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18853A - 제설기용 삽날장치 - Google Patents

제설기용 삽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18853A
KR20040018853A KR1020020050921A KR20020050921A KR20040018853A KR 20040018853 A KR20040018853 A KR 20040018853A KR 1020020050921 A KR1020020050921 A KR 1020020050921A KR 20020050921 A KR20020050921 A KR 20020050921A KR 20040018853 A KR20040018853 A KR 200400188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now
blade
plate
fixing
snow remov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09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65479B1 (ko
Inventor
이계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자동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자동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자동기
Priority to KR10-2002-00509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5479B1/ko
Publication of KR200400188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88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54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5479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5/00Removing snow or ice from roads or like surfaces; Grading or roughening snow or ice
    • E01H5/04Apparatus propelled by animal or engine power; Apparatus propelled by hand with driven dislodging or conveying levelling elements, conveying pneumatically for the dislodged material
    • E01H5/06Apparatus propelled by animal or engine power; Apparatus propelled by hand with driven dislodging or conveying levelling elements, conveying pneumatically for the dislodged material dislodging essentially by non-driven elements, e.g. scraper blades, snow-plough blades, scoop blades
    • E01H5/063Apparatus propelled by animal or engine power; Apparatus propelled by hand with driven dislodging or conveying levelling elements, conveying pneumatically for the dislodged material dislodging essentially by non-driven elements, e.g. scraper blades, snow-plough blades, scoop blades by snow-plough blades tiltable for shock-absorbing purp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5/00Removing snow or ice from roads or like surfaces; Grading or roughening snow or ice
    • E01H5/04Apparatus propelled by animal or engine power; Apparatus propelled by hand with driven dislodging or conveying levelling elements, conveying pneumatically for the dislodged material
    • E01H5/06Apparatus propelled by animal or engine power; Apparatus propelled by hand with driven dislodging or conveying levelling elements, conveying pneumatically for the dislodged material dislodging essentially by non-driven elements, e.g. scraper blades, snow-plough blades, scoop blades
    • E01H5/061Apparatus propelled by animal or engine power; Apparatus propelled by hand with driven dislodging or conveying levelling elements, conveying pneumatically for the dislodged material dislodging essentially by non-driven elements, e.g. scraper blades, snow-plough blades, scoop blades by scraper blades
    • E01H5/062Apparatus propelled by animal or engine power; Apparatus propelled by hand with driven dislodging or conveying levelling elements, conveying pneumatically for the dislodged material dislodging essentially by non-driven elements, e.g. scraper blades, snow-plough blades, scoop blades by scraper blades by scraper blades displaceable for shock-absorbing purp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5/00Removing snow or ice from roads or like surfaces; Grading or roughening snow or ice
    • E01H5/04Apparatus propelled by animal or engine power; Apparatus propelled by hand with driven dislodging or conveying levelling elements, conveying pneumatically for the dislodged material
    • E01H5/06Apparatus propelled by animal or engine power; Apparatus propelled by hand with driven dislodging or conveying levelling elements, conveying pneumatically for the dislodged material dislodging essentially by non-driven elements, e.g. scraper blades, snow-plough blades, scoop blades
    • E01H5/065Apparatus propelled by animal or engine power; Apparatus propelled by hand with driven dislodging or conveying levelling elements, conveying pneumatically for the dislodged material dislodging essentially by non-driven elements, e.g. scraper blades, snow-plough blades, scoop blades characterised by the form of the snow-plough blade, e.g. flexible, or by snow-plough blade accessories
    • E01H5/066Snow-plough blade accessories, e.g. deflector plates, skid sho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Of Streets, Tracks, Or Bea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제설용 삽(Plow)의 삽날 파손방지, 정비의 용이성 및 안전성과 제설 작업성을 향상시킨 제설기용 삽날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차량의 앞쪽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도로 상의 눈을 제설하도록 한 제설용 삽에는 충격 흡수용 삽날을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함과 아울러 제설기 몸체에 가해지는 충격은 제설용 삽의 승하강 장치를 구성하는 실린더로 하여금 자유롭게 승하강되면서 완화되게 하였고, 또 제설기에는 장거리 이동시 그 삽의 하강방지를 위한 안전장치(Locking System)와 아울러 도로 상으로부터 삽날을 지지하는 스키드 슈(Skid Shoe)를 구비한것이다.

Description

제설기용 삽날장치{ Plow Device using Snowplow}
본 발명은 제설기용 삽날장치에 관 한 것으로, 특히 제설기에는 제설 작업시 충격을 받게 되는 삽날 부분의 파손 방지를 위한 충격 흡수 장치와 아울러 장거리 이동시 하강방지를 위한 안전장치 등을 구비한 제설기용 삽날장치에 관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 상에 쌓이는 눈은 통행에 지장을 주기 때문에, 도로의 원활한 소통을 위하여 제설함은 주지된 사실이다. 그 제설기 중의 하나가 국내 등록 실용신안공보에 등록번호 제20-243304호(01.8.7)로 등록공고된 "제설기"이다.
그러나, 위와 같은 종래의 제설기는 도로 위의 눈을 직접적으로 치우도록 된 제설용 삽의 제설용 삽날 부분이 제설용 삽의 제설판 부위와 일체로 된 구조를 이루고 있다.
이 때문에 도로 상에 쌓인 눈을 치우는 과정에서 제설용 삽날이, 도로 면에 고정 부착된 도로 안내용 표지물(예컨대, 반사판 등)이나 도로 상에 설치된 맨홀 뚜겅 등에 부딪치면서 충격을 받게되는 경우, 대체적으로 수지제로 된 제설용 삽날부분은 상기 물건들(맨홀 뚜껑이나 도로 표지물 등)에 저항하지 못하고 쉽게 파손거나 손상되는 폐단이 있고, 이러한 폐단은 삽날을 새것으로 교체하지 않으면 안되는 등의 경제적인 불 이익을 얻게되는 문제도 있다.
또한, 상기 제설용 삽날은 볼트에 의하여 직접적으로 제설용 삽의 제설판에 체결 고정된 구조를 이루고 있다. 이 때문에 상기와 같은 이유로인한 제설용 삽날의 파손시에는, 볼트를 풀어서 제설판으로부터 완전히 분리하지 않으면 삽날의 정비나 교체를 쉽게 할 수 없다고 하는 폐단이 있다.
또,제설기는 장거리 이동시 제설용 삽이 도로 면과 접촉되어 파손될 우려가 있게 되는 등의 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목적에서, 제설용 삽을 리프트 실린더에 의하여 상승시킨 상태로서 이동함이 일반적이다.
그러나,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설기는 오직 리프트 실린더의 상승 이동력에 만 의존 한체로 있는 구조이다. 이 때문에 상기 리프트 실린더의 고장시 제설용 삽이 도로 위로 하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별도의 장치가 마련되어 있지 않아서,항시 안전사고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제반 결점들을 해소하고, 제설용 삽(Plow)의 삽날 파손 및 손상 방지를 위한 충격 흡수의 향상과, 파손 혹은 손상된 삽날 정비 및 교체시의 작업성을 향시킨 제설기용 삽날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설기용 삽날장치는 청구항1의 발명과 관련된 차량의 앞쪽에 위치되어 도로 위의 눈을 제설하도록 한 제설판을 구비하고, 상기 제설판은 차량의 앞 범퍼에 탈부착되는 고정 프레임에 승하강 장치를 통하여 연결된 제설용 삽날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설판의 하단에 설치된 힌지부를 구비하고, 그 힌지부에 회동되게 결합되어 도로 상의 눈을 제설하는 삽날을 탈부착되게 지지하기 위한 삽날 탈부착 장치; 상기 제설판의 후측으로부터 상기 삽날 탈부착장치 쪽으로 설치되어 그 삽날탈부착장치의 회동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면서 충격 흡수를 위한 탄성력을 부여하도록 된 탄성수단; 상기 탄성수단에 의해 지지되는 상기 삽날탈부착장치에 탈부착되게 취부되어 상기 제설판과 도로면과의 마찰력을 완화 시키도록된 폴리우레탄 재질의 삽날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한다.
상기에서 삽날 탈부착 장치는 소정 넓이를 갖는 판 구조를 이루어 그 상단부위는 상기 제설판의 힌지부와 직접 결합됨과 아울러 그 후측은 상기 탄성수단에 결합된 가동판과, 상기 가동판의 상기 탄성수단과의 반대 쪽에서 그 가동판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위치되어 상기 삽날부재를 상기 가동판에 고정하기 위한 협지력을 부여하는 다수개 고정편으로 이루어진 탈부착용 클램프; 상기 클팸프의 고정편과 가동판을 관통 설치하여 상기 고정편을 가동편에 고정하기 위한 체결력을 부여하는 볼트 체결용 체결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가동판과 상기 고정편과의 사이에 삽날 부재의 설치 공간을 마련하기 위해 상기 가동판의 일부위는 상기 삽날부재의 두께에 상응하는 크기로 절곡 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충격 흡수용 탄성 수단으로는 실린더 장치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에서 탄성 수단으로는 스프링임을 사용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설작업을 하기위한 소정의 장소로 이동시 제설용 삽의 하강 방지를 위한 안전성을 향상시킨 제설기용 삽날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해, 제설기의 고정 프레임에는 제설 작업을 위한 이동중 상기 승하강장치의 하강 이동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장치가 더 설치되고, 상기 안전장치는 상기 승하강장치에 일체로 고정 설치된 고정용 고리; 상기 고정 프레임의 상기 고정용 고리와의 대응 위치에서 실린더에 의해 구동되게 설치되어 상기 고리에 걸리거나 이로부터 해제될 수 있게 한 고정용 후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삽날탈부착 장치의 후측에 도로에 대한 제설판의 이동을 부드럽게 지지하기 위한 스키드(Skid)장치를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키드 장치는 상기 제설판의 후측에서 일정간격을 두고 직립 상태로 고정 설치된 수개의 포스트(Post); 상기 포스트들의 하단에 도로 면과 접촉되게 설치된 수지 재질로 된 소정형상의 슈(Shoe)부재; 상기 슈부재와 반대되는 상기 포스트의 상단에 설치되어 그 포스트를 해제하거나 고정하기위한 개폐레버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슈 부재는 폴리우레탄 재질로 원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포스트의하단으로부터 비스듬히 경사지게 설치되게 하여 도로면과 접촉하게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에서 승하강 장치는 유압 실린더들로 구성되며, 제설 작업에 따른 제설용 삽이 충격을 받게될 경우 상기 유압 실린더들을 제어하여 상기 승하강 장치를 제설용 삽과 같이 자연스럽게 승하강 이동되게 함에 의해, 제설기 자체를 충격으로부터 보호되게 함이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설기용 삽날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2는 도1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도1의 저면도이고,
도 4는 도1에서 삽(Plow)의 일부 만을 분리하여 표시한 확대 측면도이고,
도 5는 도 4에서 A부분 만을 분리하여 확대 표시한 일부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4의 화살표 B방향에서 보아 표시한 도면이고,
도 7A는 도 6에서 C부분 만을 분리하여 확대 표시한 정면도이고,
도 7B는 도 7A의 측면도이다.
도 8A는 도 1의 "D"부분 만을 분리하여 표시한 도면이고,
도 8B는 도 8A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8B의 "E"부분 만을 분리하여 표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설명*
100 : 제설기120 : 고정 프레임
140 : 제설용 삽의 승하강장치 160 : 제설용 삽(Plow)
162 : 제설판200 : 제설용 삽날장치
220 : 삽날 탈부착장치224 : 클램프
226 : 볼트 체결공240 : 탄성수단
260 : 삽날부재300 : 안전장치
400 : 스키드(Skid) 장치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보다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설기용 삽날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2는 도1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도1의 저면도이다.
도면 부호(100)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제설기를 표시한 것으로, 상기 제설기(100)은 차량(1)의 앞쪽에 장착되어 도로 상의 눈을 제설한다. 상기 제설기(100)의 구성을 대별하면, 차량(1)의 앞 범퍼에 탈부착되는 대략 장방형의 고정 프레임(120), 상기 고정 프레임(120)에 승하강 장치(140)을 통하여 연결된 제설용 삽(160) 및 그 제설용 삽(160)에 일체로 장착된 본 발명의 핵심구성인 제설용 삽날 장치(200)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에서 차량은 트럭 종류이며, 그 차량의 앞 범퍼 부위에 탈착되게 장착되는 상기 고정 프레임(120)은 차량(1)의 앞 펌퍼 부위에 부착함을 쉽도록 하고자 다수개의 금속 부재들을 용접 결합하여 만든 대략 장방형 틀체이다.
상기 제설용 삽의 승하강 장치(140)은 상기 제설용 삽(160)과 고정 프레임(120)의 사이에서 상하로 소정 간격을두고 위치되어 일단(도1에서 보아 우측부위)은 상기 고정 프레임(120)에 회동되게 힌지(141a)구조로 결합되어 있고, 그 반대 단(도1에서 보아 좌측부위)은 상기 제설용 삽(160)의 후측에 힌지(141b)구조로 결합된 승하강 지지프레임들(144a,144b)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승하강 지지프레임들(144a,144b)의 외형은 도 2의 표시와 같이, 대략 삼각형상을 이루고 있다.
또한 상기 승하강 지지프레임들(144a,144b)에는 상기 승하강 지지프레임들 (144a,144b)에 대하여 대략 직각을 이루며 위치되어 몸체 부위는 상기 고정프레임 (120)측에 지지되어 있는반면, 그 하단은 하부의 승하강 지지프레임(144b)에 연결된 리프트 실린더(142)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리프트 실린더(142)의 신장 혹은 수축 작동은 상기 제설용 삽(160)을 상기 승하강 지지프레임들(144a,144b)와 같이 상기 힌지들(141a,141b)를 지지점으로 하여 차량(1)에 장착된 고정 프레임(120)에 대하여 상부 혹은 하부로 이동되게 한다. 상기 리프트 실린더(142)의 수축 작동은 제설 작업을 하지 않을시 상기 제설용 삽(160)을 상부 위치로 이동된 상태로 하여 차량의 이동을 편리하게 하고, 반대로 제설 작업시에는 상기 리프트 실린더(142)가 신장 작동하여 제설용 삽(160)이 도로면과 접하는 제설작업 준비 상태를 이루게 한다. 또한, 상기 승하강 지지프레임들(144a,144b)의 사이 양측으로는 상기 제설용 삽(160)의 전후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 조절용 실린더들(146a,146b)가 위치되어 일단(도1에서 보아 우측)은 상기 고정 프레임(120)에 그리고 타단(도1에서보아 좌측)은 제설용 삽(160)의 후측에 각각 힌지(143a,143b)된 구조를 이루고 있다. 상기 각도 조절용 실린더들(146a,146b)의 수축 혹은 신장 작동은 상기 제설용 삽(160)을 도 1의 화살표a,b 방향으로 각도 조절되게 한다. 상기 승하강 장치(140)의 리프트 실린더(142)와 각도 조절용 실린더들(146a,146b)의 동력 원은 유압이고 차량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으로 작동한다. 이러한 구성은 일반적인 기술이므로 별도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면부호(111)은 비산 방지판이다.
상기 제설용 삽(160)에는 본 발명의 핵심구성인 삽날 장치(200)이 장착되어있다. 이 삽날장치(200)에 대한 상세구성은 도 4 ~ 도 7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4는 도1에서 삽(Plow)의 일부 만을 분리하여 표시한 확대 측면도이고, 도 5는 도 4에서 A부분 만을 분리하여 확대 표시한 일부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4의 화살표 B방향에서 보아 표시한 도면이고, 도 7A는 도 6에서 C부분 만을 분리하여 확대 표시한 정면도이고, 도 7B는 도 7A의 측면도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발명의 제설용 삽날 장치(200)은 제설용 삽(160)의 전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를 이루게 형성되어(도1,2참조) 그 제설용 삽(160)의 제설판 (162)의 하단에 탈부착되게 설치된 폴리우레탄으로 성형된 삽날부재(260)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삽날부재(260)은 소정 넓이를 갖는 대략 장방형체를 이루게 성형되며, 도로 면(2)와 직접적으로 밀착되는 상태를 이루게 위치되어 상기 제설판(162)과의 마찰력을 완화 시키는 작용을 한다. 이 때문에 탄성을 갖는 폴리우레탄 재질로 만든 것이다. 상기 삽날부재(260)은 삽날 탈부착 장치(220)에 의해서 상기 제설판(162)에 탈착되게 취부되어 있다.
상기 삽날 탈부착 장치(220)은 상기 제설판(162)의 하단에 설치된 힌지부 (21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힌지부(210)에 의하여 상기 삽날 탈부착 장치(220)은 상기 제설판(162)에 화살표 c,d 방향으로 회동되게 결합되어 있다. 상기 삽날 탈부착 장치(220)은 도로(2)면과 접하여 눈을 제설하는 상기 삽날 부재(260)을 탈부착되게 지지한다. 즉, 상기 삽날 탈부착 장치(220)은 소정 넓이를 갖는 판 구조를 이루어 도4의 표시와 같이, 상단 부위는 상기 제설판(162)의 힌지부(221)와 직접 결합되고, 그 후측 부위는 후술하는 탄성수단(240)에 결합된 가동판(222)과 상기 가동판(222)의 상기 탄성 수단(240)과의 반대 쪽에서 그 가동판(222)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 간격(도6참조)을 두고 위치되어 상기 삽날부재(260)을 상기 가동판(222)에 고정하기 위한 협지력을 부여하는 다수개의 고정편(223)으로 이루어진 탈부착용 클램프(224)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가동판(222)과 상기 고정편(223)과의 사이에 상기 삽날 부재(260)을 끼움 설치하기 위한 공간부(225)를 마련하기 위해 상기 가동판(222)의 일 부위는 상기 삽날부재(260)의 두께에 상응하는 크기로 절곡부(228)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 고정편(223)과 가동편(222)의 사이에 형성된 상기 공간부(225)로 상단 일부위가 삽입되는 상기 삽날부재(260)은, 상기 클팸프(224)에서 상기 고정편(223)과 가동판 (222)를 관통하게 설치된 상기 볼트 체결용 체결공(226)을 통하여 체결되는 볼트 (227)에 의하여 상기 삽날부재(260)은 견고하게 위치된 상태로 있게 된다. 상기 볼트 체결용 체결공(226)에 체결되는 볼트(227)는 상기 고정편(223)을 상기 가동판 (222)에 대하여 일체로 고정하기 위한 체결력을 부여한다. 이에 의하여 상기 삽날부재(260)은 상기 고정편(223)과 가동판(222)의 사이에서 이탈 됨이 없게 고정된 상태로 있게 된다. 상기에서 고정편(223)의 상세 구조는 도 7A 및 도 7B에 표시되어 있다. 위와 같은 구성은 제설 작업시 상기 삽날부재(260)이 도로상에 돌출된 맨홀 뚜껑 혹은 교통 표지물과의 충돌로 인한 파손 혹은 손상 등이 있게되는 경우 상기 체결 볼트(227)만을 살짝 해제하여 상기 고정편(223)의 협지력 해제를 유도함으로써 상기 삽날부재(260)의 정비 혹은 교환작업을 쉽게 진행할수가 있다.
상기 제설용 삽날 탈부착장치(220)의 후측에는 상기 제설판(162)의 후측으로부터 상기 삽날 탈부착장치(220)쪽으로 설치되어 그 삽날탈부착장치(220)의 회동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면서 충격 흡수를 위한 탄성력을 부여하도록 된 상기 탄성수단 (240)이 구비되어 있다. 즉, 상기 탄성수단(240)의 일측(도면 4에서보아 하단부위)은 상기 제설용 삽날 탈부착장치(220)에서 가동판(222)의 후측면에 회동되게 힌지(241)되어 있고, 반대의 타측(도4에서 보아 상단)은 상기 제설판(162)의 후측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탄성수단(240)은 상기 제설판(162)의 전 길이 방향을 따라서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데(도3참조), 모두 동일하여 하나 만을 일예로 들어서 설명하였다. 상기 탄성수단(240)으로는 도 5에 구체적으로 표시한바와 같이, 실린더(242)의 내부에 스프링(246)을 개재하여 로드(244)를 신축되게 설치한 구조를 사용하였다. 상기 탄성수단(240)과 같이, 상기 삽날 탈부착장치(220)에 탄성력을 부여한다고 하면, 도면 표시는 별도 하지 않았으나, 도 5의 표시와는 다른 유압 혹은 공압구조의 피스톤 장치나 단지 스프링 구조만의 탄성수단을 사용할 수 있음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탄성수단(240)의 설치는 제설작업시 상기 삽날부재(260)이 도로 면위에 돌출 설치되어 있는 맨홀 뚜겅이나 반사체 등과 같은 교통 표지물과의 충돌되면서 힌지부(221)를 통하여 회동될 시, 상기 삽날부재(260)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여 완화시키는 작용을 하므로써, 상기 삽날부재(260)가 다른 물체와의 충돌시 받게되는 손상이나 파손 방지의 작용을 한다. 상기 탄성수단(240)에 구비된 상기 스프링(246)의 탄성 세기에 따라서 상기 삽날 탈부착장치(220)은 항시 원래의 위치로 복원되는데, 상기 스프링(246)의 탄성세기는 임의로 조절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탄성수단(240)의 설치 개수 역시 상기 제설용 삽(160)의 크기에 따라서 임의로 변경 가능하다.
또, 상기 제설용 삽날 장치(200)으로부터 받게되는 충격이 차량 등의 제설기 자체에 직접적으로 미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탄성수단(240)과 더불어 도 1 내지 도3에서 기 설명한 제설용 삽의 승하강 장치(140)으로 하여금 충격을 흡수되게 하는 작동을 실행되게 하여 제설기 자체 즉, 차량이 받게되는 피해를 줄일 수 있게 하였다. 즉, 다시 도 1내지 도3을 참조하여, 상기 제설용 삽의 승하강 장치(140)을 구성하는 유압 실린더들(142)(146a,146b)에 대하여 설명하면, 상기 유압 실린더들(142)(146a,146b)는, 제설 작업시 상기 삽날부재(260)이 상기와 같이, 도로상에 돌출 설치된 맨홀 혹은 그 밖의 도로면에 설치된 교통 표지물이나 구조물 등에 걸리면서 충격을 받게 될 경우, 상기 탄성수단(240)에 의하여 일차로 충격은 흡수되지만, 제설 차량의 속도에 따라 충격이 다소 심할 경우에는 충격의 일부는 상기 탄성수단(240)을 통하여 그대로 차량 측으로 전달되는 경우가 발생되는데, 이러한 충격이 전달되는 순간 상기 승하강장치(140)의 유압 실린더들 (142)(146a,146b)는 신속한 유압 제어의 신호를 받게되어 그 동안 유압 실린더들 (142)(146a,146b)에 작용되고 있던 유압력은 신속히 해제된다. 상기 유압 실린더들 (142)(146a,146b)이 유압력으로부터 해제되면 상기 유압 실린더들(142)(146a ,146b)는 스프링과 같이 복원력을 갖는 자유(Free)로운 탄성구조를 이루게 된다. 따라서 승하강장치(140)과 연결된 제설용 삽(160)의 상기 제설용 삽날 장치(200)부분이 맨홀과 같은 부분에 걸리면서 충격을 받게되는 경우, 상기와 같이 유압 실린더들(142)(146a ,146b)이 유압으로부터 해제된 자유로운 상태를 이루게 되는 구조로 인해, 장해물로부터 쉽게 벗어나는 상태를 이루어 제설용 차량 등에 직접적으로 가해지는 충격이 완화된다. 특히 제설용 삽(160)이 장해물을 벗어난후 도로면과 접하는 순간에 있어서도 상기 유압 실린더들(142)(146a,146b)는 유압력이 없는 단지, 스프링과 같은 탄성력 만을 갖는 자유로운 상태이기 때문에 상기 제설용 삽(160)은 그 자중에 의해서 하강되면서 도로면과 아주 부드럽게 접하는 상태를 이루면서 제설 작업을 하게 된다.
이렇게 구동되는 상기 제설기(100)의 고정 프레임(120)부위에는 제설용 삽(160)의 승하강장치의 이동을 억제하기 위한 안전장치(30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안전 장치(300)에 대해서는 다시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기 설명한 도 1의 표시로부터 확인되는 바와 같이, 상기 안전장치(300)은 상기 승하강장치(140)의 하부 승하강 프레임(144b)에 일체로 고정 설치된 루프(Loop)타잎의 고정용 고리(312)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고정용 고리(312)에는 후크 (hook)(314)가 걸리게 한다. 상기 후크(314)는 상기 고정용 고리(312)와의 대응위치 즉, 상기 고리(312)와 소정 거리를 둔 상방 위치에 도1에서 보아 상하 방향으로 회동하게 축(316)지지되어 있다. 또한 상기 후크(314)에 있어서 축(316)지지된 단부는 상기 고정 프레임(120)에 고정 설치된 실린더(317)과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후크(314)는 상기 실린더(317)의 신축 작동에 따라 상기 축(316)을 지지점으로 하여 도 1의 화살표 표시와 같이 회동된다. 도1의 표시는 제설용 삽(160)을 상승 이동하기 위해 승하강 장치(140)을 상승위치로 작동되게 한 것을 표시한 것인데, 상승된 승하강 장치(140)의 예기치 못한 고장으로 제설용 삽(160)의 하강이 일어날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승하강 장치(140)이 상승된 위치에서 상기 안전장치(300)의 실린더(317)을 수축 작동에 의한, 상기 후크(314)를 회동되게 하여 인접되게 위치된 상기 고리(312)의 내부로 진입되어 걸려지게 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승하강 장치(140)에 이상이 발생되는 경우가 있다고 하더라도 상기 안전장치(300)에 의한, 상기 승하강장치(140)의 완전한 지지로 안전사고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안전장치(300)의 실린더(317)은 보통시에는 도 1의 표시와 같이, 상기 후크(314)가 가상선의 위치로 있도록 신장 작동 상태를 이루어 상기 고리 (312)가 도1의 위치로 이동함에 전연 장해를 주지 않으며, 상기 고리(312)가 승하강장치 (140)에의해 도1의 위치로 정확하게 이동하면, 상기 실린더(317)의 수축작동에 의한 후크(314)를 당기는 상태로 회동시킴으로서 상기 고리(312)에 걸리는 상태를 이루게 된다. 상기 승하강장치(140)의 하강시에는 상기 실린더(317)을 신장 작동시킴에 의해 상기 후크(314)를 상기 고리(312)로부터 벗어나게 하여 원래의 가상선 위치로 전환되게 하면된다. 상기 고리(312)는 승하강장치(140)의 상승 이동에 따라서 항시 도1의 실선 위치에 정확하게 위치된다.
상기 삽날탈부착 장치(220)의 후측에는 도 1의 표시와같이, 도로에 대한 제설작업시 제설판(162)의 삽날부재(260)의 지지 및 이동을 부드럽게 하기 위한 스키드(Skid)장치(400)가 설치되어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1과 같이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상세하게설명한다.
도 8A는 도 1의 "D"부분 만을 분리하여 표시한 도면이고, 도 8B는 도 8A의평면도이고, 도 9는 도 8B의 "E"부분 만을 분리하여 표시한 사시도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상기 상기 스키드 장치(400)는 삽날탈부착 장치(220)의 후측 양단에 설치되어(도1,2참조)도로에 쌓인 눈의 제설작업시 제설판(162)의 삽날부재(260)의 지지 및 이동을 부드럽게 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스키드 장치(400)는 상기 제설판(162)의 후측에서 양측에 직립 상태로 고정 설치된 포스트(Post)(420)와, 상기 포스트(420)의 하단에 도로 면과 접촉되게 설치된 수지 재질로 성형된 소정형상의 슈(Shoe)부재(440)와, 상기 슈부재(440)과 반대되는 상기 포스트(420)의 상단에 설치되어 그 포스트(420)을 해제하거나 고정하기위한 개폐레버수단(460)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에서 포스트(420)은 외통체(422)의 내부에 삽입된 나사축(423)과 그 나사축(423)에 나사 결합된 상태를 이루어 상기 외통체(422)의 내부에 상기 나사축 (423)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삽입된 내통체(424)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나사축 (423)의 상단에 상기 개폐레버수단(460)이 설치되어 상기 나사축(423)을 상기 외통체(422)에 지지하도록 하고 있다. 상기 외통체(422)는 도 1의 표시와 같이, 상기 제설판(162)의 후측에 일체로 고정된다.
상기 개폐 레버 수단(460)은 대략 ㄱ자형의 손잡이(462)을 구비하고 있는데, 그 일단은 상기 나사축(423)의 일단에 회동되게 힌지(464)되어 있는반면, 그 반대 단은 상기 외통체(422)에 형성된 홈(466)에 움직임이 없도록 끼워져 있다. 상기 개폐 레버 수단(460)의 손잡이(462)는 보통시에는 도 8A의 표시와 같은 상태로 홈(466)에 끼워진 상태로 있으나, 사용시에는 상기 레버수단(460)의 손잡이(462)를힌지(464)를 지점으로 하여 도8A에서 보아 위쪽으로 홈(466)으로부터 이탈되게 회동하면 된다. 상기 개폐 레버 수단(460)은 상기 나사축(423)을 회전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개폐 레버수단(460)에의한 상기 나사축(423)의 회전은 상기 슈(Shoe)부재(440)에 대한 도로면으로부터 높낮이 조절을 하여, 도로면과의 접촉율을 조절하는데 사용한다. 상기에서 슈 부재(440)은 도9의 표시와 같이, 강도를 갖는 폴리우레탄 재질로 원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완충기로부터 비스듬히 경사지게 위치되어 도로면과 접촉하게 하도록되어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스키드 장치(400)은 상기 슈부재(440)을 도로면과 스키 형태로 접하게 하여, 상기 제설판(162)의 삽날부재(260)가 도로면과의 접촉으로부터 받게되는 힘을 분산시키는 작용을 자연스럽게 하므로, 이는 기존의 휠 구조에 비하여 삽날부재가 받는 힘을 작게하는 작용을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제설용 삽(Plow)의 삽날 파손 및 손상 방지를 위한 충격 흡수의 향상과, 파손 혹은 손상된 삽날 정비 및 교체시의 작업성을 향시킨 효과가 있고, 또 승하강 장치에서의 충격흡수작용을 실행하게한 것에 의해 제설기 차체의 보호와 아울러 제설 작업을 보다 자연스럽게 할 수 있게한 효과가 있고, 또 삽날탈부착 장치의 후측에 설치한 스키드(Skid)장치에 의해서는 도로에 대한 제설판의 이동을 부드럽게 지지한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9)

  1. 차량의 앞쪽에 위치되어 도로 위의 눈을 제설하도록 한 제설판을 구비하고, 상기 제설판은 차량의 앞 범퍼에 탈부착되는 고정 프레임에 승하강 장치를 통하여 연결된 제설용 삽날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설판의 하단에 설치된 힌지부를 구비하고, 그 힌지부에 회동되게 결합되어 도로상의 눈을 제설하는 삽날을 탈부착되게 지지하기 위한 삽날 탈부착 장치;
    상기 제설판의 후측으로부터 상기 삽날 탈부착장치 쪽으로 설치되어 그 삽날탈부착장치의 회동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면서 충격 흡수를 위한 탄성력을 부여하도록 된 탄성수단; 및
    상기 탄성수단에 의해 지지되는 상기 삽날탈부착장치에 탈부착되게 취부되어 상기 제설판과 도로면과의 마찰력을 완화 시키도록된 폴리우레탄 재질의 삽날부재를 포함하는 제설기용 삽날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날 탈부착 장치는 소정 넓이를 갖는 판 구조를 이루어 그 상단부위는 상기 제설판의 힌지부와 직접 결합됨과 아울러 그 후측은 상기 탄성수단에 결합된 가동판과, 상기 가동판의 상기 탄성수단과의 반대 쪽에서 그 가동판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위치되어 상기 삽날부재를 상기 가동판에 고정하기 위한 협지력을 부여하는 다수개 고정편으로 이루어진 탈부착용 클램프;및
    상기 클팸프의 고정편과 가동판을 관통 설치하여 상기 고정편을 가동편에 고정하기 위한 체결력을 부여하는 볼트 체결용 체결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제설용 삽날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판과 상기 고정편과의 사이에 삽날 부재의 설치 공간을 마련하기 위해 상기 가동판의 일부위는 상기 삽날부재의 두께에 상응하는 크기로 절곡 됨을 특징으로하는 제설용 삽날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수단은 실린더 임을 특징으로하는 제설용 삽날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수단은 스프링임을 특징으로하는 제설용 삽날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프레임에는 제설 작업을 위한 이동중 상기 승하강장치의 하강이동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장치가 더 설치되고, 상기 안전장치는 상기 승하강장치에 일체로 고정 설치된 고정용 고리;및
    상기 고정 프레임의 상기 고정용 고리와의 대응 위치에서 실린더에 의해 구동되게 설치되어 상기 고리에 걸리거나 이로부터 해제될수 있게 한 고정용 후크를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제설용 삽날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날탈부착 장치의 후측에는 도로에 대한 제설판의 이동을 부드럽게 하기 위한 스키드(Skid)장치가 더 설치되고, 상기 스키드 장치는 상기 제설판의 후측에서 일정간격을 두고 직립 상태로 고정 설치된 수개의 포스트(Post);
    상기 포스트들의 하단에 도로 면과 접촉되게 설치된 수지 재질로 된 소정형상의 슈(Shoe)부재;및
    상기 슈부재와 반대되는 상기 포스트의 상단에 설치되어 그 포스트를 해제하거나 고정하기위한 개폐레버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제설용 삽날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슈 부재는 강도를 갖는 폴리우레탄 재질로 원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완충기로부터 비스듬히 경사지게 위치되어 도로면과 접촉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제설기용 삽날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 장치는 유압 실린더들로 구성되며, 제설 작업에 따른 제설용 삽이 충격을 받게될 경우 상기 유압 실린더들을 제어하여 상기 승하강 장치를 제설용 삽과 같이 자연스럽게 승하강 이동되게 하면서 충격으로부터 보호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제설기용 삽날장치.
KR10-2002-0050921A 2002-08-27 2002-08-27 제설기용 삽날장치 KR1004654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0921A KR100465479B1 (ko) 2002-08-27 2002-08-27 제설기용 삽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0921A KR100465479B1 (ko) 2002-08-27 2002-08-27 제설기용 삽날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5562U Division KR200297233Y1 (ko) 2002-08-27 2002-08-27 제설기용 삽날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8853A true KR20040018853A (ko) 2004-03-04
KR100465479B1 KR100465479B1 (ko) 2005-01-13

Family

ID=373240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0921A KR100465479B1 (ko) 2002-08-27 2002-08-27 제설기용 삽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547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4482B1 (ko) 2005-09-13 2007-01-25 한상섭 제설차량의 제설삽용 완충장치
KR100901009B1 (ko) * 2009-02-04 2009-06-04 이텍산업 주식회사 제설날 수명 연장장치
KR102057080B1 (ko) * 2019-07-23 2020-01-22 주식회사 기성이엔지 확장 가능한 제설판을 구비하는 제설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53358B2 (en) 2010-01-19 2013-06-04 Meyer Products, Llc Dual compression spring ram
KR101012723B1 (ko) 2010-10-28 2011-02-09 정성규 제설기
US8695238B2 (en) 2011-01-18 2014-04-15 Meyer Products, Llc Snowplow with auto angling and wireless controller
KR101164397B1 (ko) * 2012-02-15 2012-07-12 이텍산업 주식회사 다목적 노견토 제거기
KR101497677B1 (ko) * 2012-12-12 2015-03-03 (주)송현 제설장치
KR101583322B1 (ko) 2014-06-17 2016-01-07 조상운 제설용 삽날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도로의 제설, 제빙 및 평탄화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5920B1 (ko) * 1999-01-09 2001-09-26 이두식 제설날 분리형 제설장치
KR200243304Y1 (ko) * 2001-02-27 2001-09-28 이두식 제설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4482B1 (ko) 2005-09-13 2007-01-25 한상섭 제설차량의 제설삽용 완충장치
KR100901009B1 (ko) * 2009-02-04 2009-06-04 이텍산업 주식회사 제설날 수명 연장장치
KR102057080B1 (ko) * 2019-07-23 2020-01-22 주식회사 기성이엔지 확장 가능한 제설판을 구비하는 제설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65479B1 (ko) 2005-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333845C (en) Retractable side wing assembly
US5191729A (en) Trip apparatus for moldboard assembly
US6701646B2 (en) Spring bracket design and method for snow plow blade tripping mechanism
KR100465479B1 (ko) 제설기용 삽날장치
KR100755780B1 (ko) 트랙터용 제설기
JP4954354B1 (ja) 除雪機
KR100987642B1 (ko) 차량용 제설기
KR101263728B1 (ko) 전후로 기울어지는 블레이드를 갖는 제설기
US9085860B2 (en) Wing plow post
KR200297233Y1 (ko) 제설기용 삽날장치
KR101456200B1 (ko) 차량연결용 제설 그레이더
CN102979057A (zh) 马路人行道与小区专用除雪机
KR100408486B1 (ko) 트랙터 로우더 탈부착형 제설장치
CN108951493A (zh) 垃圾清扫车清扫装置及垃圾清扫车
KR101008575B1 (ko) 제설삽용 완충장치
CN107974999B (zh) 一种推雪铲
KR102312353B1 (ko) 스크린에 협착된 부유물 제거기능을 갖는 제진기
JP3682216B2 (ja) 除雪ユニット
KR100436986B1 (ko) 트랙터 후면 탈부착용 제설기의 설치장치
KR200346347Y1 (ko) 페이로다용 완충식 제설기
CN203160184U (zh) 一种装载机除雪铲
CN105256752A (zh) 一种多功能清洗机
KR200372660Y1 (ko) 차량용 제설기
RU205768U1 (ru) Плужный отвал
CN214578574U (zh) 一种矿山开采用矿山机械安全防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