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9340B1 - 차량 탈부착이 용이한 제설기 - Google Patents

차량 탈부착이 용이한 제설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9340B1
KR101629340B1 KR1020140038255A KR20140038255A KR101629340B1 KR 101629340 B1 KR101629340 B1 KR 101629340B1 KR 1020140038255 A KR1020140038255 A KR 1020140038255A KR 20140038255 A KR20140038255 A KR 20140038255A KR 101629340 B1 KR101629340 B1 KR 1016293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panel
vehicle
main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82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13761A (ko
Inventor
정성규
김응권
Original Assignee
정성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성규 filed Critical 정성규
Priority to KR10201400382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9340B1/ko
Publication of KR201501137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37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93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93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5/00Removing snow or ice from roads or like surfaces; Grading or roughening snow or ice
    • E01H5/04Apparatus propelled by animal or engine power; Apparatus propelled by hand with driven dislodging or conveying levelling elements, conveying pneumatically for the dislodged material
    • E01H5/06Apparatus propelled by animal or engine power; Apparatus propelled by hand with driven dislodging or conveying levelling elements, conveying pneumatically for the dislodged material dislodging essentially by non-driven elements, e.g. scraper blades, snow-plough blades, scoop blad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5/00Removing snow or ice from roads or like surfaces; Grading or roughening snow or ice
    • E01H5/04Apparatus propelled by animal or engine power; Apparatus propelled by hand with driven dislodging or conveying levelling elements, conveying pneumatically for the dislodged material
    • E01H5/06Apparatus propelled by animal or engine power; Apparatus propelled by hand with driven dislodging or conveying levelling elements, conveying pneumatically for the dislodged material dislodging essentially by non-driven elements, e.g. scraper blades, snow-plough blades, scoop blades
    • E01H5/061Apparatus propelled by animal or engine power; Apparatus propelled by hand with driven dislodging or conveying levelling elements, conveying pneumatically for the dislodged material dislodging essentially by non-driven elements, e.g. scraper blades, snow-plough blades, scoop blades by scraper blades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차체에 장착되는 제1연결부가 구비되고, 구동모터가 설치되는 안착부가 구비되며, 제2연결부가 구비되는 본체; 상기 제2연결부에 일측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주동연결프레임; 상기 제2연결부에 일측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주동연결프레임과 간격을 유지하도록 배치되는 보조연결프레임; 상기 주동연결프레임과 상기 보조연결프레임에 일측 방향 및 일측 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연결브래킷; 상기 연결브래킷에 유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패널; 상기 회전패널에 설치되고, 탄성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탄성연결부재; 상기 탄성연결부재에 연결되고, 도로에 쌓인 눈을 도로 외측으로 밀어내는 삽날; 상기 본체와 상기 주동연결프레임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주동연결프레임을 일측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1실린더; 상기 본체와 상기 연결브래킷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연결브래킷을 일측 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2실린더; 및 상기 회전패널과 상기 연결브래킷 사이의 간격으로 윤활제를 주입하는 유로를 구비하여 윤활제주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 탈부착이 용이한 제설기 {SNOW PLOW APPARATUS WITH EASY DETACHABLE FUNCTION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 탈부착이 용이한 제설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삽날의 연결구조를 단순화하여 부품수를 절감하고, 삽날이 유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삽날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차량에 설치하거나 차량으로부터 분리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차량 탈부착이 용이한 제설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겨울철의 도로 위에 쌓이는 눈을 빠르고 효과적으로 제설하기 위해 사용되는 방법으로 염화나트륨을 뿌려 눈을 녹이거나, 전면부에 삽날이 설치된 제설차량을 운행하면서 도로면에 삽날을 밀착시켜 도로에 쌓인 눈을 도로의 측 방향으로 밀어내는 제설작업을 행하고 있다.
염화나트륨을 사용하는 것은 일반 도로에 사용되기엔 많은 양의 염화나트륨을 필요로 하여 많은 비용이 소비되며 환경적인 문제까지 함께 발생하므로 도로의 전구간을 염화나트륨을 사용하여 제설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
따라서 겨울철 도로의 제설을 위해 제설차량을 많이 사용하며, 제설차량 전면부에는 삽날이 도로 위에 밀착되도록 설치되고, 작업자가 제설차량을 운전하면서 도로 위에 쌓인 눈을 도로의 측 방향으로 밀어 제설작업을 행한다.
종래기술에 따른 제설기는 차량 측 어셈블리와 제설기 측 어셈블리로 구성되며, 이 중에서 차량 측 어셈블리는 메인 플레이트와, 메인 플레이트의 후방으로 돌출되어 차량의 범퍼 내부로 삽입되는 메인 프레임과, 메인 플레이트의 상단에 형성되어 제설기의 좌우방향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한 마운팅 후크홈과, 메인 플레이트의 하단에 형성되어 제설기 측 어셈블리를 고정하기 위한 결합공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91461호(2009년 4월 1일 공개, 발명의 명칭 : 제설기 탈착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일반적인 제설기는 삽날을 회전 가능하고 유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연결구조가 복잡하기 때문에 부품수를 절감하기 어려워 제설기의 무게를 줄이기 어렵고, 제설기 제작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일반적인 제설기는 차량의 전면에 장착패널을 용접하여 설치한 후에 장착패널의 전면에 삽날을 설치하기 때문에 동절기가 아닌 계절에는 차량의 전면에 설치된 장착패널을 제거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동절기가 다가오면 삽날을 설치하기 위하여 장착패널을 차량의 전면에 설치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삽날의 연결구조를 단순화하여 부품수를 절감하고, 삽날이 유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삽날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차량에 설치하거나 차량으로부터 분리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차량 탈부착이 용이한 제설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차량의 차체에 장착되는 제1연결부가 구비되고, 구동모터가 설치되는 안착부가 구비되며, 제2연결부가 구비되는 본체; 상기 제2연결부에 일측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주동연결프레임; 상기 제2연결부에 일측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주동연결프레임과 간격을 유지하도록 배치되는 보조연결프레임; 상기 주동연결프레임과 상기 보조연결프레임에 일측 방향 및 일측 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연결브래킷; 상기 연결브래킷에 유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패널; 상기 회전패널에 설치되고, 탄성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탄성연결부재; 상기 탄성연결부재에 연결되고, 도로에 쌓인 눈을 도로 외측으로 밀어내는 삽날; 상기 본체와 상기 주동연결프레임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주동연결프레임을 일측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1실린더; 상기 본체와 상기 연결브래킷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연결브래킷을 일측 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2실린더; 및 상기 삽날이 차량의 전방에 배치되도록 상기 제1연결부를 차량의 저면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는 착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본체는, 간격을 유지하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지지대로부터 차량의 저면 측으로 굴곡되어 이루어지는 상기 제1연결부; 상기 제1연결부로부터 상측으로 굴곡되고, 상기 주동연결프레임이 수직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연결홀부 및 상기 보조연결프레임이 수직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연결홀부가 형성되며, 한 쌍의 상기 지지대를 연결하는 수평패널에 상기 제1실린더가 수직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설치홀부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상기 제2연결부; 및 상기 제2연결부의 상단이 전방으로 굴곡되고, 굴곡부위에 패널이 설치되며, 상기 구동모터가 안착되는 상기 안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착탈부는, 상기 제1연결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차량의 저면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삽입홀부; 상기 제1연결부에 구비되고 복수 개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 연속되게 형성되는 장착홀부; 상기 장착홀부와 대향되도록 상기 삽입홀부에 형성되고 체결부재가 삽입되는 관통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1연결부의 단부에는 상기 삽입홀부의 단부와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탈부착이 용이한 제설기는, 삽날의 연결구조가 간소화되어 부품수를 절감할 수 있고, 제설기의 무게를 줄일 수 있으며, 제설기 제작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탈부착이 용이한 제설기는, 연결브래킷과 회전패널이 유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연결브래킷에 연결되는 장착패널과 회전패널이 슬라이딩홀부에 의해 유동 가능하게 연결되므로 도로의 돌출부위에 삽날이 출동되면 삽날을 지지하는 회전패널이 유동되면서 충격을 상쇄시킬 수 있어 삽날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탈부착이 용이한 제설기는, 윤환제주입부를 통해 연결브래킷과 회전패널 사이의 간격, 및 회전패널과 장착패널 사이의 간격에 윤활제를 보충하여 주입할 수 있으므로 윤활제의 경화에 의해 삽날이 유동되지 않는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어 삽날의 파손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탈부착이 용이한 제설기는, 착탈부에 의해 차량의 전면에 삽날이 위치되도록 차량의 저면에 설치되는 삽입홀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므로 삽입홀부로부터 삽날을 분리하면 차량의 범퍼가 전방으로 노출되어 별도의 분리작업이 생략되고, 삽날을 설치할 때에도 별도의 패널을 설치하지 않고 착탈부에 의해 삽날이 차량 전방에 배치되도록 설치작업을 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탈부착이 용이한 제설기는, 삽입홀부에 삽입되는 제1연결부에 경사면이 구비되므로 제1연결부를 삽입홀부에 쉽게 삽입하여 삽날의 설치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탈부착이 용이한 제설기의 착탈부에 의한 장착상태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탈부착이 용이한 제설기의 착탈부에 의한 분리상태가 도시된 배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탈부착이 용이한 제설기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탈부착이 용이한 제설기의 승하강 작동이 도시된 작동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탈부착이 용이한 제설기의 좌우방향 회전운동이 도시된 작동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탈부착이 용이한 제설기의 삽날 유동운동이 도시된 작동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탈부착이 용이한 제설기의 윤활제주입부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탈부착이 용이한 제설기의 윤활제주입부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탈부착이 용이한 제설기의 윤활제주입부가 형성된 연결브래킷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탈부착이 용이한 제설기의 착탈부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탈부착이 용이한 제설기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탈부착이 용이한 제설기의 착탈부에 의한 장착상태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탈부착이 용이한 제설기의 착탈부에 의한 분리상태가 도시된 배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탈부착이 용이한 제설기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탈부착이 용이한 제설기의 승하강 작동이 도시된 작동상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탈부착이 용이한 제설기의 좌우방향 회전운동이 도시된 작동상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탈부착이 용이한 제설기의 삽날 유동운동이 도시된 작동상태도이다.
또한,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탈부착이 용이한 제설기의 윤활제주입부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탈부착이 용이한 제설기의 윤활제주입부가 도시된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탈부착이 용이한 제설기의 윤활제주입부가 형성된 연결브래킷이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탈부착이 용이한 제설기의 착탈부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탈부착이 용이한 제설기는, 차량의 차체에 장착되는 제1연결부(16)가 구비되고, 구동모터가 설치되는 안착부(14)가 구비되며, 제2연결부(18)가 구비되는 본체(10)와, 제2연결부(18)에 일측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주동연결프레임(32)과, 제2연결부(18)에 일측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주동연결프레임(32)과 간격을 유지하도록 배치되는 보조연결프레임(34)과, 주동연결프레임(32)과 보조연결프레임(34)에 일측 방향 및 일측 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연결브래킷(50)과, 연결브래킷(50)에 유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패널(70)과, 회전패널(70)에 설치되고, 탄성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탄성연결부재(36)와, 탄성연결부재(36)에 연결되고, 도로에 쌓인 눈을 도로 외측으로 밀어내는 삽날(80)과, 본체(10)와 주동연결프레임(32) 사이에 설치되고, 주동연결프레임(32)을 일측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1실린더(22)와, 본체(10)와 연결브래킷(50) 사이에 설치되고, 연결브래킷(50)을 일측 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2실린더(24)와, 회전패널(70)과 연결브래킷(50) 사이의 간격으로 윤활제를 주입하는 유로를 구비하여 윤활제주입부(100)와, 삽날(80)이 차량의 전방에 배치되도록 제1연결부(16)를 차량의 저면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는 착탈부(120)를 포함한다.
본체(10)로부터 일측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주동연결프레임(32)과 보조연결프레임(34)을 설치한 후에 주동연결프레임(32)과 보조연결프레임(34)에 일측 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브래킷(50)을 설치하며, 연결브래킷(50)에 회전패널(70)을 유동 가능하게 설치한다.
이후에, 회전브래킷(58)과 삽날(80) 사이에 탄성연결부재(36)가 위치되도록 탄성연결부재(36) 및 삽날(80)을 설치한 후에 제1연결부(16)를 차량에 설치되는 삽입홀부(128)에 결합하여 본체(10)를 고정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설치되는 제설기는, 완충작동을 행하는 별도의 실린더 및 탄성부재가 설치되지 않고, 삽날(80)에 가해지는 충격이 탄성연결부재(36)에 의해 완충되므로 제설기의 부품수를 줄일 수 있고, 제설기의 무게를 가볍게 할 수 있는 효과가 나타나게 된다.
안착부(14)에 설치되는 구동모터는 제1실린더(22) 및 제2실린더(24)에 작동유체를 공급하는 동력을 제공하므로 제1실린더(22)로부터 로드가 출몰되면 주동연결프레임(32) 및 보조연결프레임(34)이 일측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삽날(80)의 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제2실린더(24)로부터 로드가 출몰되면 연결브래킷(50)을 주동연결프레임(32) 및 보조연결프레임(34)으로부터 일측 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므로 삽날(80)의 위치가 가변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차량의 운전석 내부에 설치되는 조작부를 조작하여 삽날(80)의 위치를 일측 방향 또는 일측 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가변시키면서 제설작업을 행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구동모터의 동력을 변환시켜 제1실린더(22) 및 제2실린더(24)에 작동유체를 공급하는 동력전달부 및 조작부는 본 발명의 기술구성을 인지한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것이므로 구체적인 도면이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체(10)는, 간격을 유지하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지지대(12)로부터 차량의 저면 측으로 굴곡되어 이루어지는 제1연결부(16)와, 제1연결부(16)로부터 상측으로 굴곡되고, 주동연결프레임(32)이 수직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연결홀부(18a) 및 보조연결프레임(34)이 수직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연결홀부(18b)가 형성되며, 한 쌍의 지지대(12)를 연결하는 수평패널(18c)에 제1실린더(22)가 수직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설치홀부(18d)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제2연결부(18)와, 제2연결부(18)의 상단이 전방으로 굴곡되고, 굴곡부위에 패널이 설치되며, 구동모터가 안착되는 안착부(14)를 포함한다.
한 쌍의 지지대(12)는 간격을 유지하며 수직방향으로 평행을 이루도록 배치되고, 한 쌍의 지지대(12)를 연결하는 복수 개의 수평패널(18c)이 설치되어 제2연결부(18)를 이루게 되고, 지지대(12)의 하단이 후방으로 굴곡되어 제1연결부(16)를 이루며, 지지대(12)의 상단이 전방으로 굴곡되고, 굴곡부위에 패널이 설치되어 구동모터 및 동력전달부가 설치되는 안착부(14)를 이루게 된다.
제2연결부(18)를 이루는 지지대(12) 상부에는 전방으로 개방되도록 평면 형상이 'ㄷ'모양으로 굴곡되는 한 쌍의 제1연결홀부(18a)가 설치되고, 지지대(12) 하부에는 전방으로 개방되도록 평면 형상이 'ㄷ'모양으로 굴곡되는 한 쌍의 제2연결홀부(18b)가 설치된다.
한 쌍의 지지대(12)를 연결하는 수평패널(18c)에는 제1실린더(22)가 설치되는 설치홀부(18d) 형성되고, 설치홀부(18d)는 전방으로 개방되도록 평면 형상이 'ㄷ'모양으로 굴곡되므로 제1실린더(22)가 수직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주동연결프레임(32)은, 한 쌍의 제1연결홀부(18a)에 결합되도록 분기되는 파이프 모양으로 이루어지고, 연결브래킷(50)에 연결되는 단부에는 상기 제1실린더(22)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구동홀부(32a)가 형성된다.
따라서 설치홀부(18d)와 제1구동홀부(32a) 사이에 설치되는 제1실린더(22)로부터 로드가 돌출되면 주동연결프레임(32) 및 보조연결프레임(34)이 본체(10)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회전되므로 연결브래킷(50), 회전패널(70), 탄성연결부재(36) 및 삽날(80)을 하측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때, 삽날(80)은 지면에 접촉되도록 하강하게 되고, 차량이 주행하게 되면 도로에 쌓인 눈을 밀어낼 수 있게 된다.
반대로, 제1실린더(22) 내부로 로드가 삽입되면 주동연결프레임(32) 및 보조연결프레임(34)이 본체(10)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회전되므로 연결브래킷(50), 회전패널(70), 탄성연결부재(36) 및 삽날(80)을 상측 방향으로 이동시켜 삽날(80)과 지면 사이에 간격이 유지되도록 한다.
보조연결프레임(34)은, 한 쌍의 제2연결홀부(18b)에 결합되도록 분기되는 파이프 모양으로 이루어지고, 주동연결프레임(32)과 평행을 이루도록 배치된다.
보조연결프레임(34)은 주동연결프레임(32)과 동일한 모양으로 형성되고, 주동연결프레임(32)의 하측에 평행을 이루도록 설치되므로 주동연결프레임(32)이 승하강되면 평행을 유지하면서 동시에 승하강된다.
따라서 주동연결프레임(32)의 외측 단부와 보조연결프레임(34)의 외측 단부를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연결브래킷(50)이 수직방향으로 직립된 상태를 유지하며 승하강되도록 한다.
주동연결프레임(32), 보조연결프레임(34), 본체(10)의 제2연결부(18) 및 연결브래킷(50)이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측면 형상은 직사각형을 이루게 되며, 각각의 연결부위는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따라서 제1실린더(22)의 구동에 의해 주동연결프레임(32) 및 보조연결프레임(34)이 승하강될 때에 주동연결프레임(32), 보조연결프레임(34), 본체(10)의 제2연결부(18) 및 연결브래킷(50)이 연결되어 이루는 측면 형상은 평행사변형을 이루면서 변형되므로 연결브래킷(50)은 수직 방향으로 직립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연결브래킷(50)은 수직방향으로 긴 패널 모양으로 형성되고, 연결브래킷(50)에는 주동연결프레임(32)이 좌우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결합홈부(52)가 형성되며, 보조연결프레임(34)이 좌우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결합홈부(54)가 형성되고, 연결브래킷(50)의 중앙부에는 제2실린더(24)가 연결되도록 제2구동홀부(56a)가 형성되는 장착패널(56)이 설치된다.
연결브래킷(50)은 수직 방향으로 긴 패널 모양으로 형성되고, 상부에 제1결합홈부(52)가 형성되며, 하부에 제2결합홈부(54)가 형성되고, 연결브래킷(50)의 중앙부에 좌우 방향으로 길게 장착패널(56)이 설치된다.
장착패널(56)의 일단에는 제2구동홀부(56a)가 형성되며, 한 쌍의 지지대(12) 중에 제2구동홀부(56a)와 멀게 배치되는 지지대(12)와 제2구동홀부(56a) 사이에 제2실린더(24)가 설치된다.
따라서 제2실린더(24)로부터 로드가 돌출되면 장착패널(56), 회전패널(70) 및 삽날(80)을 시계방향으로 연결브래킷(50)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게 되므로 삽날(80)을 차량의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주동연결프레임(32)과 제1결합홈부(52) 사이에는 'ㄷ'모양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브래킷이 서로 배면이 접합되어 이루어지는 회전브래킷(58)이 설치되며, 회전브래킷(58)은 한 쌍의 브래킷이 90도 이격되게 접합되어 이루어진다.
따라서 주동연결프레임(32)의 단부에 연결되는 연결브래킷(50)은 주동연결프레임(32)의 단부에 수직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고, 좌우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회전브래킷(58)은 보조연결프레임(34)과 제2결합홈부(54) 사이에도 설치되며, 제2실린더(24)와 제2구동홀부(56a) 사이에도 설치되어 주동연결프레임(32), 보조연결프레임(34) 및 제2실린더(24)에 연결되는 연결브래킷(50)이 수직방향으로 회전되고, 좌우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회전패널(70)은 연결브래킷(50)의 중앙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탄성연결부재(36)가 결합되는 제1고정홀부(72)가 형성되며, 장착패널(56)에 설치되는 볼트(74a)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슬라이딩홀부(74)가 형성된다.
회전패널(70)은 장착패널(56)과 비교하여 길게 형성되고, 좌우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도록 장착패널(56)의 전면에 설치되며, 회전패널(70)의 중앙부는 장착패널(56)의 중앙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회전패널(70)의 일단이 상승하면 회전패널(70)의 타단은 하강하게 되고, 회전패널(70)의 타단이 상승하면 회전패널(70)의 일단이 하강하는 회전운동을 행할 수 있게 된다.
슬라이딩홀부(74)는 곡선 모양의 장공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회전패널(70)이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에 장착패널(56)에 설치되는 볼트(74a)가 슬라이딩홀부(74)를 따라 슬라이딩되고, 볼트(74a)가 슬라이딩홀부(74)의 단부까지 이동되면 회전패널(70)의 회전운동을 구속하게 된다.
따라서 회전패널(70)이 필요 이상으로 회전되어 회전패널(70) 또는 삽날(80)이 지면에 충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회전패널(70) 및 삽날(80)이 장착패널(56)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므로 제설작업 중에 지면에 형성되는 돌출부에 의해 삽날(80)이 가격되었을 때에 회전패널(70) 및 삽날(80)이 상측으로 유동되면서 돌출부에 의한 충격이 상쇄되도록 한다.
삽날(80)은, 곡선프레임(82a) 및 수평프레임(82b)이 연결되어 격자모양으로 이루어지고, 탄성연결부재(36)가 결합되는 제2고정홀부(82c)가 설치되는 격자프레임(82)과, 격자프레임(82)의 하단에 설치되는 마감패널(84)과, 마감패널(84)의 하단에 배치되는 탄성패널(86)을 마감패널(84)에 연결하도록 마감패널(84)의 하단에 설치되는 연결패널(87)과, 격자프레임(82)에 설치되는 투명패널(88)을 포함한다.
곡선프레임(82a)은 상단부가 전방으로 곡선을 이루도록 굴곡되고, 다수 개가 간격을 유지하도록 직립되게 배치되며, 다수 개의 곡선프레임(82a)을 연결하도록 다수 개의 수평프레임(82b)이 곡선프레임(82a)에 결합되어 격자프레임(82)을 이루게 된다.
격자프레임(82)의 하단에는 금속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마감패널(84)이 설치되고, 마감패널(84)의 하단에는 탄성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탄성패널(86)이 설치된다.
탄성패널(86)은 마감패널(84)의 하단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연결패널(87)에 의해 마감패널(84)의 하단에 연결되고, 마감패널(84)은 탄성패널(86)의 상단과 마감패널(84)의 하단을 동시에 감싸며 마감패널(84)의 하단에 체결부재에 의해 결합된다.
따라서 제설작업 중에 삽날(80)이 돌출부에 부딪치면 탄성패널(86)이 변형되면서 돌출부에 의한 충격이 완충되도록 하여 삽입이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곡선프레임(82a)과 수평프레임(82b) 사이의 공간에는 투명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투명패널(88)이 설치되므로 운전석에서 작업을 행하는 작업자가 투명패널(88)을 통하여 삽날(80)의 전방 상황을 확인하면서 제설작업을 행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마감패널(84)과 투명패널(88)은 모두 불투명한 금속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삽날(80)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마감패널(84)과 투명패널(88) 모두 투명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작업자의 시야를 보다 넓게 확보할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의 기술구성을 인지한 당업자가 용이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므로 다른 실시예에 대한 구체적인 도면이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윤활제주입부(100)는, 회전패널(70)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회전홀부(70a)로부터 회전패널(70)과 연결브래킷(50) 사이의 간격 외측으로 연장되는 공급홈부를 포함하고, 공급홈부는, 회전홀부(70a)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는 제1홈부(102)와, 회전홀부(70a)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는 제2홈부(104)와, 회전홀부(70a)로부터 일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홈부(106)와, 회전홀부(70a)로부터 타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4홀부(108)를 포함한다.
회전패널(70)의 중앙부에는 연결브래킷(50)에 체결부재에 의해 유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홀부(70a)가 형성되고, 회전홀부(70a)로부터 상측으로 제1홈부(102)가 연장되며, 회전홀부(70a)로부터 하측으로 제2홈부(104)가 연장되고, 회전홀부(70a)로부터 일측으로 제3홈부(106)가 연장되고, 회전홀부(70a)로부터 타측으로 제4홈부(108)가 연장된다.
따라서 회전패널(70)과 연결브래킷(50) 사이의 간격에 십자 모양의 유로가 형성되고, 제1홈부(102), 제2홈부(104), 제3홈부(106) 및 제4홈부(108)의 외측 단부에 윤활제 주입장치를 연결하여 윤활제를 주입하면 연결브래킷(50)과 회전패널(70) 사이의 간격으로 윤활제를 용이하게 주입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회전패널(70)과 연결브래킷(50) 사이의 간격으로 윤활제를 주입하면 윤활제의 경화에 의해 회전패널(70)이 유동되지 않게 되는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제설기는 주로 동절기에 사용되고, 나머지 계절에는 사용하지 않고 보관하게 되므로 동절기가 돌아오면 윤활제주입부(100)를 통해 윤활제를 공급하여 회전패널(70)이 연결브래킷(50)으로부터 원활히 유동되게 점검을 행한 후에 제설기를 사용하면 도로의 돌출부위에 의해 삽날(80)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윤활제주입부(100)는, 연결브래킷(50)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유동홀부(50a)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는 제5홈부(102a)와, 유동홀부(50a)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는 제6홈부(104a)와, 유동홀부(50a)로부터 일측으로 연장되는 제7홀부(106a)와, 유동홀부(50)로부터 타측으로 연장되는 제8홀부(108a)를 더 포함한다.
제5홈부(102a)는 제1홈부(102)와 대향되게 배치되고, 제6홈부(104a)는 제2홈부(104)와 대향되게 배치되고, 제7홈부(106a)는 제3홈부(106)와 대향되게 배치되고, 제8홈부(108a)는 제4홈부(108)와 대향되게 배치되어 두 개의 홈부가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어 원형의 단면을 가지는 홀부를 이루게 된다.
따라서 회전패널(70)과 연결브래킷(50) 사이의 간격으로 윤활제를 보다 효과적으로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연결브래킷(50)의 중앙부로부터 양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장착패널(56)에는 제3홈부(106) 또는 제4홈부(108)와 연결되어 통하는 주입홀부(56b)가 구비된다.
따라서 윤활제 주입장치를 주입홀부(56b)에 연결하여 윤활제를 주입하면 연결브래킷(50) 및 장착패널(56)과 회전패널(70) 사이의 공간에 효과적으로 윤활제를 주입할 수 있게 된다.
착탈부(120)는, 제1연결부(16)가 안착되는 안착홈부(122a)가 구비되고, 체결부재에 의해 본체(10)에 결합되는 착탈홀부(124)를 구비하는 착탈패널(122)과, 착탈패널(122)로부터 연장되는 착탈돌기부(126)와, 착탈돌기부(126)가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차량의 저면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삽입홀부(128)와, 착탈돌기부(126)에 구비되는 장착홀부(126b)와, 장착홀부(126b)와 대향되도록 삽입홀부(128)에 형성되고 체결부재가 삽입되는 관통홀부(128a)를 포함한다.
착탈패널(122)은 하단부가 개구되는 '∩'모양으로 패널로 이루어지고, 착탈패널(122)의 상단에는 한 쌍의 안착홈부(122a)가 형성되어 본체(10)의 저면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는 제1연결부(16)가 안착홈부(122a)에 거치된다.
또한, 착탈패널(122)의 하단부에는 착탈홀부(124)가 형성되고, 착탈홀부(124)는 착탈패널(122)의 양측단부로부터 중앙부 측으로 길게 절개되어 이루어지는 절개홀부(124a)와, 착탈패널(122)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장공부(124b)를 포함한다.
따라서 작업자는 본체(10)를 착탈패널(122)에 연결할 때에 제1연결부(16)를 안착홈부(122a)에 거치시킨 후에 절개홀부(124a) 및 장공부(124b)에 체결부재를 삽입하여 본체(10)에 결합함으로써, 착탈패널(122)과 본체(10)를 연결할 수 있게 된다.
착탈패널(122)은 중앙부에 공간이 형성되므로 본체(10)에 설치되는 다른 부품들과 착탈패널(122)이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한 쌍의 안착홈부(122a) 사이에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홈부에 의해 본체(10)에 설치되는 장치들과 착탈패널(122)이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착탈돌기부(126)의 단부에는 삽입홀부(128)의 단부와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는 경사면(126a)이 형성된다.
착탈돌기부(126)는 본체(10) 및 삽날(80)을 모두 지지하는 부재이기 때문에 삽입홀부(128)에 유동되지 않게 압입되어야 하는데, 착탈돌기부(126)의 단부에 경사면(126a)이 형성되므로 착탈돌기부(126)를 삽입홀부(128)에 삽입하는 초기에 착탈돌기부(126)의 단부와 삽입홀부(128)의 단부가 서로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착탈돌기부(126)를 용이하게 삽입홀부(128)에 삽입할 수 있게 되고, 본체(10) 및 삽날(80)을 차량과 연결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차량의 저면에 한 쌍의 삽입홀부(128)가 간격을 유지하고, 홀부가 차량의 전면으로 개방되도록 차량의 저면에 한 쌍의 삽입홀부(128)를 용접하여 결합한다.
동절기가 종료되어 본체(10)와 차량을 분리하는 경우에는 관통홀부(17a) 및 장착홀부(16a)에 결합된 체결부재를 분리하여 착탈돌기부(126)를 삽입홀부(128)로부터 분리시키면 본체(10)와 차량을 쉽게 분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착탈패널(122)을 분리하여 본체(10)를 차량과 분리한 후에는 삽입홀부(128)가 차량의 저면에 접합된 상태이므로 범퍼가 차량의 전방으로 노출된 상태를 이루게 되므로 차량 운행을 위한 별도의 분리작업이 요구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차량으로부터 제설기를 분리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탈부착이 용이한 제설기의 작동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설작업이 개시되면 작업자는 차량 주행을 시작하면서 조작부를 조작하여 제1실린더(22)로부터 로드를 돌출시키면 주동연결프레임(32) 및 보조연결프레임(34)이 하강하면서 연결브래킷(50), 회전패널(70) 및 삽날(80)이 하강하게 되므로 탄성패널(86)의 하단이 지면에 접촉되면서 도로에 쌓인 눈을 밀어내게 된다.
또한, 작업자는 조작부를 조작하여 제2실린더(24)로부터 로드를 돌출시키면 제2실린더(24)로부터 돌출되는 로드가 장착패널(56) 및 회전패널(70)을 연결브래킷(50)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게 되므로 삽날(80)이 차량의 측 방향을 향하도록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도로에 쌓인 눈을 도로의 측 방향으로 밀어내면서 차량이 전진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제설작업을 행하는 중에 도로에 형성되는 돌출부에 의해 삽날(80)에 충격이 가해질 수 있는데, 이때, 탄성패널(86)이 변형되고, 회전패널(70) 및 삽날(80)이 장착패널(56)의 중앙부에 설치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충격을 완충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작동에 의해 도로에 구비되는 돌출부에 의해 삽날(80)이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작업자는 삽날(80)에 설치되는 투명패널(88)을 통하여 삽날(80)의 전방 상황을 확인하면서 제설작업을 행할 수 있다.
따라서 계단이나 단차와 같은 큰 구조물이 삽날(80)의 전방에 나타나면 작업자는 조작부를 조작하여 제1실린더(22) 내부로 로드를 삽입하므로 삽날(80)을 상승시키며 제설작업을 행할 수 있게 된다.
동절기가 지나가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제설기는 삽입홀부 및 착탈돌기부로부터 체결부재를 분리하여 본체 및 착탈패널을 삽입홀부로부터 분리하여 창고 등의 공간에 보관된다.
다음의 동절기가 다가오면 작업자가 제1홈부(102) 내지 제8홈부(108a) 및 주입홀부(56b)를 통해 윤활제를 공급함으로써, 삽날(80)이 유동 가능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점검작업을 행하고 착탈패널(122)과 삽입홀부(128)를 결합하여 상기한 바와 같은 제설작업을 행하게 된다.
이로써, 삽날의 연결구조를 단순화하여 부품수를 절감하고, 삽날이 유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삽날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삽날의 유동을 유도하는 윤활제의 공급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차량 탈부착이 용이한 제설기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는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차량에 설치되는 차량 탈부착이 용이한 제설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차량에 설치되는 차량 탈부착이 용이한 제설기가 아닌 다른 제품에도 본 발명의 제설기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본체 12 : 지지대
14 : 안착부 16 : 제1연결부
16a : 장착홀부 17 : 삽입홀부
18 : 제2연결부 18a : 제1연결홀부
18b : 제2연결홀부 18c : 수평패널
18d : 설치홀부 22 : 제1실린더
24 : 제2실린더 32 : 주동연결프레임
32a : 제1구동홀부 34 : 보조연결프레임
36 : 탄성연결부재 50 : 연결브래킷
52 : 제1결합홈부 54 : 제2결합홈부
56 : 장착패널 56a : 제2구동홀부
70 : 회전패널 72 : 제1고정홀부
74 : 슬라이딩홀부 80 : 삽날
82 : 격자프레임 82a : 곡선프레임
82b : 수평프레임 82c : 제2고정홀부
84 : 마감패널 86 : 탄성패널
87 : 연결패널 88 : 투명패널

Claims (4)

  1. 차량의 차체에 장착되는 제1연결부가 구비되고, 구동모터가 설치되는 안착부가 구비되며, 제2연결부가 구비되는 본체;
    상기 제2연결부에 일측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주동연결프레임;
    상기 제2연결부에 일측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주동연결프레임과 간격을 유지하도록 배치되는 보조연결프레임;
    상기 주동연결프레임과 상기 보조연결프레임에 일측 방향 및 일측 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연결브래킷;
    상기 연결브래킷에 유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패널;
    상기 회전패널에 설치되고, 탄성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탄성연결부재;
    상기 탄성연결부재에 연결되고, 도로에 쌓인 눈을 도로 외측으로 밀어내는 삽날;
    상기 본체와 상기 주동연결프레임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주동연결프레임을 일측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1실린더;
    상기 본체와 상기 연결브래킷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연결브래킷을 일측 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2실린더;
    상기 삽날이 차량의 전방에 배치되도록 상기 제1연결부를 차량의 저면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는 착탈부; 및
    상기 회전패널과 상기 연결브래킷 사이의 간격으로 윤활제를 주입하는 유로를 구비하여 윤활제주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착탈부는,
    상기 제1연결부가 삽입되는 안착홈부가 구비되고, 체결부재에 의해 연결되는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착탈홀부를 구비하는 착탈패널;
    상기 착탈패널로부터 연장되는 착탈돌기부; 및
    상기 착탈돌기부가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상기 차량의 저면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삽입홀부;
    상기 착탈돌기부에 구비되는 장착홀부; 및
    상기 장착홀부와 대향되도록 상기 삽입홀부에 형성되고 체결부재가 삽입되는 관통홀부를 포함하고,
    상기 윤활제주입부는,
    상기 회전패널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회전홀부로부터 상기 회전패널과 상기 연결브래킷 사이의 간격 외측으로 연장되는 공급홈부를 포함하고,
    상기 공급홈부는,
    상기 회전홀부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는 제1홈부;
    상기 회전홀부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는 제2홈부;
    상기 회전홀부로부터 일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홈부; 및
    상기 회전홀부로부터 타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4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탈부착이 용이한 제설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간격을 유지하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지지대로부터 차량의 저면 측으로 굴곡되어 이루어지는 상기 제1연결부;
    상기 제1연결부로부터 상측으로 굴곡되고, 상기 주동연결프레임이 수직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연결홀부 및 상기 보조연결프레임이 수직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연결홀부가 형성되며, 한 쌍의 상기 지지대를 연결하는 수평패널에 상기 제1실린더가 수직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설치홀부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상기 제2연결부; 및
    상기 제2연결부의 상단이 전방으로 굴곡되고, 굴곡부위에 패널이 설치되며, 상기 구동모터가 안착되는 상기 안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탈부착이 용이한 제설기.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돌기부의 단부에는 상기 삽입홀부의 단부와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탈부착이 용이한 제설기.
KR1020140038255A 2014-03-31 2014-03-31 차량 탈부착이 용이한 제설기 KR1016293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8255A KR101629340B1 (ko) 2014-03-31 2014-03-31 차량 탈부착이 용이한 제설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8255A KR101629340B1 (ko) 2014-03-31 2014-03-31 차량 탈부착이 용이한 제설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3761A KR20150113761A (ko) 2015-10-08
KR101629340B1 true KR101629340B1 (ko) 2016-06-21

Family

ID=543466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8255A KR101629340B1 (ko) 2014-03-31 2014-03-31 차량 탈부착이 용이한 제설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934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7730B1 (ko) 2020-09-07 2021-01-04 주식회사 티앤티원 제설용 플라우
KR102332116B1 (ko) * 2021-05-07 2021-12-01 경상북도 영천시 차량부착식 공간자유형 다목적 작업대
KR102346542B1 (ko) * 2021-05-07 2021-12-31 이은미 차량부착식 공간자유형 다목적 작업대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7788B1 (ko) * 2009-01-09 2009-09-21 김용주 트랙터용 제설장치
KR100999290B1 (ko) * 2010-07-22 2010-12-07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제설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27367A (ko) * 2010-05-19 2011-11-25 안영천 제설차량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7788B1 (ko) * 2009-01-09 2009-09-21 김용주 트랙터용 제설장치
KR100999290B1 (ko) * 2010-07-22 2010-12-07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제설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7730B1 (ko) 2020-09-07 2021-01-04 주식회사 티앤티원 제설용 플라우
KR102332116B1 (ko) * 2021-05-07 2021-12-01 경상북도 영천시 차량부착식 공간자유형 다목적 작업대
KR102346542B1 (ko) * 2021-05-07 2021-12-31 이은미 차량부착식 공간자유형 다목적 작업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3761A (ko) 2015-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1402B1 (ko) 건설 기계
KR101629340B1 (ko) 차량 탈부착이 용이한 제설기
CN101631914B (zh) 挖掘作业机
KR101079081B1 (ko) 트랙터용 제설장치
KR100999290B1 (ko) 제설기
US835335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ttaching a utility vehicle 3-point hitch to an implement bracket
KR101249392B1 (ko) 트랙터용 제설장치
EP1247908A1 (en) Radiator for earth moving machine
WO2014167319A2 (en) Ground planer
EP2990536A2 (en) Combination cab mounting bracket and lift arm stop for skid steer machine
KR101592486B1 (ko) 삽날의 틸팅기능이 향상된 제설기
KR101395304B1 (ko) 제설기
KR101742234B1 (ko) 송풍 제설장치
US9611605B1 (en) Cantilevered debris plow and method of clearing debris
JP6807398B2 (ja) モータグレーダの作業機、およびモータグレーダ
WO2012148872A2 (en) Fender providing enhanced visibility
KR20140004723U (ko) 차체 연결용 그레이더
KR101012723B1 (ko) 제설기
PT1247907E (pt) Chassis para carregador de pa deslizante
KR20150004345U (ko) 관리기를 이용한 제설장치
JP3808733B2 (ja) クローラ式走行装置
JP5822770B2 (ja) 田植機の苗載台分割構造
KR200414509Y1 (ko) 눈 부착이 방지되는 제설기
KR100393342B1 (ko) 제설기
KR200243304Y1 (ko) 제설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