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4346Y1 - 조작이 용이한 페달 시스팀 - Google Patents

조작이 용이한 페달 시스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4346Y1
KR200154346Y1 KR2019950016766U KR19950016766U KR200154346Y1 KR 200154346 Y1 KR200154346 Y1 KR 200154346Y1 KR 2019950016766 U KR2019950016766 U KR 2019950016766U KR 19950016766 U KR19950016766 U KR 19950016766U KR 200154346 Y1 KR200154346 Y1 KR 20015434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dal
arm shaft
present
cylind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167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4955U (ko
Inventor
안영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500167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4346Y1/ko
Publication of KR97000495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495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43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4346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6/00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 And Mounting Of Devices That Control Transmission Of Motive Force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 Braking Elements And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작이 용이한 페달 시스팀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조작이 용이한 페달 시스팀(10)은, 일단부가 대시 크로스 멤버측에 선회가능하게 고정되는 제1아암샤프트(12), 제1아암샤프트(12)의 다른 단부에 선회가능한 방식으로 연결되는 페달 플레이트(16), 일단부가 제1아암샤프트(12)의 하방에서 페달 플레이트(16)에 선회가능한 방식으로 연결되는 제2아암샤프트(14), 제2아암샤프트(14)의 다른 단부에 제공되어 페달의 작동에 따른 제2아암샤프트(14)의 이동을 안내하게 되는 실린더(18), 및 실린더(18)내에 제공되어 제2아암샤프트(14)를 일방향으로 압압하게 되는 탄성부재(20)을 구비한다.
본 고안의 상기 구성에 따라, 페달의 원활하고 신뢰성있는 조작이 보장되고 운전성이 개선된다.

Description

조작이 용이한 페달 시스팀
제1도는 선행기술에 따른 페달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조작이 용이한 페달 시스팀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페달 시스팀 12 : 제1아암샤프트
14 : 제2아암샤프트 16 : 페달 플레이트
18 : 실린더 20 : 스프링
22 : 힌지축 24 : 탭부분
26 : 돌출부 50 : 페달
52 : 아암 샤프트 54 : 페달 플레이트
본 고안은 페달 시스팀에 관한 것이고, 특히 페달의 원활하고 신뢰성 있는 조작을 보장하여 운전성을 개선하게 되는 조작이 용이한 페달 시스팀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에는 브레이크 페달 또는 클러치 페달이 제공되며, 브레이크 페달은 주행하는 자동차를 감속 또는 정지시키기 위해 사용되고, 클러치 페달은 엔진과 변속기 사이의 동력전달을 절환하기 위해 사용된다. 제1도를 참조하면, 선행기술에 따른 전형적인 페달의 구조를 도시하며, 페달(50)은 서로 결합되는 아암 샤프트(52) 및 페달 플레이트(54)를 구비한다.
상기와 같이 구조되는 선행기술에 따른 페달에 있어서는, 아암 샤프트(52) 및 페달 플레이트(54)가 서로에 대해 고정적으로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페달의 각도변화에 따라 발바닥과 페달 플레이트의 접촉면적이 변화되어, 운전자가 발뒷부분(AHP : Accel heel point)을 한곳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페달을 조작할 수가 없었고 페달의 각도변화에 따라 발뒷부분을 이동시켜야만 하였으며 이에따라 페달의 조작성이 나빠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같은 선행기술에 따른 페달에 내재되었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페달의 원활하고 신뢰성있는 조작을 보장하여 운전성을 개선하게 되는 조작이 용이한 페달 시스팀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른 조작이 용이한 페달 시스팀에 의해 달성되고; 본 고안에 따른 상기 페달 시스팀은, 일단부가 대시 크로스 멤버측에 선회가능하게 고정되는 제1아암샤프트, 제1아암샤프트의 다른 단부에 선회가능한 방식으로 연결되는 페달 플레이트, 일단부가 제1아암샤프트의 하방에서 페달 플레이트에 선회가능한 방식으로 연결되는 제2아암샤프트, 제2아암샤프트의 다른 단부에 제공되어 페달의 작동에 따른 제2아암샤프트의 이동을 안내하게 되는 실린더, 및 실린더내에 제공되어 제2아암샤프트를 일방향으로 압압(biasing)하게 되는 탄성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상기 특성에 따라, 페달이 밟혀지면, 페달 플레이트가 제1아암샤프트에 대해 선회되고 제2아암샤프트의 다른 단부에 제공되는 탄성부재가 작용하여 페달 플레이트를 밀어내게 되므로 페달의 각도가 변화되는 경우에도 발바닥과 페달 플레이트의 접촉면적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게 되어 페달의 각도변화에 따라 운전자가 발뒷부분을 이동시킬 필요가 없게 되므로, 페달의 원활하고 신뢰성있는 조작이 보장되고 운전성이 개선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술하며, 도면 전체를 통하여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제2도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조작이 용이한 페달 시스팀(10)의 구조를 도시한다. 페달 시스팀(10)은 제1아암샤프트(12), 제2아암샤프트(14) 및 페달 플레이트(16)를 포함한다.
제1아암샤프트(12)의 일단부는 대시 크로스 멤버(도시안됨)측에 선회가능하게 고정되고, 제1아암샤프트(12)의 다른 단부에는 페달 플레이트(16)이 힌지축(22)에 의해 선회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힌지축(22)는 페달 플레이트(16)의 뒷면에 형성되는 탭부분(24)와 제1아암샤프트(12)를 관통하여 통과하게 된다.
제1아암샤프트(12)의 하방에서 페달 플레이트(16)의 뒷면에는 돌출부(26)이 형성되며, 돌출부(26)에는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구멍이 형성된다. 상기 구멍에는 제2아암샤프트(14)의 일단부가 선회가능한 방식으로 끼워지게 된다.
제2아암샤프트(14)의 다른 단부는 실린더(18)내에 수납되어 페달 플레이트(16)의 선회에 따라 상기 실린더(18)내에서 자유롭게 이동될 수 있게 된다. 실린더(18)의 내부에는 스프링(20)이 제공되어 제2아암샤프트(14)의 다른 단부를 실린더(18)의 외측으로 압압하게 된다(밀어내게 된다).
페달이 밟혀져서 제1아암샤프트(12)의 각도가 변화되며, 페달 플레이트(16)은 힌지축(22)을 중심으로 선회되고 제2아암샤프트(14)의 다른 단부에 제공되는 스프링(20)이 제2아암샤프트(14)를 외측으로 밀어내게 되므로 운전자의 발바닥과 페달 플레이트(16)의 접촉면적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페달의 각도변화에 따라 운전자가 발뒷부분을 이동시킬 필요가 없게 된다.
본 고안의 상기한 바와같은 구성에 따라, 페달의 원활하고 신뢰성있는 조작이 보장되고 운전성이 개선되는 효과가 도출된다.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고안의 정신이나 분야를 이탈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고안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다.

Claims (1)

  1. 조작이 용이한 페달 시스팀(10)에 있어서, 일단부가 대시 크로스 멤버측에 선회가능하게 고정되는 제1아암샤프트(12), 제1아암샤프트(12)의 다른 단부에 선회가능한 방식으로 연결되는 페달 플레이트(16), 일단부가 제1아암샤프트(12)의 하방에서 페달 플레이트(16)에 선회가능한 방식으로 연결되는 제2아암샤프트(14), 제2아암샤프트(14)의 다른 단부에 제공되어 페달의 작동에 따른 제2아암샤프트(14)의 이동을 안내하게 되는 실린더(18), 및 실린더(18)내에 제공되어 제2아암샤프트(14)를 일방향으로 압압하게 되는 탄성부재(2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이 용이한 페달 시스팀.
KR2019950016766U 1995-07-07 1995-07-07 조작이 용이한 페달 시스팀 KR20015434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16766U KR200154346Y1 (ko) 1995-07-07 1995-07-07 조작이 용이한 페달 시스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16766U KR200154346Y1 (ko) 1995-07-07 1995-07-07 조작이 용이한 페달 시스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4955U KR970004955U (ko) 1997-02-19
KR200154346Y1 true KR200154346Y1 (ko) 1999-08-02

Family

ID=194177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16766U KR200154346Y1 (ko) 1995-07-07 1995-07-07 조작이 용이한 페달 시스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434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4955U (ko) 1997-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19807B1 (ko) 히스테리시스-발생 구조물을 구비한 전자식 스로틀 제어장치용 페달 조립체
KR200154346Y1 (ko) 조작이 용이한 페달 시스팀
JPH10172389A (ja) レバースイッチ装置
KR100348042B1 (ko) 차량의 가속페달 설치장치
KR200142370Y1 (ko) 차량의 직선궤적식 페달
KR100522507B1 (ko) 페달 아암용 서포트 브라켓 구조
KR200157126Y1 (ko) 클러치 페달
KR100418950B1 (ko) 자동차의 클러치 페달 어셈블리
KR200220801Y1 (ko) 자동차의 답면 일체형 페달장치
KR200150876Y1 (ko) 주차 브레이크 레버 어셈블리
KR0119989Y1 (ko) 엑셀러레이터 페달의 조작력 선형화장치
JPH051465Y2 (ko)
JP2555818Y2 (ja) アクセルペダル
JPS5941176Y2 (ja) 四輪駆動トラクタのパ−キングブラケット装置
KR200152460Y1 (ko) 자동차의 액셀러레이터
JPS5820414Y2 (ja) 車輌用自動変速機のシフトレバ−デイテント構造
JPS5830750Y2 (ja) ペダル操作感知装置
KR20080040870A (ko) 자동차용 클러치 페달의 조작감 향상 구조
JP2526079Y2 (ja) レバー操作力軽減装置
KR100219459B1 (ko) 자동차의 페달
KR970062388A (ko) 자동차의 클러치 자동차단구조
KR970074428A (ko) 장애자용 차량의 핸드 컨트롤 레버 작동장치
KR970061597A (ko) 자동차용 스로틀밸브 케이블의 취부구조
JPH0579618U (ja) クラッチペダル構造
KR19980076969A (ko) 자동차 클러치페달 답력 저감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