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5479B1 - 소화기 관리 시스템 및 그 소화기 관리방법 - Google Patents

소화기 관리 시스템 및 그 소화기 관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5479B1
KR101625479B1 KR1020150150165A KR20150150165A KR101625479B1 KR 101625479 B1 KR101625479 B1 KR 101625479B1 KR 1020150150165 A KR1020150150165 A KR 1020150150165A KR 20150150165 A KR20150150165 A KR 20150150165A KR 101625479 B1 KR101625479 B1 KR 1016254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extinguisher
information
check
operation information
mana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01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병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엔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엔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엔아이
Priority to KR10201501501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54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54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5479B1/ko
Priority to PCT/KR2016/012070 priority patent/WO2017074011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conom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larm Systems (AREA)
  • Fire Alar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화기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소화기 관리 시스템은 소화기에 부착된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태그로 식별되고, 관리자의 소화기 점검 동작에 따른 속도 변화 및 각속도를 검출하는 소화기 관리장치,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태깅을 통해 상기 소화기 관리장치로부터 소화기 점검 동작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소화기 점검 동작 정보가 기저장된 규정 점검 동작에 대응되는지 판단하여 소화기 점검 동작의 정상 동작 여부를 파악하는 관리자 모바일 및 관리자 모바일로부터 수신되는 소화기 점검 동작 정보를 이용하여 소화기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소화기 점검 시기를 결정하여 관리자 모바일에서 점검할 적어도 하나의 소화기에 대한 점검 스케줄을 관리자 모바일로 제공하는 관리 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소화기 관리 시스템 및 그 소화기 관리방법{FIRE EXTINGUISHER MANAGEMENT AND THEREOF METHOD}
본 발명은 소화기 관리를 위한 소화기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시의 발달과 대도시의 인구집중 현상으로 수많은 고층빌딩과 아파트, 지하철 및 철도 등에서 각종 사건과 사고가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으며, 그 중 화재는 대규모의 인명 피해와 재산 피해를 준다. 화재 발생시 가장 기본이 되는 방재도구는 소화기이며, 소화기는 빌딩이나 지하철, 아파트 등에 의무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그런데 소화기는 장기간 사용하지 않거나 관리하지 않으면 소화기 내부 분말이 굳거나 압력이 떨어지는 등 정상적인 동작을 하지 못하는 상태가 된다. 현재 대다수 소화기는 내구연한이 지났거나 소화기 관리를 하지 않은 경우가 다반사로 정작 필요할 경우에는 사용하지 못할 경우가 많다.
따라서 관리자가 주기적으로 소화기를 관리하는 것이 필요하며, 규정된 소화기 관리 원칙에 따라 소화기가 관리되도록 하는 기술이 요구된다.
한국등록특허 제10-0605565호(등록일: 2006. 07. 20.)
본 발명은 태깅을 통해 소화기의 점검 동작 정보를 수신하여 규정된 점검 동작에 부합하는지 판단하여 모니터링 서버로 전송하거나 경보를 제공할 수 있는 소화기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점검 동작 정보를 이용하여 각 소화기의 관리 점검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소화기 점검 스케줄을 제공할 수 있는 소화기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소화기 관리 시스템은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통신이 가능하고, 소화기에 부착되어 관리자의 소화기 점검 동작에 따른 속도 변화 및 각속도를 검출하는 소화기 관리장치,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태깅을 통해 상기 소화기 관리장치로부터 소화기 점검 동작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소화기 점검 동작 정보가 기저장된 규정 점검 동작에 대응되는지 판단하여 소화기 점검 상태를 파악하는 관리자 모바일 및 상기 관리자 모바일로부터 수신되는 소화기 점검 동작 정보로부터 상기 소화기의 재점검 시기를 판단하여 상기 관리자 모바일로 제공하는 관리 서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관리자 모바일은, 상기 소화기 관리장치로부터 수신된 소화기 점검 동작정보가 규정된 점검 동작에 대응되지 않으면, 상기 소화기 점검 동작을 실시하도록 경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리자 모바일은, 상기 소화기 관리장치로부터 수신된 소화기 점검 동작정보가 규정된 점검 동작에 대응되면, 소화기 점검 동작 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로 원격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관리자 모바일의 식별정보, 상기 관리자 모바일이 관리하는 소화기 관리장치의 NFC 태그정보, 소화기 위치정보 및 상기 수신된 소화기 점검 동작 정보를 매칭시켜 저장하며, 저장된 소화기 점검 동작 정보로부터 상기 소화기의 재점검시기를 결정하고, 점검대상 소화기의 위치정보 및 점검 시기 정보를 포함하는 스케줄 정보를 해당 관리자 모바일 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화기 점검 동작 정보는, 검출된 속도 변화, 각속도에 대한 정보 및 소화기 점검 일시에 대한 정보가 될 수 있다.
한편, 소화기에 부착된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태그로 식별되는 소화기 관리장치, 상기 소화기 관리장치와 NFC통신하는 관리자 모바일 및 상기 관리자 모바일와 원격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는 소화기 관리 시스템의 소화기 관리방법은 상기 소화기 관리장치에서, 관리자의 소화기 점검 동작에 따른 속도 변화 및 각속도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관리자 모바일 기기에서,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태깅을 통해 소화기 관리장치로부터 소화기 점검 동작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소화기 점검 동작 정보가 기저장된 규정 점검 동작에 대응되면, 상기 관리 서버로 상기 소화기 관리장치로부터 수신된 소화기 점검 동작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관리 서버에서, 관리자 모바일로부터 수신되는 소화기 점검 동작 정보로부터 상기 소화기의 재점검 시기를 판단하여 상기 관리자 모바일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소화기 관리 시스템은 NFC통신이 가능하며 소화기에 부착되고, 관리자의 소화기 점검 동작에 따른 속도 변화 및 각속도를 검출하는 소화기 관리장치,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태깅을 통해 상기 소화기 관리장치로부터 소화기 점검 동작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소화기 점검 동작 정보를 관리서버로 원격 전송하는 관리자 모바일 및 상기 관리자 모바일로부터 수신된 소화기 점검 동작 정보가 기저장된 규정 점검 동작에 대응되는지 판단하여 소화기 점검 상태를 파악하고, 상기 수신된 소하기 점검 동작 정보가 규정 점검 동작에 대응되면, 상기 소화기의 재점검 시기를 판단하여 상기 관리자 모바일로 제공하는 관리 서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관리자 모바일로부터 수신된 소화기 점검 동작정보가 규정된 점검 동작에 대응되지 않으면 정상 동작이 아닌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소화기 점검 동작을 실시하도록 상기 관리자 모바일로 경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소화기 관리 시스템은 다수의 소화기, 상기 소화기에 일대일 부착되고, 관리자의 소화기 점검 동작에 따른 소화기의 속도변화 및 각속도를 검출하여 저장하고, NFC태깅을 통해 상기 소화기 점검 동작에 대한 정보 요청이 수신되면, 저장된 속도변화, 각속도 및 점검 일시를 포함하는 소화기 점검 동작 정보를 전송하는 다수의 소화기 관리장치, 상기 다수의 소화기 관리장치 중 관리 대상 소화기에 부착된 소화기 관리장치로부터 해당 소화기 점검 동작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소화기 점검 동작 정보가 규정된 점검 동작에 대응되면 원격으로 수신된 소화기 점검 동작 정보를 전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관리자 모바일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관리자 모바일로부터 규정된 점검 동작에 따른 소화기 점검 동작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저장된 소화기 점검 동작 정보 이력으로부터 점검 대상 소화기의 재검점 시기를 판단하여 해당 관리자 모바일로 전송하는 관리자 서버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소화기를 항시 사용 가능한 상태로 관리하게 하여 화재 발생시 즉각 소화기를 이용하여 화재 진압을 할 수 있게 한다.
또한, 곳곳에 배치된 소화기 상태 및 위치를 일괄적으로 파악하여 모니터링 할 수 있다.
또한, 소화기 점검 시기 및 점검 대상 소화기 위치를 관리자의 모바일로 제공함으로써, 관리자가 점검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소화기 관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소화기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소화기 관리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관리자 모바일 및 관리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관리자 모바일 및 관리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소화기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소화기 관리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소화기 관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소화기 관리 시스템(1000)은 소화기(100), 소화기(100)에 탑재(장착)된 소화기 관리장치(200), 소화기 관리장치(200)와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신호를 송수신하는 관리자 모바일(300) 및 관리자 모바일(400) 원격으로 통신하는 관리서버(400)를 포함한다. 이때, 관리서버(400)는 적어도 하나의 소화기(100) 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관리자 모바일(300)과 통신할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소화기 관리 시스템(1000)은 다수의 소화기(100), 각각의 소화기(100)에 부착되어 식별 가능한 NFC태그를 구비하는 소화기 관리장치(200), 다수의 관리 대상 소화기(100)에 부착된 소화기 관리장치(200)와 NFC통신을 통해 소화기 상태확인을 위한 정보들을 송수신하는 관리자 모바일(300) 및 다수의 관리자 모바일(300)과 원격통신하여 소화기 상태확인을 위한 정보들을 송수신하여 다수의 소화기(100) 상태를 관리하는 관리서버(400)를 포함한다.
소화기 관리장치(200)는 소화기(100)의 외부에 장착된 형태로 이용되거나, 소화기(100)의 내부에 탑재된 형태로 이용된다. 소화기(100)의 내부에 탑재되는 경우이면, 소화기(100)를 제작시에 소화기 관리장치(200)를 내부에 탑재한 상태로 제작되어 제품으로 출시된다.
소화기 관리장치(200)를 소화기(100)의 외부에 장착하는 경우에는 외부에 고정되게 장착하거나, 장착 및 분리 가능한 형태로 설계된다. 소화기 관리장치(200)가 장착 또는 탑재되는 소화기(100)는 모든 종류의 소화기가 가능하다.
소화기 관리장치(200)는 소화기(100)의 흔들림이나 기울어짐 등의 이동 상태를 감지하는 기능을 가지며, 특히 소화기(100)의 흔들림 즉, 관리자에 의한 소화기 점검 동작을 감지한다. 또한, 소화기 관리장치(200)는 관리자에 의한 소화기 점검 동작에 따라 감지한 정보(즉, 소화기 점검동작정보)를 저장하고,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통신으로 모바일(300)에 제공하는 기능을 가진다. 이때 소화기 소화기 점검 동작 정보가 제공되는 모바일은 소화기 관리장치(200)에 설정되어 있는 관리자의 모바일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소화기 관리장치(200)를 탑재한 소화기(100)는 소화기 관리장치(200)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통상의 소화기와 동일하다. 그러므로 이하에서는 소화기 관리장치(200)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그러나 통상의 기술자라면 이하의 설명을 통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소화기 관리장치를 탑재한 소화기를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소화기 관리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소화기 관리장치(200)는 안테나(201), 수신부(202), 송신부(203), 관리자 승인부(204), 관리자정보 저장부(205), 일반정보 저장부(206), 가속도 센서(207), 자이로 센서(208), 점검정보 관리부(209), 및 전원부(210)를 포함한다.
안테나(201)는 NFC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수신부(202)는 안테나(201)를 통해 모바일(300)에서 전송한 NFC 신호를 수신하고, 송신부(203)는 안테나(201)를 통해 NFC 신호를 모바일(300)로 전송한다.
수신부(202)를 통해 수신되는 정보는 모바일(300)의 식별정보이며, 모바일(300)에 설치된 서비스앱(service APP)과 통신시 발생되는 각종 정보나 사용자 명령 등이 된다. 또한, 송신부(203)를 통해 송신되는 정보는 점검정보 저장부(212)에 저장된 정보, 일반정보 저장부(206)에 저장된 정보 등이며, 모바일(300)에 설치된 서비스앱(service APP)과 통신시 발생되는 서비스앱에서 요청하는 정보 등이 된다.
관리자 승인부(204)는 수신부(202)로부터 수신된 모바일(300)의 식별정보가 관리자정보 저장부(205)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관리자 모바일 식별정보 중 하나에 일치하는지를 판단하고, 일치하는 경우에 관리자 승인을 하며, 승인된 경우에 중요 정보가 관리자 모바일(300)에 제공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중요 정보는 예컨대 점검정보 저장부(212)에 저장된 소화기 점검 동작 정보이며, 소화기 점검 동작 정보는 가속도 센서(207)와 자이로 센서(208)에 의해 감지된 정보와 소화기 점검 일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관리자정보 저장부(205)는 하나 이상의 관리자 모바일의 식별정보(예; 전화번호, MAC 주소 등)를 저장한다. 일반정보 저장부(206)는 소화기에 대한 일반적인 정보나 소화기 관리장치(200)에 대한 일반적인 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NFC 태깅한 사람이 일반인인 경우에 관리자 승인부(204)의 제어에 따라 저장된 정보를 일반인 모바일에 제공한다.
가속도 센서(207)는 단위시간당 X축, Y축 및 Z축에 대한 속도의 변화를 검출한다. 즉, 가속도 센서(207)는 관리자에 의한 소화기 점검 동작시에 소화기(100)의 가속도를 측정한다. 자이로 센서(208)는 단위시간당 각속도를 검출한다. 즉, 자이로 센서(208)는 관라자에 의한 소화기 점검 동작시에 소화기(100)의 각속도를 측정한다.
이러한 가속도 센서(207)와 자이로 센서(208)에 의해 검출된 정보는 관리자가 소화기를 얼마만큼 기울여서 흔들었으며, 몇 회 흔들었고 얼마만큼의 속도로 흔들었는지에 대한 정보를 알 수 있게 한다.
점검정보 관리부(209)는 가속도 센서(207)와 자이로 센서(208)로부터 수신되는 감지신호를 점검정보 저장부(212)에 수신 일자(소화기 점검 일자)를 부가하여 소화기 점검 동작 정보로 하여 저장하고, 관리자 승인부(204)로부터 관리자 승인 성공을 수신하면 점검정보 저장부(212)에 저장된 소화기 점검 동작 정보를 관리자 모바일(300)에 제공한다.
전원부(210)는 각 구성에 전원을 공급하는 장치이나, 일부 구성은 모바일(300)로부터 수신되는 RF 신호(즉 NFC 신호)에 포함된 전력을 전원으로 공급받을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소화기 관리 시스템의 관리자 모바일 및 관리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관리자 모바일(300)은 정보관리부(310), 디스플레이부(320), 제1통신부(330), 점검규정 파악부(340), 알림부(350), 제2통신부(360) 및 스케줄 저장부(370)를 포함한다. 또한, 관리자 모바일(300)과 원격통신하는 관리서버(400)는 송수신부(410), 소화기 관리부(420) 및 저장부(43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통신부(330)는 소화기 관리장치(200)와 NFC통신을 수행하며, 제2통신부(360)는 관리서버(400)와 wifi, 무선랜, 인터넷 등을 통한 원격통신을 수행한다.
정보 관리부(310)는 기설치된 서비스앱(service APP)을 구동하여 관련 서비스를 디스플레이부(320)를 통해 제공한다. 또한, 정보 관리부(310)는 제1통신부(330) 및 제2통신부(360)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수신되는 데이터의 정보를 처리하도록 점검규정 파악부(340) 및 스케줄 저장부(370)를 제어한다.
정보 관리부(310)는 서비스앱이 구동되고, 소화기(100)에 장착된 소화기 관리장치(200)에 태깅이 감지되면, 제1통신부(330)를 통해 모바일(300)의 식별정보를 전송한다.
정보 관리부(310)는 제1통신부(330)를 통해 소화기 관리장치(200)로부터 소화기 점검 동작 정보를 수신하면, 점검규정 파악부(340)를 제어하여 소화기 점검 동작 정보가 규정된 소화기 점검정보에 부합하는 경우, 제2통신부(360)를 통해 관리서버(400)로 전송한다.
점검규정 파악부(340)는 규정된 소화기 점검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가속도 센서(207)와 자이로 센서(208)에 의해 감지된 관리자의 소화기 점검 동작이 규정된 소화기 점검정보에 부합하는지를 판단한다. 규정된 소화기 점검정보는 예컨대, 소화기를 20km/h 속도(회전속도)로 수직으로 90도 이상(회전각)으로, 3회 이상(회전횟수) 흔드는 것이 될 수 있다. 여기서 규정된 소화기 점검정보에는 회전속도가 삭제될 수 있다.
점검규정 파악부(340)는 관리자의 소화기 점검 동작이 규정된 소화기 점검정보에 부합하지 않으면 알림부(350)를 통해 이를 알려 관리자가 다시 한번 소화기 점검 동작을 하게 하고, 정보 관리부(310)에 알린다.
알림부(350)는 경고음을 발생하는 장치이거나 LED 표시등 등으로, 특정 상황을 사람이 인지할 수 있게 하는 장치이다.
한편, 정보 관리부(310)는 제2통신부(360)를 통해 관리 서버(400)로부터 소화기 점검 스케줄 정보를 수신하면, 수신된 점검 스케줄 정보를 스케줄 저장부(370)에 저장하고, 디스플레이부(32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점검 스케줄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점검 대상 소화기(100)의 점검 시기, 해당 소화기(100)에 부착된 소화기 관리장치(200)의 식별정보, 해당 소화기 관리장치(200)의 위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점검 스케줄 정보는 점검 대상 소화기별 리스트 및 맵 형태 등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관리자는 소화기 점검 스케줄 정보를 이용하여 관리 대상 소화기의 점검시기 및 위치 파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한편, 관리서버(400)는 송수신부(410), 소화기 관리부(420) 및 저장부(430)를 포함한다. 여기서, 송수신부(410)는 관리자 모바일(300)의 제2통신부(360)와 wifi, 무선랜, 인터넷 등을 통한 원격통신을 수행한다. 이때, 송수신부(410)는 관리자 모바일(300)로부터 규정된 소화기 점검 동작에 대응되는 소화기 점검 동작 정보를 수신하고, 소화기 점검 스케줄 정보를 해당 관리자 모바일(300)로 전송한다.
소화기 관리부(420)는 수신된 소화기 점검 동작 정보를 저장부(430)에 저장한다. 이때, 저장된 소화기 점검 동작 정보에는 소화기 점검 시간 및 가속도 센서(207)와 자이로 센서(208)로부터 수신되는 감지신호가 포함된다. 이에, 소화기 관리부(420)는 이를 이용하여 각 관리자 모바일(300)별 관리대상인 소화기(100)의 소화기 관리장치(200)의 소화기 점검 동작 정보를 구분하여 저장한다. 즉, 각 관리자 모바일(300)의 식별정보, 해당 관리대상 소화기(100)의 소화기 관리장치(200)의 NFC태그 정보 및 해당 관리대상 소화기(100)의 위치정보를 매칭시켜 저장할 수 있다.
소화기 관리부(420)는 각 소화기의 점검동작 정보가 수신될 때마다 저장부(430)에 기저장된 정보를 업데이트하고, 업데이트되는 소화기 점검 동작 정보로부터 이후 점검 시기를 결정한다. 또한, 소화기 관리부(420)는 점검대상 소화기(100)의 위치정보 및 점검 시기 정보를 포함하는 소화기 점검 스케줄 정보를 대응되는 관리자 모바일(300)로 전송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소화기 관리 시스템의 관리자 모바일 및 관리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소화기 관리시스템의 관리자 모바일(500)은 정보관리부(510), 디스플레이부(520), 제1통신부(530), 알림부(550), 제2통신부(560) 및 스케줄 저장부(570)를 포함한다. 또한, 관리자 모바일(500)과 원격통신하는 관리서버(600)는 송수신부(610), 소화기 관리부(620), 저장부(630) 및 점검규정 파악부(640)를 포함한다.
정보 관리부(510)는 기설치된 서비스앱(service APP)을 구동하여 관련 서비스를 디스플레이부(520)를 통해 제공한다. 또한, 정보 관리부(510)는 제1통신부(530) 및 제2통신부(560)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정보 관리부(510)는 서비스앱이 구동되고, 소화기(100)에 장착된 소화기 관리장치(200)에 태깅이 감지되면, 제1통신부(530)를 통해 모바일(300)의 식별정보를 전송한다. 또한, 정보 관리부(310)는 제1통신부(330)를 통해 소화기 관리장치(200)로부터 소화기 점검 동작 정보를 수신한다.
이때, 정보 관리부(510)는 제1통신부(530)를 통해 수신되는 소화기 점검 동작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저장된 소화기 점검 동작 정보에 관리자 모바일 기기(500)의 식별정보를 부가하여 제2통신부(560)를 통해 관리 서버(600)로 전송한다.
또한, 정보 관리부(510)는 제2통신부(560)를 통해 소화기 점검 스케줄 정보 및 소화기 점검 동작 실시를 알리는 알림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정보 관리부(510)는 관리서버(600)로부터 소화기 점검 스케줄 정보를 수신하면, 스케줄 저장부(370)에 저장하고 수신된 정보를 디스플레이부(520)를 통해 표시한다. 한편, 정보 관리부(510)는 관리서버(600)로부터 소화기 점검 동작 실시를 알리는 알림 메시지를 수신하면, 알림부(550) 및 디스플레이부(520)를 통해 소화기 점검 동작 실시를 경보한다.
한편, 도 4의 소화기 관리 시스템과의 차이점은 점검규정 파악기능을 관리자 모바일(300)이 아닌, 관리서버(600)에서 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에, 관리서버(600)는 도 4의 관리서버 기능을 동일하게 수행하며, 추가적으로 점검 규정 파악기능을 가지는 점검규정 파악부(6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관리서버(600)는 송수신부(610), 소화기 관리부(620), 저장부(630) 및 점검규정 파악부(640)를 포함한다.
송수신부(410)는 소화기 점검 동작 정보를 수신하고, 소화기 점검 스케줄 정보를 저장부(630)에 저장한다. 이때, 저장된 소화기 점검 동작 정보에는 소화기 점검 시간 및 가속도 센서(207)와 자이로 센서(208)로부터 수신되는 감지신호가 포함된다. 이에, 소화기 관리부(620)는 저장된 소화기 점검 동작 정보가 규정된 소화기 점검 동작에 대응되는지 판단하도록 점검규정 파악부(640)를 제어한다.
점검규정 파악부(640)는 규정된 소화기 점검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가속도 센서(207)와 자이로 센서(208)에 의해 감지된 관리자의 소화기 점검 동작이 규정된 소화기 점검정보에 부합하는지를 판단한다. 한편, 점검규정 파악부(640)의 판단은 도 4의 관리자 모바일(300)의 점검규정 파악부(360)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점검규정 파악부(640)는 관리자의 소화기 점검 동작이 규정된 소화기 점검정보에 부합하지 않으면 대응되는 관리자 모바일(500)로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여, 관리자 모바일(500)의 알림부(550) 및 디스플레이부(520)를 통해 알림을 제공하여, 관리자가 다시 한번 소화기 점검 동작을 실시하도록 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소화기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을 참고하면, 관리자가 소화기(100) 점검 동작(즉, 사용 가능한 상태로 만들기 위한 동작)을 위하여 소화기(100)를 흔들면, 소화기 관리장치(200)의 가속도 센서(207)와 자이로 센서(208)는 소화기(100)의 흔들림을 감지하고(S610), 이에 따라 감지신호를 출력한다(S620).
소화기 관리장치(200)는 가속도 센서(207)와 자이로 센서(208)에서 출력한 감지신호에 날짜정보를 부가하여 소화기 점검동작정보를 생성하고, 소화기 점검동작정보를 저장한다(S630).
다음으로, 관리자 모바일(300)에서, 소화기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앱이 구동되고(S635), 관리 대상 소화기(100)에 부착된 소화기 관리장치(200)에 NFC태깅되면, 관리자 모바일 식별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S640).
소화기 관리장치(200)에서, NFC태깅을 감지하면(S650), 전송된 모바일 식별정보를 기저장된 관리자 모바일 식별정보와 비교하여 관리자 인증을 수행한다(S660). 소화기 관리장치(200)는 관리자 인증이 완료되면, 저장된 소화기 점검 동작 정보를 관리자 모바일(300)로 제공한다(S670).
관리자 모바일(300)에서, 소화기 관리장치(200)로부터 소화기 점검 동작 정보를 수신하면(S680), 규정점검 판단부(340)에서 기저장된 규정 점검 동작에 부합되는지 판단한다(S690).
이때, 규정 점검 동작에 부합되지 않으면, 소화기 점검 동작 실시를 알리는 알림을 제공하여 경보할 수 있다(S700). 한편, 규정 점검 동작에 부합되면, 규정 점검 동작에 부합되는 소화기 점검 동작 정보를 관리서버(400)로 전송한다(S710). 이때, 관리자 모바일(300)의 식별번호도 함께 전송될 수 있다.
관리서버(400)에서, 관리자 모바일(300)로부터 소화기 점검 동작 정보 및 관리자 모바일 식별정보를 수신한다(SS720). 또한, 관리서버(400)는 소화기 관리장치(200)가 부착된 소화기(100)를 관리하는 관리자의 관리자 모바일(300) 식별정보, 소화기 관리장치(200)의 NFC 태그정보, 소화기 위치정보 및 소화기 점검 동작 정보를 매칭시켜 저장한다(S730). 여기서, 소화기 점검 동작 정보가 수신될 때마다 저장된 정보가 업데이트될 수 있다.
다음으로, 관리서버(400)는 업데이트된 정보로부터 해당 관리자 모바일(300)에서 관리하는 점검 대상 소화기(100)의 점검 시기를 결정하고(S740), 결정된 점검 시기 및 점검대상 소화기(100)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스케줄링 정보를 해당 관리자 모바일(300)로 전송한다(S750).
관리자 모바일(300)은,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하여(S760), 점검대상 소하기 위치정보 및 점검 시기를 디스플레이부(320)를 통해 표시함으로써(S770), 관리자가 점검 대상 소화기(100)를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게 한다. 이에 따라, 소화기를 주기적으로 안전하게 관리함으로써,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다.
1000 : 소화기 관리 시스템 100 : 소화기
200 : 소화기 관리장치 300,500 : 관리자 모바일
400,600 : 관리서버

Claims (9)

  1.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통신이 가능하고, 소화기에 부착되어 관리자의 소화기 점검 동작에 따른 속도 변화 및 각속도를 검출하는 소화기 관리장치;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태깅을 통해 상기 소화기 관리장치로부터 소화기 점검 동작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소화기 점검 동작 정보가 기저장된 규정 점검 동작에 대응되는지 판단하여 소화기 점검 상태를 파악하는 관리자 모바일; 및
    상기 관리자 모바일로부터 수신된 소화기 점검 동작 정보로부터 상기 소화기의 재점검 시기를 판단하여 상기 관리자 모바일로 제공하는 관리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소화기 점검 동작 정보는, 검출된 속도 변화, 각속도에 대한 정보 및 소화기 점검 일시에 대한 정보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기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자 모바일은,
    상기 소화기 관리장치로부터 수신된 소화기 점검 동작정보가 규정된 점검 동작에 대응되지 않으면, 상기 소화기 점검 동작을 실시하도록 알림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기 관리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자 모바일은,
    상기 소화기 관리장치로부터 수신된 소화기 점검 동작정보가 규정된 점검 동작에 대응되면, 소화기 점검 동작 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로 원격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기 관리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관리자 모바일의 식별정보, 상기 관리자 모바일이 관리하는 소화기 관리장치의 NFC 태그정보, 해당 소화기의 위치정보 및 상기 수신된 소화기 점검 동작 정보를 매칭시켜 저장하며, 저장된 소화기 점검 동작 정보로부터 상기 소화기의 재점검시기를 결정하고, 점검대상 소화기의 위치정보 및 점검 시기 정보를 포함하는 스케줄 정보를 해당 관리자 모바일 기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기 관리 시스템.
  5. 삭제
  6. 소화기에 부착된 소화기 관리장치, 상기 소화기 관리장치와 NFC통신하는 관리자 모바일 및 상기 관리자 모바일과 원격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는 소화기 관리 시스템의 소화기 관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소화기 관리장치가, 관리자의 소화기 점검 동작에 따른 속도 변화 및 각속도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관리자 모바일 기기가,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태깅을 통해 소화기 관리장치로부터 소화기 점검 동작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소화기 점검 동작 정보가 기저장된 규정 점검 동작에 대응되면, 상기 관리 서버로 상기 소화기 관리장치로부터 수신된 소화기 점검 동작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관리 서버가, 관리자 모바일로부터 수신되는 소화기 점검 동작 정보로부터 상기 소화기의 재점검 시기를 판단하여 상기 관리자 모바일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소화기 점검 동작 정보는, 검출된 속도 변화, 각속도에 대한 정보 및 소화기 점검 일시에 대한 정보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기 관리 방법.
  7. NFC통신이 가능하며 소화기에 부착되고, 관리자의 소화기 점검 동작에 따른 속도 변화 및 각속도를 검출하는 소화기 관리장치;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태깅을 통해 상기 소화기 관리장치로부터 소화기 점검 동작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소화기 점검 동작 정보를 관리서버로 원격 전송하는 관리자 모바일; 및
    상기 관리자 모바일로부터 수신된 소화기 점검 동작 정보가 기저장된 규정 점검 동작에 대응되는지 판단하여 소화기 점검 상태를 파악하고, 상기 수신된 소하기 점검 동작 정보가 규정 점검 동작에 대응되면, 상기 소화기의 재점검 시기를 판단하여 상기 관리자 모바일로 제공하는 관리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소화기 점검 동작 정보는, 검출된 속도 변화, 각속도에 대한 정보 및 소화기 점검 일시에 대한 정보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기 관리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관리자 모바일로부터 수신된 소화기 점검 동작정보가 규정된 점검 동작에 대응되지 않으면 정상 동작이 아닌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소화기 점검 동작을 실시하도록 상기 관리자 모바일로 경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기 관리 시스템.
  9. 다수의 소화기;
    상기 소화기에 일대일 부착되고, 관리자의 소화기 점검 동작에 따른 소화기의 속도변화 및 각속도를 검출하여 저장하고, NFC태깅을 통해 상기 소화기 점검 동작에 대한 정보 요청이 수신되면, 저장된 속도변화, 각속도 및 점검 일시를 포함하는 소화기 점검 동작 정보를 전송하는 다수의 소화기 관리장치;
    상기 다수의 소화기 관리장치 중 관리 대상 소화기에 부착된 소화기 관리장치로부터 해당 소화기 점검 동작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소화기 점검 동작 정보가 규정된 점검 동작에 대응되면 원격으로 수신된 소화기 점검 동작 정보를 전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관리자 모바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관리자 모바일로부터 규정된 점검 동작에 따른 소화기 점검 동작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저장된 소화기 점검 동작 정보 이력으로부터 점검 대상 소화기의 재검점 시기를 판단하여 해당 관리자 모바일로 전송하는 관리자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기 관리 시스템.
KR1020150150165A 2015-10-28 2015-10-28 소화기 관리 시스템 및 그 소화기 관리방법 KR1016254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0165A KR101625479B1 (ko) 2015-10-28 2015-10-28 소화기 관리 시스템 및 그 소화기 관리방법
PCT/KR2016/012070 WO2017074011A1 (ko) 2015-10-28 2016-10-26 소화기 관리 시스템 및 그 소화기 관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0165A KR101625479B1 (ko) 2015-10-28 2015-10-28 소화기 관리 시스템 및 그 소화기 관리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5479B1 true KR101625479B1 (ko) 2016-05-31

Family

ID=560992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0165A KR101625479B1 (ko) 2015-10-28 2015-10-28 소화기 관리 시스템 및 그 소화기 관리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625479B1 (ko)
WO (1) WO2017074011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6731Y1 (ko) * 2007-07-10 2007-10-04 서은하 지그비를 이용한 소화기 점검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85055B2 (en) * 1996-01-23 2003-07-01 Mija Industries, Inc. Remote fire extinguisher station inspection
KR20100107910A (ko) * 2009-03-27 2010-10-06 (주)인타운 전자태그를 이용한 소화기 관리시스템
KR20100137848A (ko) * 2009-06-23 2010-12-31 목원대학교 산학협력단 소화기 원격관리 시스템
KR20140108444A (ko) * 2013-02-27 2014-09-11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Qr코드를 활용한 시설물 점검 시스템 및 그 점검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6731Y1 (ko) * 2007-07-10 2007-10-04 서은하 지그비를 이용한 소화기 점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074011A1 (ko) 2017-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21027C (en) An alert system with zoning using wireless portable detectors and a central station
JP4634207B2 (ja) 防災情報管理システム
US9830804B2 (en) Methods, apparatuse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implementing situational control processes
KR101017273B1 (ko) 재난관리용 서버와 이를 이용한 재난관리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재난관리방법
JP4807794B2 (ja) 防災監視システム
US1006846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ual tamper reset in a monitoring system
KR101709157B1 (ko) 소방 관리 시스템 및 소방 시설의 관리를 위한 방법
US9449479B2 (en) Security system
KR101584628B1 (ko) 소화기 관리장치 및 소화기
JP6505168B2 (ja) 通報システム
US20120212341A1 (en) Alarm device for detecting and communicating environment- and system-specific states
KR101625479B1 (ko) 소화기 관리 시스템 및 그 소화기 관리방법
KR101149018B1 (ko) 선박 상태 판정 및 제어 시스템 및 방법
JP7253937B2 (ja) 感知器の保守点検支援方法
KR102286665B1 (ko) 가스 및 지진 감지기, 이를 이용한 가스 및 지진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JP2023006192A (ja) 位置情報システム
JP7240198B2 (ja) 発信器の点検支援方法および点検支援システム
US10546477B2 (en) 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the safety of field workers
JP6955902B2 (ja) 発信機の保守点検支援システム
AU2018201689A1 (en) A control system
KR101258905B1 (ko) Rtls를 이용하는 건설 현장의 안전 관리 시스템
JP7492374B2 (ja) 位置情報システム
KR20150102571A (ko) 돌보미 업무 검증 방법 및 보호 관리 시스템
JP7448315B2 (ja) 位置情報システム
KR20240059016A (ko) 아이피 카메라 융합 스마트 불꽃감지기를 이용한 화재감지 및 대피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