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2723B1 - 제설기 - Google Patents

제설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2723B1
KR101012723B1 KR1020100106220A KR20100106220A KR101012723B1 KR 101012723 B1 KR101012723 B1 KR 101012723B1 KR 1020100106220 A KR1020100106220 A KR 1020100106220A KR 20100106220 A KR20100106220 A KR 20100106220A KR 101012723 B1 KR101012723 B1 KR 1010127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connection
panel
unit
sn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62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성규
Original Assignee
정성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성규 filed Critical 정성규
Priority to KR10201001062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27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27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27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5/00Removing snow or ice from roads or like surfaces; Grading or roughening snow or ice
    • E01H5/04Apparatus propelled by animal or engine power; Apparatus propelled by hand with driven dislodging or conveying levelling elements, conveying pneumatically for the dislodged material
    • E01H5/06Apparatus propelled by animal or engine power; Apparatus propelled by hand with driven dislodging or conveying levelling elements, conveying pneumatically for the dislodged material dislodging essentially by non-driven elements, e.g. scraper blades, snow-plough blades, scoop blades
    • E01H5/063Apparatus propelled by animal or engine power; Apparatus propelled by hand with driven dislodging or conveying levelling elements, conveying pneumatically for the dislodged material dislodging essentially by non-driven elements, e.g. scraper blades, snow-plough blades, scoop blades by snow-plough blades tiltable for shock-absorbing purp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5/00Removing snow or ice from roads or like surfaces; Grading or roughening snow or ice
    • E01H5/04Apparatus propelled by animal or engine power; Apparatus propelled by hand with driven dislodging or conveying levelling elements, conveying pneumatically for the dislodged material
    • E01H5/06Apparatus propelled by animal or engine power; Apparatus propelled by hand with driven dislodging or conveying levelling elements, conveying pneumatically for the dislodged material dislodging essentially by non-driven elements, e.g. scraper blades, snow-plough blades, scoop blades
    • E01H5/065Apparatus propelled by animal or engine power; Apparatus propelled by hand with driven dislodging or conveying levelling elements, conveying pneumatically for the dislodged material dislodging essentially by non-driven elements, e.g. scraper blades, snow-plough blades, scoop blades characterised by the form of the snow-plough blade, e.g. flexible, or by snow-plough blade accessori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5/00Removing snow or ice from roads or like surfaces; Grading or roughening snow or ice
    • E01H5/04Apparatus propelled by animal or engine power; Apparatus propelled by hand with driven dislodging or conveying levelling elements, conveying pneumatically for the dislodged material
    • E01H5/08Apparatus propelled by animal or engine power; Apparatus propelled by hand with driven dislodging or conveying levelling elements, conveying pneumatically for the dislodged material dislodging essentially by driven elements
    • E01H5/09Apparatus propelled by animal or engine power; Apparatus propelled by hand with driven dislodging or conveying levelling elements, conveying pneumatically for the dislodged material dislodging essentially by driven elements the elements being rotary or moving along a closed circular path, e.g. rotary cutter, digging wheels
    • E01H5/092Brush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Of Streets, Tracks, Or Bea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설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에 착탈이 용이하고 제설 작업 중에 삽날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며 작업자의 시야를 확보할 수 있는 제설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차량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연결부; 상기 제1연결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1연결부의 회전 방향과 직교되게 회전되는 제2연결부; 상기 제2연결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삽날; 상기 제1연결부와 상기 제2연결부의 각도를 조절하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와 상기 제2연결부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제1연결부와 상기 제2연결부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제2연결부와 상기 삽날 사이에 설치되는 완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설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제설기 {APPARATUS FOR SNOW PLOW}
본 발명은 제설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에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어 교체작업 및 수리작업을 손쉽게 행할 수 있고 제설 작업 중에 삽날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경량화를 이룰 수 있고 작업자의 시야를 확보할 수 있는 제설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겨울철의 도로 위에 쌓이는 눈을 빠르고 효과적으로 제설하기 위해 사용되는 방법으로 염화나트륨을 뿌려 눈을 녹이거나, 전면부에 삽날이 설치된 제설차량을 운행하면서 도로면에 삽날을 밀착시켜 도로에 쌓인 눈을 도로의 측 방향으로 밀어내는 제설작업을 행하고 있다.
염화나트륨을 사용하는 것은 일반 도로에 사용되기엔 많은 양의 염화나트륨을 필요로 하여 많은 비용이 소비되며 환경적인 문제까지 함께 발생하므로 도로의 전구간을 염화나트륨을 사용하여 제설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
따라서 겨울철 도로의 제설을 위해 제설차량을 많이 사용하며, 제설차량 전면부에는 삽날이 도로 위에 밀착되도록 설치되고, 작업자가 제설차량을 운전하면서 도로 위에 쌓인 눈을 도로의 측 방향으로 밀어 제설작업을 행한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인 제설기는 삽날이 차량에 용접되거나 체결부재에 의해 차량에 결합되기 때문에 삽날을 차량에 착탈시키기 어려워 제설기가 파손되었을 때에 수리작업 및 교체작업을 행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일반적인 제설기는 삽날이 금속재질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제설기의 무게를 줄이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일반적인 제설차량은 삽날에 의해 작업자의 시야가 가려지지고, 야간작업 중에는 차량의 전조등을 삽날이 가리기 때문에 작업자의 시야를 확보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차량에 착탈이 용이하고 경량화 할 수 있으며 작업자의 시야를 확보할 수 있는 제설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차량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연결부; 상기 제1연결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1연결부의 회전 방향과 직교되게 회전되는 제2연결부; 상기 제2연결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삽날; 상기 제1연결부와 상기 제2연결부의 각도를 조절하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와 상기 제2연결부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제1연결부와 상기 제2연결부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제2연결부와 상기 삽날 사이에 설치되는 완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설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본체에는, 차량에 설치되는 결합편의 걸림홈부에 걸림 결합되는 고정봉; 상기 구동부가 설치되는 안착부; 및 상기 삽날의 전방으로 빛을 조사하는 헤드램프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연결부는, 상기 본체에 수직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힌지부; 상기 제1힌지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연결부가 수평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장착부; 및 상기 제1힌지부와 상기 제1장착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구동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상기 본체와 상기 연결홀부 사이에 설치되는 제1유압실린더; 상기 제1연결부의 양측 단부와 상기 제2연결부의 양측 단부 사이에 설치되는 제2유압실린더; 및 상기 안착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1유압실린더와 상기 제2유압실린더에 작동유체를 공급하는 유압펌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홀부에는 상기 제2연결부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가이드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연결부는, 상기 제1장착부에 연결되는 제2힌지부; 상기 제2힌지부로부터 좌우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상기 삽날이 수직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장착부; 및 상기 가이드홈부에 삽입되도록 상기 제2장착부의 양측 단부로부터 후방으로 볼록한 곡선 모양으로 돌출되는 가이드레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삽날은, 상기 제2장착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복수 개가 간격을 유지하면 배치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 사이에 설치되는 제설패널; 상기 지지대 하단에 설치되는 완충부재; 상기 지지대와 상기 완충부재의 연결부위를 감싸는 완충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설패널은 투명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대와 상기 제2연결부 사이에는 탄성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완충부는, 상기 제2유압실린더와 상기 제2연결부의 사이에 설치되는 제1완충부; 상기 제1장착부와 상기 제2힌지부 사이에 설치되는 제2완충부; 및 상기 제2장착부와 상기 지지대 사이에 설치되는 제3완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완충부는, 상기 제2연결부의 힌지홀부에 유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제2유압실린더가 연결되는 구동축; 상기 구동축에 밀착되는 지지패널; 상기 지지패널과 상기 제2연결부 사이에 개재되는 탄성체; 및 상기 탄성체가 이격되는 것을 방지하는 가이드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완충부는, 상기 제1장착부에 유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2힌지부가 연결되는 구동축; 상기 구동축에 밀착되는 지지패널; 상기 제1연결부에 설치되는 가이드패널; 및 상기 가이드패널과 상기 지지패널 사이에 개재되는 탄성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3완충부는 상기 제2장착부와 상기 지지대의 회전홀부 사이에 개재되는 판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구동부의 작동 여부와 정도를 결정하는 조작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작부는, 차량 내부에 설치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고 투명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커버; 상기 커버에 설치되고 상기 구동부에 전원 공급여부를 결정하는 제1스위치; 상기 커버에 설치되고 상기 헤드램프에 전원 공급여부를 결정하는 제2스위치; 상기 구동부에 전원이 인가되면 설정시간 동안 작동음을 발생시키는 스피커; 및 상기 구동부의 작동을 조절하는 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작부는, 상기 제1스위치, 상기 제2스위치 및 상기 레버로부터 수신되는 구동신호를 송신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 수신되는 구동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부를 작동시키는 수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설기는 차량에 걸림 결합된 후에 고정핀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므로 한 명의 작업자가 본체를 차체에 걸림 결합시킨 후에 고정핀을 삽입하여 제설기를 차량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설기는 본체, 제1연결부, 제2연결부 및 삽날을 각각 개별적으로 분리하기 용이하므로 교체작업 및 수리작업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설기는 삽날이 합성수지재질로 이루어지므로 제설기의 무게를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설기는 삽날이 투명재질로 이루어지므로 제설작업을 진행하는 동안 작업자가 삽날의 전방 상황을 인지할 수 있어 도로 조건에 맞는 조작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설기는 제설작업 중에 삽날에 도로 구조물이나 바위 등의 돌출부위에 걸리면 삽날이 후방으로 회전되므로 제설작업 중에 삽날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설기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설기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설기의 배면이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설기의 제1완충부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설기의 제1완충부가 도시된 작동 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설기가 설치된 제설차량이 도시된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설기가 도시된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설기의 상승상태가 도시된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설기의 작동 상태가 도시된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설기가 설치된 제설차량이 도시된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설기의 작동 상태가 도시된 평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설기가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설기의 조작부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제설기가 도시된 측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제설기가 도시된 작동 상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제설기의 가변부가 도시된 부분 확대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제설기가 도시된 정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제설기가 도시된 측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제설기의 제어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제설기가 도시된 평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제설기가 도시된 작동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설기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설기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설기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설기의 배면이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설기의 제1완충부가 도시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설기의 제1완충부가 도시된 작동 상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설기가 설치된 제설차량이 도시된 측면도이다.
또한,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설기가 도시된 측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설기의 상승상태가 도시된 측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설기의 작동 상태가 도시된 측면도이다.
또한,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설기가 설치된 제설차량이 도시된 평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설기의 작동 상태가 도시된 평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설기가 도시된 블록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설기의 조작부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설기는 차량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본체(30)와, 본체(3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연결부(50)와, 제1연결부(5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1연결부(50)의 회전 방향과 직교되게 회전되는 제2연결부(70)와, 제2연결부(7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삽날(80)과, 제1연결부(50)와 제2연결부(70)의 각도를 조절하는 구동부(90)와, 구동부(90)와 제2연결부(70) 사이에 설치되고 제1연결부(50)와 제2연결부(70) 사이에 설치되고 제2연결부(70)와 삽날(80) 사이에 설치되는 완충부(110, 110',120)를 포함한다.
차량에 본체(30)를 설치하고 구동부(90)를 작동시키면 제1연결부(50) 및 제2연결부(70)가 회전되며, 제1연결부(50)와 제2연결부(70)의 회전 각도에 따라 삽날의 높이 및 각도가 결정된다.
삽날(80)이 노면에 인접하게 배치된 상태에서 차량을 운행하면 삽날(80)이 노면에 쌓인 눈을 도로의 측 방향으로 밀어내는 제설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본체(30)에는 차량에 설치되는 결합편(10)의 걸림홈부(12)에 걸림 결합되는 고정봉(32)과, 구동부(90)가 설치되는 안착부(38)와, 삽날(80)의 전방으로 빛을 조사하는 헤드램프(36)가 구비된다.
차량의 저면 양측 단부에는 한 쌍의 결합편(10)이 설치되고, 결합편(10)에는 하측 방향으로 오목한 걸림홈부(12)가 형성되며, 걸림홈부(12)의 일측에는 고정핀이 삽입되는 체결홀부(14)가 형성된다.
본체(30)는 측면 형상이 'ㄴ' 모양을 이루도록 절곡되고 결합편(10)에 대향되는 후방측 단부에는 걸림홈부(12)에 걸림 결합되는 고정봉(32)이 형성되며, 고정봉(32)의 일측에는 고정핀이 통과되는 관통홀부(34)가 형성된다.
따라서 차량에 본체(30)를 설치할 때에는 차량의 저면에 설치된 결합편(10)의 걸림홈부(12)에 본체(30)의 고정봉(32)을 걸림 결합시킨 후에 관통홀부(34)와 체결홀부(14)가 겹치도록 본체(30)를 회전시키고 관통홀부(34) 및 체결홀부(14)에 고정핀을 삽입하여 본체(30)의 결합을 완료한다.
이때, 차량에 설치된 결합편(10)과 본체(30)는 볼트에 의한 체결작업 또는 용접과 같은 연결작업을 행하지 않고, 걸림홈부(12)와 고정봉(32)에 의해 걸림 결합한 후에 관통홀부(34)와 체결홀부(14)에 고정핀을 삽입하여 연결작업을 완료한다.
본체(30)를 차량으로부터 분리할 때에도 관통홀부(34) 및 체결홀부(14)에 삽입된 고정핀을 분리시켜 간단한 분해작업을 행할 수 있으므로 제설기의 착탈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이 절감되는 효과가 나타나게 된다.
제1연결부(50)는 본체(30)에 수직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힌지부(52)와, 제1힌지부(52)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고 제2연결부(70)가 수평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장착부(54)와, 제1힌지부(52)와 제1장착부(54) 사이에 배치되고 본체(30)에 설치되는 구동부(90)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홀부(56)를 포함한다.
제1연결부(50)의 평면 형상은 '△'모양과 유사하게 형성되고 일측 모서리가 차량의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한 쌍의 모서리에 형성된 제1힌지부(52)가 본체(30)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1힌지부(52) 또한 본체(30)에 고정핀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므로 제설기의 조립을 손쉽게 행할 수 있게 된다.
제1연결부(50)에서 전방으로 돌출된 모서리에 제1장착부(54)가 형성되어 제2연결부(70)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제1연결부(50)의 연결홀부(56)에는 제2연결부(70)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가이드홈부(56a)가 형성되므로 좌우방향으로 회전되는 제2연결부(70)가 상하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며 제1연결부(50)와 제2연결부(70)가 동시에 회전될 때에 제2연결부(70)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게 된다.
가이드홈부(56a)의 측면 형상은 'ㄷ' 모양으로 형성되고 가이드홈부(56a)의 내면에 후술될 제2연결부(70)의 가이드레일(76)이 삽입되므로 가이드레일(76)은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되지만 상하방향의 운동이 구속된다.
제2연결부(70)는 제1장착부(54)에 연결되는 제2힌지부(72)와, 제2힌지부(72)로부터 좌우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삽날(80)이 수직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장착부(74)와, 가이드홈부(56a)에 삽입되도록 제2장착부(74)의 양측 단부로부터 후방으로 볼록한 곡선 모양으로 돌출되는 가이드레일(76)을 포함한다.
제2연결부(70)의 평면 형상은 '▽'모양과 유사하게 형성되고 일측 모서리에 형성되는 제2힌지부(72)가 제1연결부(50)의 제1장착부(54)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1장착부(54)의 상면에 제2힌지부(72)가 적층된 후에 고정핀이 수직 방향으로 삽입되므로 제2연결부(70)는 제1장착부(54)에 수평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구동부(90)는 본체(30)와 연결홀부(56) 사이에 설치되는 제1유압실린더(92)와, 제1연결부(50)의 양측 단부와 제2연결부(70)의 양측 단부 사이에 설치되는 제2유압실린더(94)와, 안착부(38)에 설치되고 제1유압실린더(92)와 제2유압실린더(94)에 작동유체를 공급하는 유압펌프(96)를 포함한다.
제1유압실린더(92) 내부로 로드가 삽입되면 제1연결부(50)가 상측으로 회전되므로 삽날(80)이 지면으로부터 멀어지게 되고, 제1유압실린더(92) 외부로 로드가 돌출되면 제1연결부(50)가 하측으로 회전되므로 삽날(80)이 지면과 가까워지게 된다.
한 쌍의 제2유압실린더(94)는 로드의 돌출여부에 따라 제2연결부(70)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전하게 되므로 삽날(80)의 각도를 조절하여 삽날(80)에 의해 눈이 밀리는 방향을 결정하게 된다.
삽날(80)은 제2장착부(74)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복수 개가 간격을 유지하면 배치되는 지지대(82)와, 지지대(82) 사이에 설치되는 제설패널(84)과, 지지대(82) 하단에 설치되는 완충부재(86)와, 지지대(82)와 완충부재(86)의 연결부위를 감싸는 완충패널(130)을 포함한다.
지지대(82)는 차량 방향으로 중앙부가 오목하게 형성되는 곡선 모양으로 형성되고, 다수 개의 지지대(82)가 간격을 유지하도록 배치되고, 지지대(82)의 상단과 하단을 연결하는 별도의 지지대(82)가 설치된다.
지지대(82) 사이의 공간에는 제설패널(84)이 설치되므로 차량의 전방에 쌓인 눈을 제설패널(84) 및 지지대(82)가 도로의 측 방향으로 밀어내게 된다.
지지대(82)의 하단에 설치되는 완충부재(86)는 탄성재질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므로 제설작업 중에 도로의 구조물이나 이물질이 지지대(82)에 충돌되면 완충부재(86)가 압축 또는 변형되면서 지지대(82)에 충격이 전달되는 것을 억제하게 된다.
또한, 제설패널(84)은 투명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므로 작업자가 제설패널(84)의 전방을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게 되며, 헤드램프(36)로부터 조사되는 빛이 제설패널(84)을 통과하여 전방으로 조사되므로 야간작업 중에도 제설패널(84)의 전방을 쉽게 인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제설작업을 행하는 작업자가 삽날(80)의 전방에 위치하는 동물 또는 다른 작업자를 쉽게 인지할 수 있어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나타나게 된다.
완충패널(130)은 좌우 방향으로 긴 패널이 삽날(80)의 측면을 감싸도록 곡면을 이루게 절곡되어 이루어지고, 지지대(82)와 완충부재(86)의 연결부위를 감싸도록 삽날(80)의 측면에 설치된다.
지지대(82)와 제2연결부(70) 사이에는 탄성부재(88)가 설치되므로 완충부재(86)에 의해 충격을 흡수하기 어려운 큰 구조물이나 이물질이 지지대(82)에 충돌되면 탄성부재(88)가 팽창되면서 지지대(82)가 제2장착부(74)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렇게 지지대(82)가 제2장착부(74)를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지지대(82)의 하단이 상측으로 들리게 되면 지면과 지지대(82) 사이의 간격이 넓어지게 되므로 지지대(82) 하부에서 발생되는 충돌에 의해 지지대(82)가 변형되거나 파손되지 않고 구조물이나 이물질이 지지대(82)를 통과하게 된다.
구조물이나 이물질이 지지대(82)를 통과한 후에는 탄성부재(88)의 복원력에 의해 지지대(82)가 원상태로 회전되어 제설작업을 지속할 수 있게 된다.
완충부(110, 110',120)는 제2유압실린더(94)와 제2연결부(70)의 사이에 설치되는 제1완충부(110)와, 제1장착부(54)와 제2힌지부(72) 사이에 설치되는 제2완충부(110')와, 제2장착부(74)와 지지대(82) 사이에 설치되는 제3완충부(120)를 포함한다.
제설작업 중에 지면에 돌출된 물체가 삽날(80)에 충돌되면 탄성부재(88)가 팽창되면서 삽날(80)의 하단이 후방으로 회전되고, 이후에도 물체에 의해 삽날(80)에 충격이 지속적으로 가해지면 삽날(80)이 후방으로 회전된 상태에서 충돌이 발생된 부분이 후방으로 밀리게 된다.
삽날(80)의 일부분이 후방으로 밀리면 제2연결부(70)가 회전되면서 제2실린더(94)에 충격이 전달되는데, 제1완충부(110)에 의해 제2실린더(94)와 제2연결부(70) 사이에서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삽날(80)의 일부분이 강제로 밀리게 되면 제1연결부(50)와 제2연결부(70)의 연결부위, 즉 제1장착부(54)와 제2힌지부(72) 사이에도 충격이 발생되는데, 제2완충부(110')에 의해 제1장착부(54)와 제2힌지부(72) 사이에 발생되는 충격을 저감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삽날(80)이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장착부(74)에도 충격이 발생되는데, 제3완충부(120)에 의해 삽날(80)의 지지대(82)와 제2장착부(74) 사이에 발생되는 충격이 감소된다.
제1완충부(110)는 제2연결부(70)의 힌지홀부(72a)에 유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제2유압실린더(94)가 연결되는 구동축(118)과, 구동축(118)에 밀착되는 지지패널(112)과, 지지패널(112)과 제2연결부(70) 사이에 개재되는 탄성체(114)와, 탄성체(114)가 이격되는 것을 방지하는 가이드패널(116)을 포함한다.
제2연결부(70)의 양측 단부에는 전후 방향으로 긴 타원 모양으로 힌지홀부(72a)가 형성되고, 힌지홀부(72a)에 구동축(118)이 유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지지패널(112)은 패널 모양의 부재가 'M' 모양으로 절곡되어 이루어지고, 중앙에 형성되는 안착홈부(112a)가 구동축(118)의 둘레면에 밀착되도록 제2연결부(70) 내측에 배치된다.
삽날(80)의 일측 단부가 후방으로 밀리면 제2연결부(70)의 일측 단부도 후방으로 밀리는데, 탄성체(114)가 압축되면서 구동축(118)이 힌지홀부(72a)를 따라 슬라이딩되므로 제2연결부(70)와 제2유압실린더(94) 사이에 발생되는 충격이 완충된다.
제2완충부(110')는 제1장착부(54)에 유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2힌지부(72)가 연결되는 구동축(미도시)과, 구동축에 밀착되는 지지패널(110')과, 제1연결부(50)에 설치되는 가이드패널(116')과, 가이드패널(116')과 지지패널(112') 사이에 개재되는 탄성체(114')를 포함한다.
제1장착부(54)는 전후 방향으로 긴 타원 모양으로 형성되므로 구동축이 유동 가능하게 삽입된다.
가이드패널(116')은 탄성체(114')의 일측 단부가 지지되도록 정면은 개구되고 배면은 밀폐되므로 가이드패널(116') 내측 및 외측으로 탄성체(114')가 유동되면서 압축 또는 팽창을 행하게 된다.
또한, 가이드패널(112')은 제1장착부(54) 후방에 배치되도록 제1연결부(50) 내부에 설치된다.
따라서 제2연결부(70)가 후방으로 밀릴 때에 제2연결부(70)의 제2힌지부(72)에 연결되는 구동축이 제1장착부(54)를 따라 후방으로 슬라이딩되고 탄성체(114')가 압축되면서 제2연결부(70)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완충하게 된다.
제3완충부(120)는 제2장착부(74)와 지지대(82)의 회전홀부(80a) 사이에 개재되는 판스프링(122)을 포함한다.
제2장착부(74)는 제2연결부(70)의 전방 측 단부에서 전방으로 돌출되고 복수 개가 일정 간격을 유지하는 홀부이며, 회전홀부(80a)는 한 쌍의 제2장착부(74) 사이에 삽입되는 홀부이고, 한 쌍의 제2장착부(74)와 회전홀부(80a)에 체결부재가 삽입되어 결합된다.
판스프링(122)은 체결부재가 관통되도록 링 모양으로 형성되고 외측 테두리와 내측 테두리의 높이가 다르게 형성된다.
따라서 판스프링(122)이 제2장착부(74)와 회전홀부(80a) 사이에 개재되면 삽날(80)의 일측이 후방으로 밀릴 때에 회전홀부(80a)가 이격되면서 제2장착부(74)에 충돌될 수 있는데, 이때, 판스프링(122)이 변형되면서 충격을 흡수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는 구동부(90)의 작동 여부와 정도를 결정하는 조작부(20)를 더 포함하므로 작업자는 운전석에 착석한 상태에서 제1유압실린더(92) 및 제2유압실린더(94)를 구동시켜 삽날(80)의 높이와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조작부(20)는 차량 내부에 설치되는 케이스(22)와, 케이스(22)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고 투명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커버(24)와, 커버(24)에 설치되고 구동부(90)에 전원 공급여부를 결정하는 제1스위치(26a)와, 커버(24)에 설치되고 헤드램프(36)에 전원 공급여부를 결정하는 제2스위치(26b)와, 구동부(90)에 전원이 인가되면 설정시간 동안 작동음을 발생시키는 스피커(29a)와, 구동부(90)의 작동을 조절하는 레버(28)를 포함한다.
작업자가 제1스위치(26a)를 켜면 유압펌프(96)에 전원이 인가되어 작동유체가 공급됨과 동시에 제어부(100)의 신호에 의해 스피커(29a)로부터 작동음이 설정시간 동안 발생되고 제1스위치(26a) 일측에 설치된 램프가 점등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제설기에 전원을 인가하였음을 명확히 인지할 수 있게 되므로 작업자의 착각에 의한 오조작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이후에, 작업자가 레버(28)를 전후방향으로 조작하면 제1유압실린더(92)로부터 로드가 출몰되면서 제1연결부(50)를 상하방향으로 회전시켜 삽날(80)의 높이를 조절하게 된다.
또한, 작업자가 레버(28)를 좌우방향으로 조작하면 제2유압실린더(94)로부터 로드가 출몰되면서 제2연결부(70)를 좌우방향으로 회전시켜 삽날(80)의 각도를 조절하게 된다.
야간에 제설작업을 행할 때에는 작업자가 제2스위치(26b)를 켜면 헤드램프(36)가 점등되므로 헤드램프(36)로부터 조사되는 빛이 제설패널(84)을 통과하여 전방을 비추게 된다.
또한, 조작부(20)는 제1스위치(26a), 제2스위치(26b) 및 레버(28)로부터 수신되는 구동신호를 송신하는 제어부(100)와, 제어부(100)로부터 수신되는 구동신호에 따라 구동부(90)를 작동시키는 수신부(100a)를 더 포함한다.
차량 내부에 케이스(22)가 설치되고 본체(30) 일측에 수신부(100a)가 설치되면 제1스위치(26a), 제2스위치(26b) 및 레버(28)의 조작에 의해 발생되는 구동신호가 제어부(100)에 의해 수신부(100a)에 송신되므로 조작부(20)와 구동부(90) 사이에 구동신호를 전달하는 케이블 또는 전선이 생략될 수 있게 된다.
미설명 부호 36a는 본체(30)로부터 연장되고 헤드램프(36)가 설치되는 연장부(36a)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설기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작업자가 제1스위치(26a)를 켜면 제어부(100)에서 송신되는 신호에 따라 스피커(29a)에서 작동음이 발생되고 램프가 점등되며 유압펌프(96)에 전원이 인가된다.
타이머(29)에 의해 설정시간이 경과되었음을 판단하게 되면 제어부(100)의 신호에 따라 작동음이 중단된다.
이후에, 작업자가 레버(28)를 전후방향 및 좌우방향으로 조작하면 유압밸브(98)의 개폐작동에 의해 제1유압실린더(92) 및 제2유압실린더(94)에 작동유체가 공급되면서 삽날(80)의 높이 및 각도를 조절하게 된다.
이때, 제1스위치(26a) 및 레버(28)에 의해 발생되는 구동신호는 제어부(100)에 의해 수신부(100a)로 송신되고, 수신부(100a)에 의해 전달되는 구동신호에 의해 유압펌프(96) 및 유압밸브(98)가 구동되므로 제1유압실린더(92) 및 제2유압실린더(94)가 작동된다.
삽날(80)의 높이 및 각도의 조절이 완료되면 차량을 주행시켜 제설패널(84) 및 지지대(82)에 의해 차량 전방에 쌓인 눈을 도로의 측 방향으로 밀어내는 제설작업이 진행된다.
이때, 제설패널(84) 및 지지대(82)는 내측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므로 제설패널(84) 및 지지대(82)에 의해 도로에 쌓인 눈을 도로 외측으로 밀어낼 때에 곡면의 제설패널(84)을 따라 눈이 슬라이딩되면서 밀려나므로 제설패널(84) 및 지지대(82)가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억제하게 된다.
제설작업이 진행되는 동안 도로의 구조물이나 이물질이 지지대(82)에 충돌되면 완충부재(86)가 변형되면서 충격을 흡수하게 된다.
완충부재(86)의 변형량을 초과하는 크기의 구조물이나 이물질이 지지대(82)에 충돌될 때에는 지지대(82)가 제2장착부(74)를 중심으로 회전되므로 지지대(82)와 지면 사이의 간격이 넓어지면서 구조물이나 이물질이 지지대(82)를 통과하게 된다.
이때, 지지대(82)와 제2연결부(70) 사이에 설치된 탄성부재(88)는 지지대(82)의 상단에 의해 당겨져 팽창되고, 구조물이나 이물질이 지지대(82)를 통과하면 탄성부재(88)의 복원력에 의해 지지대(82) 및 제설패널(84)이 원상태로 복원되므로 제설작업을 지속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삽날(80)에 구조물이나 이물질 충돌되면 제2유압실린더(94)와 제2연결부(70)의 사이, 제1장착부(54)와 제2힌지부(72) 사이, 및 제2완충부(110')와, 제2장착부(74)와 지지대(82) 사이에 충격이 발생될 수 있는데, 제1완충부(110), 제2완충부(110') 및 제3완충부(120)에 의해 완충작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제설작업이 야간에 진행되는 경우에는 작업자가 제2스위치(26b)를 조작하면 제어부(100)로부터 구동신호가 수신부(100a)에 송신되고 수신부(100a)에서 전달되는 구동신호에 따라 헤드램프(36)에 전원이 공급된다.
따라서 헤드램프(36)로부터 조사되는 빛이 제설패널(84)을 통과하여 전방을 비추게 되어 작업자가 삽날(80)의 전방 상황을 쉽게 인지하면서 작업을 행하므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차량에 착탈이 용이하고 제설작업 중에 삽날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며 작업자의 시야를 확보할 수 있는 제설기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제설기가 도시된 측면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제설기가 도시된 작동 상태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제설기의 가변부가 도시된 부분 확대도이다.
도 14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제설기의 삽날(180)은 제2장착부(17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복수 개가 간격을 유지하면 배치되는 지지대(182)와, 지지대(182) 사이에 설치되는 제설패널(184)과, 지지대(182) 하단에 설치되는 완충부재(186)와, 지지대(182)로부터 출몰되는 보조지지대(187)와, 보조지지대(187)에 연결되고 제설패널(184)로부터 출몰되는 보조제설패널(188)과, 보조지지대(187)를 지지대(182)로부터 출몰시키는 출몰실린더(189)를 포함한다.
출몰실린더(189)로부터 로드가 돌출되면 보조지지대(187)가 지지대(182)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므로 제설패널(184)로부터 보조제설패널(188)이 돌출되어 삽날(180)의 높이가 높아지게 된다.
따라서 제설패널(184)에 의해 도로의 측 방향으로 밀어내는 눈의 양이 많아지게 할 수 있는 효과가 나타나게 된다.
보조제설패널(188)도 제설패널(184)과 같이 투명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므로 보조제설패널(188)이 제설패널(184) 내측에 삽입된 상태에서 운전자는 삽날(180)의 전방 상황을 인지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제설기가 도시된 정면도이고, 도 1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제설기가 도시된 측면도이고, 도 1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제설기의 제어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 17 내지 도 1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제설기의 삽날(280)은 제2장착부(27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복수 개가 간격을 유지하면 배치되는 지지대(282)와, 지지대(282) 사이에 설치되는 제설패널(284)과, 지지대(282) 하단에 설치되는 완충부재(286)와, 도로의 표면에 잔류하는 눈을 측 방향으로 쓸어내는 제거부(290)를 포함한다.
제설작업이 진행되는 동안에 지지대(282) 및 제설패널(284)에 의해 제거되지 않고 도로 표면에 잔류하는 눈은 제거부(290)에 의해 도로의 측 방향으로 제거된다.
제거부(290)는 지지대(282) 하단에 설치되는 컨베이어(292)와, 컨베이어(292)에 설치되는 브러시(294)를 포함한다.
제설작업이 진행되는 동안에 컨베이어(292)가 구동되면 컨베이어(292)에 설치되는 다수 개의 브러시(294)가 제설패널(284)의 측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도로 표면에 접촉되므로 도로에 잔류하는 눈을 측 방향으로 쓸어버리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제설기의 제어방법은 삽날(280)의 경사 방향이 좌측인지 판단하는 단계(S10)와, 삽날(280)의 경사방향이 좌측이면 브러시(294)가 좌측으로 이동하면서 지면에 접촉되도록 컨베이어(292)를 구동시키는 단계(S20)를 포함한다.
따라서 제설패널(284)의 우측 단부가 전방에 배치되고 제설패널(284)의 좌측 단부가 후방 배치되도록 경사가 형성되면 컨베이어(292)는 브러시(294)가 우측으로부터 좌측으로 이동되면서 도로에 잔류하는 눈을 쓸어내도록 구동된다.
삽날(280)의 경사방향을 판단하는 단계(S10)에서 삽날(280)의 경사방향이 우측으로 판단되면 브러시(294)가 우측으로 이동하면서 지면에 접촉되도록 컨베이어(292)를 구동시키는 단계(S30)로 전환된다.
제설패널(280)의 좌측 단부가 전방에 배치되고 제설패널(280)의 우측 단부가 후방에 배치되도록 경사가 형성되면 컨베이어(292)는 브러시(294)가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 이동되면서 도로에 잔류하는 눈을 쓸어내도록 구동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삽날(280)의 경사 방향에 따라 제거부(290)의 구동 방향이 전환되므로 제설패널(284)에 의해 도로 일측으로 밀려나는 눈과 제거부(290)에 의해 도로 일측으로 쓸려지는 눈이 거의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컨베이어(292)의 구동방향이 결정되고 컨베이어(292)의 구동이 개시된 후에는 다시 삽날(280)의 경사방향을 판단하는 단계(S10)로 전환되므로 제설작업이 진행되는 동안에는 삽날(280)의 경사방향을 지속적으로 판단하게 된다.
삽날(280)의 경사방향은 운전자가 조작하는 레버(28 : 도 10 참조)의 조작방향에 의해 결정되므로 운전자에 의해 레버(28)가 좌우방향으로 조작되면 한 쌍의 제2유압실린더(274)가 서로 다르게 구동되면서 삽날(280)의 경사방향이 조절되고 이에 따라 컨베이어(292)의 구동방향이 결정된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제설기가 도시된 평면도이고, 도 21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제설기가 도시된 작동 상태도이다.
도 20 및 도 2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제설기의 삽날(380)은 제2장착부(37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복수 개가 간격을 유지하면 배치되는 지지대(382)와, 지지대(382) 사이에 설치되는 제설패널(384)과, 지지대(382) 하단에 설치되는 완충부재(286 : 도 15 참조)와, 지지대(382)로부터 측 방향으로 출몰되는 연장지지대(387)와, 연장지지대(387)에 연결되고 제설패널(384)로부터 측 방향으로 출몰되는 연장제설패널(388)과, 연장지지대(387)를 지지대(382)로부터 출몰시키는 연장실린더(389)를 포함한다.
따라서 연장실린더(389)로부터 로드가 돌출되면 지지대(382)로부터 연장지지대(387)가 삽날(380)의 양측 방향으로 돌출되고 제설패널(384)로부터 삽날(380)의 양측 방향으로 연장제설패널(388)이 돌출되므로 넓은 면적의 도로에 쌓인 눈을 도로의 일측으로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는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차량에 설치되는 제설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차량이 아닌 다른 제품에도 본 발명의 제설기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결합편 12 : 걸림홈부
14 : 체결홀부 20 : 조작부
22 : 케이스 24 : 커버
26a : 제1스위치 26b : 제2스위치
28 : 레버 29 : 타이머
29a : 스피커 30 : 본체
32 : 고정봉 34 : 관통홀부
36 : 헤드램프 36a : 연장부
38 : 안착부 50 : 제1연결부
52 : 제1힌지부 54 : 제1장착부
56 : 연결홀부 56a : 가이드홈부
70 : 제2연결부 72 : 제2힌지부
74 : 제2장착부 76 : 가이드레일
80 : 삽날 82 : 지지대
84 : 제설패널 86 : 완충부재
88 : 탄성부재 90 : 구동부
92 : 제1유압실린더 94 : 제2유압실린더
96 : 유압펌프 98 : 유압밸브

Claims (15)

  1. 차량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연결부;
    상기 제1연결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1연결부의 회전 방향과 직교되게 회전되는 제2연결부;
    상기 제2연결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삽날;
    상기 제1연결부와 상기 제2연결부의 각도를 조절하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와 상기 제2연결부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제1연결부와 상기 제2연결부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제2연결부와 상기 삽날 사이에 설치되는 완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설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차량에 설치되는 결합편의 걸림홈부에 걸림 결합되는 고정봉;
    상기 구동부가 설치되는 안착부; 및
    상기 삽날의 전방으로 빛을 조사하는 헤드램프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설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부는,
    상기 본체에 수직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힌지부;
    상기 제1힌지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연결부가 수평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장착부; 및
    상기 제1힌지부와 상기 제1장착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구동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설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본체와 상기 연결홀부 사이에 설치되는 제1유압실린더;
    상기 제1연결부의 양측 단부와 상기 제2연결부의 양측 단부 사이에 설치되는 제2유압실린더; 및
    상기 안착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1유압실린더와 상기 제2유압실린더에 작동유체를 공급하는 유압펌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설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홀부에는 상기 제2연결부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가이드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설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연결부는,
    상기 제1장착부에 연결되는 제2힌지부;
    상기 제2힌지부로부터 좌우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상기 삽날이 수직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장착부; 및
    상기 가이드홈부에 삽입되도록 상기 제2장착부의 양측 단부로부터 후방으로 볼록한 곡선 모양으로 돌출되는 가이드레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설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삽날은,
    상기 제2장착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복수 개가 간격을 유지하면 배치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 사이에 설치되는 제설패널;
    상기 지지대 하단에 설치되는 완충부재;
    상기 지지대와 상기 완충부재의 연결부위를 감싸는 완충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설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설패널은 투명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설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와 상기 제2연결부 사이에는 탄성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설기.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는,
    상기 제2유압실린더와 상기 제2연결부의 사이에 설치되는 제1완충부;
    상기 제1장착부와 상기 제2힌지부 사이에 설치되는 제2완충부; 및
    상기 제2장착부와 상기 지지대 사이에 설치되는 제3완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설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완충부는,
    상기 제2연결부의 힌지홀부에 유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제2유압실린더가 연결되는 구동축;
    상기 구동축에 밀착되는 지지패널;
    상기 지지패널과 상기 제2연결부 사이에 개재되는 탄성체; 및
    상기 탄성체가 이격되는 것을 방지하는 가이드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설기.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완충부는,
    상기 제1장착부에 유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2힌지부가 연결되는 구동축;
    상기 구동축에 밀착되는 지지패널;
    상기 제1연결부에 설치되는 가이드패널; 및
    상기 가이드패널과 상기 지지패널 사이에 개재되는 탄성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설기.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3완충부는 상기 제2장착부와 상기 지지대의 회전홀부 사이에 개재되는 판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설기.
  14. 제2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의 작동 여부와 정도를 결정하는 조작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작부는,
    차량 내부에 설치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고 투명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커버;
    상기 커버에 설치되고 상기 구동부에 전원 공급여부를 결정하는 제1스위치;
    상기 커버에 설치되고 상기 헤드램프에 전원 공급여부를 결정하는 제2스위치;
    상기 구동부에 전원이 인가되면 설정시간 동안 작동음을 발생시키는 스피커; 및
    상기 구동부의 작동을 조절하는 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설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상기 제1스위치, 상기 제2스위치 및 상기 레버로부터 수신되는 구동신호를 송신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 수신되는 구동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부를 작동시키는 수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설기.
KR1020100106220A 2010-10-28 2010-10-28 제설기 KR1010127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6220A KR101012723B1 (ko) 2010-10-28 2010-10-28 제설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6220A KR101012723B1 (ko) 2010-10-28 2010-10-28 제설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12723B1 true KR101012723B1 (ko) 2011-02-09

Family

ID=437771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6220A KR101012723B1 (ko) 2010-10-28 2010-10-28 제설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272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9874B1 (ko) 2011-11-24 2012-05-10 (주)지풍 고무삽날의 교체가 용이한 제설기
KR101456200B1 (ko) * 2014-02-19 2014-10-31 김영석 차량연결용 제설 그레이더
KR20160020048A (ko) * 2014-08-12 2016-02-23 (주)송현 제설장치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3467Y1 (ko) 2001-05-23 2001-10-29 이두식 인도용 제설차
KR20020043467A (ko) * 2002-04-01 2002-06-10 삼성환경산업 주식회사 건설 폐기물의 파쇄/선별장치
KR200297233Y1 (ko) 2002-08-27 2002-12-11 주식회사 자동기 제설기용 삽날장치
KR20020097233A (ko) * 2000-04-25 2002-12-31 더 트러스티스 오브 컬럼비아 유니버시티 인 더 시티 오브 뉴욕 고용량 비동기 파이프라인 처리를 위한 회로 및 방법
KR20040004240A (ko) * 2003-11-29 2004-01-13 주식회사 엘에스텍 평판형 램프와 이를 이용한 백라이트 유니트
KR100465479B1 (ko) 2002-08-27 2005-01-13 주식회사 자동기 제설기용 삽날장치
KR200404240Y1 (ko) 2005-08-30 2005-12-20 대진특장 주식회사 제설판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제설기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7233A (ko) * 2000-04-25 2002-12-31 더 트러스티스 오브 컬럼비아 유니버시티 인 더 시티 오브 뉴욕 고용량 비동기 파이프라인 처리를 위한 회로 및 방법
KR200243467Y1 (ko) 2001-05-23 2001-10-29 이두식 인도용 제설차
KR20020043467A (ko) * 2002-04-01 2002-06-10 삼성환경산업 주식회사 건설 폐기물의 파쇄/선별장치
KR200297233Y1 (ko) 2002-08-27 2002-12-11 주식회사 자동기 제설기용 삽날장치
KR100465479B1 (ko) 2002-08-27 2005-01-13 주식회사 자동기 제설기용 삽날장치
KR20040004240A (ko) * 2003-11-29 2004-01-13 주식회사 엘에스텍 평판형 램프와 이를 이용한 백라이트 유니트
KR200404240Y1 (ko) 2005-08-30 2005-12-20 대진특장 주식회사 제설판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제설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9874B1 (ko) 2011-11-24 2012-05-10 (주)지풍 고무삽날의 교체가 용이한 제설기
KR101456200B1 (ko) * 2014-02-19 2014-10-31 김영석 차량연결용 제설 그레이더
KR20160020048A (ko) * 2014-08-12 2016-02-23 (주)송현 제설장치
KR101639046B1 (ko) * 2014-08-12 2016-07-13 (주)송현 제설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9290B1 (ko) 제설기
CN101952515B (zh) 可展开的扫雪机刮板
CN104160092B (zh) 用于处理路面的自驱动路面铣刨机及用于处理路面的方法
CN104032628B (zh) 一种侧切式道岔清筛机
KR101012723B1 (ko) 제설기
KR101263728B1 (ko) 전후로 기울어지는 블레이드를 갖는 제설기
CN103255791A (zh) 用于自行式平地机的底部安装铲刀定位组件
KR101690673B1 (ko) 눈삽 일체형 회전 브러시 제설장치
KR20180001067U (ko) 트랙터용 로터리의 흙받이 커버 장치
KR101456200B1 (ko) 차량연결용 제설 그레이더
RU2012104287A (ru) Косилка-плющилка для кошения травы, содержащая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авномерной укладки травы на почве
CN204662332U (zh) 全地形清雪装置
US10070572B2 (en) Mobile soil-working device with protective means
CN102733342B (zh) 磁吸装置和清扫车
JP6371238B2 (ja) ハンドガイドローラ
KR100465479B1 (ko) 제설기용 삽날장치
KR101629340B1 (ko) 차량 탈부착이 용이한 제설기
CN204080719U (zh) 高压清洗车
US20150076892A1 (en) Self-Propelled Road Milling Machine For Processing Road Surfaces, And Method For Processing Road Surfaces
KR101247313B1 (ko) 경량형 제설기
KR20190141548A (ko) 삽날장치가 부착되는 소방차
CN204491491U (zh) 一种洗扫车吸盘越障机构及洗扫车
KR101349971B1 (ko) 차량 장착용 길어깨 예초장치
KR101407678B1 (ko) 소농기계용 청소 작업기
KR0159062B1 (ko) 제설기의 충격 흡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