장대 유닛(1)의 장대 기단측에 뽑이식으로 연결되는 큰 지름의 원대(2)로 구성되어 있다. 원대(2) 및 장대 유닛(1)을 구성하는 각 장대는 각각 섬유 강화 수지에 합성 수지를 함침(含浸)시킨 프리프레그 소재를 소성(燒成)하여 이루어지고, 각각 수선측 만큼 소경화하는 테이퍼가 행해지고 있다.
장대 유닛(1)의 각 장대의 수선측 단부 및/또는 장대 기단측 단부는 각각 연결부분으로 되어 있고, 수선측의 장대를 장대 기단측의 장대로부터 수선측으로 뽑아내어 연결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수납시에는 수선측의 장대가 순차적으로 장대 기단측 장대 내부로 수납된다. 각 장대의 내부는 낚싯줄이 관통하는 낚싯줄 통로로도 되어 있고, 필요에 따라 각각의 장대의 내주면에는 낚싯줄을 지지하기 위한 낚싯줄 지지 돌기가 나선형으로 연속하여 형성된다. 또한, 가장 수선측에 위치하는 장대 (초릿대)의 수선측 단부에는 탑 가이드(3)이 장착된다.
원대(2)도 상기 장대 유닛을 구성하는 장대와 같이, 그 수선측 단부는 연결부분으로 되어 있어, 장대 유닛(1)이 수선측으로부터 원대(2)의 내부에 수납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원대(2)의 축 방향 중앙 부근의 둘레면에는 릴(6)을 탈착 가능하게 장착하기 위한 릴 시트(7)이 배치되고, 수선측의 둘레면에는 릴(6)으로부터의 낚싯줄(100)을 원대(2)의 내부로부터 장대 유닛(1)을 구성하는 장대 내에 도입하기 위한 낚싯줄 도입구(5)가 형성된다. 이 낚싯줄 도입구(5)의 상공에는 낚싯줄 도입구(5)에 낚싯줄(100)을 안내하는 낚싯줄 도입 가이드(8)을 배치해도 무방하다. 또한, 원대(2)의 장대 기단측 단부 내주면은 나사 홈이 형성되어 있고 (도 2 참조), 여기에 뒷마개(9)가 탈착 가능하게 나착(螺着)되어 있다.
또한, 도 2에 자세하게 도시한 바와 같이, 원대(2)의 장대 기단측 둘레면의 릴 시트(7)이 배치되는 둘레방향 측에는 축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3개의 구멍(2a)가 형성되어 있고, 이 둘레면에는 돌출 부재(10)이 장착되어 있다.
돌출 부재(10)은 경질 플라스틱 또는 금속 등으로 형성된다. 의장성을 높이기 위하여 경질 플라스틱으로 형성할 때에는 그 둘레면에 금속 도금 등의 표면 처리를 행하여도 무방하다. 이 돌출 부재(10)은 접착제나 양면 테이프 등의 공지의 방법으로 원대(2)의 소정의 둘레면에 고정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돌출 부재(10)은 그 윗면에서 보는 방향에 있어서 (도 3(c) 참조), 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수선측에 걸쳐 폭이 좁게, 축 방향 중앙 부근으로부터 장대 기단측 단부에 걸쳐 폭이 넓게 이루어져 있다. 예를 들면, 이 돌출 부재(10)은 축 방향 길이가 80 ~ 100mm 정도, 최대폭으로 15 ~ 20mm 정도로 설정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돌출 부재(10)의 이면 (원대(1)의 둘레면에 맞닿는 면)은 원대(1)의 둘레면 위에 합치하여 폭 방향 중앙이 가장 오목하게 들어가도록 곡면화되고, 그 표면은 폭 방향 중앙이 원대(2)의 둘레면에서 가장 돌출하도록 곡면화되어 있다. 이 돌출 부재(10)의 원대(2)의 둘레면으로부터의 최대 돌출 높이는 3 ~ 5mm 정도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돌출 부재(10)에는 축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3개의 관통로(10a)가 상술한 원대(2)의 구멍(2a)에 맞추어 형성되어 있다. 즉, 관통로(10a)의 이면측 출구는 상술한 원대(2)의 구멍(2a)에 합치한다. 이 관통로(10a)는 돌출 부재(10)의 표면 입구에서 이면 입구를 향하여 수선측 방향으로 경사하는 경사로이다 (도 2·도3(c) 참조). 이와 같은 경사를 설치하는 것으로, 관통로(10a)를 원대(2)에 직교하는 방향으로부터 보아도 관통로(10a)에서 원대(2)의 내부까지 직접 볼 수 있는 단점을 배제하고 있다.
또한, 이 3개의 관통로(10a) 중에서 가장 수선측에 위치하는 관통로(10a)의 이면측 출구의 수선측 둘레 가장자리와 가장 장대 기단측에 위치하는 관통로(10a)의 이면측 출구의 장대 기단측 둘레 가장자리에는, 각각 원대(2) 방향으로 돌출하는 계지 돌기(10b, 10c)가 형성되어 있다 (뒷면에서 본 방향의 도 3(a) 참조). 이 계지 돌기(10b, 10c)는 각각 원대(2)의 구멍(2a)에 끼워 넣어져 축 방향의 위치가 결정된다. 하지만, 계지 돌기(10b, 10c)는 원대(2)의 구멍(2a)로부터 원대(2)의내부 공간으로 튀어나오지 않을 정도의 크기로 형성한다. 덧붙여, 이 실시예에서는 축 방향 중앙의 관통로(10a)에 대해서는 계지 돌기를 마련하고 있지 않지만, 필요에 따라 이 축 방향 중앙의 관통로(10a)에도 계지 돌기를 다른 관통로(10a)와 같이 형성해도 무방하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낚싯대에서는 낚싯줄(100)을 릴(6)으로 감아 올리면, 낚싯줄(100)에 묻은 물이 낚싯줄(100)과 함께 장대 유닛(1) 및 원대(2)의 내부에 침입하는 경우가 있다. 낚싯대의 수선측을 들면, 이 침입한 물은 원대(2)의 구멍(2a)와 이것에 연통하는 돌출 부재(10)의 관통로(10a)를 통하여 원대(2)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특히, 이 구멍(2a)가 릴 시트(6)과 동일한 둘레방향 위치의 원대(2) 둘레면에 형성되어 있어 예를 들면, 스피닝 릴을 지면 방향을 향하여 낚시 장대를 사용하는 것에 있어서는 원대(2) 내에 이른 물이 양호하게 구멍(2a)에 이른다. 그리고, 경사한 관통로(10a)를 통하여 외부로 배수된다.
또한, 장대 유닛(2)를 구성하는 장대를 순차적으로 장대 기단측의 장대 내부에 원대(2)까지 수납하거나 또는 각 장대를 수선측으로 뺄 때에는 이 구멍(2a) 및 관통로(10a)를 통하여 공기가 각종 장대 내부로 출입한다. 따라서, 장대 내부에 공기가 모이거나 또는 공기가 적게 되어 장대의 출납을 저해하는 피스톤 현상도 억제할 수 있다.
덧붙여 이 돌출 부재(10)은 원대(2)에 구멍(2a)를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저하되는 원대(2)의 강도를 보강하고 있다. 나아가, 낚시꾼이 이 돌출 부재(10)을 포함하여 원대(2)의 장대 기단측 단부를 파지하는 것으로 둘레방향의 미끄럼 방지도 되고 낚싯대의 조작성도 향상된다.
[제2 실시예]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낚싯대도 제1 실시예와 같이, 원대(2) 및 장대 유닛(1)로부터 구성된다. 원대(2)에는 릴 시트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실시예와 같이, 릴 시트의 배치된 둘레방향 위치에 축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3개의 구멍(2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원대(2)의 3개의 구멍(2a) 위에는 각각 돌출 부재(20)이 장착되어 있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돌출 부재(20)은 표면 방향에서 볼 때 타원형태의 부재이고, 정확히 구멍(2a)를 가리는 정도의 크기를 가지고 있는 경질 플라스틱 또는 금속제의 부재이다. 표면측은 구형으로 럭비 볼을 반 나누기 한듯한 형상으로 위로 볼록하며 이면은 원대(2)의 둘레면 형상에 맞추어 곡면화하고 있다. 또한, 이 돌출 부재(20)에는 구멍(2a)에 연통하는 관통로(20a)가 높이 방향으로 관통하고 있다. 관통로(20a)의 이면측 입구의 둘레 가장자리는 전체 둘레에 걸쳐서 구멍(2a)의 둘레를 따라 돌출하여 계지 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이 계지 돌기도 상기 제 1 실시예와 같이 원대(2)의 내부 공간에까지 튀어나오지 않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돌출 부재(20)을 가지는 낚싯대에서도 제1 실시예와 같이, 장대 내부의 물을 배출하고 공기의 출입을 가능하게 하여 구멍 보강 및 미끄럼 방지도 가능해진다.
덧붙여 돌출 부재에 관해서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변형예도 제시할 수있다. 이 변형예에 관한 돌출 부재(30)은 관통로(30a)를 표면측 입구로부터 이면측 입구를 향하여 수선측으로 경사시키고 있다.
[다른 실시예]
(a) 상술한 각 실시예에서는 원대의 구멍은 3개를 형성하고 있지만, 그 수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구멍의 수에 따라 돌출 부재의 관통로 또는 장착하는 돌출 부재의 수를 설정한다.
(b) 상기 실시예에서는 이른바 중통 장대를 예시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원대 및 그 수선측에 연결되는 원상대와, 원상대를 원대 내에 수납한 수납 상태 및 뽑은 연신 상태의 어느 쪽에 있어어도 서로 연결 고정 가능하게 하여 낚싯대 전체의 길이를 조정 가능하게 하는 타입의 낚싯대 등에 본 발명을 적용하면 낚싯대 전체 길이 조정이 용이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낚싯대는 배수성·통기성이 뛰어나다. 또한, 강도 저하를 방지하면서 조작성도 향상하고 있다.

Claims (3)

  1. 가장 손잡이측에 위치하는 통상체(筒狀體)로서, 둘레면에 릴을 탈착 가능하게 장착 가능한 릴 시트를 가지는 한편 상기 릴 시트와 동일한 둘레방향 위치의 장대 기단측 단부(端部) 둘레면에 축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원대와,
    상기 원대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둘레면 부분 위에 취부(取付)되는 부재로서, 상기 구멍에 연통(連通)하는 관통로가 형성되어 있는 돌출 부재
    를 구비한 낚싯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 부재는 상기 원대의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재로서, 그 이면은 상기 원대의 둘레면 형상에 합치하여 폭 방향 중앙이 가장 오목하게 들어가 곡면화되고, 그 표면은 폭 방향 중앙이 상기 원대의 둘레면에서 가장 돌출하도록 곡면화되어 있으며, 상기 관통로는 상기 표면으로부터 수선측 방향으로 경사하여 형성되어 있는 낚싯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 부재의 이면 관통로의 출구 둘레 가장자리에는 상기 원대의 관통공에 삽입되는 계지(係止)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낚싯대.
KR1020030063042A 2002-09-13 2003-09-09 낚싯대 KR1009955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267752 2002-09-13
JP2002267752A JP3992575B2 (ja) 2002-09-13 2002-09-13 釣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4504A true KR20040024504A (ko) 2004-03-20
KR100995521B1 KR100995521B1 (ko) 2010-11-22

Family

ID=322661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3042A KR100995521B1 (ko) 2002-09-13 2003-09-09 낚싯대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3992575B2 (ko)
KR (1) KR100995521B1 (ko)
CN (1) CN100340165C (ko)
TW (1) TWI27290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27827B2 (ja) * 2007-08-01 2013-10-30 株式会社シマノ リールシート
JP4986818B2 (ja) * 2007-11-15 2012-07-25 株式会社シマノ 釣り竿
CN106485720A (zh) * 2016-11-03 2017-03-08 广州视源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图像处理方法和装置
CN108029647B (zh) * 2018-01-10 2023-04-07 范振平 一种防折断鱼竿
CN109804980A (zh) * 2019-02-26 2019-05-28 宁波羚祐渔具有限公司 一种嵌合具有排气排水防卡死结构的钓竿及其加工工艺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75467A (ja) * 1993-06-19 1995-03-20 Daiwa Seiko Inc 中通し釣竿
JP2901865B2 (ja) * 1994-01-28 1999-06-07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釣 竿
JP3483926B2 (ja) * 1994-02-04 2004-01-06 株式会社がまかつ 釣竿の中竿固定構造
JP3509052B2 (ja) * 1997-08-08 2004-03-22 株式会社シマノ 釣 竿
JP2000004723A (ja) 1998-06-26 2000-01-11 Ryobi Ltd 中通し釣竿の釣糸ガイド装置
KR100282703B1 (ko) * 1998-10-01 2001-04-02 박보국 배수구멍이 형성된 중간통과 낚시대
JP4141071B2 (ja) * 1999-09-24 2008-08-27 株式会社シマノ 中通し竿
JP2002209479A (ja) * 2001-01-17 2002-07-30 Shimano Inc 中通し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4105005A (ja) 2004-04-08
TWI272900B (en) 2007-02-11
TW200404494A (en) 2004-04-01
CN100340165C (zh) 2007-10-03
CN1489900A (zh) 2004-04-21
JP3992575B2 (ja) 2007-10-17
KR100995521B1 (ko) 2010-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5521B1 (ko) 낚싯대
US5832653A (en) Inter-line fishing rod
EP1927285B1 (en) Joint type fishing rod
KR101003741B1 (ko) 낚싯대
KR100937116B1 (ko) 낚싯대
KR100998892B1 (ko) 낚싯대
JP3977777B2 (ja) 釣竿
US6351909B1 (en) Fishing rod with fishline laid through it
JP3509052B2 (ja) 釣 竿
KR20040064221A (ko) 낚싯대
KR20030084679A (ko) 낚싯대
JP2555570Y2 (ja) 中通し釣竿
JP4539941B2 (ja) 釣竿
KR200315435Y1 (ko) 릴 낚시대
US20020029508A1 (en) Fishing net
EP0880891B1 (en) Fishing rod
JP2004129526A (ja) 中通し竿
EP0673602A1 (en) Fishing rod and guide element for same
JP4502340B2 (ja) 竿体の嵌合構造
KR20030043744A (ko) 낚싯대
JP4570138B2 (ja) 中通し竿用の竿体及び中通し竿
JP2002354970A (ja) 釣 竿
CN118765876A (zh) 钓竿
JP4070194B2 (ja) 釣竿
JP3911170B2 (ja) 釣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