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40870A - 자동차용 클러치 페달의 조작감 향상 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클러치 페달의 조작감 향상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40870A
KR20080040870A KR1020060108794A KR20060108794A KR20080040870A KR 20080040870 A KR20080040870 A KR 20080040870A KR 1020060108794 A KR1020060108794 A KR 1020060108794A KR 20060108794 A KR20060108794 A KR 20060108794A KR 20080040870 A KR20080040870 A KR 200800408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utch pedal
clutch
push rod
operation feeling
release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87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재호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087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40870A/ko
Publication of KR200800408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08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vehicle transmissions, or part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K23/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vehicle transmissions, or part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ain transmission clutch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30Controlling members actuated by foo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Operated Clutches (AREA)
  • Arrangement And Mounting Of Devices That Control Transmission Of Motive Fo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클러치 페달의 조작감 향상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턴오버 스프링을 사용하지 않고 리턴 스프링만을 사용하면서도 클러치의 동력전달 및 동력끊어짐을 클러치 페달에서 느낄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클러치 페달의 조작감 향상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턴오버 스프링을 사용하지 않고 단순한 리턴 스프링만을 사용하면서도 운전자가 조작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함으로써, 클러치 페달 어셈블리의 구성을 단순화하고 조작감을 설정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자동차용 클러치 페달의 조작감 향상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클러치 페달(52)의 회전중심이 되는 힌지(51)에 설치되어 클러치 페달(52)에 일정 탄성으로 반력을 인가하는 리턴 스프링(1)과, 상기한 클러치 페달(52)에 의해 작동하는 릴리즈 실린더(53)의 푸시로드(P) 종단에 설치되어 있는 타원형의 마찰부(2)와, 상기한 푸시로드(P)가 이동할 때 클러치의 연결 및 해제 위치에서 마찰부(2)와 마찰하면서 푸시로드(P)가 통과되도록 릴리즈 실린더(53)의 내부에 설치된 고무 재질의 턴오버부재(3)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자동차용 클러치 페달의 조작감 향상 구조, 턴오버 스프링

Description

자동차용 클러치 페달의 조작감 향상 구조{OPERATION FEELING IMPROVING STRUCTURE OF CLUTCH PEDAL FOR AUTOMOBILE}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클러치 페달의 조작감 향상 구조가 적용된 클러치 페달 어셈블리를 도시한 사시도,
도2는 도1에서 릴리즈 실린더를 도시한 단면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클러치 페달의 답력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
도4는 일반적인 자동차용 클러치 페달 어셈블리를 도시한 정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리턴스프링 2: 마찰부
3: 턴오버부재 51: 힌지
53: 릴리즈 실린더 P: 푸시로드
본 발명은 자동차용 클러치 페달의 조작감 향상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턴오버 스프링을 사용하지 않고 리턴 스프링만을 사용하면서도 클러치의 동력전달 및 동력끊어짐을 클러치 페달에서 느낄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클러치 페달의 조작감 향상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엔진에서 발생된 동력을 변속기를 통해 변속시키면서 타이어로 전달하여 주행을 하게 되는 바, 수동 변속기 차량에서는 상기한 엔진과 변속기의 사이에 동력을 단속할 수 있는 클러치 어셈블리가 설치되어 있게 된다.
상기한 클러치 어셈블리는 운전자가 클러치 페달을 조작하면 마스터 실린더 및 릴리스 실린더를 통해 클러치 디스크에 작동력이 전달됨으로써, 클러치 디스크가 플라이 휠과 접촉되거나 이격되면서 동력을 단속하게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한 클러치 페달을 밟거나 발을 뗄 때 운전자가 동력의 전달 및 해제를 느낄 수 있도록 턴오버스프링이 장착되어 있는 바, 이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켓(50)에 일단이 힌지(51)로 설치되어 회전 가능한 클러치 페달(52)과, 상기한 클러치 페달(52)에 힌지(51)로 연결되어 클러치 페달(52)을 밟았을 때 작동하는 릴리즈 실린더(53)와, 릴리즈 실린더(53)와 클러치 페달(52)을 연결한 힌지(51)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클러치 페달(52)에 설치되어 있는 턴오버 스프링(54)으로 이루어져 있다.
즉, 상기한 턴오버 스프링(54)은 클러치 페달(52)의 회전중심과는 편심되도록 릴리즈 실린더(53)와 연결된 힌지(55)에 설치되어 클러치 페달(52)을 밟을 때 일정 깊이(동력 전달 및 해제 위치)까지는 반력을 주고 그 이상이 되면 스프링력이 역적되어 답력이 되도록 함으로써, 운전자가 클러치 페달(52)을 밟을 때 동력의 전달 및 해제(조작감)를 느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턴오버 스프링을 클러치 페달과 릴리즈 실린더의 힌지 사이에 설치하여 운전자가 조작감을 느끼도록 하게 되면, 턴오버 스프링을 설치하는 작업이 복잡함과 아울러 턴오버 스프링의 히스테리시스 구간을 설정하는 것이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턴오버 스프링이 점차 노후화되면서 운전자가 조작감을 느끼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턴오버 스프링을 사용하지 않고 단순한 리턴 스프링만을 사용하면서도 운전자가 조작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함으로써, 클러치 페달 어셈블리의 구성을 단순화하고 조작감을 설정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자동차용 클러치 페달의 조작감 향상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클러치 페달의 회전중심이 되는 힌지에 설치되어 클러치 페달에 일정 탄성으로 반력을 인가하는 리턴 스프링과, 상기한 클러치 페달에 의해 작동하는 릴리즈 실린더의 푸시로드 종단에 설치되어 있는 타원형의 마찰부와, 상기한 푸시로드가 이동할 때 클러치의 연결 및 해제 위치에서 마찰부와 마찰하면서 푸시로드가 통과되도록 릴리즈 실린더의 내부에 설치된 고무 재질의 턴오버부재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1과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클러치 페달의 조작감 향상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와 릴리즈 실린더의 단면도로서, 클러치 페달(52)의 회전중심이 되는 힌지(51)에 설치되어 클러치 페달(52)에 반력을 인가하는 리턴 스프링(1)과, 상기한 클러치 페달(52)에 의해 작동하는 릴리즈 실린더(53)의 푸시로드(P) 종단에 설치되어 있는 타원형의 마찰부(2)와, 상기한 푸시로드(P)가 이동할 때 마찰부(2)와 가장 내경이 작은 부분이 마찰하도록 형성되고 릴리즈 실린더(53)의 내부에 설치된 고무 재질의 턴오버부재(3)로 이루어져 있다.
즉, 상기한 클러치 페달(52)의 반력은 리턴 스프링(1)이 담당하고, 클러치 페달(52)의 작동 시 푸시 로드(P)가 이동하면서 마찰부(2)가 턴오버부재(3)에 마찰을 하게 되면, 클러치 페달(52)의 답력에 변화를 주게 됨으로써, 운전자가 클러치의 조작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물론, 상기한 턴오버부재(3)의 설치 위치는 릴리즈 실린더(53) 작동 시, 도시되지 않은 클러치 디스크가 플라위 휠과 접촉 및 이격되는 위치에 설치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운전자가 주행중 변속을 하기 위해 클러치 페달(52)을 밟게 되는 바, 이때 클러치 페달(52)은 리턴 스프링(1)의 탄성만으로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운전자가 발에 받는 반력은 스프링의 탄성에 비례하게 된다.
즉, 운전자가 클러치 페달(52)을 밟으면서 리턴 스프링(1)의 탄성을 극복할 정도의 답력을 가하게 되는 것으로서, 클러치 페달(52)을 계속 밟게 되면 릴리즈 실린더(53)의 푸시로드(P)가 턴오버부재(3)에 근접하게 된다.
턴오버 부재(3)에 푸시로드(P)가 근접하게 되면, 푸시로드(P)의 선단에 형성 되어 있는 타원형 마찰부(2)가 턴오버부재(3)에 접촉되면서 통과하게 된다.
이때, 상기한 턴오버부재(3)의 가장 직경이 작은 부분에서는 마찰부(2)가 걸리면서 소정 마찰력을 발생시키게 되고, 상기한 마찰력에 의해 푸시로드(P)를 미는 클러치페달(52)에 반력이 증가하게 된다.
턴오버 부재(3)에 의해 순간적으로 클러치페달(52)에 인가되는 반력이 증가하게 되면, 이 부분에서 클러치 페달(52)을 밟는 답력이 증가하게 될 것이고, 마찰부(2)가 턴오버부재(3)를 통과하게 되면 클러치 페달(52)에 인가되는 반력이 감소하게 될 것이다.
마찰부(2)가 턴오버부재(3)를 통과하면서 급격하게 반력이 감소하게 되면, 결과적으로 운전자가 클러치 페달(52)을 밟을 때 턴오버부재(3) 위치에서 페달 답력의 변화를 느끼게 되는 것이고, 이로 인해 클러치의 작동 여부를 느낌으로 알 수 있게 된다.
물론, 상기한 턴오버부재(3)와 푸시로드(P)의 마찰부(2)가 접촉되어 페달 답력이 증가하는 위치는 클러치 디스크가 플라이 휠과 접촉 및 해제되는 위치가 된다.
상기한 페달 답력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턴스프링(1)에 의한 페달 답력 증가는 소정 경사각을 이루면서 직선을 그리게 되고, 턴오버부재(3) 및 마찰부(2)에 의해 답력 증가는 일부분(마찰부와 접촉되는 위치)에서 급격한 상승을 나타내게 되는 바, 상기한 리턴 스프링(1)의 답력과 턴오버부재(3)의 답력의 합이 완만한 곡선을 그리면서 클러치 페달(52)의 답력을 변화시키 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한 리턴 스프링(1)만을 사용하고 기존의 턴오버 스프링을 사용하지 않으면, 리턴 스프링(1)의 가격이 턴오버스프링에 비해 매우 저렴하기 때문에 클러치 페달 어셈블리의 제작경비가 절감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클러치 페달 어셈블리에서 클러치 페달의 조작감을 느낄 수 있도록 설치되는 턴오버스프링을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운전자가 클러치의 조작감을 느낄 수 있도록 구성함과 아울러 클러치 페달 어셈블리의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잇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1)

  1. 클러치 페달의 회전중심이 되는 힌지에 설치되어 클러치 페달에 일정 탄성으로 반력을 인가하는 리턴 스프링과, 상기한 클러치 페달에 의해 작동하는 릴리즈 실린더의 푸시로드 종단에 설치되어 있는 타원형의 마찰부와, 상기한 푸시로드가 이동할 때 클러치의 연결 및 해제 위치에서 마찰부와 마찰하면서 푸시로드가 통과되도록 릴리즈 실린더의 내부에 설치된 고무 재질의 턴오버부재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클러치 페달의 조작감 향상 구조.
KR1020060108794A 2006-11-06 2006-11-06 자동차용 클러치 페달의 조작감 향상 구조 KR2008004087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8794A KR20080040870A (ko) 2006-11-06 2006-11-06 자동차용 클러치 페달의 조작감 향상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8794A KR20080040870A (ko) 2006-11-06 2006-11-06 자동차용 클러치 페달의 조작감 향상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0870A true KR20080040870A (ko) 2008-05-09

Family

ID=396482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8794A KR20080040870A (ko) 2006-11-06 2006-11-06 자동차용 클러치 페달의 조작감 향상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4087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01896B1 (en) 2018-04-03 2019-09-03 Hyundai Motor Company Pedal for vehicle capable of adjusting pedal effort by use of deten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01896B1 (en) 2018-04-03 2019-09-03 Hyundai Motor Company Pedal for vehicle capable of adjusting pedal effort by use of dete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0241B1 (ko) 자동차용 클러치페달장치
JP4394031B2 (ja) ブレーキペダル装置
KR101491379B1 (ko) 차량용 클러치페달의 답력 저감장치
KR101509996B1 (ko) 차량용 클러치페달의 답력 저감장치
KR101526730B1 (ko) 차량용 브레이크페달의 답력 균일화 장치
KR20080040870A (ko) 자동차용 클러치 페달의 조작감 향상 구조
KR101918303B1 (ko) 차량용 클러치페달의 답력 저감장치
KR101649264B1 (ko) 답력 가변형 가속페달 장치
KR100381560B1 (ko) 자동차의단일-페달장치및기존의페달장치를단일-페달장치로교체하는방법
KR101535024B1 (ko) 차량용 클러치페달의 답력 저감장치
JP2000326754A (ja) 自動車用アクセルペダル装置
JP2008150017A (ja) クラッチシステム
KR100969097B1 (ko) 가속 페달의 스톱퍼 장치
KR101510047B1 (ko) 차량용 클러치페달의 답력 저감장치
JP2005014899A (ja) アクセルペダル装置
KR20080100872A (ko) 페달비 가변형 브레이크 페달유닛
KR100418950B1 (ko) 자동차의 클러치 페달 어셈블리
KR101567728B1 (ko) 차량용 클러치페달의 답력 저감장치
KR101241611B1 (ko) 액셀페달 능동제어 및 킥다운 조작감 발생 장치
KR100829315B1 (ko) 수동 변속기 차량용 클러치의 조작감 향상 장치
JP3869665B2 (ja) 樹脂ペダルのロッド連結構造
KR101583964B1 (ko) 차량용 클러치페달의 답력 저감장치
KR200492155Y1 (ko) 보조 브레이크 페달
KR100974706B1 (ko) 자동차의 페달 유동 방지장치
KR100276916B1 (ko) 차량용 반자동 클러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