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3304Y1 - 제설기 - Google Patents

제설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3304Y1
KR200243304Y1 KR2020010005201U KR20010005201U KR200243304Y1 KR 200243304 Y1 KR200243304 Y1 KR 200243304Y1 KR 2020010005201 U KR2020010005201 U KR 2020010005201U KR 20010005201 U KR20010005201 U KR 20010005201U KR 200243304 Y1 KR200243304 Y1 KR 20024330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now
plate
fixing
holder
snow remov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52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두식
Original Assignee
이두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두식 filed Critical 이두식
Priority to KR20200100052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330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330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3304Y1/ko

Links

Landscapes

  • Cleaning Of Streets, Tracks, Or Beac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동절기 고속도로 및 일반도로의 적설, 압설을 신속하게 제거하는 제설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미사용시 제설기의 파손없이 안전하게 보관함이 용이하고 운전자 혼자서 기존의 차량에 손쉽게 장착할 수 있므며 주행중 장애물 충돌시 충돌되는 부분의 제설판 및 제설날만 분리되게 상승되어 충격을 흡수하므로써 동작이 원활할 수 있도록 한 제설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메인프레임 하부 양측에 부착된 사각홀더에 보관대가 내삽되고 보관대는 하부에 캐스터가 형성되며 상부 스토퍼핀이 사각홀더의 요홈에 끼워지는 한편 고정공이 고정구로 관통결합되는 제설기보관수단과, 상기 제설판은 3단분리되고 각각의 제설판에 완충스프링 및 링크가 개별설치되어 장애물 충돌시 충돌부만 부분 상승되며, 상기 연결장치에 설치되고 차량의 전원으로 작동되는 모터 구동을 통해 유압펌프를 작동시키는 별도의 파워시스템과,
상기 메인프레임 양측에 설치된 지지륜을 차량 진행방향과 일치되게 고정시키는 지지륜고정수단과, 상기 제설판 양측에 설치되고 제설판 충돌시 충격을 흡수하여 제설판을 보호하는 제설판 방진수단과,
상기 제설판 하단에 부착되고 제설날이 지면과 직교되게

Description

제설기{Snowplow}
본 고안은 동절기 고속도로 및 일반도로의 적설, 압설을 신속하게 제거하는 제설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미사용시 제설기의 파손없이 안전하게 보관함이 용이하고 운전자 혼자서 기존의 차량에 손쉽게 장착할 수 있므며 주행중 장애물 충돌시 충돌되는 부분의 제설판 및 제설날만 분리되게 상승되어 충격을 흡수하므로써 동작이 원활할 수 있도록 한 제설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동절기 예측하지 못한 폭설로 인해 발생되는 교통대란 및 이로 인해 야기되는 사고사례는 기상계측이 발달됨에도 불구하고 해마다 겪는 일종의 통과의례이다.
따라서 일단 내린 눈을 신속하게 제설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한 관건이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동절기에 한시적으로만 사용하는 제설기의 보관상태가 매우 중요하다. 즉 제설기를 파손됨 없이 안전하게 보관하여야만 다음해 적시에 사용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제설기를 보관함에 있어서 별도의 보관장치가 마련되지 않아 트럭에서 제설기를 분리한 후 제설날이 지면에 접지되게 보관하므로써 제설날이 파손되는 일이 발생되는 것이었다.
또한 제설기가 바닥에 놓여진 상태이므로 이를 트럭에 장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크레인을 사용해야하고 많은 인력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그리고 노면의 주행중 제설날에 장애물이 충돌하면 제설판 및 제설날 전체가 상승하면서 충격을 완화하므로 제설판의 무거운 하중에 의해 상승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완충력이 뒤떨어지고 제설날이 제설판의 곡선부에 연장되게 설치되어 지면과 경사지게 놓여지므로 제설기의 하중에 의해 고무재의 제설날이 비정상적으로 편마모 되는 한편 꺽여지는 현상으로 제품의 내구연한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또한 제설작업시 제설판의 측면이 도로에 설치된 분리대와 충돌시 파손됨을 방지하기 위해 측면에 롤러가 부착되어 있으나 롤러에 충격이 가해지면 쉽게 손상되어 제역할을 할 수 없는 것이었고 제설기를 작동시키는 동력을 차량의 풀리 및 클러치를 이용해 인출하여 사용하므로써 엔진 및 차량에 무리를 주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상기된 문제점을 해결하여 위한 것으로 제설기를 보관하기 위한 보관수단을 탈,부착 가능한 형태로 제공하여 제설기를 파손없이 보관함음 물론 별도의 장비 및 추가인원 없이 혼자서 탈,부착할 수 있게 되고 제설판과 제설날을 3단으로 분리하여 장애물 충돌시 충돌되는 부분만 완충작동 되어 작동이 원활하며 제설기 자체에 별도의 동력원인 파워시스템을 장착하여 차량엔진에 무리를 가하지 않는 한편 제설날을 지면과 수직을 갖는 형태로 제작하여 편마모 및 꺾임현상을 방지하여 내구성이 향상되고 제설판의 양측면에 방진수단을 설치하여 측면에서 가해지는 충격으로부터 제설판을 보호하는 안정성과 편의성,경제성을 향상시킨 제설기를 제공함을 고안의 주된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이 적용된 제설기의 배면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 보관수단에 의해 제설기가 보관된 상태의 측면도
도 3 은 본 고안 제설기를 트럭에 장착시키는 장착상태도
도 4 는 본 고안 보관수단의 결합상태 일부단면도
도 5 는 본 고안 보관수단의 결합상태도
도 6 은 본 고안 3단분리형 제설판 및 제설날의 완충상태 정면도
도 7 은 본 고안 파워시스템의 설치상태 정면도
도 8 은 본 고안 지지륜고정수단의 측면도
도 9 는 본 고안 지지륜고정수단의 작동상태 평면도
도 10 은 본 고안 제설판 측면을 보호하는 제설판방진수단의 평단면도
도 11 은 본 고안 제설날을 나타낸 결합상태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제설기 2: 메인프레임 3: 제설판
10: 제설기보관수단 11:사각홀더 12: 보관대
15: 스토퍼핀 20: 파워시스템 30: 지지륜고정수단
33: 핀브라켓 36: 고정판 40: 제설판방진수단
41: 고정홀더 42: 이송봉 43: 스프링
44: 방진판 50: 제설날 60: 비산방지판
소기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메인프레임(2) 전방에 장애물 충돌시 제설판(3)이 상승되게 완충스프링(4)으로 탄지되고 상,하 링크(5)로 연결되며 복원시 스토퍼(6)에 제한되는 한편 상기 제설판(3)을 트럭(A)에 장착시키도록 메인프레임(2)에 일측 리프트프레임(7)이 사방유동 되게 연결되고 타측 고정프레임(8)이 트럭(A)에 부착되는 연결장치(9)가 구비되며 상기 제설판(3)은 연결장치(9)에 설치된 리프트실린더(9a) 및 각도조절실린더(9b)의 작동으로 승,하강되거나 각도조절되는 공지형태의 제설기(1)에 있어서, 우선적으로 본 고안의 가장 특징적 요소인 제설기(1)를 보관시키기 위한 제설기보관수단(10)에 관해 살펴보기로 한다.
제설기보관수단(10)은 도 4내지 도 5와 같이 제설기(1)와 탈,부착 가능하게 메인프레임(2) 하부 양측에 사각홀더(11)가 부착되고 상기 사각홀더(11)에 보관대(12)가 내삽된다. 보관대(12)는 T자 형상으로 하부 양측에 이동을 위한 캐스터(13)가 부착되고 상부에 고정홀(14)이 천공되며 고정홀(14) 하측에 고정홀(14)과 일정간격으로 이격되게 스토퍼핀(15)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보관대(12)가 내삽되는 사각홀더(11)는 보관대(12)가 내삽될 때 보관대(12)의 고정홀(14)과 일치되는 위치에 고정홀(14)이 천공되고 저부에 스토퍼핀(15)이 끼워지는 반원형 요홈(16)이형성된다.
따라서 사각홀더(11)에 보관대(12)가 내삽되면 스토퍼핀(15)이 요홈(16)에 끼워지므로 더이상의 삽입이 이루어지지 않고 고정홀(14)이 고정구(17)로 관통결합되므로써 보관대(12)가 유동되는 일이 없고 보관대(12)에 도 2와 같이 제설기(1)가 얹어진 상태가 되어 제설날(50)이 지면에 밀착되지 않으므로 제설날(50)이 파손됨을 방지한다.
상기 제설기보관수단(10)은 평상시 제설기(1)를 보관하는 용도에 국한되지 않고 제설기(1)를 트럭(A)에 탈,부착시킬 경우 별도의 장비나, 추가 인원없이 혼자서 해결할 수 있는 것으로 그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보관대(12)에 제설기(1)가 얹어진 상태에서 도 3과 같이 리프트실린더(9a)를 작동시키면 연결장치(9)의 리프트프레임(7)이 시계방향으로 회동하면서 트럭(A)의 고정부재(A-1)에 연결되는 연결부재(9c)가 상부로 이송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설기(1)를 이동시키거나 트럭(A)을 이동시켜 고정부재(A-1) 상부에 연결부재(9C)를 위치시킨 후 리프트실린더(9a)를 원래상태로 복원시키면 연결부재(9c)가 하부로 이송하면서 고정부재(A-1)에 결합되어 탈착이 완료되는 것이다.
제설판(1)은 장애물 충돌시 제설판(3)전체가 상부로 이동하거나 제설날(50)만 후방으로 꺾여지면서 충격을 완화했던 것과 달리 제설판(3)이 3등분되고 각각의 제설판(3)에 개별적으로 별도의 완충스프링(4) 및 링크(5)가 설치되어 장애물 충돌시 도 6과 같이 충돌되는 부분의 제설판(3)만 상부로 이동함에 따라 작동이 원활하고 완충스프링(4)에 가해지는 힘이 적어 완충스프링(4)의 탄성력이 반영구적으로오랜기간 지속된다.
그리고 본 고안 제설기(1)를 작동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파워시스템(20)은 연결장치(9)의 일측에 별도 구성되는 것으로 차량의 엔진동력을 이용하지 않고 차량의 전원만을 이용하여 모터(21)를 구동시킨 후 모터(21)에 의해 제공되는 동력으로 유압펌프(22)를 작동시켜 각종실린더에 동력을 제공하게 되므로써 엔진에 절대 무리를 주지 않게 되며 연결장치(9)에 설치됨에 따라 차량에 손상을 주지 않는 한편 조작이 운전석에 설치된 조이스틱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하게 된다.
한편 제설작업시 제설기(1)를 지지하면서 제설판(3)과 함께 이동하는 지지륜(31)은 제설판(3)의 각도를 조절한 후 제설작업시 지지륜(31)이 차량(A)의 진행방향과 일치하지 않고 회전된 상태에서 주행함에 따라 지지륜(31)이 파손됨을 방지하기 위해 지지륜(31)을 차량(A)방향과 일치시킨 상태에서 유동되지 않고 고정상태를 유지시키는 지지륜고정수단(30)이 설치된다.
상기 지지륜고정수단(30)은 지지륜(31)의 외통(32)하부 외주연에 핀브라켓(33)이 돌설되고 상기 핀브라켓(33) 하측으로 지지륜(31)을 지지하는 고정편(34)에 방사상의 일정간격으로 다수의 고정홀(35)이 천공된 반원형 고정판(36)이 부착되는 한편 상기 핀브라켓(33)을 고정핀(37)이 관통하여 고정판(36)이 고정홀(35)에 끼워지므로써 지지륜(31)이 회전하지 않고 고정상태를 유지함에 따라 차량(A)의 진행방향과 일치된 상태로 진행되어 지지륜(31)이 파손되는 일이 없게 된다.
또한 제설판(3)의 양측면에 설치되는 한쌍의 제설판방진수단(40)은 제설판(3)의 후면 양측 하부에 고정홀더(41)가 부착되고 상기 고정홀더(41)에 이송봉(42)이 끼워진다. 이때 이송봉(42)의 내측에는 스프링(43)이 내삽되어 이송봉(42)이 스프링(43)에 의해 탄력지지 되며 선단에 스키형상의 방진판(44)이 설치되어 제설작업시 제설판(3) 측면이 분리대 등에 충돌할 경우 방진판(44)이 충격을 흡수하므로 제설판(3)의 파손을 막아주게 된다. 여기에서 방진판(44)이 내측으로 밀릴때 이송봉(42)의 외주에 돌설된 가이드봉(45)이 고정홀더(41)에 형성된 가이드홈(46)을 타고 이송하므로써 방진판(44)이 회전되는 일 없이 방진판(44) 양측 경사면(47)이 제설판(1)의 전,후 방향으로 위치된다.
또한 제설판(1)의 하단에 부착되는 제설날(50)은 제설날(50)이 지면과 직교되게형으로 이루어지므로써 고무재인 제설날(50)이 꺽여지거나 비정상적으로 편마모 되는 현상을 방지하여 제설날(50)의 내구연한을 증가시키며 지면과의 마찰력이 효율적이어서 제설효과가 극대화 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고안은 작업도중 눈이 상부로 비산되어 운전자의 시야를 방해함을 방지하기 위해 제설판(3) 상부에 각도조절 가능하게 비산방지판(60)이 설치되고 연결장치 양측 상부에 작업등(61)이 설치되어 트럭(A)에 제설기(1)를 장착함에 따라 전조등의 불빛이 전방을 효과적으로 비추지 못함을 해결하여 작업자에게 보다 나은 작업환경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은 탈,부착식 보관대에 의해 미사용시 제설기를 파손없이 안전하게 보관함과 동시에 차량에 제설기의 탈,부착이 1인에 의해 가능하게 되고 제설판이 3단분리 작동되므로 장애물 충돌시 작동이 원활하며 차량의 엔진동력을 이용하지 않고 별도의 파워시스템에 의해 동력이 제공되므로 차량 엔진에 무리를 주지 않는 한편 지지륜고정수단에 의해 지지륜이 차량의 진행방향과 일치하여 지지륜의 파손이 발생치 않고 제설판방진수단에 의해 측면에 가해지는 장애물 충돌로부터 제설판을 보호할 수 있으며 제설날이 지면과 직각을 이루므로써 꺽여짐과 편마모가 방지되어 제설날의 내구연한이 증가되는 효과가 있게 된다.

Claims (3)

  1. 메인프레임(2) 전방에 장애물 충돌시 제설판(3)이 상승되게 완충스프링(4)으로 탄지되고 상,하 링크(5)로 연결되며 복원시 스토퍼(6)에 제한되는 한편 상기 제설판(3)을 트럭(A)에 장착시키도록 메인프레임(2)에 일측 리프트프레임(7)이 사방유동 되게 연결되고 타측 고정프레임(8)이 트럭(A)에 부착되는 연결장치(9)가 구비되며 상기 제설판(3)은 연결장치(9)에 설치된 리프트실린더(9a) 및 각도조절실린더(9b)의 작동으로 승,하강되거나 각도조절되는 제설기(1)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2) 하부 양측에 부착된 사각홀더(11)에 보관대(12)가 내삽되고 보관대(12)는 하부에 캐스터(13)가 형성되며 상부 스토퍼핀(15)이 사각홀더(11)의 요홈(16)에 끼워지는 한편 고정홀(14)이 고정구(17)로 관통결합되는 제설기보관수단(10)과,
    상기 제설판(3)은 3단분리되고 각각의 제설판(3)에 완충스프링(4) 및 링크(5)가 개별 설치되어 장애물 충돌시 충돌부만 부분 상승되며,
    상기 연결장치(9)에 설치되고 차량의 전원으로 작동되는 모터(21) 구동을 통해 유압펌프(22)를 작동시키는 별도의 파워시스템(20)과,
    상기 메인프레임(2) 양측에 설치된 지지륜(31)을 차량방향과 일치되게 고정시키는 지지륜고정수단(30)과,
    상기 제설판(3) 양측에 설치되고 제설판(3) 충돌시 충격을 흡수하여 제설판(3)을 보호하는 제설판 방진수단(40)과,
    상기 제설판(3) 하단에 부착되고 제설날(50)이 지면과 직교되게형을 갖는 제설날(5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설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지지륜고정수단(30)은 지지륜(31)의 외통(32) 하부 외주연에 핀브라켓(33)이 돌설되고 상기 핀브라켓(33) 하측의 고정편(34)에 방사상으로 다수의 고정홀(35)이 천공된 반원형 고정판(36)이 부착되며 상기 핀브라켓(33)을 관통한 고정핀(37)이 고정홀(35)에 끼워져 지지륜(31)의 고정상태를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설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제설판 방진수단(40)은 제설판(3)에 고정홀더(41)가 부착되고 상기 고정홀더(41)에 이송봉(42)이 끼워지되 이송봉(42)은 스프링(43)에 탄지되고 선단에 스키형상의 방진판(44)이 설치되며 외주연 일측에 돌설된 가이드돌기(45)가 고정홀더(41)의 가이드홈(46)을 타고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설기.
KR2020010005201U 2001-02-27 2001-02-27 제설기 KR20024330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5201U KR200243304Y1 (ko) 2001-02-27 2001-02-27 제설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5201U KR200243304Y1 (ko) 2001-02-27 2001-02-27 제설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4551A Division KR100393342B1 (ko) 2002-03-18 2002-03-18 제설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3304Y1 true KR200243304Y1 (ko) 2001-09-28

Family

ID=73096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5201U KR200243304Y1 (ko) 2001-02-27 2001-02-27 제설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3304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5479B1 (ko) * 2002-08-27 2005-01-13 주식회사 자동기 제설기용 삽날장치
KR100901009B1 (ko) * 2009-02-04 2009-06-04 이텍산업 주식회사 제설날 수명 연장장치
KR101252616B1 (ko) * 2012-08-16 2013-04-09 주식회사 자동기 제설기
KR102037178B1 (ko) * 2019-02-15 2019-10-29 농업회사법인 희망농업기계 주식회사 차량용 제설 그레이더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5479B1 (ko) * 2002-08-27 2005-01-13 주식회사 자동기 제설기용 삽날장치
KR100901009B1 (ko) * 2009-02-04 2009-06-04 이텍산업 주식회사 제설날 수명 연장장치
KR101252616B1 (ko) * 2012-08-16 2013-04-09 주식회사 자동기 제설기
KR102037178B1 (ko) * 2019-02-15 2019-10-29 농업회사법인 희망농업기계 주식회사 차량용 제설 그레이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80569B2 (en) Platform assembly for use with working vehicle
CA2599047C (en) Plow systems for non-highway vehicles
CA2308522C (en) Snowplow mount
US20070029878A1 (en) Land clearing vehicle and track assembly therefor
KR101079081B1 (ko) 트랙터용 제설장치
KR100755780B1 (ko) 트랙터용 제설기
KR101263728B1 (ko) 전후로 기울어지는 블레이드를 갖는 제설기
KR200243304Y1 (ko) 제설기
KR100393342B1 (ko) 제설기
KR100465479B1 (ko) 제설기용 삽날장치
KR200459158Y1 (ko) 차량용 제설기구조체
KR100408486B1 (ko) 트랙터 로우더 탈부착형 제설장치
KR101629340B1 (ko) 차량 탈부착이 용이한 제설기
KR100436986B1 (ko) 트랙터 후면 탈부착용 제설기의 설치장치
KR100894566B1 (ko) 제설기 진동 흡수장치
KR200346347Y1 (ko) 페이로다용 완충식 제설기
JP4753140B2 (ja) 車輪装置の接地条件制御装置
KR0159062B1 (ko) 제설기의 충격 흡수장치
CA2515046A1 (en) Land clearing vehicle and track assembly therefor
KR0175745B1 (ko) 제설기의 삽날 보호장치
KR200273915Y1 (ko) 트랙터 후면 탈부착용 제설기의 설치장치
KR200297233Y1 (ko) 제설기용 삽날장치
KR101313299B1 (ko) 차량 장착용 철제 수거장치
KR102369063B1 (ko) Atv용 제설장치
US20080066938A1 (en) Ground stabilized transportable drop hamm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Free format text: WITHDRAWAL OF TRIAL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20523

Effective date: 200404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