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9157B1 - 소방 관리 시스템 및 소방 시설의 관리를 위한 방법 - Google Patents
소방 관리 시스템 및 소방 시설의 관리를 위한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09157B1 KR101709157B1 KR1020150076225A KR20150076225A KR101709157B1 KR 101709157 B1 KR101709157 B1 KR 101709157B1 KR 1020150076225 A KR1020150076225 A KR 1020150076225A KR 20150076225 A KR20150076225 A KR 20150076225A KR 101709157 B1 KR101709157 B1 KR 10170915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re
- facility
- fighting
- inspection
- portable termina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7/00—Alarm systems in which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from a central station to a plurality of substation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222—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 G08B5/223—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using wireless transmission
- G08B5/224—Paging receivers with visible signalling details
- G08B5/225—Display details
- G08B5/226—Display details with alphanumeric or graphic display mean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larm Systems (AREA)
- Fire Alar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 설치된 소방시설에 대응하는 무선신호 송출기로부터 출력되는 무선신호를 인식하는 단계, (b) 인식된 무선신호로부터 소방시설에 대응하는 식별자를 결정하는 단계, (c) 결정된 식별자에 대응하는 소방시설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d) 수신된 소방시설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소방시설의 관리를 위한 관리 방법, 휴대형 단말기 및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소방시설의 관리를 위한 관리 방법, 휴대형 단말기 및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소방시설에 구비된 무선신호 송출기로부터의 무선신호에 의해 대응하는 소방시설을 식별하고 식별된 소방시설의 관리가 실시간으로 휴대형 단말기에 의해서 이루어질 수 있는, 소방시설의 관리를 위한 관리 방법, 휴대형 단말기 및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소방시설은 화재를 탐지 통보하여 피해가 우려되는 사람들을 보호 및 대피시키고 초기에 화재를 진압함으로써 인명과 재산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설비들이다.
소방시설은 관련법규에 의해서 주기적으로 자체 점검이나 외부 감사에 의한 정밀점검이 이루어진다. 특정 소방시설은 점검에 의해서 노후화나 오동작 여부를 판별하고 이에 따라 교체된다.
알려진 소방시설의 점검 과정은 일반적으로 수작업으로 진행된다. 예를 들어 소방시설 점검자는 눈으로 특정 소방시설을 인지하고 해당 소방시설에 대한 점검을 실시하고 이후 그 점검결과를 수기로 작성한다.
이와 같은 일반적으로 알려진 소방시설의 점검 과정은 다양한 문제점이 존재하거나 고려사항이 존재한다.
첫째, 점검자의 숙련도에 따라 소방시설 점검의 효율성과 점검결과가 달라진다. 예를 들어 점검자의 숙련도가 높은 경우에는 소방시설의 점검에 높은 효율성을 가져올 수 있지만 점검자의 숙련도가 낮은 경우에는 그 점검에 많은 오류가 야기된다. 따라서 각 점검자의 숙련도에 상관없이 일정한 수준 이상의 점검 효율성과 점검결과에 도달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둘째, 각 소방시설의 유형에 따라 점검해야하는 점검항목이 달라진다. 예를 들어 소화기구의 점검항목과 스프링클러설비나 감지기의 점검항목은 서로 다르며 이를 점검자가 숙지하고 있어야 하나 다양한 유형을 다루는 점검자가 각각의 점검항목을 숙지하기란 용이치 않다. 점검자는 단지 프린트된 인쇄물을 이용하여 소방시설 유형별 점검항목을 단순히 찾아내고 이를 이용하여 점검을 수행하는 상황이다. 따라서 다양한 소방시설의 유형에 상관없이 각 유형에 대한 점검항목을 용이하게 알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셋째, 각 소방시설은 주기적으로(예를 들어 1년에 2회) 점검을 받고 있다. 만일 점검자가 해당 소방시설의 과거 점검 상태 등을 획득할 수 있다면 점검자에게 다양한 유리한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과거에 이루어진 소방시설의 상태를 획득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소방시설의 점검에 있어서, 기존 알려진 다양한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소방시설의 관리를 위한 관리 방법, 휴대형 단말기 및 관리 시스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한 것으로서, 소방시설 점검자의 숙련도에 상관없이 일정한 수준 이상의 점검 효율성과 점검결과에 도달할 수 있는, 소방시설의 관리를 위한 관리 방법, 휴대형 단말기 및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소방시설의 유형에 상관없이 각 유형에 대한 점검항목을 용이하게 알 수 있는 소방시설의 관리를 위한 관리 방법, 휴대형 단말기 및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과거에 이루어진 소방시설의 점검 상태를 획득하여 소방시설의 점검에 이용할 수 있는 소방시설의 관리를 위한 관리 방법, 휴대형 단말기 및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송출되는 무선신호의 인식을 통해 특정 소방시설을 자동으로 식별하고 식별된 소방시설을 위한 각종 정보를 인터넷망을 통해서 제공할 수 있는 소방시설의 관리를 위한 관리 방법, 휴대형 단말기 및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소방시설의 관리를 위한 관리 방법은 (a) 설치된 소방시설에 대응하는 무선신호 송출기로부터 출력되는 무선신호를 인식하는 단계, (b) 인식된 무선신호로부터 소방시설에 대응하는 식별자를 결정하는 단계, (c) 결정된 식별자에 대응하는 소방시설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d) 수신된 소방시설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소방시설의 관리를 위한 휴대형 단말기는 설치된 소방시설에 대응하는 무선신호 송출기로부터 출력되는 무선신호를 인식하는 제1 무선 인터페이스, 제1 무선 인터페이스의 무선표준과 상이한 무선신호를 송수신하는 제2 무선 인터페이스 및 제1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인식된 무선신호로부터 소방시설에 대응하는 식별자를 결정하고 결정된 식별자에 대응하는 소방시설의 정보를 제2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수신하는 제어부 및 수신된 소방시설의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소방시설의 관리를 위한 관리 시스템은 휴대형 단말기를 포함하고, 휴대형 단말기는 설치된 소방시설에 대응하는 무선신호 송출기로부터 출력되는 무선신호를 인식하는 제1 무선 인터페이스, 제1 무선 인터페이스의 무선표준과 상이한 무선신호를 송수신하는 제2 무선 인터페이스 및 제1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인식된 무선신호로부터 소방시설에 대응하는 식별자를 결정하고 결정된 식별자에 대응하는 소방시설의 정보를 제2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수신하는 제어부 및 수신된 소방시설의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소방시설의 관리를 위한 관리 방법, 휴대형 단말기 및 관리 시스템은 소방시설 점검자의 숙련도에 상관없이 일정한 수준 이상의 점검 효율성과 점검결과에 도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소방시설의 관리를 위한 관리 방법, 휴대형 단말기 및 관리 시스템은 다양한 소방시설의 유형에 상관없이 각 유형에 대한 점검항목을 용이하게 알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소방시설의 관리를 위한 관리 방법, 휴대형 단말기 및 관리 시스템은 과거에 이루어진 소방시설의 상태를 획득하여 소방시설의 점검에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소방시설의 관리를 위한 관리 방법, 휴대형 단말기 및 관리 시스템은 송출되는 무선신호의 인식을 통해 특정 소방시설을 자동으로 식별하고 식별된 소방시설을 위한 각종 정보를 인터넷망을 통해서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소방시설의 관리를 위한 예시적인 관리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관리 서버의 예시적인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휴대형 단말기의 예시적인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무선신호 송출기와 연동하여 소방시설의 점검이 수행되는 예시적인 제어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관리 서버의 예시적인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휴대형 단말기의 예시적인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무선신호 송출기와 연동하여 소방시설의 점검이 수행되는 예시적인 제어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 되어 있는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더욱 명확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소방시설(200)의 관리를 위한 예시적인 관리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따르면 관리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무선신호 송출기(100), 하나 이상의 소방시설(200), 휴대형 단말기(300) 및 관리 서버(400)를 포함한다. 하나의 무선신호 송출기(100)는 하나의 소방시설(200)에 대응하며 소방시설(200)의 설계 예에 따라 소방시설(200) 내에 내장될 수도 있다. 이때에는 무선신호 송출기(100)가 구성모듈로서 내장된다. 도 1의 관리 시스템에서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무선신호 송출기(100)와 대응하는 복수의 소방시설(200)이 특정 시설물(예를 들어 아파트, 공장, 오피스 등)에 고정 설치된다.
도 1에 따른 관리 시스템의 각 장치들을 살펴보면, 소방시설(200)은 화재를 탐지, 통보하여 피해가 우려되는 사람들을 보호 및 대피시키고 초기에 화재 진압함으로써 인명과 재산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설비이다.
소방시설(200)은 물이나 소화약제를 사용하는 소화설비이거나 화재발생 사실을 통보하는 경보설비이거나 화재가 발생한 경우에 피난에 이용되는 피난설비 등일 수 있다. 이러한 소방시설(200)은 예를 들어 스프링클러, 소화기, 화재감시기(경보기) 등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소방시설(200)은 다양한 유형의 설비들이고 각각의 유형별 점검항목이나 관리항목은 다르도록 구성된다.
소방시설(200)은 일반적으로 특정 위치에 고정 설치된다. 예를 들어 스프링클러나 화재감시기 등은 시설물의 천장에 고정 설치되고 소화기 등은 바닥이나 소화기전 등에 설치된다.
무선신호 송출기(100)는 지정된 주기 등에 따라 무선신호를 출력한다. 무선신호 송출기(100)는 특정 소방시설(200)에 인접하게 또는 부착되어 설치되거나 소방시설(200) 내에 내장된다.
무선신호 송출기(100)는 무선신호를 주기적으로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데, 무선신호 송출기(100)는 특정 무선통신 표준에 따른 무선신호를 출력한다. 예를 들어 무선신호 송출기(100)는 블루투스 통신 표준에 따른 비콘 신호를 주기적으로 출력한다. 무선신호 송출기(100)는 블루투스 통신 표준의 일종인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구성된 기기일 수 있다. 무선신호 송출기(100)에서 출력되는 무선 신호(비콘 신호)는 적어도 무선신호 송출기(100)를 식별할 수 있는 또는 무선신호 송출기(100)에 대응하는 소방시설(200)을 식별할 수 있는 식별자(Identification)를 포함한다.
무선신호의 식별자는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신호의 식별자는 단일 식별자로 구성되거나 복수의 식별자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무선신호의 식별자는 소방시설(200)을 식별하기 위한 용도로 이용될 수 있고 나아가 소방시설(200)의 위치를 식별하기 위한 용도로 이용가능하다.
휴대형 단말기(300)는 소방시설(200)의 점검자가 휴대하는 단말이다. 휴대형 단말기(300)는 예를 들어 스마트폰이거나 태블릿 PC일 수 있다. 휴대형 단말기(300)는 구비된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무선신호 송출기(100)의 무선신호를 인식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휴대형 단말기(300)는 인식된 무선신호에서 식별자를 추출할 수 있다. 이후 휴대형 단말기(300)는 추출된 식별자를 이용하여 관리 서버(400)로부터 대응하는 소방시설(200)의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디스플레이한다.
디스플레이된 정보를 통해서 휴대형 단말기(300)의 사용자(점검자)는 식별자에 대응하는 소방시설(200)에 관련된 각종 정보를 획득 가능하다. 휴대형 단말기(300)에 관련된 구체적인 내용은 도 2 이하에서 상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관리 서버(400)는 인터넷을 통해서 하나 이상의 휴대형 단말기(300)와 정보(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장치이다. 관리 서버(400)는 휴대형 단말기(300)로부터의 각종 요청에 따른 응답을 내장된 데이터베이스(403)를 이용하여 처리하고 그 처리결과를 휴대형 단말기(300)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관리 서버(400)는 무선신호 송출기(100)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정보 검색 요청을 수신하고 식별자에 대응하는 소방시설(200)의 각종 정보를 포맷팅하여 휴대형 단말기(300)로 인터넷을 통해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관리 서버(400)는 휴대형 단말기(300)로부터 특정 소방시설(200)에 대한 점검결과를 수신하고 이를 데이터베이스(403)에 저장하고 이후 점검결과를 포맷팅하여 휴대형 단말기(300)로 또는 다른 관리자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관리자 단말기는 휴대형 단말기(300)와 동일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다른 단말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리자 단말기는 여러 소방시설 점검자를 통합 관리하기 위한 관리자가 이용하는 단말기일 수 있고 휴대형이거나 거치형일 수 있다. 관리자 단말기를 통해서 각종 점검결과를 확인할 수 있고 통합 관리할 수 있다.
관리 서버(400)에 대해서는 도 2 및 도 4에서 좀 더 살펴보도록 한다.
관리 서버(400)와 휴대형 단말기(300)는 인터넷을 통해서 서로 연결되고 각종 정보나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인터넷은 IP(Internet Protocol) 통신 프로토콜 상의 또는 IP 통신 프로토콜 상위단의 통신 패킷을 송수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관리 서버(400)와 휴대형 단말기(300)는 IP 프로토콜 상위 단의 통신 패킷(예를 들어 HTTP 등)을 이용하여 서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도 2는 관리 서버(400)의 예시적인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따르면 관리 서버(400)는 통신부(401), 데이터베이스(403), 연결부(405) 및 제어부(407)를 포함한다. 도 2의 관리 서버(400)의 블록도는 바람직하게는 기능 블록도를 나타낸다. 이 기능 블록도의 구현을 위한 하드웨어를 관리 서버(400)가 구비한다.
예를 들어 관리 서버(400)는 유선 또는 무선 랜에 연결되기 위한 랜 카드, 랜 칩셋, 프로그램과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하드디스크,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와, 프로세서, 하드디스크, 랜카드 사이에 각종 디지털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병렬/시리얼 버스를 구비한다.
또는 관리 서버(400)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워크 스테이션, 데이터 저장 서버 등의 조합으로 구성되어 특정 하나 또는 복수의 장치가 통신, 저장, 및/또는 제어 등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관리 서버(400)는 다양한 형태의 하드웨어 구성을 가질 수 있다.
관리 서버(400)의 각 기능 블록을 간단히 살펴보면, 통신부(401)는 인터넷에 연결되어 각종 요청, 응답 등과 같은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예를 들어, 통신부(401)는 인터넷을 통해서 무선신호 송출기(100)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소방시설 정보 검색 요청을 휴대형 단말기(300)로부터 수신하고 이를 제어부(407)로 전달한다. 통신부(401)는 소방시설 정보 검색 요청의 응답을 제어부(407)로부터 수신하고 이를 인터넷을 통해서 요청한 휴대형 단말기(300)로 전송한다.
소방시설 정보 검색 요청의 응답은 무선신호 송출기(100)의 식별자에 대응하는 소방시설(200)에 대한 각종 정보를 포함한다.
데이터베이스(403)는 소방시설(200)에 관련된 각종 정보를 저장하고 제어부(407)에 의한 검색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데이터베이스(403)는 관리중인 소방시설(200)들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베이스(403)는 각 시설물별로 또는 모든 관리 시설물에 포함된 소방시설(200)들에 대한 각각의 정보를 엔트리로 포함한다. 소방시설 엔트리는 소방시설(200)에 대한 정보와 소방시설(200)에 대응하는 무선신호 송출기(100)의 정보를 포함한다. 소방시설 정보와 송출기 정보는 1대1로 맵핑되어 있다.
소방시설 정보는 소방시설 식별자, 소방시설 설치일, 교체주기, 점검시에 이루어져야 하는 점검 항목들, 점검 이력을 포함한다. 소방시설 식별자는 문자, 숫자나 문자와 숫자의 조합으로 구성되고 모든 소방시설(200)을 구분하기 위한 식별자이거나 해당 소방시설(200)에 대해 일반적으로 지칭되는 명칭을 나타낼 수 있다.
점검 항목들은 해당 소방시설(200)의 점검시에 점검이 필요한 항목들을 나타낸다. 점검 항목들은 소방시설(200)의 유형에 따라 달라지고 각 소방시설(200)의 점검 형태(예를 들어 정기 점검, 임시 점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점검 이력은 과거에 이루어진 점검결과를 저장한다. 이 점검결과는 예를 들어 각 점검 항목에 대한 점검 데이터를 포함하고 나아가 소방시설(200)에 대한 이미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점검 이력은 소방시설(200)의 점검자에 의해서 액세스될 수 있고 이를 통해서 해당 소방시설(200)의 추가적인 점검이나 판단이 가능하다. 소방시설 정보는 또한 소방시설(200)의 유형을 나타내는 정보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소방시설 정보의 점검 이력은 소방시설(200)의 점검자에 의해서 업데이트될 수 있고 그 외 다른 데이터들은 관리 서버(400)의 관리자에 의해서 입력되고 업데이트된다.
송출기 정보는 소방시설(200)에 대응하는 무선신호 송출기(100)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 송출기 정보는 무선신호 송출기(100)에 대한 식별자를 포함하고 나아가 위치 정보를 더 포함한다. 위치 정보는 해당 무선신호 송출기(100) 또는 대응하는 소방시설(200)이 어디에 위치하는 지를 나타내는 데이터로서 지도에서 표현가능한 지도 데이터로서 바람직하게 표현된다. 이 위치 정보는 송출기 정보에 반드시 포함될 필요는 없고 소방시설 정보에 포함될 수도 있다.
연결부(405)는 데이터베이스(403), 통신부(401) 및 제어부(407) 사이의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연결부(405)는 병렬 버스나 시리얼 버스로 구성되거나 로컬 네트워크로 구성될 수 있다. 연결부(405)의 구성은 관리 서버(400)의 하드웨어 구성 예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제어부(407)는 관리 서버(400)의 각 블록들을 제어한다. 제어부(407)는 예를 들어 통신부(401) 및 데이터베이스(403)를 연결부(405)를 통해서 제어 가능하다. 제어부(407)는 각종 요청이나 결과를 통신부(401)를 통해서 수신하고 수신된 요청을 데이터베이스(403)를 이용하여 처리하고 그 처리 결과를 응답으로서 통신부(401)를 통해서 전송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어부(407)는 소방시설 정보 검색 요청을 통신부(401)를 통해서 수신하고 소방시설 정보 검색 요청에 포함된 무선신호 송출기(100)의 식별자로 데이터베이스(403)의 엔트리를 추출한다. 추출된 엔트리의 소방시설 정보에서 필요한 데이터를 추출하고 추출된 각종 정보(데이터)를 그 응답으로서 통신부(401)를 통해서 요청한 휴대형 단말기(300)로 전송한다. 전송되는 정보는 위치 정보, 점검 항목, 점검 이력 등을 포함하고 이 정보는 휴대형 단말기(300)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07)는 휴대형 단말기(300)로부터 통신부(401)를 경유하여 점검결과를 수신한다. 점검결과는 휴대형 단말기(300)에 의해서 생성되는 데이터로서 점검 항목들에 대한 점검 데이터를 포함한다. 점검결과를 수신한 제어부(407)는 식별된 소방시설(200)의 점검 이력에 점검결과를 저장한다.
저장된 하나 또는 복수의 점검 이력의 점검결과들은 관리 서버(400)를 관리하거나 점검자를 관리하거나 해당 점검결과를 필요로 하는 관리자 단말기가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포맷으로 포맷팅된다. 이후 포맷팅된 점검결과를 제어부(407)가 통신부(401)를 통해서 관리자 단말기로 출력할 수 있다. 점검결과의 전송은 예를 들어 주기적으로 이루어지거나 특정 관리자 단말기로부터의 이력 요청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부(407)는 통신부(401)와 데이터베이스(403)를 제어하여 소방시설(200)의 점검과 이력 관리와 같은 각종 기능을 처리할 수 있다. 관리 서버(400)에서 이루어지는 주요 기능은 도 4를 통해서 다시 살펴보도록 한다.
도 3은 휴대형 단말기(300)의 예시적인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따르면 휴대형 단말기(300)는 제1 무선 인터페이스(301), 제2 무선 인터페이스(303), 입력부(305), 출력부(307), 저장부(309), 디스플레이부(311), 제어부(313), 연결부(315)를 포함한다. 도 3의 블록도는 예를 들어 기능 블록도를 나타내고 각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하드웨어를 휴대형 단말기(300)가 가진다.
휴대형 단말기(300)의 각 블록을 간단히 살펴보면, 제1 무선 인터페이스(301)는 특정 근거리 무선통신 표준의 무선신호를 수신하고 출력한다. 제1 무선 인터페이스(301)는 특정 무선통신 표준의 무선신호를 수신하고 송출하기 위한 안테나, 변/복조기를 구비하여 제어부(313)를 통해서 수신된 무선데이터를 무선신호로 출력한다. 또한 제1 무선 인터페이스(301)는 구비된 안테나를 통해 무선신호를 센싱하고 센싱된 무선신호를 변/복조기를 통해 복조하여 이를 제어부(313)로 출력한다.
이와 같이, 제1 무선 인터페이스(301)는 적어도 무선신호를 인식하도록 구성된다. 특히, 제1 무선 인터페이스(301)는 지근의(인접한) 무선신호 송출기(100)로부터 출력되는 무선신호를 인식한다. 이 무선신호 송출기(100)는 시설물에 설치되는 소방시설(200)에 대응한다. 제1 무선 인터페이스(301)는 여러 무선신호 송출기(100)의 무선신호를 인식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지정된 시간 동안에 제1 무선 인터페이스(301)는 하나의 무선신호 송출기(100)로부터 출력된 무선신호를 인식하고 다른 무선신호 송출기(100)로부터 출력된 무선신호를 또한 인식한다. 이와 같이 제1 무선 인터페이스(301)는 지정된 시간 범위 동안에 복수의 무선신호 송출기(100)로부터의 무선신호를 각각 인식할 수 있다.
제1 무선 인터페이스(301)를 통해 수신되는 무선신호는 특정 근거리 또는 개인 영역의 무선통신 표준에 따른 신호이다. 무선신호는 예를 들어,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 등과 같이 개인 영역(Personal Area)에서 활용 가능한 표준에 따른 신호이다. 바람직하게는 이 무선신호는 BLE(Bluetooth Low Energy) 표준에 따라 송출되는 신호이다.
제2 무선 인터페이스(303)는 제1 무선 인터페이스(301)에 이용된 무선통신 표준과는 다른 무선통신 표준의 무선신호를 출력하고 수신한다. 제2 무선 인터페이스(303)는 특정 무선통신 표준의 무선신호를 송출하고 수신하기 위한 안테나, 변/복조기를 구비하여 제어부(313)를 통해서 수신된 무선데이터를 무선신호로 출력한다. 또한 제2 무선 인터페이스(303)는 구비된 안테나를 통해 무선신호를 센싱하고 센싱된 무선신호를 변/복조기를 통해 복조하여 이를 제어부(313)로 출력한다.
제2 무선 인터페이스(303)의 무선통신 표준은 예를 들어 와이파이(WiFi)와 같은 근거리 무선통신 표준이거나 CDMA, GSM, LTE 등과 같은 광대역 무선통신 표준일 수 있다. 제2 무선 인터페이스(303)를 통해 휴대형 단말기(300)는 관리 서버(400)에 연결되어 각종 데이터를 전달하고 수신할 수 있다.
입력부(305)는 휴대형 단말기(300)의 사용자(소방시설 점검자)의 입력을 수신한다. 입력부(305)는 터치 패널, 터치 키, 입력 버튼 등을 구비하여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수신된 입력을 제어부(313)로 전달한다.
출력부(307)는 LED, 스피커, 부저, 진동모터 등을 구비하여 제어부(313)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출력한다. 출력부(307)는 예를 들어 휴대형 단말기(300)의 상태를 알수 있도록 해당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한 예로서, 휴대형 단말기(300)가 무선신호 송출기(100) 또는 무선신호 송출기(100)에 대응하는 소방시설(200)에 근접함에 따라 이를 알 수 있는 신호를 스피커나 부저나 진동센서 등을 통해서 출력할 수 있다.
저장부(309)는 각종 데이터와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저장부(309)는 휘발성 메모리 및/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하여 소방시설(200)의 점검에 필요한 데이터와 점검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점검 프로그램은 사용자 입력을 통해서 또는 자동으로 구동될 수 있고 특정 시설물의 지도 및 해당 시설물 상의 소방시설(200)의 위치를 표시할 수 있고 나아가 휴대형 단말기(300)의 현재 위치를 표시 가능하다.
디스플레이부(311)는 각종 데이터를 이미지 형태로 출력한다. 디스플레이부(311)는 LCD 또는 OLED 디스플레이 모듈을 구비하여 제어부(313)로부터 수신된 지정된 포맷의 이미지 신호를 디스플레이 모듈에 출력한다.
디스플레이부(311)를 통해서 디스플레이되는 데이터는 점검 프로그램에 의해서 생성되고 예를 들어 지도 이미지, 지도 이미지 상에 위치하는 소방시설(200)의 위치 표시, 특정 소방시설(200)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부(311)를 통해 표시되는 소방시설(200)에 대한 정보는 관리 서버(400)를 통해서 수신된 정보를 포함하거나 구성되고 소방시설(200)에 대한 점검 이력이나 점검 항목 등을 포함한다.
연결부(315)는 제어부(313)의 제어에 따라 다른 블록들 사이의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연결부(315)는 병렬 버스나 시리얼 버스나 전용 버스나 GPIO(General Purpose Input/Output)로 구성되거나 이들 버스 등의 하나 이상의 조합으로 구성된다.
제어부(313)는 휴대형 단말기(300)의 각 블록들을 제어한다. 제어부(313)는 바람직하게는 프로그램 코드의 명령어를 실행할 수 있는 실행 유닛(Execution Unit)을 포함하고 이 실행 유닛이 저장부(309)에 저장된 점검 프로그램을 수행하여 다른 블록들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313)는 예를 들어 CPU, MPU, 마이크로 콘트롤러, 중앙 처리 장치, AP(Application Processor) 등이거나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제어부(313)는 점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각종 제어를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데, 특히 소방시설(200)의 점검에 관련된 각종 제어를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제어부(313)는 제1 무선 인터페이스(301)를 통해 무선신호를 인식하고 인식된 무선신호에 포함된 식별자를 추출하여 대응하는 소방시설(200)의 식별자를 결정한다. 결정되는 식별자는 무선신호에 포함되는 식별자로서 예를 들어 무선신호 송출기(100)의 식별자이거나 혹은 소방시설(200)의 식별자를 나타낸다.
이 식별자는 근거리 무선통신표준에서 활용되는 데이터링크 레이어상의 주소일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BLE 무선신호 송출기(100)에 의해서 주기적으로 출력되는 비콘신호에 포함된 식별자(예를 들어 UUID, 메이저 ID, 마이너 ID 등)일 수 있다.
제어부(313)는 여러 무선신호 송출기(100)로부터 여러 식별자를 지정된 시간범위(예를 들어 5초, 10초 등) 동안에 인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313)는 인식된 여러 식별자들 중 하나를 선택할 필요성이 존재한다. 휴대형 단말기(300)의 사용자는 지금 현재 점검할 소방시설(200)을 특정할 필요성이 존재하고 제어부(313)는 특정 소방시설(200)의 지정을 위해 인식된 여러 식별자들 중에서 하나를 선택한다.
이를 위해, 제어부(313)는 인식된 여러 식별자 각각에 대응하는 소방시설(200)의 명칭등을 디스플레이부(311)를 통해서 표시하고 그 중 하나의 선택을 입력부(305)를 통해서 수신할 수 있다. 소방시설(200)의 명칭 등은 식별자 인식에 따라 실시간으로 또는 특정 시설물의 소방점검을 위해 미리 관리 서버(400)로부터 수신 가능하다. 디스플레이부(311)를 통해 표시되는 인식된 소방시설(200)들은 예를 들어 지도 이미지 상의 특정 지점에 아이콘의 형태로 하일라이트될 수 있다. 하일라이트된 특정 아이콘은 선택되고 선택된 소방시설(200)에 대응하는 식별자가 점검을 위한 소방시설(200)에 대응하는 것으로 제어부(313)가 결정한다.
다른 대안으로서, 제어부(313)는 식별자 추출에 이용된 무선신호의 신호세기를 이용하여 특정 하나의 식별자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313)는 하나의 무선신호 송출기(100)로부터 인식된 무선신호의 신호세기와 다른 무선신호 송출기(100)로부터 인식된 무선신호의 신호세기를 비교하여 가장 높은 신호세기를 가지는 무선신호 송출기(100)의 식별자를 소방시설 점검을 위한 식별자로 선택한다. 이러한 식별자의 결정은 자동으로 선택되거나 또는 디스플레이부(311)를 통한 신호세기가 가장 높은 소방시설(200)의 표시와 그에 따른 선택의 수신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식별자의 결정에 따라 제어부(313)는 이 식별자를 포함하는 소방시설 정보 검색 요청을 생성하고 생성된 정보 검색 요청을 제2 무선 인터페이스(303)를 통해 관리 서버(400)로 전송하고 그 응답을 제2 무선 인터페이스(303)를 통해 수신한다.
수신된 소방시설(200)의 정보는 검색 요청의 식별자에 대응하는 소방시설(200)에 대한 각종 정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이 정보는 소방시설(200)의 명칭, 위치 정보, 설치일, 점검 항목들, 점검 이력 등을 포함한다. 수신되어 디스플레이되는 정보는 점검 이력 데이터와 점검 항목 데이터를 포함한다.
소방시설(200)의 정보의 수신에 따라 제어부(313)는 이 정보를 디스플레이부(311)에 출력한다.
살펴본 바와 같이, 휴대형 단말기(300)는 점검 대상인 소방시설(200)을 점검자에 의한 특정 없이도 자동으로 지정 가능하다. 또한 휴대형 단말기(300)는 설치된 소방시설(200)의 위치(천장이나 바닥, 벽면 등)에 상관없이 편리하게 무선통신을 통해 해당 소방시설(200)의 특정과 그에 따른 각종 자료나 이력을 획득 가능하다. 또한 휴대형 단말기(300)는 특정된 소방시설(200)에 대한 점검 항목을 자동으로 획득 가능하고 이를 표시할 수 있다.
소방시설(200)을 자동 식별하기 위해서는 종이태그, 바코드, 또는 RFID 태그 등을 이용할 수도 있으나, 천장 등에 설치된 화재 감지기 및 스프링클러와 같은 소방시설(200)은 점검자의 접근이 용이하지 않아 육안 식별 또는 태킹 자체에 문제점이 있다. 이에 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러한 소방시설(200)에 대해서도 손쉽게 식별 및 지정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제어부(313)는 특정 시설물 내에서의 휴대형 단말기(300)의 위치를 결정하고 이 휴대형 단말기(300)의 위치를 디스플레이부(311)에 표시되는 지도 이미지 상에 특정 아이콘으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313)는 여러 무선신호 송출기(100)로부터의 무선신호들의 식별자로 각 무선신호 송출기(100)의 위치를 특정(관리 서버(400) 등을 통해서 또는 미리 수신받은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하고 각각의 무선신호의 신호세기정보를 이용하여 휴대형 단말기(300)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313)는 3개 이상의 신호세기정보를 이용하여 휴대형 단말기(300) 자신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고 이를 지도 이미지 상에 표시할 수 있다.
관리 서버(400)와 연동하여 휴대형 단말기(300)에서 이루어지는 제어 흐름은 도 4를 통해서 좀 더 살펴보도록 한다.
도 4는 무선신호 송출기(100)와 연동하여 소방시설(200)의 점검이 수행되는 예시적인 제어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서는 두 개의 무선신호 송출기(100)가 연동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일반적으로 시설물의 소방시설(200)의 개수에 따라서 위치에 따라 연동되는 무선신호 송출기(100)의 개수는 달라 질 수 있다. 도 4에서 무선신호 송출기(100)의 구분을 위한 용도로 두 개의 무선신호 송출기(100) 중 하나는 이하 '제1 무선신호 송출기'로 지칭되고 다른 무선신호 송출기(100)는 이하 '제2 무선신호 송출기'로 지칭된다.
이미 도 1 내지 3을 통해서 소방시설(200)의 점검을 위한 주요 제어를 살펴보았으므로 여기서는 언급되지 않은 내용을 중심으로 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먼저, 휴대형 단말기(300)는 저장부(309)에 저장된 점검 프로그램을 로딩하여 관리 서버(400)에 접속하고 관리 서버(400)와 시설물 점검을 위한 셋업을 설정(① 참조)한다. 예를 들어 휴대형 단말기(300)는 관리 서버(400)와의 통신 채널을 설정하고 점검이 이루어질 시설물을 특정받고 해당 시설물의 지도 이미지와 각 소방시설(200)의 식별자(이 식별자는 무선신호 송출기(100)의 식별자이거나 소방시설(200) 자체의 식별자일 수 있음) 및 대응하는 위치를 미리 수신한다.
휴대형 단말기(300)는 시설물에 진입함에 따라 제1 무선 인터페이스(301)를 통해 무선신호를 인식할 수 있다. 소방시설(200)에 설치되는 무선신호 송출기(100)들은 지정된 주기에 따라 주기적으로 무선신호를 출력(② 참조)한다. 예를 들어 특정 소방시설(200)에 대응하는 제1 무선신호 송출기(100)와 다른 소방시설(200)에 대응하고 다른 위치에 설치된 제2 무선신호 송출기(100)는 지정된 주기에 따라 주기적으로 무선신호를 출력한다.
이 무선신호들은 휴대형 단말기(300)의 이동에 따라 안테나를 통해서 수신할 수 있고 해당 무선신호를 휴대형 단말기(300)가 인식(③ 참조)한다. 예를 들어, 휴대형 단말기(300)는 제1 무선신호 송출기(100)로부터 출력된 무선신호를 특정 시점에 인식하고 다른 시점에 제2 무선신호 송출기(100)로부터 출력된 무선신호를 인식한다. 무선신호의 인식여부는 예를 들어 지정된 무선통신 표준에 따른 패킷의 정상 인식 여부를 나타낼 수 있다. 이 무선신호는 예를 들어 BLE 무선통신 표준에 따른 신호를 바람직하게 나타낸다.
복수의 무선신호 송출기(100)로부터의 무선신호의 인식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300)는 자신의 위치를 결정하고 결정된 위치를 디스플레이(④ 참조)한다. 예를 들어 휴대형 단말기(300)는 인식된 무선신호로부터 무선신호 송출기(100)의 식별자를 추출하고 추출된 식별자에 대응하는 위치를 결정한다. 이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300)는 인접하여 인식 가능한 복수(바람직하게는 3개 이상)의 무선신호 송출기(100)의 위치를 특정할 수 있다. 그리고 휴대형 단말기(300)는 인식된 무선신호 송출기(100)의 위치들을 이용하여 휴대형 단말기(300)의 위치를 결정한다. 위치 결정 과정에서 신호세기정보가 더 이용될 수도 있다.
위치 결정에 이용되는 무선신호는 지정된 시간 범위 내에서 인식된 무선신호이다. 예를 들어 1초 범위 내에서 인식된 무선신호들이 휴대형 단말기(300)의 위치 결정에 이용된다.
한편, 상기에서는 점검이 이루어질 시설물의 지도 이미지와 각 소방시설(200)의 식별자 및 대응하는 위치를 미리 수신받는 것으로 하였으나, 무선신호 송출기(100)의 식별자를 관리서버(400)로 전송함에 따라, 그 후 시설물의 지도 이미지와 각 소방시설(200)의 식별자 및 대응하는 위치를 수신받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결정된 위치 정보는 디스플레이되는 지도 이미지상에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지도 이미지에는 소방시설(200)의 위치를 나타내는 아이콘과 휴대형 단말기(300)의 위치를 나타내는 아이콘이 표시될 수 있다. 소방시설(200)의 점검자는 소방시설(200)의 위치와 소지하고 있는 휴대형 단말기(300)의 위치를 활용하여 용이하게 점검대상을 식별하고 찾을 수 있다.
소방시설(200)들 중 지금 현재 점검할 점검대상을 결정할 수 있도록, 휴대형 단말기(300)는 인식된 무선신호로부터 소방시설(200)에 대응하는 식별자를 결정(⑤ 참조)한다. 식별자의 결정은 제1 무선신호 송출기(100)로부터의 무선신호에서 식별자(이하 '제1 식별자'라고도 함)를 추출하고 제2 무선신호 송출기(100)로부터의 무선신호에서 식별자(이하 '제2 식별자'라고도 함)를 추출하는 것을 수반한다. 이 제1 식별자 및 제2 식별자의 추출 과정은 앞서 ④ 과정에서 이미 수행된 경우 생략 가능하다. 제1 식별자 및 제2 식별자 중에서 휴대형 단말기(300)는 특정 점검대상을 선택한다. 즉, 휴대형 단말기(300)는 제1 식별자 및 제2 식별자 중에 하나의 식별자를 선택하여 소방시설(200)들 중 현재 점검할 대상인 점검대상을 특정할 수 있다.
점검대상의 특정은 휴대형 단말기(300)의 입력부(305)를 통한 선택으로 이루어지고(거나) 제1 식별자 및 제2 식별자가 추출된 무선신호의 신호세기에 따라서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휴대형 단말기(300)는 현재 인식되는 모든 소방시설(200)의 기본 정보(명칭 등)를 디스플레이부(311)를 통해 표시하고 입력부(305)를 통한 사용자 입력으로 특정 하나의 소방시설(200)을 결정할 수 있다. 또는 휴대형 단말기(300)는 인식된 모든 소방시설(200)을 신호세기에 따라 정렬하고 이를 디스플레이부(311)를 통해 표시하고 사용자 입력으로 특정 하나의 소방시설(200)을 결정할 수 있다. 또는 휴대형 단말기(300)는 제1 식별자의 신호세기와 제2 식별자의 신호세기 중 가장 높은 신호세기에 대응하는 식별자를 사용자 입력 없이 자동으로 결정하고 결정된 소방시설(200)의 아이콘을 하일라이트 등을 통해 지도 이미지 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휴대형 단말기(300)는 결정된 식별자를 포함하는 소방시설(200)의 정보 검색 요청을 생성하고 이를 연결된 통신 채널을 통해서 관리 서버(400)로 제2 무선 인터페이스(303)를 통해 전송(⑥ 참조)한다.
관리 서버(400)는 수신된 정보 검색 요청으로부터 식별자를 추출하고 추출된 식별자에 대응하는 엔트리를 데이터베이스(403)에서 검색한다. 검색된 엔트리의 소방시설 정보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맷팅하여 정보 검색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휴대형 단말기(300)로 전송(⑦ 참조)한다.
예를 들어 관리 서버(400)는 점검 항목들을 포함하고 나아가 설치일, 교체주기, 점검 이력등을 더 포함하는 소방시설 정보를 생성하여 이를 휴대형 단말기(300)로 전송한다.
특히, 점검 항목의 정보에는 점검 항목의 동적 구성을 위한 정보, 점검항목별 작성방법 가이드라인을 포함한다. 또한, 점검 이력의 정보에는 과거 점검시 촬영된 소방 시설의 사진 정보를 포함한다.
휴대형 단말기(300)는 결정된 식별자에 대응하는 소방시설(200)에 대한 정보를 관리 서버(400)로부터 제2 무선 인터페이스(303)를 통해 수신(⑦ 참조)하고 이를 디스플레이(⑧ 참조)한다. 소방시설(200)에 대한 정보의 디스플레이를 통해서 점검자는 자동으로 점검 항목을 확인할 수 있고 나아가 과거 점검 이력을 실시간으로 확인 가능하다.
이후 휴대형 단말기(300)의 점검자는 각종 장비를 이용하여 또는 관찰에 의해 해당 소방시설(200)을 점검(⑨ 참조)하고 그 점검결과를 입력부(305)를 통해 기입할 수 있다.
점검 항목에 대응하는 점검결과 데이터를 포함하는 점검결과는 관리 서버(400)로 전송(⑩ 참조)된다.
과정 ③ 내지 ⑩(적어도 과정 ⑤ 내지 ⑩)은 점검대상인 소방시설(200)의 인식에 따라 반복적으로 수행되고 반복을 통해서 결정되는 또는 인식되는 각 소방시설(200)의 점검결과가 관리 서버(400)로 전송된다.
관리 서버(400)는 점검결과의 수신에 따라 해당 소방시설(200)에 대한 점검 이력을 갱신한다. 즉, 관리 서버(400)는 소방시설(200)의 식별자로 검색되는 엔트리의 점검 이력에 수신된 점검결과와 점검날짜를 추가하여 갱신한다.
또한 관리 서버(400)는 수신된 점검결과를 요청에 따라 또는 필요에 따라 포맷팅하여 관리자 단말기로 출력할 수 있다.
도 4의 제어 흐름을 통해서 소방시설 점검자는 용이하게 소방시설(200)의 특정이 가능하고 각 소방시설(200)별 필요한 점검항목을 용이하게 인지하고 그 결과를 편리하게 전달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100 : 무선신호 송출기 200 : 소방시설
300 : 휴대형 단말기
301 : 제1 무선 인터페이스 303 : 제2 무선 인터페이스
305 : 입력부 307 : 출력부
309 : 저장부 311 : 디스플레이부
313 : 제어부 315 : 연결부
400 : 관리 서버
401 : 통신부 403 : 데이터베이스
405 : 연결부 407 : 제어부
300 : 휴대형 단말기
301 : 제1 무선 인터페이스 303 : 제2 무선 인터페이스
305 : 입력부 307 : 출력부
309 : 저장부 311 : 디스플레이부
313 : 제어부 315 : 연결부
400 : 관리 서버
401 : 통신부 403 : 데이터베이스
405 : 연결부 407 : 제어부
Claims (12)
- 스프링클러, 화재 감시기 및 소화기를 포함하는 소방시설의 점검을 포함하는 관리를 수행하는 소방 관리 시스템으로서,
소방시설에 설치되고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는 복수의 무선신호 송출기;
상기 무선신호 송출기로부터 인식된 무선신호에 따라 점검 대상인 소방시설을 식별하고 점검 대상인 소방시설의 명칭을 지도상에 디스플레이하며 그 중 하나의 선택을 입력부를 통해서 수신하여 점검할 소방시설을 선택하며, 선택된 소방시설의 이미지, 과거의 점검결과를 포함하는 점검 이력, 점검항목별 작성방법 가이드라인 및 점검 항목을 포함하는 정보를 관리 서버로부터 제공받아 디스플레이하는 휴대형 단말기;를 포함하며,
천장에 고정설치되는 스프링클러나 화재감시기를 적어도 포함하는 소방시설을 점검자의 육안 식별이나 태킹 없이 식별하고 점검할 수 있는,
소방 관리 시스템. - 스프링클러, 화재 감시기 및 소화기를 포함하는 소방시설의 점검을 포함하는 관리를 수행하는 소방 관리 시스템으로서,
소방시설에 설치되고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는 복수의 무선신호 송출기;
상기 무선신호 송출기로부터 인식된 무선신호에 따라 점검 대상인 소방시설을 식별하고 점검 대상인 소방시설의 명칭을 지도상에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무선신호 송출기로부터 수신되는 무선신호의 신호세기 비교에 따라 점검할 소방시설을 선택하며, 선택된 소방시설의 이미지, 과거의 점검결과를 포함하는 점검 이력, 점검항목별 작성방법 가이드라인 및 점검 항목을 포함하는 정보를 관리 서버로부터 제공받아 디스플레이하는 휴대형 단말기;를 포함하며,
천장에 고정설치되는 스프링클러나 화재감시기를 적어도 포함하는 소방시설을 점검자의 육안 식별이나 태킹 없이 식별하고 점검할 수 있는,
소방 관리 시스템. -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휴대형 단말기는 수신된 소방시설에 대한 정보를 이용한 점검결과를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관리 서버는 수신된 점검결과를 포맷팅하여 관리자 단말기로 출력하는,
소방 관리 시스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76225A KR101709157B1 (ko) | 2015-05-29 | 2015-05-29 | 소방 관리 시스템 및 소방 시설의 관리를 위한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76225A KR101709157B1 (ko) | 2015-05-29 | 2015-05-29 | 소방 관리 시스템 및 소방 시설의 관리를 위한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140088A KR20160140088A (ko) | 2016-12-07 |
KR101709157B1 true KR101709157B1 (ko) | 2017-02-22 |
Family
ID=575735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76225A KR101709157B1 (ko) | 2015-05-29 | 2015-05-29 | 소방 관리 시스템 및 소방 시설의 관리를 위한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09157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69499B1 (ko) * | 2022-06-21 | 2023-08-25 | 대한민국 | 분리형 모듈을 활용한 매몰자 탐색 장치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03189B1 (ko) * | 2017-04-04 | 2022-05-27 | 브이피케이 주식회사 |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설비 관리 시스템 및 방법 |
KR102087071B1 (ko) * | 2018-07-18 | 2020-03-10 |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 소화기 위치 알림 시스템 |
KR101979756B1 (ko) * | 2019-03-05 | 2019-05-17 | 조성용 | 소방 점검 시스템 |
KR102159966B1 (ko) * | 2020-03-09 | 2020-09-25 | 주식회사 나산이엔씨 | 스마트 박스를 이용한 지능형 소화기 관리시스템 |
KR102558126B1 (ko) | 2021-01-28 | 2023-07-24 |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 스마트 화재 알림 소화기 시스템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14503B1 (ko) | 2012-05-18 | 2012-12-21 | (주)위니텍 | 비콘 노드를 이용한 실내 측위 서비스 시스템 |
KR101283896B1 (ko) | 2012-12-14 | 2013-07-16 | (주)위니텍 | 실내 측위용 비콘 모듈을 구비한 화재 감지기 및 피난 유도등과 이를 이용한 실내 측위 시스템 |
KR101291814B1 (ko) * | 2013-02-22 | 2013-09-05 | 주식회사 미션소프트 | 실시간 시설물 관리 시스템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30068582A (ko) * | 2011-12-15 | 2013-06-26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소방 시설물을 이용한 위치정보 획득 장치 및 방법 |
-
2015
- 2015-05-29 KR KR1020150076225A patent/KR101709157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14503B1 (ko) | 2012-05-18 | 2012-12-21 | (주)위니텍 | 비콘 노드를 이용한 실내 측위 서비스 시스템 |
KR101283896B1 (ko) | 2012-12-14 | 2013-07-16 | (주)위니텍 | 실내 측위용 비콘 모듈을 구비한 화재 감지기 및 피난 유도등과 이를 이용한 실내 측위 시스템 |
KR101291814B1 (ko) * | 2013-02-22 | 2013-09-05 | 주식회사 미션소프트 | 실시간 시설물 관리 시스템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69499B1 (ko) * | 2022-06-21 | 2023-08-25 | 대한민국 | 분리형 모듈을 활용한 매몰자 탐색 장치 |
US12081911B2 (en) | 2022-06-21 | 2024-09-03 | Republic Of Korea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Research Institute) | Buried person search device using detachable modul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140088A (ko) | 2016-12-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09157B1 (ko) | 소방 관리 시스템 및 소방 시설의 관리를 위한 방법 | |
EP3095098B1 (en) | Testing system and method for fire alarm system | |
KR102126281B1 (ko) | 사물인터넷 기반 스마트 화재감지기 및 이를 이용한 화재감지시스템 | |
CN107438766B (zh) | 基于图像的监视系统 | |
KR101223680B1 (ko) | 스마트형 화재 감시 감지 시스템 | |
KR101017273B1 (ko) | 재난관리용 서버와 이를 이용한 재난관리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재난관리방법 | |
CN105632086B (zh) | 异常状况预警方法及装置 | |
KR20120027969A (ko) | 대피 유도 시스템 및 그 처리 방법 | |
KR102011342B1 (ko) | 소방 안전 점검 방법 및 시스템 | |
JP6005380B2 (ja) | 点検支援装置および点検支援システム | |
CN105185062A (zh) | 用于位置标记总人数会计的系统和方法 | |
JP7530473B2 (ja) | 被災状況把握システム | |
JP7514361B2 (ja) | 防災システム | |
JP2017174252A (ja) | 防災支援システム | |
JP6810616B2 (ja) | 火災報知システム | |
KR101627788B1 (ko) | Icam을 활용한 실시간 화재-공기질 안전 모니터링 및 비상조치, 그 제공방법 | |
KR101621836B1 (ko) | 탄화수소 검출 단말기를 이용한 가스누출 검출 및 보수시스템 | |
KR102353330B1 (ko) | 유해가스 감지센서를 구비한 안전화를 이용한 유해가스 감지시스템 | |
KR20150080128A (ko) | 아날로그 주소형 감지기를 이용한 건축물 소방안전 시스템 | |
KR20170122443A (ko) | 공간 관리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수행하기 위한 모바일 기기 | |
KR20100074445A (ko) | 비상상황 대처시스템 | |
JP7253937B2 (ja) | 感知器の保守点検支援方法 | |
KR101527725B1 (ko) | 소방시설 관리 시스템 및 이의 관리 방법 | |
CN205405789U (zh) | 无线联动报警烟雾探测器 | |
JP7432325B2 (ja) | 防災支援システム及び火災感知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206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