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7788B1 - Icam을 활용한 실시간 화재-공기질 안전 모니터링 및 비상조치, 그 제공방법 - Google Patents

Icam을 활용한 실시간 화재-공기질 안전 모니터링 및 비상조치, 그 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7788B1
KR101627788B1 KR1020150110229A KR20150110229A KR101627788B1 KR 101627788 B1 KR101627788 B1 KR 101627788B1 KR 1020150110229 A KR1020150110229 A KR 1020150110229A KR 20150110229 A KR20150110229 A KR 20150110229A KR 101627788 B1 KR101627788 B1 KR 1016277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information
sensing
object internet
sensing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02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혁
김동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베리타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베리타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베리타임
Priority to KR10201501102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77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77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77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06Electric actuation of the alarm, e.g. using a thermally-operated switch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0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 G08B17/117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by using a detection device for specific gases, e.g. combustion products, produced by the fir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63System arrangements wherein the object is to detect the direction in which child or item is locate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undesired emission of substances, e.g. pollution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Landscapes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Toxic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안전정보 제공 방법 및 그 장치가 개시된다. 안전정보 제공장치는 복수의 사물인터넷기기로부터 화재발생여부, 미세먼지 농도, 유독물질 농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센싱 정보를 수신하고, 복수의 사용자 단말의 각 위치를 기준으로 일정 범위 내 위치한 사물인터넷기기들의 센싱 정보를 파악하여 생성한 안전정보를 사용자 단말에게 제공한다.

Description

ICAM을 활용한 실시간 화재-공기질 안전 모니터링 및 비상조치, 그 제공방법{Method of monitoring fire or air quality using IoT/Cloud/Analytics/Mobile in real time}
본 발명은 사고나 재난 발생 등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여 물적, 인적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화재-공기질 안전 모니터링 등에 과한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주택이나 공장 등에는 가스 누출이나 화재 발생 등을 감지하기 위한 각종 센서가 설치되어 있으며, 각 센서는 가스 누출, 화재 발생 등을 감지하면 경고음을 발생한다. 그러나 경고음의 발생만으로는 현재 발생한 사고의 종류를 파악하기 어려우며, 이에 따라 적절한 조치를 조속한 시간 내에 수행하기도 어렵다. 또한 계곡이나 캠핑장 등과 같은 야외환경에서 사고나 재난 등이 발생하는 경우, 대형 스피커를 통해 경고음을 발생할 수 있을 뿐 사고나 재난 현장 주변에 위치한 사용자들에게 적절한 정보를 제공하기 어렵다.
특허공개번호 제2015-0080127호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사물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기기를 이용하여 수집한 각 지역의 센싱 정보를 기초로 사고나 재난 발생에 관한 정보 또는 그 예측 정보를 포함하는 안전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에 전송함으로써 적절한 조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ICAM을 활용한 실시간 화재-공기질 안전 모니터링 및 비상조치, 그 제공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ICAM을 활용한 실시간 화재-공기질 안전 모니터링 및 비상조치, 그 제공방법의 일 예는, 복수의 사물인터넷기기로부터 화재발생여부, 미세먼지 농도, 유독물질 농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센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복수의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파악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의 각 위치를 기준으로 일정 범위 내 위치한 사물인터넷기기들을 포함하는 각 그룹을 파악하는 단계; 각 그룹별로 사물인터넷기기가 전송한 센싱 정보를 파악하여 각 그룹별 안전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안전정보를 각 그룹별 사용자 단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ICAM을 활용한 실시간 화재-공기질 안전 모니터링 및 비상조치, 그 제공장치의 일 예는, 복수의 사물인터넷기기로부터 화재발생여부, 미세먼지 농도, 유독물질 농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센싱 정보를 수신하는 센싱정보수신부; 복수의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파악하는 위치정보수신부;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의 각 위치를 기준으로 일정 범위 내 위치한 사물인터넷기기들을 포함하는 각 그룹을 파악하는 그룹파악부; 각 그룹별로 사물인터넷기기가 전송한 센싱 정보를 파악하여 각 그룹별 안전정보를 생성하는 안전정보생성부; 및 상기 안전정보를 상기 각 그룹별 사용자 단말에게 제공하는 제공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고나 재난 발생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므로, 사용자는 어떤 종류의 사고 또는 재난인지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어 적절한 조치가 가능하다. 또한 불특정 다수에게 안전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의 위치를 기반으로 해당 지역에서 발생하는 사고나 재난 관련 안전정보를 해당 지역에 위치한 사용자들에게 선별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동 가능한 사물인터넷기기를 이용하여 센싱 정보를 수집하므로, 캠핑장이나 낚시터, 등산로, 계곡 등과 같은 야외에서 발생하는 사고나 재난 등에 관한 안전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일종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와 같이 복수의 사물인터넷기기들이 측정한 센싱 정보를 공유하여 보다 정확한 안전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하인리히 법칙 등을 이용하여 사고나 재난 발생 가능성을 예측하여 사용자 단말에 제공함으로써 사고나 재난 발생 등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ICAM을 활용한 실시간 화재-공기질 안전 모니터링 및 비상조치, 그 제공을 위한 전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사물인터넷기기의 일 실시 예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정보 제공장치의 일 실시 예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정보 생성을 위한 사물인터넷기기의 그룹핑 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정보 생성을 위한 사물인터넷기기의 그룹의 크기를 동적으로 파악하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사물인터넷기기의 일정 기간 동안의 센싱 정보를 이용한 안전정보 생성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정보 생성을 위한 사물인터넷기기의 그룹의 범위를 센싱 값의 크기에 따라 가변한 일 예를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정보 제공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ICAM을 활용한 실시간 화재-공기질 안전 모니터링 및 비상조치, 그 제공방법 및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ICAM을 활용한 실시간 화재-공기질 안전 모니터링 및 비상조치, 그 제공을 위한 전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안전정보 제공을 위한 시스템은 복수의 사물인터넷기기(이하, IoT 단말)(110,112,114,116), 복수의 사용자 단말(120,122), 안전정보제공장치(100)를 포함한다.
IoT 단말(110,112,114,116)은 이동통신망(예를 들어, 3G, LTE, 5G 등)이나 유무선인터넷통신(예를 들어, 와이파이 등)(130) 등을 통해 안전정보 제공장치(100)와 통신 가능한 단말이다. IoT 단말(110,112,114,116)은 환경정보를 취득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IoT 단말(110,112,114,116)은 열/온도를 감지하는 센서, 미세먼지 농도를 감지하는 센서, 유독물질(예를 들어, 포름알데히드, 일산화탄소 등)을 감지하는 각종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IoT 단말(110,112,114,116)은 특정 위치에 고정된 고정형 또는 휴대 가능한 이동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IoT 단말(110,112,114,116)은 각 주택 내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주택 내 가스누출이나 화재, 또는 미세먼지 농도 등과 같은 다양한 센싱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IoT 단말(110,112,114,116)은 공장이나 공공시설 등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유독물질이나 화재 발생 등과 관련된 센싱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IoT 단말(110,112,114,116)이 이동 가능한 휴대용인 경우에, 사용자는 캠핑이나 낚시, 운동 등 야외 활동의 경우에도 휴대하고 다닐 수 있다. IoT 단말(110,112,114,116)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다시 살펴보도록 한다.
사용자 단말(120,122)은 각 사용자가 소지하는 단말로서, 안전정보 제공장치(100)와 통신 가능한 단말이다. 사용자 단말(120,122)은 안전 정보를 제공받기 위한 전용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20,122)의 일 예로, 스마트폰, 테블릿PC 등이 있다.
안전정보 제공장치(100)는 복수의 IoT 단말(110,112,114,116)로부터 수신한 센싱 정보를 이용하여 각종 안전정보를 생성한 후 이를 사용자 단말(120,122)에게 제공하는 서버이다. 안전정보 제공장치(100)는 클라우드 서버로 구현될 수 있다. 안전정보 제공장치(100)가 안전정보를 생성하기 위하여 참조하는 센싱 정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IoT 단말로부터 수신한 정보이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IoT 단말들(110,112,114,116)의 소유자는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IoT 단말(110,112)은 사용자 A의 소유이고, 제3 및 제4 IoT 단말(114,116)은 사용자 B의 소유일 수 있다. 이 경우에, 안전정보 제공장치(100)는 사용자 A에게 안전 정보를 제공할 때, 제1 및 제2 IoT 단말(110,112)의 센싱 정보만을 활용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 B 소유의 제3 및 제4 IoT 단말(114,116)의 센싱 정보를 함께 참조하여 안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안전정보 제공장치(100)는 복수의 IoT 단말들(110,112,114,116)로 구성되는 일종의 소셜 네트워크를 통해 각 IoT 단말의 센싱 정보를 공유하여 보다 정확한 안전 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한다.
안전정보 제공장치(100)는 IoT 단말(110,112,114,116)로부터 수신한 센싱 정보와 함께 기상청이나 각종 재난 관리청 등으로부터 수신한 날씨 정보, 각종 사고 및 재난 정보 등을 이용하여 안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안전정보 제공장치의 구성의 일 예에 대해서는 도 3 이하에서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IoT 단말의 일 실시 예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IoT 단말(110)은 전원부(200), 제어부(210), 메모리(220), 통신부(230), 센싱부(240), 출력부(250)를 포함한다.
전원부(200)는 IoT 단말(110)에 전력을 공급한다. IoT 단말(110)이 이동형인 경우에, 전원부(200)는 충전가능한 내부 배터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신부(230)는 안전정보 제공장치를 포함한 외부 기기와의 유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모듈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통신부(230)는 블루투스 모듈, 와이파이 모듈, 이동통신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센싱부(240)는 환경정보를 수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센싱부(240)는 열/온도 감지 센서, 미세먼지 감지 센서, 유독물질 감지 센서 등 실시 예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센싱부(240)는 일정 주기(예를 들어, 수 초 또는 수 분 단위)로 센서를 통해 환경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센싱 주기는 실시 예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가능하며, 일 예로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과 IoT 단말의 블루투스 페어링(paring)을 통해 센싱 주기 등을 설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센싱부(240)는 안전정보 제공장치(100) 또는 사용자 단말(120)로부터 수신한 센싱 명령에 따라 환경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센싱부(240)가 복수 개의 센서를 포함하는 경우에, 각 센서별 센싱 주기를 서로 상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
메모리(220)는 센싱부(240)에 의해 측정된 각종 센싱 정보와 IoT 단말의 제어를 위한 각종 제어 프로그램이나 센싱 주기 등과 같은 설정 값을 저장한다.
출력부(250)는 스피커나 화면 등을 통해 정보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출력부(250)는 센싱부(240)에 의해 측정된 온도나 미세먼지 농도, 유독물질 농도 등과 같은 센싱 정보를 화면에 표시하거나, 미세먼지 농도나 유독물질 농도 등이 기 설정된 임계값을 벗어나는 경우에 스피커 등을 통해 경고를 출력한다.
제어부(210)는 전원부(200), 메모리(220), 통신부(230), 센싱부(240), 출력부(250) 등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210)는 센싱부(240)가 획득한 센싱 정보를 실시간으로 안전정보 제공장치(100)에 전송하거나 일정 주기로 센싱 정보를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210)는 센싱 값(예를 들어, 미세먼지 농도, 가스 농도, 온도, 유독물질 농도 등)이 기 설정된 임계값을 벗어나는 경우에만 해당 센싱 값을 포함하는 센싱 정보를 안전정보 제공장치(100)에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센싱 값이 기 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와 같이 비상시에는 전송 주기와 관계없이 즉시 센싱 정보를 안전정보 제공장치(100)에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정보 제공장치의 일 실시 예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안전정보 제공장치(100)는 센싱정보수신부(300), 위치정보파악부(310), 그룹파악부(320), 안전정보생성부(330), 제공부(340), 등록부(350)를 포함한다.
먼저, 등록부(350)는 복수의 IoT 단말(110,112,114,116)과 복수의 사용자 단말(120,122)을 등록받는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20)을 통해 안전정보 제공장치(100)에 접속한 후, 안전정보 제공 서비스를 제공받을 사용자 단말(120)의 전화번호, 자신이 소유한 IoT 단말(110,112)의 식별정보 등을 등록한다.
센싱정보수신부(300)는 복수의 IoT 단말(110,112,114,116)로부터 센싱 정보를 수신한다. 센싱정보수신부(300)는 실시 예에 따라 센싱 정보를 수신할 때 IoT 단말(110,112,114,116)의 위치 정보를 센싱 정보와 함께 저장한다. 예를 들어, 이동형 IoT 단말의 경우에, IoT 단말(110,112,114,116)의 환경정보의 측정 위치는 매번 상이할 수 있으므로, 센싱정보수신부(300)는 IoT 단말(110,112,114,116)의 위치 정보와 함께 센싱 정보를 저장한다.
위치정보파악부(310)는 복수의 IoT 단말(110,112,114,116) 또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120,122)의 위치를 파악한다. IoT 단말(110,112,114,116)이 고정형인 경우에, 위치정보파악부(310)는 사용자 단말(120,122)을 통해 IoT 단말(110,112,114,116)이 위치한 곳의 주소, 좌표를 입력받거나 사용자 단말(120,122)에 표시된 지도를 통해 위치를 입력받을 수 있다. IoT 단말(110,112,114,116)이 이동형인 경우에, 위치정보파악부(310)는 고정형과 마찬가지로 IoT 단말의 현 위치를 사용자 단말을 통해 입력받거나, 사용자 단말(120,122)의 위치를 IoT 단말(110,112,114,116)의 위치로 간주하거나, IoT 단말(110,112,114,116)의 위치를 실시간 파악할 수 있다. IoT 단말(110,112,114,116)의 실시간 위치 파악의 방법으로, 위치정보파악부(310)는 IoT 단말(110,112,114,116)에 현재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AP)나 이동통신망 기지국을 통해 위치를 파악하는 방법 또는 IoT 단말(110,112,114,116)에 GPS 등의 위치파악장치가 내장되어 있다면 GPS 등의 위치파악장치를 이용하여 위치를 파악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위치정보파악부(310)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120,122)의 실시간 위치를 종래의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파악할 수 있다.
그룹파악부(320)는 기 설정된 구역 단위로 안전정보 생성에 참조할 IoT 단말(110,112,114,116)의 그룹을 파악하거나, 각 사용자 단말(120,122)의 위치를 기초로 일정 범위 내에 위치한 IoT 단말(110,112,114,116)의 그룹을 파악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이 공동주택 내에 위치한 경우에, 그룹파악부(320)는 해당 공동주택 내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IoT 단말의 그룹을 파악한다. 또 다른 예로, 사용자 단말이 캠핑장에 위치한 경우에, 그룹파악부(320)는 해당 캠핑장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IoT 단말의 그룹을 파악한다. 안전정보 생성을 위하여 참조하는 IoT 단말의 그룹은 사용자 단말(120,122)이 위치한 곳의 주변환경, 센싱 정보의 종류, 센싱 값의 크기 등에 따라 동적으로 가변시킬 수 있다. 안전정보 생성을 위한 IoT 단말의 그룹 파악의 다양한 예에 대해서는 도 4 내지 도 7에서 다시 설명한다.
안전정보 생성부(330)는 그룹파악부(320)에서 파악된 각 그룹별 IoT 단말들의 센싱 정보를 이용하여 각 그룹별 안전정보를 생성한다. 안전정보는 각 센싱 정보를 기초로 파악되는 각종 사고나 재난 등에 대한 통계 분석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안전정보 생성부(330)는 해당 그룹 내 적어도 하나 이상의 IoT 단말에서 측정된 열/온도 센싱 값을 기초로 파악되는 화재 발생 사실, 화재 발생 가능성 등을 포함하는 안전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안전정보 생성부(330)는 각 IoT 단말의 위치정보를 통해 화재 발생 위치와 화재 확산 방향 등을 파악할 수 있으며, 안전정보에 위치와 확산 방향 등의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안전정보 생성부(330)는 또한 각종 사고나 재난에 대한 예측 정보를 포함하는 안전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안전정보 생성부(330)는 현 시점부터 과거 일정 시점까지의 센싱 정보를 기초로, 센싱 값이 기 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한 빈도를 파악한 후 빈도에 따라 사고나 재난 발생 정도(주의, 경고)를 포함하는 안전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기준으로 일정 범위 내에서 과거 일정 시점부터 현재까지 측정된 열/온도 센싱 값이 기 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한 빈도를 기초로 파악되는 해당 지역의 화재발생 가능성을 포함하는 안전정보를 생성한다. 여기서 임계값의 초과 빈도를 기초로 사고나 재난 발생 가능성을 예측함에 있어서 하인리히 통계적 법칙을 이용할 수 있다.
제공부(340)는 안전정보를 사용자 단말(120,122)로 전송한다. 앞서 살핀 바와 같이, 안전정보는 안전정보 제공장치(100)가 기 설정된 구역 단위 또는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기준으로 설정되는 일정 범위 내에 위치한 IoT 단말의 그룹이 측정한 센싱 정보 등을 기초로 생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공부(340)는 해당 사용자 단말 또는 기 설정된 구역 단위 내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에게 안전정보를 전송한다. 제공부(340)는 또한 사용자 단말(120,122) 외에 사고나 재난 발생시에 미리 지정된 곳(예를 들어, 소방서, 경찰서 등)으로 긴급 메시지를 전송하여 지원을 요청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정보 생성을 위한 IoT 단말의 그룹핑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복수의 IoT 단말들(400~416)이 산재해 있으며, 안전정보 제공장치(100)는 사용자 단말(450,452)의 위치를 기준으로 일정 범위(460,470) 내에 위치한 IoT 단말의 그룹을 파악한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 단말(450)을 기준으로 일정 범위(460) 내에 위치한 IoT 단말(400,402,406,408)의 그룹을 파악하고, 제2 사용자 단말(452)을 기준으로 일정 범위(470) 내에 위치한 IoT 단말(408,410,414,416)의 그룹을 파악한다. 따라서 안전정보 제공장치(100)는 제1 사용자 단말(450)에게 제1 그룹의 IoT 단말들(400,402,406,408)의 센싱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한 안전정보를 제공하고, 제2 사용자 단말(452)에게 제2 그룹의 IoT 단말들(408,410,414,416)의 센싱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한 안전정보를 제공한다.
사용자 단말(450,452)의 위치가 변경되면, 안전정보 제공장치(100)는 변경된 위치를 기준으로 안전 정보 생성을 위한 IoT 단말들의 그룹을 다시 파악한다. 안전정보 제공장치(100)는 IoT 단말의 그룹 갱신을 위한 사용자 단말의 위치 변경의 임계값을 다양하게 설정가능하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450,452)의 위치에 따른 정확한 안전 정보의 제공이 가능하다.
다른 예로, 제1 그룹과 제2 그룹의 구역(460,470)은 미리 설정되어 있으며, 안전정보 제공장치(100)는 제1 사용자 단말(450)이 제1 구역(460)에 진입하면, 제1 그룹의 IoT 단말들(400,402,406,408)의 센싱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한 안전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정보 생성을 위한 IoT 단말의 그룹의 크기를 동적으로 파악하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안전정보 제공장치(100)는 사용자 단말(550,552)이 위치한 곳의 주변 환경이나 센싱 정보의 종류, 센싱 값의 크기에 따라 안전정보를 생성하기 위해 참조할 IoT 단말의 그룹의 범위를 가변적으로 결정한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 단말(550)이 위치한 곳이 주택 단지인 경우에, 안전정보 제공장치(100)는 사용자 단말(550)의 위치를 기준으로 좁은 범위(500) 내에 위치한 IoT 단말(400,402)의 그룹을 파악하고, 제2 사용자 단말(552)이 위치한 곳이 캠핑장 등과 같이 야외인 경우에, 안전정보 제공장치(100)는 사용자 단말(552)의 위치를 기준으로 보다 넓은 범위(510) 내에 위치한 IoT 단말(408,410,414,416)의 그룹을 파악한다. 이 경우에, 안전정보 제공장치(100)는 사용자 단말이 위치한 곳의 주변 환경을 파악하기 위한 지리정보를 미리 포함하고 있으며, 지리 정보를 통해 파악되는 주변 환경의 정보에 따른 범위의 크기도 미리 설정되어 있다. 즉, 주변 환경에 따른 일정 범위의 크기는 주택단지의 경우에 반경 100m, 캠핑장의 경우에 반경 1km 등과 같이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안전정보 제공장치(100)는 안전정보의 생성에 사용되는 센싱 정보의 종류가 미세먼지 농도인 경우와 화재 여부를 파악하는 열/온도인 경우에 IoT 그룹의 범위를 서로 다르게 할 수 있다. 제1 사용자 단말(550)에게 미세먼지 농도에 대한 안전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경우에, 안전정보 제공장치(100)는 좁은 범위(500) 내에 위치한 IoT 단말(400,402)의 그룹을 파악하고, 제2 단말(552)에게 열/온도 등의 센싱 정보를 기초로 화재 관련 안전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경우에, 넓은 범위(510) 내에 위치한 IoT 단말(408,410,414,416)의 그룹의 범위를 설정한다. 각 센싱 종류별 IoT 그룹의 범위 값은 미리 설정되어 있다.
또 다른 예로, 제1 사용자 단말(550)에게 두 가지 이상의 서로 다른 센싱 정보(예를 들어, 미세먼지 농도, 열/온도)를 기초로 두 가지 이상의 안전정보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경우에, 안전정보 제공장치(100)는 앞서 살핀 예와 같이 각 센싱 정보에 따른 서로 다른 IoT 그룹의 범위를 기초로 각각 안전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IoT 단말의 일정 기간 동안의 센싱 정보를 이용한 안전정보 생성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안전정보 제공장치(100)는 과거 일정시점부터 현 시점까지 일정 범위 내에서 측정된 센싱 정보를 참조하여 안전 정보를 생성하는 경우가 있다.
IoT 단말(630)이 과거 일정시점에는 위치했으나 현재 일정 범위(600) 밖으로 이동한 경우, 또는 IoT 단말(640)이 과거 일정시점에는 위치하지 않다가 현재는 일정 범위(600) 내에 위치한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일정 범위(600) 내에 현재 위치한 IoT 단말(602,604,640)의 그룹의 과거 센싱 정보를 그대로 취합하는 경우에는 올바른 안전정보를 생성할 수 없다.
따라서, 안전정보 제공장치(100)는 일정 범위(600) 내에 현재 위치한 IoT 단말(602,604,640)로부터 수신한 제1 센싱정보를 파악하고, 센싱정보와 함께 저장된 위치정보를 기초로 과거 일정시점부터 현 시점까지 일정 범위(600) 내에서 IoT 단말(630,640)에 의해 측정된 제2 센싱정보를 파악한 후, 제1 센싱정보와 제2 센싱정보를 이용하여 안전정보를 생성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정보 생성을 위한 IoT 단말의 그룹의 범위를 센싱 값의 크기에 따라 가변한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안전정보 제공장치(100)는 앞서 살핀 다양한 방법으로 안전정보 생성을 위한 IoT 단말의 그룹의 범위를 설정한다. 그리고 안전정보 제공장치(100)는 설정된 일정 범위(700) 내에 포함된 IoT 단말들(400,402,406,408)의 센싱 정보를 취합하여 안전정보를 생성한다.
화재 발생 등과 같이 센싱 값의 크기가 일정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가 발생하면, 안전정보 제공장치(100)는 IoT 단말의 그룹을 설정하는 일정 범위(700)를 확장(710)하여 많은 사용자에게 안전정보를 제공하여 신속한 조속한 대처가 가능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열/온도의 센싱 값이 화재를 나타내는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에, 안전정보 제공장치(100)는 IoT 단말의 그룹의 범위를 확장(710)하여 화재 발생 사실을 많은 사용자 단말(752,754)에게 제공할 뿐만 아니라 화재의 확산 방향 등을 포함하는 안전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정보 제공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안전정보 제공장치(100)는 복수의 IoT 단말로부터 화재발생여부, 미세먼지 농도, 유독물질 농도 등과 같은 각종 환경정보를 측정한 센싱 정보를 수신한다(S800). 안전정보 제공장치(100)는 센싱 정보와 함께 IoT 단말의 위치 정보를 함께 저장할 수 있다.
안전정보 제공장치(100)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파악하고(S810), 복수의 사용자 단말의 각 위치를 기준으로 일정 범위 내 위치한 IoT 단말을 포함하는 각 그룹을 파악한다(S820). 안전정보 제공장치(100)는 그룹을 설정하는 일정 범위를 사용자 단말이 위치한 곳의 주변환경 또는 센싱 정보의 종류 또는 센싱 값의 크기 등에 따라 가변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안전정보 제공장치(100)는 각 그룹별로 해당 그룹 내 IoT 단말의 센싱 정보를 이용하여 각 그룹별 안전정보를 생성한다(S830). 안전정보 제공장치(100)는 각 그룹별 일정 범위 내에 현재 위치한 IoT 단말로부터 수신한 제1 센싱 정보를 파악하고, 센싱 정보와 함께 저장되는 위치 정보를 기초로 각 그룹별 일정 범위 내에 과거 위치했던 IoT 단말의 제2 센싱 정보를 파악한 후, 제1 센싱 정보 및 상기 제2 센싱 정보를 이용하여 각 그룹별 안전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안전정보 제공장치(100)는 사고나 재난 발생 등에 관한 안전 정보뿐만 아니라, 센싱 값이 기 설정된 임계값을 위반한 빈도를 기초로 사고나 재난 예측 정보를 포함하는 안전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안전정보 제공장치(100)는 일정 범위 내에 위치한 사용자 단말에게 안전정보를 전송한다(S840).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8)

  1. 삭제
  2. 복수의 사물인터넷기기로부터 화재발생여부, 미세먼지 농도, 유독물질 농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센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복수의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파악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의 각 위치를 기준으로 일정 범위 내 위치한 사물인터넷기기들을 포함하는 각 그룹을 파악하는 단계;
    각 그룹별로 사물인터넷기기가 전송한 센싱 정보를 파악하여 각 그룹별 안전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안전정보를 각 그룹별 사용자 단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센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이동 가능한 복수의 사물인터넷기기에 대한 위치 정보를 파악하는 단계;
    상기 센싱 정보를 전송하는 사물인터넷기기의 위치 정보와 함께 상기 센싱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안전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각 그룹별 일정 범위 내에 현재 위치한 사물인터넷기기로부터 수신한 제1 센싱 정보를 파악하는 단계;
    센싱 정보와 함께 저장되는 위치 정보를 기초로, 각 그룹별 일정 범위 내에 과거 위치했던 사물인터넷기기로부터 수신한 제2 센싱 정보를 파악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센싱 정보 및 상기 제2 센싱 정보를 기초로 각 그룹별 안전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정보 제공방법.
  3. 복수의 사물인터넷기기로부터 화재발생여부, 미세먼지 농도, 유독물질 농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센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복수의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파악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의 각 위치를 기준으로 일정 범위 내 위치한 사물인터넷기기들을 포함하는 각 그룹을 파악하는 단계;
    각 그룹별로 사물인터넷기기가 전송한 센싱 정보를 파악하여 각 그룹별 안전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안전정보를 각 그룹별 사용자 단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그룹을 파악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의 각 위치의 주변환경, 센싱 정보의 종류 또는 센싱 값의 크기에 따라 상기 일정 범위를 가변적으로 설정하는 단계; 및
    가변적으로 설정된 일정 범위 내에 위치한 사물인터넷기기를 포함하는 각 그룹을 파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정보 제공방법.
  4. 복수의 사물인터넷기기로부터 화재발생여부, 미세먼지 농도, 유독물질 농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센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복수의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파악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의 각 위치를 기준으로 일정 범위 내 위치한 사물인터넷기기들을 포함하는 각 그룹을 파악하는 단계;
    각 그룹별로 사물인터넷기기가 전송한 센싱 정보를 파악하여 각 그룹별 안전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안전정보를 각 그룹별 사용자 단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그룹을 파악하는 단계는,
    사용자 단말의 위치가 변경되면, 변경된 위치에 따른 일정 범위를 재설정하고, 재설정된 일정 범위에 위치한 사물인터넷기기를 포함하는 그룹을 파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정보 제공방법.
  5. 제 2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각 그룹별 일정 범위 내 위치한 사물인터넷기기들로부터 수신한 센싱 정보를 기초로 유독물질의 확산 방향 또는 화재의 확산 방향을 파악하는 단계;
    상기 확산 방향을 포함한 안전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정보 제공방법.
  6. 제 2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각 그룹의 일정 범위 내에서 과거 일정 기간 동안 생성된 센싱 정보가 기 설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임계값의 위반 빈도를 기초로 사고 발생 가능성을 예측하는 단계; 및
    상기 사고 발생 가능성을 포함하는 안전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정보 제공방법.
  7. 복수의 사물인터넷기기로부터 화재발생여부, 미세먼지 농도, 유독물질 농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센싱 정보를 수신하는 센싱정보수신부;
    복수의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파악하는 위치정보수신부;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의 각 위치를 기준으로 일정 범위 내 위치한 사물인터넷기기들을 포함하는 각 그룹을 파악하는 그룹파악부;
    각 그룹별로 사물인터넷기기가 전송한 센싱 정보를 파악하여 각 그룹별 안전정보를 생성하는 안전정보생성부; 및
    상기 안전정보를 상기 각 그룹별 사용자 단말에게 제공하는 제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그룹파악부는, 사용자 단말의 위치가 변경되면, 변경된 위치에 따른 일정 범위를 재설정하고, 재설정된 일정 범위에 위치한 사물인터넷기기를 포함하는 그룹을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정보 제공장치.
  8. 제 2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150110229A 2015-08-04 2015-08-04 Icam을 활용한 실시간 화재-공기질 안전 모니터링 및 비상조치, 그 제공방법 KR1016277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0229A KR101627788B1 (ko) 2015-08-04 2015-08-04 Icam을 활용한 실시간 화재-공기질 안전 모니터링 및 비상조치, 그 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0229A KR101627788B1 (ko) 2015-08-04 2015-08-04 Icam을 활용한 실시간 화재-공기질 안전 모니터링 및 비상조치, 그 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7788B1 true KR101627788B1 (ko) 2016-06-07

Family

ID=56193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0229A KR101627788B1 (ko) 2015-08-04 2015-08-04 Icam을 활용한 실시간 화재-공기질 안전 모니터링 및 비상조치, 그 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778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2785B1 (ko) 2017-09-20 2018-06-07 ㈜아임시스템 실내 유해물질 및 안전사고 감지장치 및 그 시스템
KR102070228B1 (ko) 2019-07-16 2020-01-29 센서클라우드주식회사 멀티 센싱 공기질 측정 장치
KR20210009035A (ko) 2019-07-16 2021-01-26 센서클라우드주식회사 멀티 센싱 공기질 측정 장치
US11467146B2 (en) 2019-04-09 2022-10-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rtable apparatus for measuring air quality and method for displaying information about air quality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63562A (ja) * 2009-05-11 2010-11-18 Nec Infrontia Corp 災害情報共有システム、災害情報共有方法および携帯端末
KR20130138552A (ko) * 2012-06-11 2013-12-19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무선 센서 네트워크 시스템 및 노드장치, 센싱 메시지 처리방법
KR101420381B1 (ko) * 2014-02-28 2014-07-16 (주)동연시스템 양방향 디지털 무선 그룹 방송 시스템
JP2015005151A (ja) * 2013-06-21 2015-01-08 ホーチキ株式会社 警報システム
KR20150080127A (ko) 2013-12-30 2015-07-09 목원대학교 산학협력단 화재 예방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63562A (ja) * 2009-05-11 2010-11-18 Nec Infrontia Corp 災害情報共有システム、災害情報共有方法および携帯端末
KR20130138552A (ko) * 2012-06-11 2013-12-19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무선 센서 네트워크 시스템 및 노드장치, 센싱 메시지 처리방법
JP2015005151A (ja) * 2013-06-21 2015-01-08 ホーチキ株式会社 警報システム
KR20150080127A (ko) 2013-12-30 2015-07-09 목원대학교 산학협력단 화재 예방 시스템 및 방법
KR101420381B1 (ko) * 2014-02-28 2014-07-16 (주)동연시스템 양방향 디지털 무선 그룹 방송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2785B1 (ko) 2017-09-20 2018-06-07 ㈜아임시스템 실내 유해물질 및 안전사고 감지장치 및 그 시스템
US11467146B2 (en) 2019-04-09 2022-10-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rtable apparatus for measuring air quality and method for displaying information about air quality
KR102070228B1 (ko) 2019-07-16 2020-01-29 센서클라우드주식회사 멀티 센싱 공기질 측정 장치
KR20210009035A (ko) 2019-07-16 2021-01-26 센서클라우드주식회사 멀티 센싱 공기질 측정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7788B1 (ko) Icam을 활용한 실시간 화재-공기질 안전 모니터링 및 비상조치, 그 제공방법
JP6425854B1 (ja) 大気汚染に対する曝露の監視
KR101892345B1 (ko)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미세먼지 측정 시스템
CN105632086B (zh) 异常状况预警方法及装置
JP6088504B2 (ja) 移動装置の位置推定
EP3405934B1 (en) Using bluetooth beacons to automatically update the location within a portable gas detector's logs
JP2013502154A (ja) リアルタイム位置特定システムにおけるアクセスポイントの相対的ポジショニングのためのシステム
KR101608386B1 (ko) 실시간 교육환경 모니터링 시스템
CN109831742B (zh) 基于终端检测的监控方法及系统
KR101901335B1 (ko) 사물지능 통신 기반의 엘이디 실내등을 이용한 재난관제 동보시스템
US10475326B2 (en) System and method for tracking interaction between monitored population and unmonitored population
KR101560200B1 (ko) 크라우드 네트워크를 이용한 위치 관제 시스템
KR101709157B1 (ko) 소방 관리 시스템 및 소방 시설의 관리를 위한 방법
CN105716621B (zh) 一种确定目标逃生路径的方法及网络设备
KR101643263B1 (ko) 휴대용 비컨을 이용한 안전관리 시스템
CN109379703B (zh) 一种基于移动终端联网数据的灾害区域判断方法
KR20220076374A (ko) 화재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
CN110058196A (zh) 一种用于化工厂中的位置监测系统
Rosas et al. A mobile-sensor fire prevention system based on the internet of things
KR20200022117A (ko)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작업환경 유해요인 예·경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2001273376A (ja) 環境情報提供方法およびシステム
KR102136532B1 (ko) 공기질 지속 측정을 이용한 지하공간 대피 유도 방법
KR102285943B1 (ko) 사용자 이동에 따라 환경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서버
Chaiwongven et al. An analyze movement path of employees in fire drill by indoor location system using Bluetooth
JP2020140451A (ja) 感知器の保守点検支援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