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23700A - 힌지용 커넥터 및 이 커넥터에 접속되는 회로 기판 - Google Patents

힌지용 커넥터 및 이 커넥터에 접속되는 회로 기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23700A
KR20040023700A KR10-2004-7001418A KR20047001418A KR20040023700A KR 20040023700 A KR20040023700 A KR 20040023700A KR 20047001418 A KR20047001418 A KR 20047001418A KR 20040023700 A KR20040023700 A KR 200400237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connector
contact member
circuit board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14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04802B1 (ko
Inventor
하라사와마사아키
Original Assignee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237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37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48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480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35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with opposite contact points, e.g. C bea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01R12/57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surface mounting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82Coupling device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4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with contacts abutting directly the printed circuit; Button contacts therefore provided on the printed circui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5/00Flexible or turnable line connectors, i.e. the rotation angle being limited
    • H01R35/04Turnable line connectors with limited rotation angle with frictional 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9/00Rotary current collectors, distributors or interrupters
    • H01R39/64Devices for uninterrupted current collection
    • H01R39/643Devices for uninterrupted current collection through ball or roller bearing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소정의 형상을 갖는 절연성 커넥터 하우징(10)과, 이 커넥터 하우징을 관통하는 관통공과, 이 관통공의 내부에 설치된 수납실과, 이 수납실에 수납되는 도전성을 갖는 탄성 접촉부재(30) 및 회전이 자유로운 접촉부재(50)를 구비하고, 탄성 접촉부재(30)와 회전이 자유로운 접촉부재(50)는 일단에서 서로 탄성 접촉하고, 타단부는 각각 관통공의 개구로부터 돌출되어 외부 접촉부를 형성하도록 힌지용 커넥터를 구성한다. 이 힌지용 커넥터를 전자 기기의 본체 하우징(90)에 장착하고, 회로 기판(70)을 덮개에 설치하고, 접촉부재(50)와 회로 기판상의 패턴이 회동 접촉하도록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회로 기판 등에의 접촉 압력을 높게 설정해도 접촉부가 원활히 회동하며, 양호한 접촉을 유지할 수 있는 힌지용 커넥터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힌지용 커넥터 및 이 커넥터에 접속되는 회로 기판 {HINGE CONNECTOR, AND CIRCUIT BOARD CONNECTED TO CONNECTOR}
종래, 휴대용 전화기, 퍼스널 컴퓨터 등의 소형 기기에서는, 기기 본체와 덮개가 힌지 기구를 사용하여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을 때, 본체측의 전기 회로와 덮개측의 전기 회로는 가요성을 갖는 리본 와이어를 힌지 기구의 통 형상 부재의 가운데를 삽입 관통시켜 전기적 접속을 행하고 있었다.
그렇지만, 리본 와이어에 의한 배선은, 서로 접속된 부재간의 물리적인 지지가 없고, 또 그 배선이 번거로웠다. 예를 들면, 리본 와이어를 통 형상 부재에 삽입 관통시킬 때, 작은 구멍에 삽입 관통하는 것이 곤란하고, 또 와이어가 다른 부재에 걸리고 마는 등 하여 그 배선 작업에 시간을 요하며, 자동 조립을 할 때 장애가 되어 기기 조립 작업의 효율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되었다.
그래서, 이 리본 와이어를 사용하지 않는 커넥터가 많이 제안되고 있다. 예를 들면, 실공평 6-7594호 공보에는, 거의 U형의 리셉터클부를 형성한 리셉터클 접촉자와 이 리셉터클부의 내연에 미끄럼 접촉하는 거의 원형 모양의 터부부를 갖는 터부 접촉자를 구비하고, 터부부가 리셉터클부 내에 선회 가능하게 끼워 맞춰지고, 이 감합 상태에서 외주연이 리셉터클부의 돌출 연부에 점접촉하는 힌지용 커넥터가 개시되어 있다.
또, 일본특허 특개평 7-6842호 공보에는, 힌지 기구의 주축에 장착된 링 부재에 제1 회로 기판의 제1 접속단자에 일단부가 고착된 제1 콘택트 부재의 타단부를 접동(摺動: 미끄럼 운동)이 자유롭게 탄성 접촉시킴과 동시에, 제2 회로 기판의 제 2 접속 단자에 일단부가 고착된 제2 콘택트 부재의 타단부를 접동이 자유롭게 탄성 접촉시킨 커넥터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일본특허 특개평 5-258823호 공보는 연결기의 일단에 전기 접점을 형성한 요동 가능한 전기 상호 접속기가 개시되어 있다.
그리고 또, 일본특허 특개2000-268925호 공보에는, 콘택트를 기판에 동심 형상으로 배치하고, 조립 작업을 용이하게 한 압접 커넥터가 개시되어 있다.
그렇지만, 이들 커넥터는, 각각 채용되는 전자 기기의 힌지 기구에 맞춰서 개량·연구된 것이므로, 힌지 기구에 매입하여 사용되는 것은 아니다. 즉, 일본특허 실공평 6-7594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힌지용 커넥터는, 리셉터클 접촉자 및 터부 접촉자가 각각 절연 하우징에 탑재되고, 각 절연 하우징이 서로 회동 가능한 요철 계합하고 있는 구조를 갖고 있으므로, 이들 커넥터 하우징을 힌지 기구를 구성하는 부재, 예를 들면 통 형상 부재에 장착하여 소형화할 수 없다. 또, 일본특허특개평 7-6842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것은, 힌지 기구의 주축에 링 부재를 설치한 것이나, 구조가 복잡하고 상기 통 형상체에 장착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지 않다.
또한, 일본특허 특개평 5-258823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것은 복사기에 사용되는 것이고, 상기의 것과 마찬가지로 통 형상체에 장착할 수 있는 구조를 갖고 있지 않다. 그리고 또, 일본특허 특개2000-268925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것은 압접 타입의 커넥터로서, 이러한 타입의 커넥터를 상술한 것과 같은 힌지 기구에 사용하면, 한쪽의 회로 기판의 회동시에 콘택트에 작용하는 비틀림 모멘트 때문에, 회동을 반복하면 접촉 신뢰성의 저하나 회동성이 나빠지는 등의 과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조립을 용이하게 한 힌지용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 본 발명은 회로 기판 등에의 접촉 압력을 높게 설정해도 접촉부가 원활히 회동하고, 양호한 접촉을 유지할 수 있는 힌지용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힌지용 커넥터에 적합한 회로 기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휴대용 전화기, 퍼스널 컴퓨터 등의 각종 전자 기기에 사용되는 커넥터로서, 더욱 자세하게는, 전자 기기의 본체와 덮개가 힌지 기구로 연결되어 있을 때, 본체측의 전기 회로와 덮개측의 전기 회로를 접속하는데 적합한 힌지용 커넥터 및 이 커넥터에 접속되는 회로 기판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제1의 실시예에 관련된 힌지용 커넥터의 전체 사시도로서, 도 1의 (a)는 두부(頭部)의 접촉부가 보이도록 한 측면도, 도 1의 (b)는 바닥부의 접촉부가 보이도록 한 측면도.
도 2는 도 1의 하우징 본체를 다른 각도에서 본 것을 도시한 것으로서, 도 2의 (a)는 측면도, 도 2의 (b)는 상면도, 도 2의 (c)는 도 2의 (a)의 A-A선 단면도, 도 2의 (d)는 도 2의 (a)의 B-B선 단면도.
도 3은 탄성 접촉부재의 확대도.
도 4는 차륜형 콘택트의 확대도.
도 5는 차륜형 콘택트와 접속되는 회로 기판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탄성 접촉부재와 접속되는 회로 기판을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힌지용 커넥터를 전자 기기 하우징에 편입하고, 회로 기판과의 접촉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8은 제2의 실시예에 관련된 힌지용 커넥터로서, 도 8의 (a)와 도 8의 (b)는 각각 측면도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제3의 실시예에 관련된 힌지용 커넥터로서, 도 9의 (a)와 도 9의 (b)는 각각 측면도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제4의 실시예에 관련된 힌지용 커넥터로서, 도 10의 (a)와 도 10의 (b)는 각각 측면도를 나타내는 도면.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이하의 수단에 의하여 달성된다. 즉, 본 발명의 일 형태에 의하면, 소정의 형상을 갖는 절연성 커넥터 하우징과, 이 커넥터 하우징을 관통하는 관통공과, 이 관통공의 내부에 설치된 수납실과, 이 수납실에 수납되는도전성을 갖는 탄성 접촉부재 및 회전이 자유로운 접촉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탄성 접촉부재와 상기 회전이 자유로운 접촉부재는 일단에서 서로 탄성 접촉하고, 타단부는 각각 관통공의 개구로부터 돌출되어 외부 접촉부를 형성하고 있는 힌지용 커넥터가 제공된다.
상기 커넥터 하우징은, 일단에 계단부 또는 플랜지부가 부설되고, 사용되는 전자 기기의 힌지 기구의 설치 구멍에 적합한 형상을 갖고 있는 것 및 복수개의 관통 구멍이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회전이 자유로운 접촉부재는, 거의 차륜 형상을 갖는 차륜형 콘택트임과 동시에 이 차륜형 콘택트의 거의 중심부로부터 각각 축이 돌출되고, 이 각 축단이 수납실의 대향 측벽에 설치된 거의 U자형 홈 내에 이동이 자유롭게 피벗 지지되고, 이 차륜형 콘택트의 외주부의 일부가 상기 관통공의 개구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것으로 할 수 있다.
혹은, 상기 회전이 자유로운 접촉부재는 거의 구형을 한 구형상체 콘택트로서, 수납실에 연통된 개방 구멍 내에 회동 자유롭게 끼워 삽입되어 있음과 동시에 구형상체 콘택트의 일부가 상기 관통공의 개구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 접촉부재는 소정 폭을 갖는 띠 형상편이 거의 S자 형상으로 굴곡된 형상을 가지며, S자 형상 띠 형상편의 하단부에 소정 폭을 갖는 슬릿이 설치되고, 슬릿 사이에 상기 차륜형 콘택트가 들어가며, 슬릿 양측의 두 개의 가느다란 띠 형상편으로 상기 차륜형 콘택트의 축이 가압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혹은, 상기 탄성 접촉부재는 임의의 형상을 갖는 스프링체로 형성되며, 이 스프링체로 구형상체 콘택트가 가압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탄성 접촉부재의 외부 접촉부에는, 압접 단자 또는 땜납 단자가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어느 하나의 힌지용 커넥터에 있어서 회전이 자유로운 접촉부재의 외부 접촉부와 접촉되는 패턴을 회로 기판상에 동심형상으로 배열 설치한 회로 기판이 제공된다.
이러한 회로 기판에 있어서는, 상기 어느 하나의 힌지용 커넥터 탄성 접촉부재의 외부 접촉부와 접촉되는 패턴을 회로 기판상에 배열 설치해도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 도 2를 참조하면, 커넥터(10)의 하우징 본체(11)는 전기 절연성을 갖는 재료로부터 성형 등에 의하여 형성되며 거의 원주(圓柱: 원기둥) 형상을 이루는 원주체로부터 이루어진다. 이 원주체의 주면(周面) 단부의 일부를 평평하게 하여 평탄부(16)가 형성되고, 이 평탄부에 설치 돌출편(17)이 형성되며 필요에 따라 설치 구멍(18)이 설치된다. 설치 구멍(18)은 하우징 본체(11)를 전자 기기 하우징에 장착할 때에 이 설치 구멍(18)에 나사 등의 고착수단을 삽입 관통시켜 고정하고, 힌지부를 회동시킨 경우, 커넥터가 함께 회전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설치 구멍은 필수가 아니며, 이것을 설치하지 않는 경우, 설치 돌출편(17)이 하우징 본체보다 외측으로 튀어나와 있기 때문에, 전자 기기 하우징 등의 해당 장소에 홈부를 설치함으로써 동일한 기능을 행할 수 있다. 또, 이 설치·회전 방지 기구는 이에 국한되지 않고, 임의의 수단, 예를 들면, 하우징 본체의 외주면에 돌출형 리브 또는 오목형상 홈 등을 설치하는 것을 채용할 수도 있다.
또, 원주체의 하단부에는 계단부(12)를 통해서 직경이 약간 작아진 원주 형상 단부(13)가 형성되어 있다. 이 계단부(12)는, 하우징 본체(11)가 힌지 기구를 구성하는 통체의 개방 구멍(도시하지 않음)에 감합된 때에 위치 결정 및 개방 구멍으로부터 탈락하지 않는 스토퍼 기능을 한다. 또한, 하우징 본체(11)에는 원주체의 두부(14)로부터 바닥부(15)를 향하여 관통한 한 쌍의 관통공(19, 19')이 마련되어 있다. 이들 관통공(19, 19')은 동일한 형상을 갖고 있다. 각 관통공(19, 19')의 개구의 크기는, 두부(14)에 있어서는 거의 직사각형 형상을 한 확대 개구이고, 바닥부(15)의 개구(20, 20')는 거의 직사각형 형상을 이루며 두부의 개구와 비교하여 작아져 있다.
또, 관통공(19, 19')의 내부에는, 측벽으로 둘러싸인 수납실(25, 25')이 형성되며, 다시, 길이 양측 벽면의 거의 중앙부에 두부로부터 바닥부를 향하여 거의 U자 형상의 홈(23, 23')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또, 관통공의 짧고 긴 측벽에는 홈(24, 24')이 마련되어 있다.(도 2 참조).
또한, 여기서는 하우징 본체(11)의 외형을 원주체의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 형상은, 힌지 기구를 구성하는 하우징의 커넥터 수납부의 형상에 적합하도록 임의의 형상, 예를 들면 단면이 타원형 또는 다각형 등으로 형성하는 것은 설명할 것도 없다. 또, 이 하우징 본체에 설치하는 관통공의 수는 2개에 한하지 않고 1개 또는 3개 이상이라도 된다.
도 3은 탄성 접촉부재의 확대도이다. 탄성 접촉부재(30, 30')는 동일한 형상을 가지므로 한쪽의 부재(30)에 대하여 설명한다.
탄성 접촉부재(30)는, 소정의 폭을 갖는 거의 띠 형상을 이루는 양호한 도전성을 갖는 판상체로 이루어지며, 전체 형상은 측면으로부터 보면 변형 S자 형상으로 성형되어 있다. 이 변형 S자 형상의 거의 중간부는, 비교적 길고 평탄하게 성형되고 그 양측 폭방향으로 계지편(31, 31')이 형성되어 있다. 정상부 부근에는 판상체의 중도로부터 노치 슬릿이 설치되고, 슬릿의 양단편(兩端片)(32, 32')을 남겨서 조금 폭이 좁은 굴곡편으로 되어서, 굴곡부(33), 접촉부(34), 단부(35)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접촉부(34)는 굴곡부(33)의 탄성력으로부터 압접 단자로서의 기능을 하고, 또, 슬릿의 양단편(32, 32') 및 평탄 부분은, 하우징 홈, 예를 들면 홈(24)에 감장(嵌裝)되어 고정위치 결정 기능을 한다. 또, 변형 S자 형상의 바닥부는 소정의 간극을 가진 슬릿(39)으로 분할되고, 한 쌍의 가느다란 띠 형상편(36, 36')으로 S자 형상 굴곡부(37, 37'), 평탄부(38, 38')가 형성되어 있다. 슬릿(39)의 폭 간격은 후술하는 차륜형 콘택트가 들어갈 수 있는 폭으로 설정되어 있다.
도 4는 차륜형 콘택트의 확대도이다. 이 콘택트는 외형이 차륜과 비슷한 형상을 갖는 것으로부터 차륜형 콘택트라 한다. 또한, 차륜형 콘택트(50, 50')는 동일한 형상을 갖기 때문에 한쪽의 콘택트(50)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차륜형 콘택트(50)는, 전체는 양호한 도전성을 갖는 재료로부터 형성되고, 거의 원반 형상을 한 차륜 콘택트(51)와 이 차륜 콘택트(51)의 거의 중심부로부터 각각 돌출한 축(52, 52')을 갖는다. 차륜 콘택트(51)는 그 주면부가 절삭(54,54')되며, 외주부에 접점(55)이 형성된다. 또, 축(52, 52')의 단부가 모따기(53, 53')되어, 전술한 U자형 홈에의 감장을 용이하게 하고 있다.
지금까지 회동이 자유로운 접촉부재로서 차륜형 콘택트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이 차륜형 콘택트에 대신하여, 구형을 한 구형상체 콘택트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도시 생략). 즉, 이 구형상체 콘택트는 양호한 도전성을 갖는 구체로 형성하고, 하우징의 개구 내에서 회동 가능한 구조로 한다. 즉, 하우징 본체의 바닥부의 개구를, 예를 들면 컵 형상으로 형성하고, 바닥부에 개구를 설치하며, 이 개구로부터 구형상체의 일부를 돌출시키지만 탈락하지 않는 크기로 한다. 또, 변형 S자 형상의 탄성 접촉부재에 대신하여, 임의의 형상, 예를 들면 슬릿을 생략한 S자 형상 탄성 부재, 스프링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하우징 본체(11)에의 차륜형 콘택트(50), 및 탄성 접촉부재(30)의 조립은 이하에 의하여 행해진다.
먼저, 차륜형 콘택트(50, 50')를 각 수납실(25, 25')에 수납한다. 그 설치는 차륜형 콘택트의 양 축(52, 52')의 단부를 양측벽의 U자 형상 홈(23, 23')에 감삽하고, 수납실(25, 25')의 U자 형상 홈의 홈 바닥에 위치 결정한다. 이어서, 탄성 접촉부재(30)는 슬릿(39)이 형성된 쪽으로부터 평탄부를 하우징 본체의 홈(24, 24')에 감입 슬라이드시켜 이 홈 내에 고정한다. 또한, 이 고정은 계지편(31, 31')이 홈부(24)에 압입됨으로써 행해진다.
그러면, 슬릿(39)의 사이에 차륜형 콘택트(50)가 들어가는 동시에, 한 쌍의 평탄부(38, 38')에서 차륜형 콘택트의 양축(52, 52')이 아래쪽으로 가압되어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져, 차륜형 콘택트(50)의 접점이 하우징의 개구로부터 돌출하게 된다. 한편, 탄성 접촉부재(30, 30')의 접촉부(34, 34)는 하우징 본체의 개구로부터 돌출된다(도 2의 (c), (d) 참조).
이 조립에 의하여, 차륜형 콘택트(50, 50')는 U자 형상 홈(23, 23')의 홈 바닥에서 피벗 지지되어 회동이 자유롭게 되고, 또한 차륜형 콘택트의 축이 탄성 접촉부재(30)의 평탄부(38, 38')에서 탄성력에 의하여 가압되어 있으므로, 접점(55)이 외부로부터 가압됨으로써 축은 홈 바닥으로부터 위쪽으로의 이동이 가능해진다.
다음에, 이들 콘택트와 접속되는 회로 기판의 구조를 설명한다.
도 5는 차륜형 콘택트와 접속되는 회로 기판, 도 6은 탄성 접촉부재와 접속되는 회로 기판을 나타낸다.
이 기판(70)은 임의의 형상, 예를 들면 점선으로 도시된 원형상(7l)을 하며, 그 표면에는 차륜 콘택트와 접촉하는 소정 폭을 갖는 기판 패턴(73, 74)이 동심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기판 패턴(73, 74)을 동심형상으로 배치한 이유는, 차륜형 콘택트(50, 50')를 장착한 커넥터가 전자 기기 본체에 고정되고, 회로 기판(70)이 덮개에 고정되어 덮개의 회동에 수반하여 회로 기판이 회동하는 경우, 회로 기판(70)의 회전에 수반하여 접점(55)이 기판 패턴(73, 74) 위를 회동하면서 미끄럼 접촉하고, 덮개의 어떤 회전 각도에 있어서도 접촉하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도 5의 차륜형 콘택트(50, 50')의 점선은 이들 콘택트가 기판 패턴(73, 74)에 접촉할 때의 위치 관계를 가정하여 도시한 것이다. 또한, 회로 기판(70)의 이면에는 표면의 기판 패턴(73, 74)에 대응하는 콘택트가 형성되어, 외부 접속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기판 패턴의 개수는, 2개에 한하지 않고 차륜형 콘택트(50)의 수에 따라 1개 내지 3개 이상으로 할 수 있다.
또, 탄성 접촉부재(30)와 접속되는 회로 기판(80)도 기판(70)과 마찬가지로 임의의 형상, 예를 들면 점선으로 도시된 원형상(81)을 하며, 그 표면에는 접촉부(34, 34')의 위치에 맞춰, 서로 접촉할 수 있는 위치에 기판 패턴(83, 83')이 배열 설치되어 있다. 또, 기판 패턴의 개수는 2개에 한하지 않고 탄성 접촉부재(30)의 접촉부의 수에 따라 1개 내지 3개 이상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7은 힌지용 커넥터를 전자 기기 하우징에 편입하고, 회로 기판과의 접촉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힌지용 커넥터(10)는, 미리 수납실(25)에 차륜 콘택트(50) 및 탄성 접촉부재(30)를 장착하고, 전자 기기 하우징(90)의 상부 개구로부터 삽입하여, 힌지용 커넥터(10)의 계단부(12)를 하우징(90)의 단부(93)에 접촉시킨다. 이어서, 이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힌지용 커넥터(10)의 설치 구멍(18)에 대응하는 설치 수단(도시하지 않음)을 하우징(90)에 설치해 두고, 이 설치 구멍에 접속구(도시하지 않음)를 삽입 관통시켜 양자를 고정한다.
그러면, 수납실(25) 내에서는 탄성 접촉부재(30)의 평탄부(38, 38')가 차륜 형상 콘택트(50)의 축(52, 52')을 가압하고 있기 때문에, 양자는 서로 탄성 접촉하게 된다. 그 결과, 힌지용 커넥터(10)의 차륜 콘택트(50)의 접점은 개구(20)로부터 외부로 소정의 탄성력으로 압출되고, 또 탄성 접촉부재(30)의 접촉부(34)도 동일하게 하여 개구(19)로부터 압출된다.(도 2의 (c), (d) 참조).
이 상태에서, 먼저 회로 기판(80)을 그 기판 패턴(83, 83')이 접촉부(34,34')에 압접하도록 전자 기기 본체에 설치하고, 회로 기판(80)과 힌지용 커넥터(10)와의 전기적 접속을 행한다. 이어서, 회로 기판(70)을 그 콘택트(73, 74)가 힌지용 커넥터(10)의 접점(55, 55')(55'는 도시하지 않음)에 압접하도록 하며, 회전 기판(70)을 기기의 덮개에 설치한다. 이로써, 덮개에 설치한 회로 기판(70)이 회전하면, 접점(55, 55')은 콘택트(73, 74) 위를 소정의 접촉 압력을 유지한 상태로 접동하고, 덮개의 회동 각도에 관계없이 임의 각도로 양호한 전기적 접속이 지속되게 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일 없이 여러 가지의 변형이 가능하다. 제1의 실시예의 힌지용 커넥터(10)는, 회로 기판(80)과의 접속을 압접 접촉에 의하여 행하고 있지만, 힌지 기구의 설계에 따라 땜납을 사용한 접속, 또는 다른 커넥터와의 삽입 접속도 가능하다. 이하, 그 예를 설명한다.
도 8은 제2의 실시예로서, 동 도 8의 (a)와 (b)는 힌지용 커넥터의 측면도이다.
이 힌지용 커넥터(110)는 제1 실시예의 힌지용 커넥터(10)와 탄성 접촉부재(30)의 외부 접촉부(34)를 땜납 단자로 변경한 점만이 다를 뿐, 그 밖의 구조는 힌지용 커넥터(10)와 동일하다.
즉, 힌지용 커넥터(110)의 본체(111), 계단부(112), 단부(113), 두부(114), 바닥부(115), 평탄부(l16), 설치 돌출편(117), 설치 구멍(118)은, 힌지용 커넥터(10)의 본체(11), 계단부(12), 단부(13), 두부(14), 바닥부(15), 평탄부(16), 설치 돌출편(17), 설치 구멍(18)에 대응하고, 또, 차륜형 콘택트(150, 150')는 힌지용 커넥터(10)의 차륜형 콘택트(50, 50')에 대응하고 있다. 그리고, 탄성 접촉부재의 외부 접촉부를 땜납 접속할 수 있도록 평탄한 단자(134, 134')가 형성되어 있다.
탄성 접촉부재의 접촉부를 땜납 단자로 형성한 것에 의하여, 회로 기판(도시하지 않음)의 패턴과 땜납 접속이 가능하다. 또, 회로 기판 대신에 리드선을 이 단자에 접속할 수도 있다.
도 9는 제3의 실시예로서, 동 도 9의 (a)와 (b)는 힌지용 커넥터의 측면도이다.
이 힌지용 커넥터는, 제1의 실시예의 힌지용 커넥터(10)와 탄성 접촉부재(30)의 외부 접촉부(34)를 돌출한 플러그 단자로 변경한 점만이 다를 뿐, 그 밖의 구조는 힌지용 커넥터(10)와 동일하다.
즉, 힌지용 커넥터(210)의 본체(211), 계단부(212), 단부(213), 두부(2l4), 바닥부(215), 평탄부(216), 설치 돌출편(217), 설치 구멍(218)은, 힌지용 커넥터(10)의 본체(11), 계단부(12), 단부(13), 두부(14), 바닥부(15), 평탄부(16), 설치 돌출편(17), 설치 구멍(18)에 대응하고, 또, 차륜형 콘택트 (250, 250')는 힌지용 커넥터(10)의 차륜형 콘택트(50, 50')에 대응하고 있다. 그리고, 탄성 접촉부재의 외부 접촉부를 리셉터클(도시하지 않음)과 삽입 접속할 수 있도록 플러그 단자(234, 234')에 형성한다. 탄성 접촉부재의 접촉부를 플러그 단자에 형성한 것에 의하여, 리셉터클과의 삽입 접속이 가능해진다.
또, 돌출한 플러그 단자를 기판(도시하지 않음) 구멍을 관통, 기판 표면에돌출시키고 플러그 단자의 선단에 리드선 등을 납땜에 의하여 접속할 수도 있다. 이러한 플러그 단자의 형성에 의하여, 힌지 기구 주위의 배선 설계의 자유도가 1 증가하는 것이 된다.
도 10은 제4의 실시예로서, 동 도 10의 (a)와 (b)는 힌지용 커넥터의 측면도이다. 이 힌지용 커넥터는 제1의 실시예의 힌지용 커넥터(10)에 있어서의 외주 표면의 형상만을 달리 한 것으로, 그 밖의 내부 구조 등은 힌지용 커넥터(10)와 동일하다.
즉, 이 힌지용 커넥터(310)는 본체(311)의 단부에 계단부(340)를 설치하고 플랜지부(341)를 설치하고 있다. 또한, 본체(311)의 외주면에는 회전 방지 기구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필요에 따라 제1의 실시예와 같은 설치 돌출편, 길이 방향으로 볼록 형상 리브 또는 오목 형상 홈을 설치해도 된다.
그리고, 이 본체를 전자 기기 하우징의 표면에 설치한 설치 구멍(도시하지 않음)으로부터 삽입하고, 플랜지부(341)의 계단부를 하우징 표면에 접촉시키고, 또, 상술한 회전 방지 기구에 의하여 본체와 기기 하우징을 고정한다.
이상 설명한 것처럼, 본 발명의 힌지용 커넥터는 리본 와이어 등의 배선을 이용하는 일 없이, 전자 기기의 힌지 기구에 편입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커넥터 편입시의 작업성이 대폭적으로 향상된다.
또, 본 발명은 회동이 자유로운 접촉부재를 사용하였으므로, 이 접촉부재를 회로 기판 등에의 접촉 압력을 높게 설정해도 접촉부재가 원활히 회동하며, 양호한 접촉을 유지할 수 있다. 또, 회동이 자유로운 접촉부재가 임의의 위치에서 회로 기판 등의 콘택트와 원활히 회동 접촉하기 때문에, 그 사이에 양호한 전기적 접속이 달성할 수 있음과 동시에, 회동성이 좋고 수명도 길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회로 기판은 힌지용 커넥터에 적합하며, 양호한 접속을 달성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휴대용 전화기, 퍼스널 컴퓨터 등의 각종 전자 기기에 사용되는 커넥터, 더욱 자세하게는, 전자 기기의 본체와 덮개가 힌지 기구로 연결되어 있을 때, 본체측의 전기 회로와 덮개측의 전기 회로를 접속하는데 적합한 힌지용 커넥터 및 이 커넥터에 접속되는 회로 기판에 이용할 수 있다.

Claims (11)

  1. 소정의 형상을 갖는 절연성 커넥터 하우징과, 이 커넥터 하우징을 관통하는 관통공과, 이 관통공의 내부에 설치된 수납실과, 이 수납실에 수납되는 도전성을 갖는 탄성 접촉부재 및 회전이 자유로운 접촉부재를 구비하고, 이 탄성 접촉부재와 회전이 자유로운 접촉부재는 일단에서 서로 탄성 접촉하고, 타단부는 각각 그 관통공의 개구로부터 돌출되어 외부 접촉부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용 커넥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하우징은, 일단에 계단부 또는 플랜지부가 부설되고, 사용되는 전자 기기의 힌지 기구의 설치 구멍에 적합한 형상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용 커넥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하우징은 복수개의 관통공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용 커넥터.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이 자유로운 접촉부재는, 거의 차륜 형상을 갖는 차륜형 콘택트임과 동시에 그 차륜형 콘택트의 거의 중심부로부터 각각 축이 돌출되고, 그 각 축단이 상기 수납실의 대향 측벽에 설치된 거의 U자 형상 홈 내에 이동이 자유롭게 피벗 지지되며, 상기 차륜형 콘택트의 외주부의 일부가 상기 관통공의 개구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용 커넥터.
  5.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이 자유로운 접촉부재는, 거의 구형을 한 구형상체 콘택트로서, 상기 수납실에 연통된 개방 구멍 내에 회동이 자유롭게 끼워 삽입되어 있음과 동시에 구형상체 콘택트의 일부가 상기 관통공의 개구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용 커넥터.
  6.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접촉부재는, 소정 폭을 갖는 띠 형상편이 거의 S자 형상으로 굴곡된 형상을 가지며, 이 S자 형상 띠 형상편의 하단부에 소정 폭을 갖는 슬릿이 설치되고, 이 슬릿 사이에 상기 차륜형 콘택트가 들어가며, 슬릿 양측의 가느다란 띠 형상편으로 상기 차륜형 콘택트의 축이 가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용 커넥터.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접촉부재는 임의의 형상을 갖는 스프링체로 형성되며, 이 스프링체로 구형상체 콘택트가 가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용 커넥터.
  8.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접촉부재의 외부 접촉부에 압접 단자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용 커넥터.
  9.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접촉부재의 외부 접촉부에 땜납 단자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용 커넥터.
  10. 제 1항 내지 제 8항에 기재된 어느 하나의 힌지용 커넥터에 있어서의 회전이 자유로운 접촉부재의 외부 접촉부와 접촉되는 패턴을 회로 기판상에 동심형상으로 배열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기판.
  11. 제 8항에 기재된 힌지용 커넥터 탄성 접촉부재의 외부 접촉부와 접촉되는 패턴을 회로 기판상에 배열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기판.
KR1020047001418A 2001-08-02 2002-08-01 힌지용 커넥터 및 이 커넥터에 접속되는 회로 기판 KR1009048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235505A JP3515084B2 (ja) 2001-08-02 2001-08-02 ヒンジ用コネクタ及びこのコネクタに接続される回路基板
JPJP-P-2001-00235505 2001-08-02
PCT/JP2002/007870 WO2003015223A1 (en) 2001-08-02 2002-08-01 Hinge connector, and circuit board connected to connec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3700A true KR20040023700A (ko) 2004-03-18
KR100904802B1 KR100904802B1 (ko) 2009-06-25

Family

ID=190669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1418A KR100904802B1 (ko) 2001-08-02 2002-08-01 힌지용 커넥터 및 이 커넥터에 접속되는 회로 기판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896522B2 (ko)
EP (1) EP1420489B1 (ko)
JP (1) JP3515084B2 (ko)
KR (1) KR100904802B1 (ko)
CN (1) CN1319223C (ko)
DE (1) DE60218866T2 (ko)
TW (1) TW552749B (ko)
WO (1) WO200301522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52242B2 (ja) * 2003-04-15 2008-09-17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スイッチ付き同軸コネクタ
TWM439795U (en) * 2012-02-03 2012-10-21 Aptos Technology Inc Portable electronic device
WO2015116299A2 (en) * 2014-01-31 2015-08-06 Miraco, Inc. High reliability interconnect for conductive ink circuits
CN114552251A (zh) * 2020-11-26 2022-05-27 莫列斯有限公司 端子及插座连接器
CN112601411B (zh) * 2020-12-04 2022-08-16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电路板结构和电子设备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89113A (en) * 1960-06-06 1963-05-07 Ultra Prazisionswerk G M B H Rotary electric cable coupling
US4462648A (en) * 1981-03-19 1984-07-31 Repa Feinstanzwerk Gmbh Apparatus for providing a reliable electrical connection
US4475779A (en) * 1981-03-19 1984-10-09 Repa Feinstanzwerk Gmbh Rotary electrical connection
DE3150427A1 (de) * 1981-12-19 1983-07-14 Petri Ag, 8750 Aschaffenburg Kontakteinrichtung zur stromuebertragung zwischen dem lenkrad und der lenksaeule von kraftfahrzeugen
US4533796A (en) * 1984-01-30 1985-08-06 Engelmore Anthony R Rotatable electrical connector for telephone cord
JPH067594Y2 (ja) * 1988-03-31 1994-02-23 アンプ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電気ヒンジコネクター
JP2663591B2 (ja) 1988-12-12 1997-10-15 日本電気株式会社 回転部の接続構造
JP2621444B2 (ja) 1988-12-12 1997-06-18 富士通株式会社 コネクタ
DE68919681T2 (de) * 1989-03-20 1995-06-29 Agfa Gevaert Nv Farbstoffbildempfangsmaterial.
US5267866A (en) 1991-12-17 1993-12-07 Xerox Corporation Flexible electrical interconnect
JP2760703B2 (ja) 1992-06-24 1998-06-04 三洋電機株式会社 衣類乾燥機
GB9306177D0 (en) * 1993-03-25 1993-05-19 Amp Gmbh Smart card connector
JPH076842A (ja) 1993-06-15 1995-01-10 Casio Comput Co Ltd 電子機器のコネクタ構造
US5429508A (en) * 1994-01-26 1995-07-04 Methode Electronics, Inc. Automobile steering column interconnector
WO1998005104A1 (en) * 1996-07-30 1998-02-05 Fifth Dimension, Inc. Brushless slip ring using rolling elements as electrical conductors
US5899753A (en) * 1997-04-03 1999-05-04 Raytheon Company Spring-loaded ball contact connector
US5934911A (en) * 1997-04-14 1999-08-10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Waterproof quick disconnect slip ring device
US5796047A (en) * 1997-07-21 1998-08-18 Sheng-Hsin; Liao Electric box for connection between a handset and a telephone base
SE514237C2 (sv) 1998-02-26 2001-01-29 Ericsson Telefon Ab L M Utbytbart kontaktdon för inbördes roterande enheter och en bärbar anordning försedd med sådant kontaktdon
US6132219A (en) * 1998-12-15 2000-10-17 Raytheon Company Planetary connector
US6162062A (en) * 1999-01-05 2000-12-19 Liao; Sheng Hsin Structure of telephone connector
JP3436503B2 (ja) 1999-03-12 2003-08-11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圧接コネクタ及びこれを含むユニット
KR100611957B1 (ko) * 1999-09-14 2006-08-1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제품의 디스플레이 결합 구조체
US6196850B1 (en) * 2000-02-10 2001-03-0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Rotatable docking station for an electronic device
TW519785B (en) * 2000-12-20 2003-02-01 Japan Aviation Electron Folding-type electronic apparatus comprising two base members hinge-connected by a hinge connector with an FPC
KR20020075529A (ko) * 2001-03-26 2002-10-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컴퓨터용 시그널케이블 커넥터
US6638074B1 (en) * 2002-02-27 2003-10-28 Gregory S Fisher Electrical socket with rotating receptacle
TW565041U (en) * 2002-09-10 2003-12-01 Wistron Neweb Corp Adaptor for electrical conn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420489B1 (en) 2007-03-14
CN1319223C (zh) 2007-05-30
KR100904802B1 (ko) 2009-06-25
JP2003045599A (ja) 2003-02-14
DE60218866T2 (de) 2007-07-05
EP1420489A1 (en) 2004-05-19
US20040180559A1 (en) 2004-09-16
US6896522B2 (en) 2005-05-24
EP1420489A4 (en) 2005-08-17
DE60218866D1 (de) 2007-04-26
WO2003015223A1 (en) 2003-02-20
TW552749B (en) 2003-09-11
JP3515084B2 (ja) 2004-04-05
CN1533626A (zh) 2004-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20692B2 (ja) 同軸コネクタ
JP3337650B2 (ja) スイッチ付き同軸コネクタ
JP4152242B2 (ja) スイッチ付き同軸コネクタ
US6435892B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a supporting mechanism
KR100904802B1 (ko) 힌지용 커넥터 및 이 커넥터에 접속되는 회로 기판
US7112099B2 (en) Audio jack connector
US6299457B1 (en) Electrical connection device and electronic instrument using it
JPH0997647A (ja) 低背型コネクタソケット
JP2001144837A (ja) 携帯通信機
JP4032381B2 (ja) 押し当て式コネクタ
JP3748795B2 (ja) コネクタ
KR20040101079A (ko) 다극 동축 케이블용 커넥터
JP2003045599A5 (ko)
JPH08162228A (ja) Ffc用コネクタ及びその組立方法
JP4043033B2 (ja) 同軸ケーブルの圧接構造および同軸ケーブル用コネクタ
JP3341754B2 (ja) 同軸コネクタ
KR100298507B1 (ko) 스위치
JP3415694B2 (ja) 回転構造式モジュラージャックコネクタ
TWM537331U (zh) 電連接器之掀蓋卡扣結構
TWI288992B (en) Electrical connector
EP1681744A1 (en) Connector
JP3931684B2 (ja) マイクロホン用コネクタ
JP2006004802A (ja) 小型回転コネクタ
JP2002300684A (ja) マイクロホンの取付構造
JPH11329538A (ja) 回路基板用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2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