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23518A - 위험 감지 시스템 - Google Patents

위험 감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23518A
KR20040023518A KR1020030060656A KR20030060656A KR20040023518A KR 20040023518 A KR20040023518 A KR 20040023518A KR 1020030060656 A KR1020030060656 A KR 1020030060656A KR 20030060656 A KR20030060656 A KR 20030060656A KR 20040023518 A KR20040023518 A KR 200400235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tector
communication
test
detection system
haz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06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98140B1 (ko
Inventor
쿠르트 헤스
필립 호네게르
우르스 카에스틀리
크러트 스파에테
게오르게스 텐치오
한스쥬에르그 바엘티
Original Assignee
지멘스 빌딩 테크놀로지스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멘스 빌딩 테크놀로지스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지멘스 빌딩 테크놀로지스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0400235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35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81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814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09Signalling of the alarm condition to a substation whose identity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relaying alarm signals in order to extend communication rang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14Alarm signalling to a central station with two-way communication, e.g. with signalling back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9/00Checking or monitoring of signalling or alarm systems; Prevention or correction of operating errors, e.g. preventing unauthorised operation
    • G08B29/12Checking intermittently signalling or alarm systems
    • G08B29/14Checking intermittently signalling or alarm systems checking the detection circui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larm Systems (AREA)
  • Fire Alarms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 Geophysics And Detection Of Objects (AREA)
  • Measurement Of Velocity Or Position Using Acoustic Or Ultrasonic Waves (AREA)
  • Radar Systems Or Details Thereof (AREA)
  • 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Abstract

센터(1), 센터에 연결된 다수의 위험 감지기(2, 3, 4, 5), 위험 감지기(2, 3, 4, 5)를 동작시키기 위한 동작 유닛(6)을 가지는 위험 감지 시스템으로서, 동작 유닛(6)과 위험 감지기(2, 3, 4, 5)가 양방향 통신용으로 설계될 때, 상기 위험 감지기(2, 3, 4, 5)가 동작 유닛(6)과 센터(1)간 통신을 위한 연결 노드를 형성한다. 동작 유닛은 위험 감지기(2, 3, 4, 5)에 장착되거나 연결될 수 있는 테스트/설치 툴과, 데이터 입력 및 디스플레이용의 단말기(8)를 포함한다. 테스트/설치 툴이 봉(10)에 장착되는 테스트/추출 헤드(9)를 가지는 감지기 테스트 또는 감지기 교환기인 것이 선호된다.
한편으로, 동작 유닛(6)과 위험 감지기(2, 3, 4, 5)간에 직접 통신 연결이 존재하며, 다른 한편, 동작 유닛(6)과 센터(1)간에 간접 통신 연결이 존재하며, 동작 유닛(6)과 위험 감지기(2, 3, 4, 5)간 통신이 직접적으로, 또는, 센터(1)를 통해 간접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간접 통신 연결을 통해, 중앙 기능이 위험 감지기(2, 3, 4, 5)로부터 동작될 수 있다.

Description

위험 감지 시스템{Danger detection system}
본 발명은 위험 감지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이 시스템은 센터, 센터에 연결된 다수의 위험 감지기, 그리고 위험 감지기를 동작시키기 위한 동작 유닛을 가진다. 이때, 동작 유닛과 위험 감지기는 양방향 통신용으로 설계된다.
소위 감지기 교환기와 감지기 테스터들이 연기 감지기의 합리적 이용, 교환, 그리고 기능 확인용으로 공지되어 있다. 감지기 교환기를 이용하여, 화재 감지기가 감기지 본체 내로 삽입되고 본체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즉, 동작 및 검사 중에 가압 및 회전 움직임에 의해 삽입 및 제거가 이루어진다. 감지기 교환기는 감지기가 스패너(spanner)로 고정될 수 있는 튜브 커플링 조각에 유연하게 장착되는 소위 어댑터와, 최대 7m의 높이까지 감지기 교환을 가능하게 하는 확장 튜브를 포함한다.감지기 테스터는 테스트 기체나 고온 기체 발생기를 포함하는 캔을 가질 수도 있다(US-A 3,693,401 호 참조. 또는, Siemens Building Technologies AG 사의 제품인 CERBERUS DZ1191 및 CERBERUS RE6/RE6T 감지기 테스터 참조).
조합형 추출/테스트/추출 헤드를 가진 감지기 교환기/감지기 테스터는, 테스트될 산란광(stray-light) 감지기의 테스터 챔버에 광 펄스가 전송되고 감지기의 응답기가 상기 광펄스에 대해 확인되는 것으로서, 역시 잘 알려져 있다(EP-A-0 636 266호, EP-A-0 910 055 호, 그리고 Siemens Building Technologies AG 사의 제품인 CERBERUS DZ1193 감지기 교환기/감지기 테스터 참조).
감지기가 본체로부터 제거될 때마다, 관련 감지기가 서비스중이 아니라는 메시지를 센터가 사전에 수신하여야만 하며, 교환 이후 교환이 이루어졌음을 반드시 통지받아야 한다. 이는, 서비스 작업 중, 관련된 운영자가 감지기 교환 전후로 센터에 가야만 하며, 어떤 서비스 작업이 감지기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지에 대하여 필요한 정보 아이템을 제출하여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감지기 검사시에도 마찬가지로서, 기능 테스트가 경보 장치를 시동시키지 않도록 센터가 마찬가지로 통지를 받아야만 한다. 이 과정이 성가신 것이고 특히 대형 공장에서는 비용 부담도 크다는 것은 명백하다.
이제 본 발명은 감지기에서의 서비스 및 유지관리 작업이 간단하고 합리적인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는 서두에서 언급한 종류의 위험 감지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 목적은 특허청구범위 제 1 항의 특징부에 따른 위험 감지 시스템에 의해 실현된다. 종속항에서는, 발명의 바람직하고 정련되었으며, 발전된 사항들이 명시된다.
발명에 따른 위험 감지 시스템에서, 위험 감지기는 동작 유닛과 센터간의 통신을 위한 연결 노드로 설계된다. 동작 유닛은 어떤 위험 감지기를 통해 센터에 연결될 수 있는 이동 단말기이며, 센터와 통신이 가능하다. 그 결과, 교환 중, 그리고 감지기의 확인 중 센터에 전송될 정보 아이템들이 관련 감지기에서 직접 입력될 수 있고, 운영자가 상기 정보 아이템을 입력하기 위해 센터 위치로 이동할 필요가 없다.
적절한 동작 유닛으로는, EP-A-0 872 817 호에 설명된 종류의 위험 감지기에 대한 동작 모듈, US-A-4,704,607 호에 설명된 종류의 센서 매개변수 원격 조정을 위한 장치, 또는 EP-A-1 158 840 호에 설명된 종류의 원격 제어 장치를 들 수 있다. 이들 모든 동작 유닛에 공통된 점은, 관련 위험 감지기와 양방향 데이터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가 존재한다는 것이고, 상기 데이터 통신은 감지기를 스캔하거나 원격 조정하는 데 사용된다는 점이다. 그러나 동작 유닛은 서두에서 설명한 조율의 감지기 교환기/감지기 테스터에 통합될 수도 있고, 통합되지 않은 일부 구성요소를 형성할 수도 있다.
도 1은 화재 감지 시스템과, 화재 감지 시스템의 화재 감지기의 동작을 위한 동작 유닛의 개략적 도면.
도 2는 도 1의 동작 유닛의 세부적 블록도표.
도 3과 4는 동작 유닛의 응용 도면.
도 1에 도시되는 화재 감지 시스템은 센터(1)와, 센터에 연결된 여러 감지기 라인을 보여주고 있고, 감지기 라인 M1은 수동식 위험 감지기(2)를 가지고 있고 감지기 라인 M2는 특별한 감지기, 도면에서는, 화염 감지기(3)와 라인 확장 감지기(4)를 가지며, 감지기 라인 M3는 천정에 부착된 소위 포인트 감지기(5)(산란광 연기 감지기, 온도 감지기, 화재기체 감지기, 또는 다기준 감지기)를 포함한다. 상기 화재 감지 시스템은 여러 감지기의 한 위치에서의 운영을 위한 동작 유닛(6)을 또한 포함한다. 모든 감지기 종류가 센터(1)에 별도의 감지기 라인을 통해 연결되도록 도면이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역으로, 여러 감지기 종류가 각각의 경우에 공통 감지기 라인에 부착될 수 있는 것이 본 도면이다. 적절한 산란식 염기 감지기가 EP-A-0 636 266 호 및 EP-A-0 821 330 호에 소개되어 있고, 라인 확장 감지기는 EP-A-01 114 103.3호에, 그리고 화염 감지기는 EP-A-0 718 814 호에 소개되어 있다.
동작 유닛(6)이라는 용어는 일반적으로 이해될 것이다. 데이터 통신용으로 동시에 사용될 수 있는 감지기 교환/삽입 및 확인용 툴이나, 감지기와 데이터 통신을 위한 원격 제어 장치 식의 모듈일 수 있다. 도 1에 도시되는 동작 유닛(6)은 앞서 언급한 툴이며, 소위 감지기 테스터나 (아래의 테스팅 익스트랙터(7)로 불리는)감지기 추출기를 포함한다. 이는 동작을 확인하고 본체에 감지기를 삽입하거나 본체로부터 감지기를 제거하기 위한 툴이다. 또한, 상기 동작 유닛(6)은 데이터의 입력 및 디스플레이를 위한 단말기(8)를 또한 포함한다.
테스팅 추출기(7)는 짧은 튜브(10)에 유연하게 장착된 테스트/추출 헤드(9), 테스트/추출 헤드(9)에 배치된 전자 감지 시스템, 전원, 기능 디스플레이 장치, 그리고 메인 스위치를 포함한다. 테스트/추출 헤드(9)와 감지기(5)간의 양방향 데이터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가 테스트/추출 헤드(9)와 포인트 감지기(5)에 각각 제공된다. 상기 인터페이스가 도 2에 도시된다. 최대 7m의 방 높이까지 도움없이 포인트 감지기(5)를 동작시키기 위해, 튜브(10)가 확장 튜브(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멀리 확장된다.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구비하지 않은 적절한 테스트 추출기(7)가 EP-A-0 636 266 호와 EP-A-0 971 329 호에 소개되어 있다.
도 2의 좌측부는 감지기(5)의 기준 심볼 KM에 의해 표시되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도시한다. 우측부는 전송 매질을 심볼화한 점선 A에 의새 서로로부터 분리되는, 기준 심볼 KB로 표시되는, 테스트/추출 헤드(9)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도시한다. 두 토인 인터페이스 KM과 KB 각각은 각각 한개씩의 광학(optical) 채널과 유도(inductive) 채널 KMo, KMi, 또는 KBo, BKi을 가진다. 감지기 통신 인터페이스 KM의 광학 채널 KMo는 감지기의 마이크로프로세서(12)에 연결된 LED 드라이버(13)와, 경보 및 고장의 광학적 표시를 위한 LED에 의해 형성되는 가시형 경보 표시기(externally visible alarm indicator)(11)를 포함한다. 테스트 및 추출 헤드 통신인터페이스 KB의 광학 채널 KBo는 포토다이오드(14), 포토다이오드(14)에 연결된 증폭기, 그리고 증폭기의 하향으로 연결된 펄스 정형기(pulse shaper)(16)를 포함하며, 펄스 정형기의 출력은 동작 유닛의 마이크로프로세서(17)에 연결된다.
테스트/추출 헤드 통신 인터페이스 KB의 유도 채널 KBi는 도선 루프 등에 의해 형성되는 인덕턴스(19)와 마이크로프로세서(17)에 의해 제어되는 발진기(18)를 포함한다. 감지기 통신 인터페이스 KM의 유도 채널 KMi는 공진 회로(20), 공진 회로(20)에 하향으로 연결된 복조기(21), 복조기에 연결된 펄스 정형기(22)를 포함하며, 펄스 정형기(22)의 출력은 마이크로프로세서(12)에 연결된다. 도선 루프(19)가 테스트/추출 헤드(9)에 삽입되며, 모든 전송 동에 대하여 공진 회로(20)를 포함하는 감지기(5)에게로 밀려 올라간다. 포토다이오드(14)는 경보 표시기(11)에 의해 방출되는 빛에 의해 동작하도록 테스트/추출 헤드(9)에 배치된다. 이는 단일한 상대적 위치에서만 테스트/추출 헤드(9)가 감지기(5)에게로 밀려올려지게 하는 기계적 인코딩 등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인코딩은 다수의 상대적 위치가 가능한 방식으로 선정될 수도 있다. 대안으로, 고주파 범위의 통신용 통신 인터페이스는 IrDA 표준에 따라 적외선 범위에서 설계되거나 블루투스 표준에 따라 설계될 수도 있다.
원칙적으로, 단말기(8)는 튜브(10)나 확장 튜브에 고정될 수 있고, 운영자가 테스트/추출 헤드(9)를 감지기(5) 위에서 보지시키면서도 단말기(8)를 동작시킬 수 있도록 단말기(8)가 설계될 수 있다. 그러나, 어떤 방 높이 이상에서는 어려움이 따른다. 이러한 이유로, 핸드-헬드 유닛이나 PDA 등에 의해 형성되는 단말기(8)는 테스터/추출기(7)에 부착되지 않고, 대신, 테스터/추출기(7)로부터 이격되며, 단말기(8)와 테스트/추출 헤드(9) 사이에 IrDA 표준이나 블루투스 표준에 따른 통신 연결이 제공된다.
감지기(5)로부터 테스트 추출기(7)까지 데이터 전송을 시작하기 위해, 테스트/추출 헤드(9)는 감지기(5)에 밀어넣어지며, 감지기(5) 상에 위치한다. 감지기는 모듈 통신 인터페이스 KB에 의한 요구 이후에 데이터 전송 모드로 설정된다. 데이터는 감지기(5)로부터 테스트 추출기(7)에게로 전달되어, 테스트 추출기(7)에 저장되고, 상기 정보가 7m 거리로부터 읽어들여질 수 있도록 가/부 정보로 표시된다. 테스트 추출기(7)는 감지기(5)로부터 그후 제거되고, 저장된 데이터의 세부사항은 정보가 필요할 때 단말기(8)를 통해 불러들일 수 있다.
단말기(8)로부터 감지기(5)로의 데이터 전송은 테스트 추출기(7)에 일시 저장된다. 양방향 데이터 전송이 물론 가능하다. 물론, 단말기(8)에 일단 주어진 데이터는 테스트 추출기(7)에 저장 상태로 유지될 수 있고, 여러 감지기에서 반복하여 사용될 수 있다.
감지기는 테스트 감지기(7)가 데이터 전송용으로 허가된 동작 유닛으로 이를 식별하거나 인증할 경우 데이터 전송 모드로 자체적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상기 인증은 특정 코드나 암호 방법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제 3 자나 비승인 유닛이 감지기를 데이터 전송 모드로 부적절하게, 또는 고의적으로 설정하는 것을 방지한다.
데이터 전송 모드에서는, 한편으로, 감지기(5)가 동작 중 얻거나 저장된 데이터를 단말기(8)에 전송할 수 있고, 다른 한편, 서비스 작업이나 매개변수에 연계된 명령어같은 데이터나 명령들은 감지기에 전송될 수 있다. 데이터 전송 모드에서,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역시 이루어질 수 있다. 동작 유닛(6)을 가지는 본 시스템의 매우 본질적인 장점은, 가령, 서비스 작업이 감지기에서 수행중임을 센터에 알리거나, 감지기를 적절한 모드로 스위칭할 것을 센터에 요구하거나, 또는 부수적으로 전송된 데이터를 감지기에 기록하도록 센터에 요구함으로서, 데이터 전송 모드가 동작 유닛(6)과 센터(1) 사이에서 관련 감지기를 통해 양방향 연결을 행하는 데 사용될 수도 있다는 점이다.
동작 유닛으로부터 센터를 통해 감지기까지 간접적으로 데이터나 명령을 전송하면, 직접 전송에 대하여, 한편으로, 감지기에서 수행된 변화를 센터가 부수적으로 통지를 받을 수 있고, 다른 한편으로, 필터링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관련 감지기에 대해 일어나지 않은 변화를 억제할 수 있다.
특히, 센터와 동작 유닛간 양방향 통신의 가능성은 동작 유닛에서 관련 방번호를 입력하여 이를 감지기로부터 센터로 전송함으로서, 다수의 감지기를 가지는 화재 경보 시스템을 설치할 때 매우 도움이 될 수 있다. 이때, 방번호는 감지기 식별 번호에 링크되며(EP-A-0 546 401 호 참조) 감지기는 결과적으로 명백하게 위치한다. 동작 유닛과 센터간 통신용 연결 노드로 감지기를 설계한 결과, 동작 유닛은 이동 단말기로서 관련 위험 감지기를 통해 센터에 연결될 수 있다. 이는 감지기로부터 센터까지 기능을 전달하는 가능성을 연다.
시스템이 건물 내, 감지기를 갖춘 모든 지점으로부터 동작될 수 있기 때문에, 임무 및 서비스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이 감소된다. 추가적으로, 또다른 모드로 설정될 감지기가 리스트(부정확한 입력의 선택 위험이나 결함 리스트)를 이용하여 선택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동작 오류를 피할 수 있다. 그러나 감지기는 제자리에 직접 지정된다.
도 1로부터, 화재 감지 시스템은 천정에 부착된 포인트 감지기(5)뿐만 아니라, 통상적으로 벽에 부착되는 수동식 위험 감지기(2), 화염 감지기(3), 그리고 라인 소멸 감지기(4)같은 특수 감지기들도 포함한다. 상기 감지기들에 대한 감지기 설치/제거, 테스트에 어떤 특별한 툴이 사용되는 것이 아니지만, 상기 감지기들은 제자리에서 주기적으로 테스트되어야 한다. 이 경우에, 관련 감지기가 테스트 중인지 테스트되었는 지를 테스트 전후로 센터의 여기에서 입력하여야 하며, 따라서 정규 동작 상태나 테스트 모드로 설정되어야 한다.
발명에 따른 시스템에서, 동작 유닛(6)은 상기 특수 감지기들과 그 외 다른 모듈을 동작시키는 데 사용될 수 있도록 설계된다. 도 3은 수동식 위험 감지기(2)와 연계된 동작 유닛(6)의 다기능성을 도시하며, 도 4는 라인 소멸 감지기(4), 가청 경보 유닛(23), 그리고 소위 라인 모듈(24)과 연계하여 이를 도시한다. 라인 모듈은 가령, 방화문, 환기 시스템, 에어콘 시스템 등같은 기술적 장치들의 비중앙식 동작을 위한, 또는 통상적으로 열린, 또는 통상적으로 닫힌 접점들의 인터페이싱을 위한, 또는 기존 시스템에 또다른 종류의 화재 감지기를 인터페이싱하기 위한 입/출력 모듈이다. 추가적인 라인 모듈은 감지기 버스 상의 단락 회로 발생 시, 전체 버스가 고장나는 것이 아니라 결함 부위 라인만이 분리됨을 보장하는 소위 라인 세퍼레이터이다. 상기 라인 모듈들은 일반적으로 얇은 박스 형태를 취하며 서로 적층식으로 접촉되게 배치되어, 외부로부터 접근성에 관하여 어떤 제한이 존재하게 된다.
수동식 위험 감지기(2)의 경우, 동작 유닛은 실질적인 변경없이 사용될 수 있다. 수동식 위험 감지기는 150cm 높이의 벽에 장착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포인트 감지기(5)의 직경과 유사한 직경을 가지는 정사각형의 얇은 박스 형태를 취한다. 그 결과, 테스트 추출기(7)를 수평으로 유지시키는 것이 가능하며, 수동식 위험 감지기(2) 상에 테스트 추출기(7)를 놓는 것이 가능하다. 튜브(10)의 확장부가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단말기(8)는 탄성 클립 등으로 튜브(10)에 부착된다. 테스트/추출 헤드(9)에 모듈 통신 인터페이스 KB가 장착되며, 수동 위험 감지기에 감지기 통신 인터페이스 KM이 장착된다(도 2 참조). 테스트 추출기(7)를 짧은 튜브(10)로 조작하는 것이 용이하기 때문에, 데이터 통신을 2단계로 실행할 필요가 없다. 이러한 배열에서, 무선 통신 거리는 포인트 감지기 경우보다 크다. 이 상황은 테스트 추출기(7)(엔드 스위치)에 의해 감지되며, 이때, 전송 출력 및 수신 감도가 증가된다.
도 4에 도시되는 라인 소멸 감지기(4)는 금속으로 덮힌 하우징을 가지며, 도 2에 도시된 종류의 통신 인터페이스용으로 부적절한 경향이 있다. 도 2의 통신 인터페이스가 사용될 경우, 동작 유닛이 특별히 통신하고 있는 적층구조의 라인 모듈이 일부 상황하에서 불확실할 수 있도록, 적층구조의 배열로 인해 좁은쪽에서만 접근가능한 라인 모듈(24)에도 앞서와 마찬가지 원리가 적용된다. 가청 경보 유닛(23)은 돌출식 본체를 가진 둥근 박스 형태를 취하며, 따라서 감지기 통신 인터페이스 KM을 내장할 수 있다(도 2 참조). 테스트 추출기(7)와 라인 소멸 감지기(4)간, 그리고 라인 모듈(24)간의 통신은 부착 케이블(25)을 통해 이루어지며, 부착 케이블(25)의 플러그는 적층구조로 배열된 라인 모듈(24)에 편리하게 끼워지도록 설계된다. 라인 소멸 감지기의 경우, 테스트 추출기는 설치 보조 장치로도 기능한다. 왜냐하면, 반사된 광학 신호의 거리 및 품질이 온라인으로 디스플레이되고 그래서 하우징의 정렬이 단순화되기 때문이다.
도 3 및 도 4의 실시예에서, 단말기(8)와 테스트 추출기(7)간에 IrDA 인터페이스나 블루투스를 통해 도 1과 마찬가지 방식으로 통신이 이루어진다. 물론, 도 3 및 4의 경우에, 단말기(8)는 테스트 추출기(7)에 케이블에 의해 연결될 수도 있지만, 이 케이스들이 보편적으로 사용될 수 없는 특수한 툴을 가질 필요는 없을 것이다. 도시되는 해법은, 한편으로, 동작 유닛(6)이 여러 감지기 및 모듈의 동작을 위한 단일 툴을 기계장치에 부여하는 장점을 가지며, 상기 단일 툴을 이용하여, 감지기를 동작시킬 있을 뿐 아니라, 감지기를 통해 센터와 통신도 할 수 있다. 추가적인 장점은, 동작 유닛이 현 상태의 기술에 부합하는 상용 유닛으로 쉽게 교체될 수 있도록 표준 인터페이스(IrDA나 블루투스)를 이용하는 점에 있다.

Claims (14)

  1. 센터(1), 센터에 연결된 다수의 위험 감지기(2, 3, 4, 5), 위험 감지기(2, 3, 4, 5)를 동작시키기 위한 동작 유닛(6)을 가지는 위험 감지 시스템으로서, 동작 유닛(6)과 위험 감지기(2, 3, 4, 5)가 양방향 통신용으로 설계될 때,
    상기 위험 감지기(2, 3, 4, 5)가 동작 유닛(6)과 센터(1)간 통신을 위한 연결 노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 감지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한편으로, 동작 유닛(6)과 위험 감지기(2, 3, 4, 5) 사이에 직접 통신 연결이 존재하며, 다른 한편, 동작 유닛(6)과 센터(1)간에 간접 통신 연결이 존재하며, 동작 유닛(6)과 위험 감지기(2, 3, 4, 5)간 통신이 직접적으로, 또는, 센터(1)를 통해 간접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 감지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위험 감지기(2, 3, 4, 5)로부터 상기 간접 통신 연결을 통해 중앙 기능이 동작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 감지 시스템.
  4. 제 1 항 내지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동작 유닛(6)은 위험 감지기(2, 3, 4, 5)에 장착되거나 연결될 수 있는 테스트/설치 툴과, 데이터 입력 및 디스플레이용의 단말기(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 감지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테스트/설치 툴은 봉(10)에 장착된 테스트/추출 헤드(9)를 가지는 감지기 테스터나 감지기 교환기, 즉, 테스트 추출기(7)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 감지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위험 감지 시스템의 여러 감지기 종류와 추가적인 라인 모듈(23, 24)을 동작시키도록 테스트/추출 헤드(9)가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 감지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단말기(8)와 테스트/추출 헤드(9)간에 통신 연결이 존재하고, 테스트/추출 헤드(9)는 위험 감지기(2, 3, 4, 5)나 추가적인 라인 모듈과의 상기 양방향 통신을 위한, 그리고 단말기(8)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KB)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 감지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KB)는 무선 통신용 송신기 및 수신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 감지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는 부가적으로 유선 통신용으로 설계되며, 무선 및 유선 통신이 부가적으로 이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 감지 시스템.
  10. 제 4 항 내지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말기(8)가 핸드헬드 유닛이나 PDA에 의해 형성되고, 테스트 추출기(7)에 부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 감지 시스템.
  11. 제 6 항 내지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위험 감지기(2, 5)가 동작 유닛(6)과의 통신을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KM)를 가지며,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KM)는 경보 표시기(11)에 의해 형성되는 광학 송신 채널(KMo)과 유도식 수신 채널(KMi)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 감지 시스템.
  12. 제 7, 8, 9,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테스트/추출 헤드(9)의 통신 인터페이스(KB)가 인덕턴스(9)에 의해 형성되는 송신기와, 포토다이오드(4)에 의해 형성되는 수신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 감지 시스템.
  13. 제 8 항 또는 9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은 산란광, 온도, 연기-기체 감지기같은 포인트 감지기(5)와의 통신에 사용되고, 또는 수동식 위험 감지기(2)와의 통신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 감지 시스템.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유선 통신이 화염 감지기(3), 소등 감지기(4), 또는 라인 모듈(23, 24)과의 통신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 감지 시스템.
KR1020030060656A 2002-09-07 2003-09-01 위험 감지 시스템 KR1009981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2020100A EP1398746A1 (de) 2002-09-07 2002-09-07 Gefahrenmelder mit Kommunikationsschnittstelle, und Bedienungsmodul
EP02020100.0 2002-09-07
EP02027998A EP1400940B1 (de) 2002-09-07 2002-12-14 Gefahrenmeldesystem
EP02027998.0 2002-12-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3518A true KR20040023518A (ko) 2004-03-18
KR100998140B1 KR100998140B1 (ko) 2010-12-02

Family

ID=317253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0656A KR100998140B1 (ko) 2002-09-07 2003-09-01 위험 감지 시스템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EP (2) EP1398746A1 (ko)
KR (1) KR100998140B1 (ko)
CN (1) CN100507962C (ko)
AT (1) ATE336770T1 (ko)
AU (1) AU2003213311B2 (ko)
CY (1) CY1106245T1 (ko)
DE (1) DE50207868D1 (ko)
DK (1) DK1400940T3 (ko)
ES (1) ES2271180T3 (ko)
HK (1) HK1064192A1 (ko)
PL (1) PL213566B1 (ko)
PT (1) PT1400940E (ko)
SI (1) SI1400940T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427320C (en) * 2003-04-30 2009-07-21 Digital Security Controls Ltd. Smoke detector with performance reporting
WO2012130670A1 (de) 2011-03-25 2012-10-04 Siemens Aktiengesellschaft Automatische verortung von feuermeldern
KR101311950B1 (ko) 2012-04-25 2013-09-26 비아이산업(주) 양방향 통신 루프를 갖는 화재 감지 경보 시스템
KR101471438B1 (ko) 2013-10-28 2014-12-10 김영수 양방향 통신루프에 결합된 아이솔레이터를 포함하는 통신 복구 기능을 구비한 환경감지 시스템
EP2899708B1 (en) 2014-01-28 2017-05-17 Siemens Schweiz AG Combination of buses for a danger management system
US9767679B2 (en) * 2014-02-28 2017-09-19 Tyco Fire & Security Gmbh Method and apparatus for testing fire alarm initiating devices
EP3291195B1 (en) 2016-08-29 2021-05-26 Novar GmbH Hazard detector, test device for hazard detector, hazard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for testing a hazard detector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8426964D0 (en) * 1984-10-25 1984-11-28 Sieger Ltd Adjusting circuit parameter
DE4114448C2 (de) * 1991-05-03 1995-04-20 Klaus Latschbacher Vorrichtung zur drahtlosen Datenübertragung zwischen zwei Datengeräten
CA2061508C (en) * 1991-11-04 2000-11-07 Raymond Gilbert Smoke detector with automatic dialing
CH685410A5 (de) * 1993-02-15 1995-06-30 Cerberus Ag Vorrichtung zur Funktionsprüfung von Rauchmeldern.
DE59710126D1 (de) * 1997-04-17 2003-06-26 Siemens Building Tech Ag Gefahrenmelder und Bedienungs-modul für diesen
JPH1153660A (ja) 1997-08-06 1999-02-26 Kanto Denki Hoan Kyokai 自動火災報知器の動作試験装置
JP2000242869A (ja) 1999-02-22 2000-09-08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発報試験機能を備えた火災報知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3213311A1 (en) 2004-03-25
PL362018A1 (en) 2004-03-08
ATE336770T1 (de) 2006-09-15
DE50207868D1 (de) 2006-09-28
CY1106245T1 (el) 2011-06-08
PT1400940E (pt) 2007-01-31
SI1400940T1 (sl) 2007-02-28
CN1489117A (zh) 2004-04-14
PL213566B1 (pl) 2013-03-29
EP1400940A1 (de) 2004-03-24
HK1064192A1 (en) 2005-01-21
KR100998140B1 (ko) 2010-12-02
EP1398746A1 (de) 2004-03-17
ES2271180T3 (es) 2007-04-16
CN100507962C (zh) 2009-07-01
EP1400940B1 (de) 2006-08-16
AU2003213311B2 (en) 2007-08-09
DK1400940T3 (da) 2006-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91195B1 (en) Hazard detector, test device for hazard detector, hazard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for testing a hazard detector
CN1987478B (zh) 智能导管烟雾检测器
US8774204B2 (en) Handheld field maintenance bus monitor
EP2625680B1 (en) Detector system
KR20010072027A (ko) 통신 라인의 접속을 식별하고 추적하기 위한 방법 및장치
KR101732430B1 (ko) 화재수신기의 원격감시 및 제어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0998140B1 (ko) 위험 감지 시스템
JP4611023B2 (ja) 医学的検査システム
JP2005208885A (ja) 警報設備
CN109473186B (zh) 用于核电站的机器人监控系统
ES2349422T3 (es) System diagnostic mode for a security central station receiver.
JP5021955B2 (ja) 防災機器の管理システム及び管理方法
CN208500189U (zh) 一种塔式起重机智能故障检测装置及系统
US6603387B1 (en) Programming of RF transmitter identification data by monitoring power
JPH1186159A (ja) 火災報知設備
EP0928126B1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observing the operational status of an electrical device
KR100312078B1 (ko) 화재 감시 및 관리장치
CN108900808A (zh) 机器人对设备进行监控的方法及装置
JP3159584B2 (ja) 防災設備
KR101625479B1 (ko) 소화기 관리 시스템 및 그 소화기 관리방법
JP3140559B2 (ja) 火災報知設備
RU2473973C1 (ru) Система приемо-передачи, контроля и обработки данных
JPH04346199A (ja) 防災監視装置の端末アドレス設定方式
CN110187503A (zh) 用于查找特定测量仪器的测量仪器识别系统及方法
JPH11353566A (ja) センサ位置検出装置及び携帯端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