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0669A - 브레이크와 가속 통합 페달 - Google Patents

브레이크와 가속 통합 페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0669A
KR19990020669A KR1019970044135A KR19970044135A KR19990020669A KR 19990020669 A KR19990020669 A KR 19990020669A KR 1019970044135 A KR1019970044135 A KR 1019970044135A KR 19970044135 A KR19970044135 A KR 19970044135A KR 19990020669 A KR19990020669 A KR 199900206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dal
brake
accelerator
driver
central ax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41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철민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10199700441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20669A/ko
Publication of KR199900206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0669A/ko

Links

Landscapes

  • Auxiliary Drives, Propulsion Controls, And Safety Devices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브레이크와 가속 통합 페달에 관한 것으로, 브레이크 페달과 가속 페달을 서로 인접하게 배열하여 운전자의 페달조작 운동량을 저감시켜 운전피로를 경감시킬 수 있을 뿐만아니라 운전조작의 편의도 부여하고, 원가절감 및 중량의 저감도 도모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차체에 장착된 고정브라켓(4)과, 이 고정브라켓에 끼워져 지지된 중심축(1), 이 중심축에 각각 서로 대향되게 배열되어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면서 브레이크 장치와 가속장치에 푸시로드를 매개로 연결된 브레이크 페달(1)과 가속 페달(2) 및, 상기 각 브레이크 페달과 가속 페달의 조작 후에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켜주기 위해 각 페달이 중심축에 연결되는 부위에 장착된 리턴스프링을 갖춘 구조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과 가속 페달을 조작하기 위해서는 발의 뒷굼치를 축으로 해서 발을 회동시켜주면 발바닥이 각 페달 위에 위치되게 되므로, 페달 조작이 극히 용이하면서 운전피로를 효과적으로 경감시켜주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브레이크와 가속 통합 페달
본 발명은 차량의 브레이크와 가속 통합 페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운전자가 적은 운동량으로 극히 용이하게 브레이크 페달과 가속페달을 조작할 수 있도록 하여 운전조작의 편의를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원가절감과 중량감소 등도 도모할 수 있도록 된 차량의 브레이크와 가속 통합 페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동변속기를 장착한 차량에서는 클러치를 조작하기 위한 클러치 페달과 브레이크를 조작하기 위한 브레이크 페달 및 차량을 가속시키기 위해 드로틀 바디와 연결된 가속페달이 각각 장착되어 있다.
여기서 각 페달들은 차체에 고정되게 장착된 페달 서포트에 끼워져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또 운전자가 페달을 조작한 후에 스프링의 탄성력으로 용이하게 복귀될 수 있도록 각 페달에는 리턴스프링이 설치되어 있으며, 운전자가 발로서 조작할 수 있도록 서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열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페달 장착구조에서는 페달 조작시에 2개의 페달이 한꺼번에 조작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각 페달들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열되어 있는 바, 이 때문에 페달들을 조작하기 위해 운전자가 다리와 발을 많이 움직여서 조작해야 하므로, 운전조작이 번거럽고 힘이 많이 들게 될 뿐만 아니라 운전피로를 가중시키는 하나의 요인이 된다고 하는 결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브레이크 페달과 가속 페달을 서로 인접하게 배열하여 운전자의 페달조작 운동량을 저감시켜 운전피로를 경감시킬 수 있을 뿐만아니라 운전조작의 편의도 부여하고, 원가절감 및 중량의 저감도 도모할 수 있도록 된 브레이크와 가속 통합 페달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와 가속 통합 페달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평면도,
도 3은 도 1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와 가속 통합 페달의 작동 설명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는 중심축 2 : 브레이크 페달
3 : 가속 페달 4 : 고정브라켓
5,6 : 푸시로드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차체에 장착된 고정브라켓과, 이 고정브라켓에 끼워져 지지된 중심축, 이 중심축에 각각 서로 대향되게 배열되어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면서 브레이크 장치와 가속장치에 푸시로드를 매개로 연결된 브레이크 페달과 가속 페달 및, 상기 각 브레이크 페달과 가속 페달의 조작 후에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켜주기 위해 각 페달이 중심축에 연되는 부위에 장착된 리턴스프링을 갖춘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각 페달은 운전자의 조작편의를 위해 그 바깥쪽 면이 굴곡지게 형성됨과 더불어 차체에 대해 대략 60도의 각도를 두고 경사지게 장착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와 가속 통합 페달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측면도인 바, 즉 소정의 길이를 가진 하나의 중심축(1)에 직사각형상을 하고서 한쪽 면은 상기 중심축의 길이와 동일한 길이를 가진 브레이크 페달(2)의 한쪽 측면이 회동가능하게 끼워져 장착되고, 또 상기 브레이크 페달(2)과 동일한 형상을 한 가속 페달(3)은 중심축을 중심으로 해서 상기 브레이크 페달과 대향되는 반대편에 배열되면서 브레이크 페달과 마찬가지로 그 한쪽 면이 중심축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브레이크 페달(2)이 운전자의 운전조작으로 중심축(1)을 중심으로 해서 회동될 때에 브레이크 페달(2)의 운동은 상기 가속 페달(3)에 어떠한 영향도 끼치지 않도록 브레이크 페달(2)이 중심축에 조립되고, 또 상기 가속 페달(3)도 브레이크 페달(2)과 마찬가지 방식으로 중심축에 조립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브레이크 페달(2)과 가속 페달(3)은 각각 운전자가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평판형상을 하고 있고, 또 각 페달들은 바깥쪽으로 연장될수록 완만하게 윗쪽으로 굽혀져 있는 데, 이렇게 하면 운전자가 어느 한쪽의 페달을 조작한 다음에 다른쪽 페달을 조작하기 위해 페달을 따라 운전자의 발을 이동시킬 때에 운전자의 발이 적절히 이동된 후에는 페달의 구부러진 면에 운전자의 발이 닿게 되므로, 운전자에게 발의 적절한 이동상태를 용이하게 인지시켜 주면서 발의 이동범위도 규제하여 주게 되어, 페달의 오조작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페달의 조작도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중심축(1)은 차체에 장착된 고정브라켓(4)에 끼워져 안정되게 지지되고, 상기 각 페달(2,3)이 중심축(1)에 연결되는 부위에는 각각 리턴스프링이 장착되어, 운전자가 발로서 각 페달을 조작한 후에 페달을 해방시켜주면 각 페달은 상기 리턴스프링의 탄성복원력으로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오게 되어 있다.
또 상기 각 페달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에 대해 대략 60도의 각도를 두고 경사지게 장착되어, 운전자에게 조작편의를 제공해주게 되어 있고, 상기 브레이크 페달(2)의 이면에는 브레이크 장치(도시되지 않음)와 연결된 푸시로드(5)가 연결됨과 더불어 상기 가속 페달(3)의 이면에도 가속장치(도시되지 않음)와 연결된 푸시로드(6)가 연결되어, 운전자에 의한 각 페달(2,3)의 조작운동은 각각의 푸시로드를 통해 브레이크 장치와 가속장치로 전달되어, 차량에 브레이크가 걸리거나 혹은 차량의 속도가 가속되게 되어 있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통합 페달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것인 바, 즉 운전자가 발로서 가속페달(3)을 밟아 주게 되면, 상기 가속페달(3)이 그 중심축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동되면서 푸시로드(6)를 눌러줌에 따라 가속페달의 조작운동이 푸시로드를 통해 가속장치로 전달되어 차량의 주행속도가 가속되게 된다.
그리고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2)을 조작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운전자가 발을 들어 올릴 필요가 없이 발의 뒷굽을 중심으로 발바닥을 회동시켜 주면 발바닥면이 간단하게 브레이크 페달 위에 올려 놓아지게 되므로, 각 페달을 조작하기 위한 운전자의 조작운동량이 최소한을 줄어 들게 되어 운전피로를 효과적으로 경감시켜줄 수 있게 되며, 상기와 같이 브레이크 페달 위에 발바닥을 올려 놓은 상태에서 브레이크 페달을 눌러주면 가속페달과 동일한 방식으로 브레이크 페달이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되면서 푸시로드를 통해 브레이크 장치를 조작하여 주게 되므로, 브레이크가 걸리게 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 가속 통합 페달에 의하면, 브레이크 페달과 가속 페달이 하나의 중심축에 서로 인접하게 배열된 상태에서 회동가능하게 장착됨에 따라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과 가속 페달을 조작하기가 극히 용이하게 될 뿐만 아니라 각 페달을 조작하기 위한 운동량도 최소한으로 줄어 들게 되어, 운전자의 운전피로를 효과적으로 경감시켜 줄 수 있는 잇점이 있다.

Claims (3)

  1. 차체에 장착된 고정브라켓과, 이 고정브라켓에 끼워져 지지된 중심축, 이 중심축에 각각 서로 대향되게 배열되어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면서 브레이크 장치와 가속장치에 푸시로드를 매개로 연결된 브레이크 페달과 가속 페달 및, 상기 각 브레이크 페달과 가속 페달의 조작 후에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켜주기 위해 각 페달이 중심축에 연결되는 부위에 장착된 리턴스프링을 갖춘 브레이크와 가속 통합 페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페달이 차체에 대해 소정의 각도를 두고 경사지게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와 가속 통합 페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페달이 사각 평판 형상을 하고서 바깥쪽 면은 완만하게 굴곡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와 가속 통합 페달.
KR1019970044135A 1997-08-30 1997-08-30 브레이크와 가속 통합 페달 KR1999002066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4135A KR19990020669A (ko) 1997-08-30 1997-08-30 브레이크와 가속 통합 페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4135A KR19990020669A (ko) 1997-08-30 1997-08-30 브레이크와 가속 통합 페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0669A true KR19990020669A (ko) 1999-03-25

Family

ID=660381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4135A KR19990020669A (ko) 1997-08-30 1997-08-30 브레이크와 가속 통합 페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20669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3158B1 (ko) * 2002-09-11 2005-04-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통합형 페달
KR100800032B1 (ko) * 2006-10-24 2008-01-31 마지현 브레이크와 엑셀레이터 통합장치
KR100946495B1 (ko) * 2003-12-02 2010-03-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통합형 회전 제어 페달장치
US8305930B2 (en) 2008-10-09 2012-11-06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Hybrid clustering based data aggregation method for multi-target tracking in wireless sensor network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3158B1 (ko) * 2002-09-11 2005-04-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통합형 페달
KR100946495B1 (ko) * 2003-12-02 2010-03-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통합형 회전 제어 페달장치
KR100800032B1 (ko) * 2006-10-24 2008-01-31 마지현 브레이크와 엑셀레이터 통합장치
WO2008050982A1 (en) * 2006-10-24 2008-05-02 Ji Hyun Ma Break and excelator unity device
US8305930B2 (en) 2008-10-09 2012-11-06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Hybrid clustering based data aggregation method for multi-target tracking in wireless sensor network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522556B1 (en) Brake-and-accelerator pedal assembly
KR19990020669A (ko) 브레이크와 가속 통합 페달
JPH08142818A (ja) 自走車両用ペダル機構
JP2009037513A (ja) ペダル装置
KR101316145B1 (ko) 오르간 타입 가속 페달
JPH03168816A (ja) 移動車輌の走行ペタル
JPS6245948Y2 (ko)
KR100946495B1 (ko) 통합형 회전 제어 페달장치
KR200220801Y1 (ko) 자동차의 답면 일체형 페달장치
JPH0259913A (ja) トラクタ等の走行ペタル
KR200154346Y1 (ko) 조작이 용이한 페달 시스팀
JP2521099Y2 (ja) 水陸両用車におけるエンジンコントロール装置
JP2000326753A (ja) アクセルペダル装置
JPH0220093Y2 (ko)
JP2004106690A (ja) 車両用ステアリング操作装置
JPH0217164Y2 (ko)
JPS5923619Y2 (ja) 農用トラクタのアクセルペダル
JP2674311B2 (ja) 車両用アクセルペダル装置
JPH0454355U (ko)
JP3607995B2 (ja) 指操作式クラッチレバー
JP2586048Y2 (ja) ターンシグナルスイッチのキャンセル機構
KR100536317B1 (ko) 차량 페달의 높이 조절 구조
JPH0640264A (ja) クルーズコントロール装置
JPH0632152Y2 (ja) シフトレバー模擬機構
KR200142370Y1 (ko) 차량의 직선궤적식 페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