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4482B1 - 제설차량의 제설삽용 완충장치 - Google Patents

제설차량의 제설삽용 완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4482B1
KR100674482B1 KR1020050085098A KR20050085098A KR100674482B1 KR 100674482 B1 KR100674482 B1 KR 100674482B1 KR 1020050085098 A KR1020050085098 A KR 1020050085098A KR 20050085098 A KR20050085098 A KR 20050085098A KR 100674482 B1 KR100674482 B1 KR 1006744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now removal
leaf spring
shovel
spring
sn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50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오
Original Assignee
한상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8014912&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674482(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한상섭 filed Critical 한상섭
Priority to KR10200500850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44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44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44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5/00Removing snow or ice from roads or like surfaces; Grading or roughening snow or ice
    • E01H5/04Apparatus propelled by animal or engine power; Apparatus propelled by hand with driven dislodging or conveying levelling elements, conveying pneumatically for the dislodged material
    • E01H5/06Apparatus propelled by animal or engine power; Apparatus propelled by hand with driven dislodging or conveying levelling elements, conveying pneumatically for the dislodged material dislodging essentially by non-driven elements, e.g. scraper blades, snow-plough blades, scoop blades
    • E01H5/061Apparatus propelled by animal or engine power; Apparatus propelled by hand with driven dislodging or conveying levelling elements, conveying pneumatically for the dislodged material dislodging essentially by non-driven elements, e.g. scraper blades, snow-plough blades, scoop blades by scraper blades
    • E01H5/062Apparatus propelled by animal or engine power; Apparatus propelled by hand with driven dislodging or conveying levelling elements, conveying pneumatically for the dislodged material dislodging essentially by non-driven elements, e.g. scraper blades, snow-plough blades, scoop blades by scraper blades by scraper blades displaceable for shock-absorbing purp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5/00Removing snow or ice from roads or like surfaces; Grading or roughening snow or ice
    • E01H5/04Apparatus propelled by animal or engine power; Apparatus propelled by hand with driven dislodging or conveying levelling elements, conveying pneumatically for the dislodged material
    • E01H5/06Apparatus propelled by animal or engine power; Apparatus propelled by hand with driven dislodging or conveying levelling elements, conveying pneumatically for the dislodged material dislodging essentially by non-driven elements, e.g. scraper blades, snow-plough blades, scoop blades
    • E01H5/063Apparatus propelled by animal or engine power; Apparatus propelled by hand with driven dislodging or conveying levelling elements, conveying pneumatically for the dislodged material dislodging essentially by non-driven elements, e.g. scraper blades, snow-plough blades, scoop blades by snow-plough blades tiltable for shock-absorbing purp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5/00Removing snow or ice from roads or like surfaces; Grading or roughening snow or ice
    • E01H5/04Apparatus propelled by animal or engine power; Apparatus propelled by hand with driven dislodging or conveying levelling elements, conveying pneumatically for the dislodged material
    • E01H5/06Apparatus propelled by animal or engine power; Apparatus propelled by hand with driven dislodging or conveying levelling elements, conveying pneumatically for the dislodged material dislodging essentially by non-driven elements, e.g. scraper blades, snow-plough blades, scoop blades
    • E01H5/061Apparatus propelled by animal or engine power; Apparatus propelled by hand with driven dislodging or conveying levelling elements, conveying pneumatically for the dislodged material dislodging essentially by non-driven elements, e.g. scraper blades, snow-plough blades, scoop blades by scraper bla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Vibration Damp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설차량 전면부에 구비되는 제설삽용 완충장치에 관한 것으로, 제설차량 전방에 장착되는 제설삽 하부에 분리되어 회전되는 삽날을 구비하고, 상기 삽날의 충격을 방지하기 위해 구비되는 완충장치에 있어서, 제설삽 하부에 힌지결합부를 구비하고, 상기 힌지결합부와 결합되며 복수로 등분되는 회전프레임과, 상기 각각의 회전프레임 후면부 중심에서 길이를 갖게 돌출되며, 상향 되는 경사를 지니고, 그 끝단에 적어도 1개 이상의 베어링을 구비한 베어링 고정부 및 상기 제설삽 후면에 폭을 가지게 돌출되어 상하로 길이 가지며, 각각의 하부측 상기 베어링 고정부의 상측 수직선상에 위치하는 스프링 고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스프링 고정부 상측에 좌우로 관통되는 고정 축을 통해 고정되는 판 스프링과, 상기 각각의 스프링 고정부 일측에 탄성 조절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판 스프링의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있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완충장치, 제설삽, 제설차량, 판 스프링, 베어링

Description

제설차량의 제설삽용 완충장치{Snow removal shovel shock absorber of snow removal automobile}
도 1은 종래의 제설차량의 제설삽용 완충장치의 일 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설차량의 제설삽용 완충장치의 일 예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설차량의 제설삽용 완충장치의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설차량의 제설삽용 완충장치를 부분확대 도시한 확대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설차량의 제설삽용 완충장치의 판 스프링 및 베어링의 일 예를 보인 사용 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제설삽 2: 제설삽날
10 : 힌지결합부 20 : 회전프레임
30 : 베어링 고정부 31 : 베어링
40 : 스프링 고정부 41 : 조절판
42 : 나사홀 43 : 관통볼트
50 : 판 스프링 51 : 고정 축
본 발명은 제설차량 전면부에 구비되는 제설삽용 완충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더 자세히는 제설삽 하부로 힌지결합되고 복수 등분되어 회전되는 삽날과, 상기 삽날 후면에 구비되는 베어링 및 베어링 고정부와, 상기 베어링의 상하측 회전과 연동되어 탄성력을 가하는 판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설차량의 제설삽용 완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겨울철의 도로 위에 쌓이는 눈을 빠르고 효과적으로 제설하기 위해 사용되는 방법으로 염화나트륨을 뿌려 눈을 녹이거나, 차량 전면부에 장착고정되어 도로면에 밀착되는 제설삽을 구비한 제설차량을 이용해 제설작업을 해오고 있다.
하지만, 상기 종래 방법 중, 상기 염화나트륨을 사용하는 것은 일반 도로에 사용되기엔 많은 양의 염화나트륨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제설을 위해 사용되기에는 그 비용이 많이 소비되어 전 구간의 도로를 제설하는데에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겨울철 도로의 제설을 위해 상기 제설차량을 많이 사용하게 되는데, 상기 제설차량 전면부에 구비되는 제설삽은 도로 위에 밀착되게 장착하고, 상기 제설차량을 주행하면서 도로 위에 적설 된 눈을 제설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설차량의 상기 제설삽은 좌우측으로 경사를 지닌 커브길 또는 도심의 도로상에 구비되는 맨홀뚜껑 등 평평하지 않은 도로를 주행할 시, 상기 제설삽에 충격이 전달되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각종 완충장치를 구비시켜 사용되어 오고 있다.
이에 대한 선출원기술로"실용신안등록 제 0346346호 : 제설차용 제설삽장치"가 출원된 바 있다.
상기 선출원 기술인 제설차용 제설삽장치에 구비되는 완충장치는, 도 1 도시와 같이 제설삽(100) 후면부에 가이드플레이트(110)를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플레이트(110)의 내측에서 안내되어 상하로 이동하는 롤러봉(121)을 구비한 실린더(120)와, 상기 실린더(120) 내측에 축설되어 탄성력을 가하는 코일스프링(122) 및 상기 코일스프링(122)의 이탈을 방지하는 수단으로 상기 실린더(120)의 타측에 내삽되는 압축판(123)을 구비된다.
또한, 상기 코일스프링(122)을 통해 충격흡수 및 탄성력을 전달받기 위해 링크연결부(130)에 지지되고 타측은 상기 압축판(123)에 관통 결합되는 압축봉(124)과, 상기 실린더(120)의 상단 중앙부위로 안치된 힌지봉(125)을 통해 상기 실린더(120)의 전후방향을 고정하고 승강 되기 위해 일측은 상기 힌지봉(125) 양측에 삽입되고, 타측은 삽날결합판(140)의 상기 링크연결부(130)에 연결되는 지지대(150)로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선출원기술은 상기 삽날결합판(140)이 도로의 돌출부로 인해 후방측으로 힌지되어 회전하게 될 시 발생하는 회전력을 상기 지지대(150) 및 상기 힌지봉(125)과 상기 링크연결부(130) 등 완충장치와 결합되는 결합부에 일순간 충격이 응집되었다가 상기 코일스프링(122) 및 상기 실린더(120)와 상기 롤러봉(121)을 통해 순차적으로 완충 되므로 급작스런 충격에 대한 완충장치의 대응이 느리고, 장기간 불규칙적으로 충격이 발생하면 상기 결합부에 피로가 누적되며, 이로 인해 상기 결합부가 균열되어 파손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 코일스프링(122)의 경우 제설차량에 장착되어 장시간 사용하면, 기존의 탄성력에 비해 탄성력이 현저히 감소되는 문제가 있어 수시로 상기 코일스프링(122)을 조절하여 원활한 충격흡수 및 제설삽날의 복귀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상기 코일스프링(122)은 그 특성상 임의적으로 탄성력을 조절하기 어려워 상기 코일스프링(122)을 교체해야하는 등 유지보수에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한편, 상기 실린더(120) 및 상기 롤러봉(121)과 상기 코일스프링(122) 등 그 구조가 복잡하여 제조비용이 많이 들며 각각의 부속의 결함으로 인해 잦은 부속교체를 해야하는 비효율적인 부분이 많았으며, 상기 코일스프링(122)은 겨울철 부식이 되어 탄성력이 감소되므로 잦은 고장의 원인이 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간편하고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의 비용이 절감되고, 탄성력의 저하로 인한 임의적인 탄성강도 조절이 쉬운 제설차량의 제설삽용 완충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탄성수단을 직접적으로 결합을 하지않고도, 제설삽이 힌지결합부를 통한 상하측 회전시 발생되는 충격을 빨리 흡수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결합부 간의 균열으로 인한 파손을 방지하고, 겨울철 부식으로 인한 탄성수단의 탄성력 저하되지 않는 재질을 사용하며, 상기 탄성수단의 탄성력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탄성수단의 교체 없이도 원하는 탄성강도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제설차량 전방에 장착되는 제설삽 하부에 분리되어 회전되는 삽날을 구비하고, 상기 삽날의 충격을 방지하기 위해 구비되는 완충장치에 있어서, 제설삽 하부에 길이를 갖는 절첩식 힌지결합부를 구비하고, 상기 힌지결합부와 결합되며 복수로 등분되는 회전프레임; 과
상기 각각의 회전프레임 후면부 중심에서 길이를 갖게 돌출되며, 상향 되는 경사를 지니고, 그 끝단에 적어도 1개 이상의 베어링을 구비한 베어링고정판; 및
상기 제설삽 후면에 폭을 가지게 돌출되며 상하로 길이 가지며, 각각 하부측 상기 베어링고정판의 상측 수직선상에 위치하는 스프링 고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스프링 고정부 상측에 좌우로 관통되는 고정 축을 통해 고정되는 판 스프링; 과
상기 각각의 스프링 고정부 일측에 탄성 조절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판 스프링의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있게 구성된 것에 의해 달성된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탄성 조절수단은 상기 스프링 고정부의 양측을 연결하는 조절판을 구비하고, 상기 조절판 중심에 나사홀을 형성하여 관통볼트와 결합되며, 상기 관통볼트의 끝단이 상기 판 스프링의 일면을 누르게 구성되어 상기 관통볼트를 조이거나 풀어서 상기 판 스프링의 탄성력을 조절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목적과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 및 이점과 특징들은 양호한 실시 예를 도시한 첨부 도면과 관련한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의 첨부도면에 의해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도시는 제설차량의 전방에 장착되는 제설삽(1)의 요부를 보인 사시도로서, 종래의 제설삽(1)에 본 발명의 제설차량의 제설삽용 완충장치를 다수 구비한 도면이며, 도 3 도시는 본 발명의 제설차량의 제설삽용 완충장치의 판 스프링(50) 및 제설삽날(2)과 결합되는 회전프레임(20) 및 후면으로 돌출되는 베어링 고정부(30)과 그 끝단의 구비되는 베어링(31)의 일 예를 보인 측단면도이고, 도 4 도시는 본 발명의 제설차량의 제설삽용 완충장치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설삽날(2)을 일정각 회전시키며 상기 힌지결합부(10)와 결합되기 위한 회전프레임(20)과 상기 베어링 고정부(30) 및 상기 스프링 고정부(40)를 확대 도시한 확대 사시도이며, 도 5 도시는 본 발명의 제설차량의 제설삽용 완충장치의 상기 판 스프링(50)과, 상기 베어링(31)의 상호 작동관계를 보인 사용상태도이다.
본 발명은 상기 도 2 도시에서와 같이, 제설삽(1)의 후방에 일정 간격으로 등분되고, 상하 수직으로 길이를 갖는 스프링 고정부(40)를 구비하고, 상기 스프링 고정부(40) 각각 내측에 수직으로 드리워지는 판 스프링(50)을 각각 구비한다.
또한, 상기 각각의 판 스프링(50)은 상기 스프링 고정부(40)의 좌우측을 가로지르는 고정 축(51)에 관통되고, 상기 고정 축(51)은 상기 스프링 고정부(40)의 좌우측 외부면에 볼트로 고정되어 구비된다.
본 발명을 상기 도 3 도시의 측단면도를 통해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전면부 가 만곡지게 형성된 상기 제설삽(1)의 후면에 일정 폭을 지닌 상기 스프링 고정부(40)를 상하로 길이를 갖게 고정하여 구비되고, 상측에 고정 축(51)을 포함하여 상기 고정 축(51)에 내삽되어 결합되며 하부로 길이를 갖는 판 스프링(50)을 구비하고, 상기 스프링 고정부(40)의 양측을 연결하는 조절판(41)을 구비하며, 상기 조절판(41) 중심에 나사를 갖는 나사홀(42)을 형성하고, 상기 나사홀(42)에 관통볼트(43)를 결합하여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설삽(1)의 하부 끝단에 일정 각으로 회전가능한 경첩형태의 힌지결합부(10)를 구비하고, 상기 힌지결합부(10)의 일측은 상기 제설삽(1)의 하부 후면에 고정되며, 다른 일측은 다수로 등분된 ㄱ형으로 형성된 회전프레임(20)의 상면부와 고정되고, 서로 일정각 절첩되어 회전가능케 구비된다.
한편, 각각의 상기 회전프레임(20)의 후면부로 돌출되고, 상기 판 스프링(50)과 맞다는 상기 베어링 고정부(30)를 구비하고, 상기 베어링 고정부(30)의 끝단에 상기 판 스프링(50)과 외주면이 접촉되어 회전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베어링(31)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도 4 도시와 같이 등분되어 서로 달리 회전되는 다수의 상기 제설삽날(2)과, 상기 제설삽날(2)이 각각 고정되는 상기 회전프레임(20)이 각각 분리되어 회전하므로 상기 제설삽날(2) 특정 위치에 돌출면이 있어 회전되더라도 전체가 회전하지 않으며, 각각의 상기 회전프레임(20)에 대응하는 완충장치를 별개로 하여 복합적인 충격에 개별적 대응이 가능케 한 것이다.
한편, 도 5 도시와 같이 본 발명은 도로면의 불규칙한 돌출부로 인해 발생되 는 충격을 완화시키는 작용으로 상기 제설삽날(2)이 다수 등분되고, 각각의 제설삽날(2)은 가해지는 충격으로 상기 힌지결합부(10)로 인해 후방으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설삽날(2)의 회전은 즉, 상기 회전프레임(20)의 회전과 같으며, 상기 회전프레임(20)의 중심 후면으로 길이를 갖게 돌출되는 상기 베어링 고정부(30)가 함께 회전하게 된다.
이로 인해, 상기 베어링 고정부(30)의 끝단에 구비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상기 베어링(31)은 상측으로부터 드리워지는 상기 판 스프링(50)과 맞다게 구비된 것으로, 상기 베어링 고정부(30)가 회전하면서 상기 베어링(31)의 외주면이 상기 판 스프링(50)을 외측으로 밀면서 회전하게 된다.
한편, 상기 조절판(41)에 결합된 상기 관통볼트(43)가 상기 판 스프링(50)의 일면을 내측으로 누르는 형태로 구비된 것으로, 이는 상기 베어링 고정부(30)로 인해 상기 판 스프링(50)이 외측으로 밀려 벌어지더라도 상기 관통볼트(43)가 상기 판 스프링(50)이 상기 고정 축(51)을 중심으로 회전되지않고 만곡진 형태로 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제설삽날(2)의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한 구조가 서로 결합되지 않고, 상기 베어링(31)이 상기 판 스프링(50)을 따라 일정 각 상측으로 회전되어 상기 판 스프링(50)이 외측으로 구부러지고, 상기 판 스프링(50)의 탄성으로 인해 내측으로 복귀되려는 탄성력이 작용해 상기 베어링 결합부(30)를 원점 복귀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조절판(41)의 상기 관통볼트(43)는 상기 조절판(41)에 형성된 상 기 나사홀(42)을 따라 조임과 풀림이 조절되고, 이를 통해 상기 조절판(41)에 관통되는 길이를 조절하여 상기 판 스프링(50)을 누르는 강도를 임의에 따라 손쉽게 조절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관통볼트(43)를 통해 하향으로 드리워지는 상기 판 스프링(50)의 상부 일측을 내측으로 누르는 강도가 강해지면 상기 판 스프링(50)의 끝이 각이 작아져 수직에 가까워지고, 이로 인해 이와 맞다는 상기 베어링 고정부(30)에 가하는 압력이 강해져 상기 회전 프레임(20)을 회전시키기 위한 필요 강도가 높아지게 되며, 이와 반대로 상기 관통볼프(43)을 풀게 되면 상기 회전 프레임(20)의 회전시 필요한 충격의 강도 낮아도 회전 가능케 된다.
또한, 상기 베어링(31) 및 상기 판 스프링(50)은 내식성이 강한 재질로 구비된 것으로, 제설삽의 특성상 쉽게 부식되기 쉬워 잔고장이 많던 문제를 해소함과 동시에 구조가 간단하여 수리 및 제작비용이 절감되는 것은 물론, 성능면에서도 단순한 구조로 인해 즉각적으로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으며, 충격이 응집되는 결합부가 없어 장기간 사용으로 인한 파손이 없는 진보적인 기술이라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고 작용하는 본 발명의 제설차량의 제설삽용 완충장치의사용으로, 완충장치의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비용이 절감되고, 쉽게 부식되지 않는 탄성수단을 사용하여 겨울철 장시간 사용되어도 탄성력을 잃지 않아 잔고장이 적으며, 임의로 탄성수단의 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여건에 따라 쉽게 조절이 가능하고, 단시간에 발생되는 강한 충격을 좀더 간단한 구조로 효율적으로 흡수 하여 제설삽날의 파손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제설차량 전방에 장착되는 제설삽 하부에 분리되어 회전되는 삽날을 구비하고, 상기 삽날의 충격을 방지하기 위해 구비되는 완충장치에 있어서, 제설삽(1) 하부에 길이를 갖는 접철식 힌지결합부(10)를 구비하고, 상기 힌지결합부(10)와 결합되며 복수로 등분되는 회전프레임(20);과
    상기 각각의 회전프레임(20) 후면부 중심에서 길이를 갖게 돌출되며, 상향 되는 경사를 지니고, 그 끝단에 적어도 1개 이상의 베어링(31)을 구비한 베어링 고정부(30); 및
    상기 제설삽(1) 후면에 폭을 가지게 돌출되어 상하로 길이 가지며, 각각 하부측 상기 베어링 고정부(30)의 상측 수직선상에 위치하는 스프링 고정부(40)를 구비하고, 상기 스프링 고정부(40) 상측에 좌우로 관통되는 고정 축(51)을 통해 고정되는 판 스프링(50);과
    상기 각각의 스프링 고정부(40) 일측에 탄성 조절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판 스프링(50)의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있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설차량의 제설삽용 완충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조절수단은 상기 스프링 고정부(40)의 양측을 연결하는 조절판(41)을 구비하고, 상기 조절판(41) 중심에 나사홀(42)을 형성하여 관통볼트(43)와 결합되며, 상기 관통볼트(43)의 끝단이 상기 판 스프링(50)의 일면 을 누르게 구성되어 상기 관통볼트(43)를 조이거나 풀어서 상기 판 스프링(50)의 탄성력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설차량의 제설삽용 완충장치.
KR1020050085098A 2005-09-13 2005-09-13 제설차량의 제설삽용 완충장치 KR1006744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5098A KR100674482B1 (ko) 2005-09-13 2005-09-13 제설차량의 제설삽용 완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5098A KR100674482B1 (ko) 2005-09-13 2005-09-13 제설차량의 제설삽용 완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74482B1 true KR100674482B1 (ko) 2007-01-25

Family

ID=380149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5098A KR100674482B1 (ko) 2005-09-13 2005-09-13 제설차량의 제설삽용 완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448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6122B1 (ko) 2010-09-27 2011-05-23 한상섭 제설차량의 제설삽용 완충장치
KR20130050064A (ko) * 2011-11-07 2013-05-15 (주)케이빈 제설장치의 삽날구조
KR101293878B1 (ko) 2011-11-07 2013-08-07 김정선 트랙터용 수평조절이 가능한 제설장치
CN107338757A (zh) * 2017-09-08 2017-11-10 张铁民 一种紧凑型雪铲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5920B1 (ko) 1999-01-09 2001-09-26 이두식 제설날 분리형 제설장치
KR20040018853A (ko) 2002-08-27 2004-03-04 주식회사 자동기 제설기용 삽날장치
KR200346346Y1 (ko) 2004-01-13 2004-03-31 한상섭 제설차용 제설삽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5920B1 (ko) 1999-01-09 2001-09-26 이두식 제설날 분리형 제설장치
KR20040018853A (ko) 2002-08-27 2004-03-04 주식회사 자동기 제설기용 삽날장치
KR200346346Y1 (ko) 2004-01-13 2004-03-31 한상섭 제설차용 제설삽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6122B1 (ko) 2010-09-27 2011-05-23 한상섭 제설차량의 제설삽용 완충장치
KR20130050064A (ko) * 2011-11-07 2013-05-15 (주)케이빈 제설장치의 삽날구조
KR101293878B1 (ko) 2011-11-07 2013-08-07 김정선 트랙터용 수평조절이 가능한 제설장치
CN107338757A (zh) * 2017-09-08 2017-11-10 张铁民 一种紧凑型雪铲
CN107338757B (zh) * 2017-09-08 2018-12-21 张铁民 一种紧凑型雪铲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4482B1 (ko) 제설차량의 제설삽용 완충장치
US6408547B1 (en) Shock-absorbent snowplow mount
DE102005052036A1 (de) Wischeranlage für Frontscheiben an Kraftfahrzeugen
EP1512560B1 (de) Verstellbares Fahrwerk
US4003603A (en) Impact means for ripper
CN1556761A (zh) 车钩钩头盖
EP1155893B1 (de) Vorrichtung zur Drehmomentabstützung einer Brennkraftmaschine
KR101263728B1 (ko) 전후로 기울어지는 블레이드를 갖는 제설기
KR101036122B1 (ko) 제설차량의 제설삽용 완충장치
CN103950360A (zh) 一种扫地车前轮避震装置
KR100408486B1 (ko) 트랙터 로우더 탈부착형 제설장치
KR200346347Y1 (ko) 페이로다용 완충식 제설기
KR0159062B1 (ko) 제설기의 충격 흡수장치
CN216981484U (zh) 一种输电线路防振锤防滑套
CN214939785U (zh) 一种路况适应型摆动角度可调推雪机构及推雪车
CN2734830Y (zh) 破冰辊破冰打击片
CN220813174U (zh) 用于切捆条机的刮胶装置
KR102097015B1 (ko) 인-휠 모터 시스템의 현가장치
CN218703578U (zh) 一种履带张紧结构
CN212175596U (zh) 一种路障机用的挡车板
CN218054773U (zh) 一种梯形减震支架
CN219317044U (zh) 一种具有双重翻转功能的冷却模块
KR100369153B1 (ko) 차량의 후륜 현가방식의 측변위 조절장치
CN216048430U (zh) 一种适用于围墙的太阳能支架
CN2742030Y (zh) 破冰辊破冰打击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110428

Effective date: 20120628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120730

Effective date: 20121227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130712

Effective date: 20140430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20703

Effective date: 20140430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40530

Effective date: 20141218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140527

Effective date: 2014121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8

Year of fee payment: 9

J221 Remand (intellectual property tribunal)

Free format text: REMAND (INTELLECTUAL PROPERTY TRIBUNAL) FOR INVALIDATION

J303 Written judgement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50108

Effective date: 20150409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50410

Effective date: 20150522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150724

Effective date: 20160122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5210000031; JUDGMENT (PATENT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150724

Effective date: 20160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