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23394A - 차량의 통합형 페달 - Google Patents

차량의 통합형 페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23394A
KR20040023394A KR1020020055108A KR20020055108A KR20040023394A KR 20040023394 A KR20040023394 A KR 20040023394A KR 1020020055108 A KR1020020055108 A KR 1020020055108A KR 20020055108 A KR20020055108 A KR 20020055108A KR 20040023394 A KR20040023394 A KR 200400233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dal
vehicle
brake
brake pedal
accel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51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83158B1 (ko
Inventor
진철민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551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83158B1/ko
Publication of KR200400233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33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31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315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30Controlling members actuated by foot
    • G05G1/36Mounting units comprising an assembly of two or more pedals, e.g. for facilitating mou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6/00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6/02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or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0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 B60T7/04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foot actu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2/00Responses or measures related to driver conditions
    • B60Y2302/09Reducing the workload of driv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Braking Elements And Transmission Devices (AREA)
  • Auxiliary Drives, Propulsion Controls, And Safety Devices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반적인 페달 구조가 초보 운전자의 경우 페달의 조작에 어려움을 느끼게 되고 오른발을 옮겨가면서 브레이크 페달과 가속 페달을 수시로 조작해야 하므로 쉽게 피로해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하단부에 연결된 푸시로드를 통해 제동장치를 작동시키거나 스로틀 밸브의 개도를 변화시키는 브레이크 페달 및 가속 페달과, 양단부에 상기 브레이크 페달 및 가속 페달이 각각 연결되고 중앙부분에 설치된 받침대를 중심으로 지렛대 운동을 하는 페달 플레이트와, 상기 페달 플레이트의 상면에 형성된 레일 홈을 따라 좌우로 이동되고 상기 브레이크 페달 또는 가속 페달에 겹쳐져 제동작용 및 가속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발판으로 이루어짐으로써,
발판에서 발을 떼지 않고도 브레이크 페달과 가속 페달을 선택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게 되어 페달 조작의 편의성 및 안전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차량의 통합형 페달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의 통합형 페달{ Combination pedal for vehicle }
본 발명은 자동차의 진행과 관련된 조작을 발로 할 수 있도록 하는 페달부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브레이크 페달과 가속 페달을 일체화하여 발을 떼지 않고도 브레이크 페달과 가속 페달을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킴과 동시에 초보 운전자들의 페달 조작이 용이하도록 하여 사고 발생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한 차량의 통합형 페달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동변속차량의 페달구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장 왼쪽에 설치되어 왼발로 작동시키도록 한 클러치 페달(11)과, 오른발로 작동시킬 수 있도록 운전석의 우측에 설치되어 차량을 제동시키는 브레이크 페달(12)과, 상기 브레이크 페달(12)의 우측에 설치되어 차속을 증가시키는 가속 페달(13)로 구성되어 있다. 물론, 자동변속차량의 경우에는 왼발로 작동시키는 클러치 페달이 생략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페달구조에서는 차량의 주행 상황에 따라 각 페달을 번갈아 가면서 밟음으로써 차량이 진행할 수 있게 한다.
초기 시동시에는 왼발로 클러치 페달(11)을 밟아 엔진과 변속기의 연결을 차단하여야만 시동이 가능하게 된다. 동시에 오른발로는 브레이크 페달(12)을 밟아차량이 진행되지 않도록 하는 것은 당연하다. 물론, 자동변속차량의 경우에는 클러치 및 클러치 페달이 없고 엔진과 변속기의 연결을 차단하지 않아도 시동이 가능하다.
시동이 완료되면 왼발을 클러치 페달(11)로부터 이탈시켜 엔진의 동력이 변속기로 전달되도록 하고, 오른발을 브레이크 페달(12)로부터 이탈시켜 차량이 주행 가능하게 한 다음 다시 오른발로 가속 페달(13)을 밟아 차량이 주행할 수 있도록 한다. 차량 주행 도중에 변속이 필요한 경우에는 왼발로 클러치 페달(11)을 밟아 엔진과 클러치 사이의 연결을 해제한 상태에서 변속을 하게 되며, 변속이 완료된 후에는 왼발을 클러치 페달(11)로부터 이탈시켜 다시 동력이 전달되도록 하는 것이다. 물론, 차량 제동이 필요한 경우에는 왼발로는 클러치 페달(11)을 밟아 변속기로의 동력 전달을 차단함과 동시에 오른발로는 브레이크 페달(12)을 밟아 차량이 전진하는 것을 차단해야 하는 것은 당연하다.
그런데, 상기 브레이크 페달(12)과 가속 페달(13)은 모두 오른발로 작동시키게 되므로, 둘 사이의 거리에 따라 운전자가 제동 또는 가속함에 있어서 여러 가지 문제점이 발생된다. 즉, 브레이크 페달(12)과 가속 페달(13) 사이의 거리가 너무 좁은 경우에는 위험 상황에서 브레이크 페달(12)을 밟아야 하는데 가속 페달(13)을 밟게 되어 더 큰 사고를 야기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또, 브레이크 페달(12)과 가속 페달(13) 사이의 거리가 너무 넓은 경우에는 돌발 상황에서 두 페달 사이의 공간에 오른발이 들어가거나 브레이크 페달(12)의 옆 부분에 오른발이 걸리는 등 위험 상황에서 브레이크 페달(12)을 밟을 때까지의시간이 과다 소요되어 신속하게 대응하지 못하게 되는 상황이 발생되는 것이다. 따라서, 브레이크 페달(12)과 가속 페달(13)의 위치 설정은 매우 중요하며, 운전자는 브레이크 페달(12)과 가속 페달(13)의 위치를 충분히 숙지한 후 매우 자연스럽게 조작할 수 있어야 한다.
결과적으로, 상기한 종래의 페달 구조에서는 브레이크 페달 및 가속 페달의 조작에 익숙하지 못한 초보 운전자의 경우 원활한 주행을 위한 페달의 조작에 어려움을 느끼게 될 뿐 아니라, 운전자가 오른발을 옮겨가면서 브레이크 페달과 가속 페달을 수시로 조작해야 하므로 운전자가 쉽게 피로해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가속 페달과 브레이크 페달을 일체형으로 형성하고 운전자가 발을 떼지 않은 상태에서 가속 페달과 브레이크 페달로 그 위치를 옮겨가면서 조작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페달 조작의 편의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운전자의 피로도를 저감시키고 항상 일정 범위 내에서 오른발을 움직여 페달 조작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안전성이 향상되도록 한 차량의 통합형 페달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수동변속차량의 페달 장착부가 도시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의 통합형 페달이 도시된 구성도,
도 3은 도 2의 "A"방향 투시도,
도 4는 도 2의 "B-B" 단면이 도시된 단면도,
도 5는 도 2의 "C-C" 단면이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50 : 페달 플레이트 50' : 돌출부
51 : 브레이크 페달 52 : 가속 페달
53 : 레일 홈 54 : 이동 제한부
55 : 발판 55' : 돌출부
56,56' : 커넥터 57,57' : 안착홈
58,58' : 푸시로드 59,59' : 로드엔드
60 : 받침대 61 : 브라켓
62 : 힌지축 63 : 리턴 스프링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하단부에 연결된 푸시로드를 통해 제동장치를 작동시키거나 스로틀 밸브의 개도를 변화시키는 브레이크 페달 및가속 페달과, 양단부에 상기 브레이크 페달 및 가속 페달이 각각 연결되고 중앙부분에 설치된 받침대를 중심으로 지렛대 운동을 하는 페달 플레이트와, 상기 페달 플레이트의 상면에 형성된 레일 홈을 따라 좌우로 이동되고 상기 브레이크 페달 또는 가속 페달에 겹쳐져 제동작용 및 가속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발판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차량의 통합형 페달구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부에 연결된 푸시로드(58,58')를 통해 제동장치를 작동시키거나 스로틀 밸브의 개도를 변화시키는 브레이크 페달(51) 및 가속 페달(52)과, 양단부에 상기 브레이크 페달(51) 및 가속 페달(52)이 각각 연결되고 중앙부분에 설치된 받침대(60)를 중심으로 지렛대 운동을 하는 페달 플레이트(50)와, 상기 페달 플레이트(50)의 상면에 형성된 상기 레일 홈(53)을 따라 좌우로 이동되고 상기 브레이크 페달(51) 또는 가속 페달(52)에 겹쳐져 제동작용 및 가속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발판(55)으로 구성된다.
상기 페달 플레이트(50)는 각 페달(51,52)의 외측으로 돌출된 양단이 상측으로 절곡되어 이동제한부(54,54')로 형성되며, 상기 이동제한부(54,54')는 상기 발판(55)이 상기 브레이크 페달(51) 및 가속 페달(52)의 외측으로 이탈되지 않게 한다. 또, 상기 발판(55)의 저부에는 상기 레일 홈(53)에 삽입되는 돌출부(55')가 형성된다.
상기 받침대(6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에 고정된 브래킷(61)과, 상기 페달 플레이트(50)의 돌출부(50')와 상기 브래킷(61)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축(62)과, 상기 힌지축(62)에 설치되어 상기 페달 플레이트(50)가 항상 평형 상태가 되도록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리턴 스프링(63)으로 구성된다.
상기 브레이크 페달(51) 및 가속 페달(52)은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부에 커넥터(56,56')가 설치되며, 상기 커넥터(56,56')의 안착홈(57,57')에 푸시로드(58,58')의 로드엔드(59,59')가 삽입된다. 이때, 상기 푸시로드(58,58')와 상기 커넥터(56,56')는 발판(55)에 의해 브레이크 페달(51) 또는 가속 페달(52)이 눌려질 때에만 서로 결합되도록 상기 푸시로드(58,58')의 로드엔드(59,59')와 상기 커넥터(56,56')의 안착홈(57,57')은 일정 거리 이격되게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차량의 통합형 페달구조는 운전자가 발판에 발을 얹은 상태에서 발을 떼지 않고도 가속 페달 또는 브레이크 페달을 산택하여 밟을 수 있도록 한다.
운전자는 왼발로 클러치 페달(미 도시)을 밟고 오른발은 발판(55)에 얹은 다음 오른발을 이용하여 발판(55)을 브레이크 페달(51)쪽으로 움직여 브레이크 페달(51)을 밟게 된다. 이 상태에서 차량을 시동하게 되고, 차량의 시동이 완료되면 변속과 동시에 왼발을 클러치 페달에서 떼어 엔진의 동력이 변속기 측으로 전달되게 한다.
이후, 오른발을 이용하여 발판(55)을 브레이크 페달(51)에서 이탈시키면 차량은 천천히 움직이게 되고, 레일 홈(53)을 따라 발판(55)을 이동시켜 가속 페달(52)을 밟아 차량이 주행할 수 있게 한다. 차량 주행 도중의 변속과정이나 정지과정 등은 발판(55)을 이동시키는 것을 제외하면 모두 종래의 그것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서, 상기 발판(55)을 이동시켜 브레이크 페달(51) 또는 가속 페달(52)을 밟아 제동 또는 가속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운전자가 시동시 브레이크 페달(51)을 밟기 위해서는 오른발을 발판(55)에 얹은 다음 발판(55)을 브레이크 페달(51) 측으로 이동시킨다. 발판(51)을 이동제한부(54)까지 이동시키면 발판(55)이 브레이크 페달(51)과 겹치게 되므로, 운전자를 오른발에 힘을 가하여 브레이크 페달(51)을 밟게 된다. 따라서, 브레이크 페달(51)의 하측에 있는 푸시로드(58)를 통해 브레이크 페달(51)의 작동력이 마스터 실린더로 전달되어 제동력이 발생된다. 물론, 제동을 해제시키는 경우에는 발판(55)을 페달 플레이트(50)의 중심에 위치되는 받침대(60)쪽으로 이동시키면 된다.
가속시 가속 페달(52)을 밟기 위해서는 발판(55)을 가속 페달(52) 측의 이동제한부(54')까지 이동시켜 가속 페달(52)과 겹치게 한 후 오른발에 힘을 가하면 된다. 상기 발판(55)과 가속 페달(52)이 겹쳐진 상태에서 오른발에 힘을 가하게 되면, 가속 페달(52) 하측의 푸시로드(58')를 통해 스로틀 밸브로 가속 페달(52)의 작동력이 전달되어 스로틀 개도가 변화된다.
이때, 상기 발판(55)은 레일 홈(53)을 따라 이동하게 되고, 발판에 힘을 가할 때 페달 플레이트(50)는 받침대(60)를 중심으로 회동된다. 그런데, 상기 브레이크 페달(51) 및 가속 페달(52)이 페달 플레이트(50)와 일체로 형성되므로, 브레이크 페달(51) 혹은 가속 페달(52)에 힘을 가할 때 페달 플레이트(50)가 받침대(60)를 중심으로 회동되면 반대쪽에는 위쪽으로 힘이 작용하게 된다.
이와 같이 브레이크 페달(51) 혹은 가속 페달(52)에 위쪽으로 힘이 작용하게 되면 브레이크 장치 혹은 스로틀 밸브 등이 오작동이 야기될 수 있다. 따라서, 어느 일측의 페달에 작동력이 가해져 지렛대의 원리로 다른쪽 페달에 상측으로 힘이 작용되더라도 이 페달의 힘이 브레이크 장치나 스로틀 밸브 측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차단시켜야 한다. 물론,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일이 발생되지 않도록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푸시로드(58,58')의 로드엔드(59,59')와 상기 커넥터(56,56')의 안착홈(57,57')은 일정 거리 이격되게 설치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발판(55)에 의해 브레이크 페달(51) 또는 가속 페달(52)이 눌려질 때에만 푸시로드(58,58')와 커넥터(56,56')가 서로 결합되어 작동력을 전달한다. 즉, 반대쪽의 페달이 눌려질 경우에는 브레이크 페달(51) 또는 가속 페달(52)과 일체로 형성된 커넥터(56,56') 부분만이 상측으로 이동될 뿐 푸시로드(58,58')는 움직이지 않게 되므로 브레이크 장치 혹은 스로틀 밸브 측으로는 페달의 움직임이 전달되지 않게 된다.
도 2와 도 4 및 도 5는 가속 페달(52)을 작동시키기 위하여 발판(55)을 가속 페달(52) 측으로 이동시킨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따라서, 브레이크 페달(51) 측에는 커넥터(56)와 푸시로드(58)이 소정 거리 이격되어 있고, 가속 페달(52) 측의 커넥터(56')에 형성된 요홈부(57')에 푸시로드(58')의 로드엔드(59')가 삽입되어 있다. 이와 같이 커넥터(56,56')와 푸시로드(58,58')가 이격되게 설치되므로 지렛대의 원리에 의해 페달 플레이트(50)가 받침대(60)를 중심으로 회동되더라도 반대 방향의 작용력은 브레이크 장치나 스로틀 밸브 측으로 전달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차량의 통합형 페달구조는 발판에서 발을 떼지 않고도 브레이크 페달과 가속 페달을 선택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게 되어 페달 조작의 편의성 및 안전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Claims (7)

  1. 하단부에 연결된 푸시로드를 통해 제동장치를 작동시키거나 스로틀 밸브의 개도를 변화시키는 브레이크 페달 및 가속 페달과, 양단부에 상기 브레이크 페달 및 가속 페달이 각각 연결되고 중앙부분에 설치된 받침대를 중심으로 지렛대 운동을 하는 페달 플레이트와, 상기 페달 플레이트의 상면에 형성된 레일 홈을 따라 좌우로 이동되고 상기 브레이크 페달 또는 가속 페달에 겹쳐져 제동작용 및 가속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발판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통합형 페달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페달 및 가속 페달은 하단부에 커넥터가 설치되고, 상기 커넥터의 안착홈에 푸시로드의 로드엔드가 삽입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통합형 페달구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로드와 상기 커넥터는 발판에 의해 브레이크 페달 또는 가속 페달이 눌려질 때에만 서로 결합되도록 상기 푸시로드의 로드엔드와 상기 커넥터의 안착홈은 일정 거리 이격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통합형 페달구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는 차체에 고정된 브래킷과, 상기 페달 플레이트의 돌출부와 상기 브래킷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축과, 상기 힌지축에 설치되어 상기 페달 플레이트가 항상 평형 상태가 되도록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리턴 스프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통합형 페달구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페달 플레이트는 상기 발판이 상기 브레이크 페달 및 가속 페달의 외측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이동제한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통합형 페달구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제한부는 각 페달의 외측으로 돌출된 양단이 상측으로 절곡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통합형 페달구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은 그 저부에 상기 레일 홈에 삽입되는 돌출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통합형 페달구조.
KR10-2002-0055108A 2002-09-11 2002-09-11 차량의 통합형 페달 KR1004831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5108A KR100483158B1 (ko) 2002-09-11 2002-09-11 차량의 통합형 페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5108A KR100483158B1 (ko) 2002-09-11 2002-09-11 차량의 통합형 페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3394A true KR20040023394A (ko) 2004-03-18
KR100483158B1 KR100483158B1 (ko) 2005-04-14

Family

ID=373270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5108A KR100483158B1 (ko) 2002-09-11 2002-09-11 차량의 통합형 페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8315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0032B1 (ko) * 2006-10-24 2008-01-31 마지현 브레이크와 엑셀레이터 통합장치
US8305930B2 (en) 2008-10-09 2012-11-06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Hybrid clustering based data aggregation method for multi-target tracking in wireless sensor network
CN104015709A (zh) * 2014-06-05 2014-09-03 东北大学 防疲劳油门刹车一体机构
CN105416063A (zh) * 2015-12-02 2016-03-23 力帆实业(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油门踏板、车辆动力系统以及车辆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50735A1 (ko) * 2011-05-02 2012-11-08 Jung Eun-Ju 일체형 가속페달과 감속페달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8792U (ko) * 1995-08-23 1997-03-27 위치 조절용 액셀페달
KR19990020669A (ko) * 1997-08-30 1999-03-25 정몽규 브레이크와 가속 통합 페달
KR19990019136U (ko) * 1997-11-17 1999-06-05 정몽규 운전자를 위한 안전페달 가이드장치
KR20020058246A (ko) * 2000-12-29 2002-07-12 양재신 산업용 차량의 어태치먼트 페달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0032B1 (ko) * 2006-10-24 2008-01-31 마지현 브레이크와 엑셀레이터 통합장치
WO2008050982A1 (en) * 2006-10-24 2008-05-02 Ji Hyun Ma Break and excelator unity device
US8305930B2 (en) 2008-10-09 2012-11-06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Hybrid clustering based data aggregation method for multi-target tracking in wireless sensor network
CN104015709A (zh) * 2014-06-05 2014-09-03 东北大学 防疲劳油门刹车一体机构
CN105416063A (zh) * 2015-12-02 2016-03-23 力帆实业(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油门踏板、车辆动力系统以及车辆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83158B1 (ko) 2005-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00006030A (ko) 히스테리시스를갖는전자식스로틀제어장치
US20040002405A1 (en) Control device
KR100483158B1 (ko) 차량의 통합형 페달
WO1999016632A2 (en) Push-button actuation system for atv transmission
JP2004352228A (ja) 一体化アクセルブレーキペダル
US5596906A (en) Combined accelerating/braking apparatus of a vehicle
CN103273846A (zh) 车用驾驶操作三合一踏板装置
US2912081A (en) Driving controls
KR890004840Y1 (ko) 제동장치를 구비한 자동차 가속페달
KR200176878Y1 (ko) 자동변속 차량용 인체공학적 페달구조
KR100666304B1 (ko) 운전자의 편익 증진용 페달연동장치
KR200190297Y1 (ko) 자동승용차
KR200412334Y1 (ko) 운전자의 편익 증진용 페달연동장치
KR880000346Y1 (ko) 자동차 가속페달과 브레이크페달의 겸용 기능을 가진 페달장치
KR200246010Y1 (ko) 자동변속기 차량의 패달 구조
KR200259402Y1 (ko) 자동차의 운전자 무릎 지지장치
JPS62166123A (ja) 自動車のヒルホルダ−装置
KR900004403Y1 (ko) 자동차의 클러치페달 잠금 및 해제장치
JP3665123B2 (ja) 走行車両のブレーキ操作装置
KR19980074154A (ko) 차량용 가속페달 제어장치
KR200143570Y1 (ko) 각도 조절이 가능한 차량의 클러치 페달
KR960004330Y1 (ko) 자동차 브레이크제어장치
KR970005630B1 (ko) 수동변속장치의 동력전달 속도 조절장치
JPH0418901Y2 (ko)
KR19980035797A (ko) 제동 및 가속조작 겸용의 스티어링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32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