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5304B1 - 제설기 - Google Patents
제설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95304B1 KR101395304B1 KR1020130062987A KR20130062987A KR101395304B1 KR 101395304 B1 KR101395304 B1 KR 101395304B1 KR 1020130062987 A KR1020130062987 A KR 1020130062987A KR 20130062987 A KR20130062987 A KR 20130062987A KR 101395304 B1 KR101395304 B1 KR 10139530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nection
- frame
- panel
- main
- bracke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5/00—Removing snow or ice from roads or like surfaces; Grading or roughening snow or ice
- E01H5/04—Apparatus propelled by animal or engine power; Apparatus propelled by hand with driven dislodging or conveying levelling elements, conveying pneumatically for the dislodged material
- E01H5/06—Apparatus propelled by animal or engine power; Apparatus propelled by hand with driven dislodging or conveying levelling elements, conveying pneumatically for the dislodged material dislodging essentially by non-driven elements, e.g. scraper blades, snow-plough blades, scoop blades
- E01H5/063—Apparatus propelled by animal or engine power; Apparatus propelled by hand with driven dislodging or conveying levelling elements, conveying pneumatically for the dislodged material dislodging essentially by non-driven elements, e.g. scraper blades, snow-plough blades, scoop blades by snow-plough blades tiltable for shock-absorbing purpose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5/00—Removing snow or ice from roads or like surfaces; Grading or roughening snow or ice
- E01H5/04—Apparatus propelled by animal or engine power; Apparatus propelled by hand with driven dislodging or conveying levelling elements, conveying pneumatically for the dislodged material
- E01H5/06—Apparatus propelled by animal or engine power; Apparatus propelled by hand with driven dislodging or conveying levelling elements, conveying pneumatically for the dislodged material dislodging essentially by non-driven elements, e.g. scraper blades, snow-plough blades, scoop blades
- E01H5/061—Apparatus propelled by animal or engine power; Apparatus propelled by hand with driven dislodging or conveying levelling elements, conveying pneumatically for the dislodged material dislodging essentially by non-driven elements, e.g. scraper blades, snow-plough blades, scoop blades by scraper blades
- E01H5/062—Apparatus propelled by animal or engine power; Apparatus propelled by hand with driven dislodging or conveying levelling elements, conveying pneumatically for the dislodged material dislodging essentially by non-driven elements, e.g. scraper blades, snow-plough blades, scoop blades by scraper blades by scraper blades displaceable for shock-absorbing purpose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5/00—Removing snow or ice from roads or like surfaces; Grading or roughening snow or ice
- E01H5/04—Apparatus propelled by animal or engine power; Apparatus propelled by hand with driven dislodging or conveying levelling elements, conveying pneumatically for the dislodged material
- E01H5/06—Apparatus propelled by animal or engine power; Apparatus propelled by hand with driven dislodging or conveying levelling elements, conveying pneumatically for the dislodged material dislodging essentially by non-driven elements, e.g. scraper blades, snow-plough blades, scoop blades
- E01H5/065—Apparatus propelled by animal or engine power; Apparatus propelled by hand with driven dislodging or conveying levelling elements, conveying pneumatically for the dislodged material dislodging essentially by non-driven elements, e.g. scraper blades, snow-plough blades, scoop blades characterised by the form of the snow-plough blade, e.g. flexible, or by snow-plough blade 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Of Streets, Tracks, Or Bea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차체에 장착되는 제1연결부가 구비되고, 구동모터가 설치되는 안착부가 구비되며, 제2연결부가 구비되는 본체와, 제2연결부에 일측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주동연결프레임과, 제2연결부에 일측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주동연결프레임과 간격을 유지하도록 배치되는 보조연결프레임과, 주동연결프레임과 보조연결프레임에 일측 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연결브래킷과, 연결브래킷에 유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패널과, 회전패널에 설치되고, 탄성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탄성연결부재와, 탄성연결부재에 연결되고, 도로에 쌓인 눈을 도로 외측으로 밀어내는 삽날과, 본체와 주동연결플레임 사이에 설치되고, 주동연결플레임을 일측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1실린더와, 본체와 연결브래킷 사이에 설치되고, 연결브래킷을 일측 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2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제설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삽날의 연결구조를 단순화하여 부품수를 절감하고, 삽날이 유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삽날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제설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겨울철의 도로 위에 쌓이는 눈을 빠르고 효과적으로 제설하기 위해 사용되는 방법으로 염화나트륨을 뿌려 눈을 녹이거나, 전면부에 삽날이 설치된 제설차량을 운행하면서 도로면에 삽날을 밀착시켜 도로에 쌓인 눈을 도로의 측 방향으로 밀어내는 제설작업을 행하고 있다.
염화나트륨을 사용하는 것은 일반 도로에 사용되기엔 많은 양의 염화나트륨을 필요로 하여 많은 비용이 소비되며 환경적인 문제까지 함께 발생하므로 도로의 전구간을 염화나트륨을 사용하여 제설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
따라서 겨울철 도로의 제설을 위해 제설차량을 많이 사용하며, 제설차량 전면부에는 삽날이 도로 위에 밀착되도록 설치되고, 작업자가 제설차량을 운전하면서 도로 위에 쌓인 눈을 도로의 측 방향으로 밀어 제설작업을 행한다.
종래기술에 따른 제설기는 차량 측 어셈블리와 제설기 측 어셈블리로 구성되며, 이 중에서 차량 측 어셈블리는 메인 플레이트와, 메인 플레이트의 후방으로 돌출되어 차량의 범퍼 내부로 삽입되는 메인 프레임과, 메인 플레이트의 상단에 형성되어 제설기의 좌우방향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한 마운팅 후크홈과, 메인 플레이트의 하단에 형성되어 제설기 측 어셈블리를 고정하기 위한 결합공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91461호(2009년 4월 1일 공개, 발명의 명칭 : 제설기 탈착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일반적인 제설기는 삽날을 회전 가능하고 유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연결구조가 복잡하기 때문에 부품수를 절감하기 어려워 제설기의 무게를 줄이기 어렵고, 제설기 제작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삽날의 연결구조를 단순화하여 부품수를 절감하고, 삽날이 유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삽날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제설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차량의 차체에 장착되는 제1연결부가 구비되고, 구동모터가 설치되는 안착부가 구비되며, 제2연결부가 구비되는 본체; 상기 제2연결부에 일측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주동연결프레임; 상기 제2연결부에 일측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주동연결프레임과 간격을 유지하도록 배치되는 보조연결프레임; 상기 주동연결프레임과 상기 보조연결프레임에 일측 방향 및 일측 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연결브래킷; 상기 연결브래킷에 유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패널; 상기 회전패널에 설치되고, 탄성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탄성연결부재; 상기 탄성연결부재에 연결되고, 도로에 쌓인 눈을 도로 외측으로 밀어내는 삽날; 상기 본체와 상기 주동연결플레임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주동연결플레임을 일측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1실린더; 및 상기 본체와 상기 연결브래킷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연결브래킷을 일측 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2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본체는, 한 쌍이 지지대가 간격을 유지하도록 배치되고, 차량의 저면으로 삽입되어 차체에 결합되는 장착홀부가 형성되는 상기 제1연결부; 상기 제1연결부로부터 상측으로 굴곡되고, 상기 주동연결프레임이 수직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연결홀부 및 상기 보조연결프레임이 수직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연결홀부가 형성되며, 한 쌍의 상기 지지대를 연결하는 수평패널에 상기 제1실린더가 수직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설치홀부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상기 제2연결부; 및 상기 제2연결부의 상단이 전방으로 굴곡되고, 굴곡부위에 패널이 설치되며, 상기 구동모터가 안착되는 상기 안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주동연결프레임은, 한 쌍의 상기 제1연결홀부에 결합되도록 분기되는 파이프 모양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브래킷에 연결되는 단부에는 상기 제1실린더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구동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보조연결프레임은, 한 쌍의 상기 제2연결홀부에 결합되도록 분기되는 파이프 모양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주동연결프레임과 평행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연결브래킷은 수직방향으로 긴 패널 모양으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브래킷에는 상기 주동연결프레임이 좌우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결합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보조연결프레임이 좌우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결합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브래킷의 중앙부에는 상기 제2실린더가 연결되도록 제2구동홀부가 형성되는 장착패널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회전패널은 상기 연결브래킷의 중앙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탄성연결부재가 결합되는 제1고정홀부가 형성되며, 상기 장착패널에 설치되는 볼트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슬라이딩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삽날은, 곡선프레임 및 수평프레임이 연결되어 격자모양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탄성연결부재가 결합되는 제2고정홀부가 설치되는 격자프레임; 상기 격자프레임의 하단에 설치되는 마감패널; 상기 마감패널의 하단에 배치되는 탄성패널을 상기 마감패널에 연결하도록 상기 마감패널의 하단에 설치되는 연결패널; 및 상기 격자프레임에 설치되는 투명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설기는, 삽날의 연결구조가 간소화되어 부품수를 절감할 수 있고, 제설기의 무게를 줄일 수 있으며, 제설기 제작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설기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설기가 도시된 배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설기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설기의 승하강 작동이 도시된 작동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설기의 좌우방향 회전운동이 도시된 작동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설기의 삽날 유동운동이 도시된 작동상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설기가 도시된 배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설기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설기의 승하강 작동이 도시된 작동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설기의 좌우방향 회전운동이 도시된 작동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설기의 삽날 유동운동이 도시된 작동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설기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설기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설기가 도시된 배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설기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설기의 승하강 작동이 도시된 작동상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설기의 좌우방향 회전운동이 도시된 작동상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설기의 삽날 유동운동이 도시된 작동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설기는, 차량의 차체에 장착되는 제1연결부(16)가 구비되고, 구동모터가 설치되는 안착부(14)가 구비되며, 제2연결부(18)가 구비되는 본체(10)와, 제2연결부(18)에 일측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주동연결프레임(32)과, 제2연결부(18)에 일측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주동연결프레임(32)과 간격을 유지하도록 배치되는 보조연결프레임(34)과, 주동연결프레임(32)과 보조연결프레임(34)에 일측 방향 및 일측 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연결브래킷(50)과, 연결브래킷(50)에 유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패널(70)과, 회전패널(70)에 설치되고, 탄성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탄성연결부재(36)와, 탄성연결부재(36)에 연결되고, 도로에 쌓인 눈을 도로 외측으로 밀어내는 삽날(80)과, 본체(10)와 주동연결플레임 사이에 설치되고, 주동연결플레임을 일측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1실린더(22)와, 본체(10)와 연결브래킷(50) 사이에 설치되고, 연결브래킷(50)을 일측 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2실린더(24)를 포함한다.
본체(10)로부터 일측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주동연결프레임(32)과 보조연결프레임(34)을 설치한 후에 주동연결프레임(32)과 보조연결프레임(34)에 일측 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브래킷(50)을 설치하며, 연결브래킷(50)에 회전패널(70)을 유동 가능하게 설치한다.
이후에, 회전브래킷(58)과 삽날(80) 사이에 탄성연결부재(36)가 위치되도록 탄성연결부재(36) 및 삽날(80)을 설치한 후에 제1연결부(16)를 차량에 설치되는 삽입홀부(17)에 결합하여 본체(10)를 고정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설치되는 제설기는, 완충작동을 행하는 별도의 실린더 및 탄성부재가 설치되지 않고, 삽날(80)에 가해지는 충격이 탄성연결부재(36)에 의해 완충되므로 제설기의 부품수를 줄일 수 있고, 제설기의 무게를 가볍게 할 수 있는 효과가 나타나게 된다.
안착부(14)에 설치되는 구동모터는 제1실린더(22) 및 제2실린더(24)에 작동유체를 공급하는 동력을 제공하므로 제1실린더(22)로부터 로드가 출몰되면 주동연결프레임(32) 및 보조연결프레임(34)이 일측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삽날(80)의 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제2실린더(24)로부터 로드가 출몰되면 연결브래킷(50)을 주동연결프레임(32) 및 보조연결프레임(34)으로부터 일측 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므로 삽날(80)의 위치가 가변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차량의 운전석 내부에 설치되는 조작부를 조작하여 삽날(80)의 위치를 일측 방향 또는 일측 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가변시키면서 제설작업을 행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구동모터의 동력을 변환시켜 제1실린더(22) 및 제2실린더(24)에 작동유체를 공급하는 동력전달부 및 조작부는 본 발명의 기술구성을 인지한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것이므로 구체적인 도면이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체(10)는, 한 쌍이 지지대(12)가 간격을 유지하도록 배치되고, 차량의 저면으로 삽입되어 차체에 결합되는 장착홀부(16a)가 형성되는 제1연결부(16)와, 제1연결부(16)로부터 상측으로 굴곡되고, 주동연결프레임(32)이 수직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연결홀부(18a) 및 보조연결프레임(34)이 수직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연결홀부(18b)가 형성되며, 한 쌍의 지지대(12)를 연결하는 수평패널(18c)에 제1실린더(22)가 수직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설치홀부(18d)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제2연결부(18)와, 제2연결부(18)의 상단이 전방으로 굴곡되고, 굴곡부위에 패널이 설치되며, 구동모터가 안착되는 안착부(14)를 포함한다.
한 쌍의 지지대(12)는 간격을 유지하며 수직방향으로 평행을 이루도록 배치되고, 한 쌍의 지지대(12)를 연결하는 복수 개의 수평패널(18c)이 설치되어 제2연결부(18)를 이루게 되고, 지지대(12)의 하단이 후방으로 굴곡되어 제1연결부(16)를 이루며, 지지대(12)의 상단이 전방으로 굴곡되고, 굴곡부위에 패널이 설치되어 구동모터 및 동력전달부가 설치되는 안착부(14)를 이루게 된다.
제2연결부(18)를 이루는 지지대(12) 상부에는 전방으로 개방되도록 평면 형상이 'ㄷ'모양으로 굴곡되는 한 쌍의 제1연결홀부(18a)가 설치되고, 지지대(12) 하부에는 전방으로 개방되도록 평면 형상이 'ㄷ'모양으로 굴곡되는 한 쌍의 제2연결홀부(18b)가 설치된다.
한 쌍의 지지대(12)를 연결하는 수평패널(18c)에는 제1실린더(22)가 설치되는 설치홀부(18d) 형성되고, 설치홀부(18d)는 전방으로 개방되도록 평면 형상이 'ㄷ'모양으로 굴곡되므로 제1실린더(22)가 수직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주동연결프레임(32)은, 한 쌍의 제1연결홀부(18a)에 결합되도록 분기되는 파이프 모양으로 이루어지고, 연결브래킷(50)에 연결되는 단부에는 상기 제1실린더(22)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구동홀부(32a)가 형성된다.
따라서 설치홀부(18d)와 제1구동홀부(32a) 사이에 설치되는 제1실린더(22)로부터 로드가 돌출되면 주동연결프레임(32) 및 보조연결프레임(34)이 본체(10)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회전되므로 연결브래킷(50), 회전패널(70), 탄성연결부재(36) 및 삽날(80)을 하측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때, 삽날(80)은 지면에 접촉되도록 하강하게 되고, 차량이 주행하게 되면 도로에 쌓인 눈을 밀어낼 수 있게 된다.
반대로, 제1실린더(22) 내부로 로드가 삽입되면 주동연결프레임(32) 및 보조연결프레임(34)이 본체(10)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회전되므로 연결브래킷(50), 회전패널(70), 탄성연결부재(36) 및 삽날(80)을 상측 방향으로 이동시켜 삽날(80)과 지면 사이에 간격이 유지되도록 한다.
보조연결프레임(34)은, 한 쌍의 제2연결홀부(18b)에 결합되도록 분기되는 파이프 모양으로 이루어지고, 주동연결프레임(32)과 평행을 이루도록 배치된다.
보조연결프레임(34)은 주동연결프레임(32)과 동일한 모양으로 형성되고, 주동연결프레임(32)의 하측에 평행을 이루도록 설치되므로 주동연결프레임(32)이 승하강되면 평행을 유지하면서 동시에 승하강된다.
따라서 주동연결프레임(32)의 외측 단부와 보조연결프레임(34)의 외측 단부를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연결브래킷(50)이 수직방향으로 직립된 상태를 유지하며 승하강되도록 한다.
주동연결프레임(32), 보조연결프레임(34), 본체(10)의 제2연결부(18) 및 연결브래킷(50)이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측면 형상은 직사각형을 이루게 되며, 각각의 연결부위는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따라서 제1실린더(22)의 구동에 의해 주동연결프레임(32) 및 보조연결프레임(34)이 승하강될 때에 주동연결프레임(32), 보조연결프레임(34), 본체(10)의 제2연결부(18) 및 연결브래킷(50)이 연결되어 이루는 측면 형상은 평행사변형을 이루면서 변형되므로 연결브래킷(50)은 수직 방향으로 직립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연결브래킷(50)은 수직방향으로 긴 패널 모양으로 형성되고, 연결브래킷(50)에는 주동연결프레임(32)이 좌우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결합홈부(52)가 형성되며, 보조연결프레임(34)이 좌우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결합홈부(54)가 형성되고, 연결브래킷(50)의 중앙부에는 제2실린더(24)가 연결되도록 제2구동홀부(56a)가 형성되는 장착패널(56)이 설치된다.
연결브래킷(50)은 수직 방향으로 긴 패널 모양으로 형성되고, 상부에 제1결합홈부(52)가 형성되며, 하부에 제2결합홈부(54)가 형성되고, 연결브래킷(50)의 중앙부에 좌우 방향으로 길게 장착패널(56)이 설치된다.
장착패널(56)의 일단에는 제2구동홀부(56a)가 형성되며, 한 쌍의 지지대(12) 중에 제2구동홀부(56a)와 멀게 배치되는 지지대(12)와 제2구동홀부(56a) 사이에 제2실린더(24)가 설치된다.
따라서 제2실린더(24)로부터 로드가 돌출되면 장착패널(56), 회전패널(70) 및 삽날(80)을 시계방향으로 연결브래킷(50)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게 되므로 삽날(80)을 차량의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주동연결프레임(32)과 제1결합홈부(52) 사이에는 'ㄷ'모양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브래킷이 서로 배면이 접합되어 이루어지는 회전브래킷(58)이 설치되며, 회전브래킷(58)은 한 쌍의 브래킷이 90도 이격되게 접합되어 이루어진다.
따라서 주동연결프레임(32)의 단부에 연결되는 연결브래킷(50)은 주동연결프레임(32)의 단부에 수직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고, 좌우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회전브래킷(58)은 보조연결프레임(34)과 제2결합홈부(54) 사이에도 설치되며, 제2실린더(24)와 제2구동홀부(56a) 사이에도 설치되어 주동연결프레임(32), 보조연결프레임(34) 및 제2실린더(24)에 연결되는 연결브래킷(50)이 수직방향으로 회전되고, 좌우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회전패널(70)은 연결브래킷(50)의 중앙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탄성연결부재(36)가 결합되는 제1고정홀부(72)가 형성되며, 장착패널(56)에 설치되는 볼트(74a)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슬라이딩홀부(74)가 형성된다.
회전패널(70)은 장착패널(56)과 비교하여 길게 형성되고, 좌우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도록 장착패널(56)의 전면에 설치되며, 회전패널(70)의 중앙부는 장착패널(56)의 중앙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회전패널(70)의 일단이 상승하면 회전패널(70)의 타단은 하강하게 되고, 회전패널(70)의 타단이 상승하면 회전패널(70)의 일단이 하강하는 회전운동을 행할 수 있게 된다.
슬라이딩홀부(74)는 곡선 모양의 장공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회전패널(70)이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에 장착패널(56)에 설치되는 볼트(74a)가 슬라이딩홀부(74)를 따라 슬라이딩되고, 볼트(74a)가 슬라이딩홀부(74)의 단부까지 이동되면 회전패널(70)의 회전운동을 구속하게 된다.
따라서 회전패널(70)이 필요 이상으로 회전되어 회전패널(70) 또는 삽날(80)이 지면에 충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회전패널(70) 및 삽날(80)이 장착패널(56)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므로 제설작업 중에 지면에 형성되는 돌출부에 의해 삽날(80)이 가격되었을 때에 회전패널(70) 및 삽날(80)이 상측으로 유동되면서 돌출부에 의한 충격이 상쇄되도록 한다.
삽날(80)은, 곡선프레임(82a) 및 수평프레임(82b)이 연결되어 격자모양으로 이루어지고, 탄성연결부재(36)가 결합되는 제2고정홀부(82c)가 설치되는 격자프레임(82)과, 격자프레임(82)의 하단에 설치되는 마감패널(84)과, 마감패널(84)의 하단에 배치되는 탄성패널(86)을 마감패널(84)에 연결하도록 마감패널(84)의 하단에 설치되는 연결패널(87)과, 격자프레임(82)에 설치되는 투명패널(88)을 포함한다.
곡선프레임(82a)은 상단부가 전방으로 곡선을 이루도록 굴곡되고, 다수 개가 간격을 유지하도록 직립되게 배치되며, 다수 개의 곡선프레임(82a)을 연결하도록 다수 개의 수평프레임(82b)이 곡선프레임(82a)에 결합되어 격자프레임(82)을 이루게 된다.
격자프레임(82)의 하단에는 금속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마감패널(84)이 설치되고, 마감패널(84)의 하단에는 탄성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탄성패널(86)이 설치된다.
탄성패널(86)은 마감패널(84)의 하단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연결패널(87)에 의해 마감패널(84)의 하단에 연결되고, 마감패널(84)은 탄성패널(86)의 상단과 마감패널(84)의 하단을 동시에 감싸며 마감패널(84)의 하단에 체결부재에 의해 결합된다.
따라서 제설작업 중에 삽날(80)이 돌출부에 부딪치면 탄성패널(86)이 변형되면서 돌출부에 의한 충격이 완충되도록 하여 삽입이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곡선프레임(82a)과 수평프레임(82b) 사이의 공간에는 투명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투명패널(88)이 설치되므로 운전석에서 작업을 행하는 작업자가 투명패널(88)을 통하여 삽날(80)의 전방 상황을 확인하면서 제설작업을 행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마감패널(84)과 투명패널(88)은 모두 불투명한 금속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삽날(80)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마감패널(84)과 투명패널(88) 모두 투명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작업자의 시야를 보다 넓게 확보할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의 기술구성을 인지한 당업자가 용이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므로 다른 실시예에 대한 구체적인 도면이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설기의 작동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설작업이 개시되면 작업자는 차량 주행을 시작하면서 조작부를 조작하여 제1실린더(22)로부터 로드를 돌출시키면 주동연결프레임(32) 및 보조연결프레임(34)이 하강하면서 연결브래킷(50), 회전패널(70) 및 삽날(80)이 하강하게 되므로 탄성패널(86)의 하단이 지면에 접촉되면서 도로에 쌓인 눈을 밀어내게 된다.
또한, 작업자는 조작부를 조작하여 제2실린더(24)로부터 로드를 돌출시키면 제2실린더(24)로부터 돌출되는 로드가 장착패널(56) 및 회전패널(70)을 연결브래킷(50)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게 되므로 삽날(80)이 차량의 측 방향을 향하도록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도로에 쌓인 눈을 도로의 측 방향으로 밀어내면서 차량이 전진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제설작업을 행하는 중에 도로에 형성되는 돌출부에 의해 삽날(80)에 충격이 가해질 수 있는데, 이때, 탄성패널(86)이 변형되고, 회전패널(70) 및 삽날(80)이 장착패널(56)의 중앙부에 설치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충격을 완충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작동에 의해 도로에 구비되는 돌출부에 의해 삽날(80)이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작업자는 삽날(80)에 설치되는 투명패널(88)을 통하여 삽날(80)의 전방 상황을 확인하면서 제설작업을 행할 수 있다.
따라서 계단이나 단차와 같은 큰 구조물이 삽날(80)의 전방에 나타나면 작업자는 조작부를 조작하여 제1실린더(22) 내부로 로드를 삽입하므로 삽날(80)을 상승시키며 제설작업을 행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삽날(80)의 연결구조를 단순화하여 부품수를 절감하고, 삽날(80)이 유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삽날(80)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제설기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는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차량에 설치되는 제설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차량에 설치되는 제설기가 아닌 다른 제품에도 본 발명의 제설기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본체 12 : 지지대
14 : 안착부 16 : 제1연결부
16a : 장착홀부 17 : 삽입홀부
18 : 제2연결부 18a : 제1연결홀부
18b : 제2연결홀부 18c : 수평패널
18d : 설치홀부 22 : 제1실린더
24 : 제2실린더 32 : 주동연결프레임
32a : 제1구동홀부 34 : 보조연결프레임
36 : 탄성연결부재 50 : 연결브래킷
52 : 제1결합홈부 54 : 제2결합홈부
56 : 장착패널 56a : 제2구동홀부
70 : 회전패널 72 : 제1고정홀부
74 : 슬라이딩홀부 80 : 삽날
82 : 격자프레임 82a : 곡선프레임
82b : 수평프레임 82c : 제2고정홀부
84 : 마감패널 86 : 탄성패널
87 : 연결패널 88 : 투명패널
14 : 안착부 16 : 제1연결부
16a : 장착홀부 17 : 삽입홀부
18 : 제2연결부 18a : 제1연결홀부
18b : 제2연결홀부 18c : 수평패널
18d : 설치홀부 22 : 제1실린더
24 : 제2실린더 32 : 주동연결프레임
32a : 제1구동홀부 34 : 보조연결프레임
36 : 탄성연결부재 50 : 연결브래킷
52 : 제1결합홈부 54 : 제2결합홈부
56 : 장착패널 56a : 제2구동홀부
70 : 회전패널 72 : 제1고정홀부
74 : 슬라이딩홀부 80 : 삽날
82 : 격자프레임 82a : 곡선프레임
82b : 수평프레임 82c : 제2고정홀부
84 : 마감패널 86 : 탄성패널
87 : 연결패널 88 : 투명패널
Claims (7)
- 차량의 차체에 장착되는 제1연결부가 구비되고, 구동모터가 설치되는 안착부가 구비되며, 제2연결부가 구비되는 본체와, 상기 제2연결부에 일측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주동연결프레임과, 상기 제2연결부에 일측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주동연결프레임과 간격을 유지하도록 배치되는 보조연결프레임과, 상기 주동연결프레임과 상기 보조연결프레임에 일측 방향 및 일측 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연결브래킷과, 상기 연결브래킷에 유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패널과, 상기 회전패널에 설치되고, 탄성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탄성연결부재와, 상기 탄성연결부재에 연결되고, 도로에 쌓인 눈을 도로 외측으로 밀어내는 삽날과, 상기 본체와 상기 주동연결프레임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주동연결프레임을 일측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1실린더와, 상기 본체와 상기 연결브래킷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연결브래킷을 일측 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2실린더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한 쌍의 지지대가 간격을 유지하도록 배치되고, 차량의 저면으로 삽입되어 차체에 결합되는 장착홀부가 형성되는 상기 제1연결부와, 상기 제1연결부로부터 상측으로 굴곡되고, 상기 주동연결프레임이 수직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연결홀부 및 상기 보조연결프레임이 수직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연결홀부가 형성되며, 한 쌍의 상기 지지대를 연결하는 수평패널에 상기 제1실린더가 수직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설치홀부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상기 제2연결부와, 상기 제2연결부의 상단이 전방으로 굴곡되고, 굴곡부위에 패널이 설치되며, 상기 구동모터가 안착되는 상기 안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브래킷의 중앙부에는 상기 제2실린더가 연결되도록 제2구동홀부가 형성되는 장착패널이 설치되고, 상기 주동연결프레임은, 한 쌍의 상기 제1연결홀부에 결합되도록 분기되는 파이프 모양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브래킷에 연결되는 단부에는 상기 제1실린더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구동홀부가 형성되고, 상기 보조연결프레임은, 한 쌍의 상기 제2연결홀부에 결합되도록 분기되는 파이프 모양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주동연결프레임과 평행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제설기에 있어서,
상기 보조연결프레임은 상기 주동연결프레임과 동일한 모양 및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고, 상기 주동연결프레임의 하측에 평행을 이루도록 설치되고;
상기 주동연결프레임, 상기 보조연결프레임, 상기 본체의 상기 제2연결부 및 상기 연결브래킷이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측면 형상은 직사각형을 이루게 되며, 각각의 연결부위는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연결브래킷은 수직방향으로 긴 패널 모양으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브래킷의 상부에는 상기 주동연결프레임이 좌우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결합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연결브래킷의 하부에는 상기 보조연결프레임이 좌우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결합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장착패널의 일단에는 상기 제2구동홀부가 형성되며, 한 쌍의 상기 지지대 중에 상기 제2구동홀부와 멀게 배치되는 상기 지지대와 상기 제2구동홀부 사이에 상기 제2실린더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설기.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패널은 상기 연결브래킷의 중앙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탄성연결부재가 결합되는 제1고정홀부가 형성되며, 상기 장착패널에 설치되는 볼트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슬라이딩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설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날은,
곡선프레임 및 수평프레임이 연결되어 격자모양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탄성연결부재가 결합되는 제2고정홀부가 설치되는 격자프레임;
상기 격자프레임의 하단에 설치되는 마감패널;
상기 마감패널의 하단에 배치되는 탄성패널을 상기 마감패널에 연결하도록 상기 마감패널의 하단에 설치되는 연결패널; 및
상기 격자프레임에 설치되는 투명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설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62987A KR101395304B1 (ko) | 2013-05-31 | 2013-05-31 | 제설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62987A KR101395304B1 (ko) | 2013-05-31 | 2013-05-31 | 제설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395304B1 true KR101395304B1 (ko) | 2014-05-27 |
Family
ID=508941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62987A KR101395304B1 (ko) | 2013-05-31 | 2013-05-31 | 제설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95304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2172713U (ko) * | 1986-04-21 | 1987-11-02 | ||
JP2002138432A (ja) | 2000-10-31 | 2002-05-14 | Kawasaki Heavy Ind Ltd | 除雪方法および除雪ユニット |
KR100999290B1 (ko) * | 2010-07-22 | 2010-12-07 |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 제설기 |
KR101079081B1 (ko) * | 2011-04-05 | 2011-11-02 | 김정선 | 트랙터용 제설장치 |
-
2013
- 2013-05-31 KR KR1020130062987A patent/KR101395304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2172713U (ko) * | 1986-04-21 | 1987-11-02 | ||
JP2002138432A (ja) | 2000-10-31 | 2002-05-14 | Kawasaki Heavy Ind Ltd | 除雪方法および除雪ユニット |
KR100999290B1 (ko) * | 2010-07-22 | 2010-12-07 |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 제설기 |
KR101079081B1 (ko) * | 2011-04-05 | 2011-11-02 | 김정선 | 트랙터용 제설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6320243B (zh) | 扫路机的附加扫刷装置及扫路机 | |
KR100999290B1 (ko) | 제설기 | |
JP5204911B1 (ja) | ブルドーザ | |
KR101629340B1 (ko) | 차량 탈부착이 용이한 제설기 | |
KR20180001067U (ko) | 트랙터용 로터리의 흙받이 커버 장치 | |
KR101690673B1 (ko) | 눈삽 일체형 회전 브러시 제설장치 | |
KR101395304B1 (ko) | 제설기 | |
GB2512945A (en) | Ground planer | |
CN111996894B (zh) | 一种道路工程施工用裂隙快速修补装置 | |
JP4852467B2 (ja) | 建設機械のタンク装置 | |
KR101592486B1 (ko) | 삽날의 틸팅기능이 향상된 제설기 | |
JPWO2019016914A1 (ja) | 作業車両のキャブ及び作業車両 | |
JP5679877B2 (ja) | 耕耘作業機 | |
KR101012723B1 (ko) | 제설기 | |
KR200286775Y1 (ko) | 차량 장착용 제설장치 | |
KR101245295B1 (ko) | 다목적 제설기 | |
KR20140004723U (ko) | 차체 연결용 그레이더 | |
JP5647886B2 (ja) | ロータリー作業機 | |
CN209686477U (zh) | 推土铲装置和推土机 | |
KR100436986B1 (ko) | 트랙터 후면 탈부착용 제설기의 설치장치 | |
JP3731689B2 (ja) | ロータリ耕耘機のカバー構造 | |
KR102206110B1 (ko) | 접이식 흙 튀김 차단장치 | |
CN216839635U (zh) | 一种可伸缩挖臂的两头忙车辆 | |
JP4015987B2 (ja) | 整地機 | |
KR102235309B1 (ko) | 트랙터의 로터리용 흙튀김 방지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X091 | Application refused [patent]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407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427 Year of fee payment: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