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9971B1 - 차량 장착용 길어깨 예초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장착용 길어깨 예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9971B1
KR101349971B1 KR1020130113537A KR20130113537A KR101349971B1 KR 101349971 B1 KR101349971 B1 KR 101349971B1 KR 1020130113537 A KR1020130113537 A KR 1020130113537A KR 20130113537 A KR20130113537 A KR 20130113537A KR 101349971 B1 KR101349971 B1 KR 1013499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nding bar
frame
bar
head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135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훈
한해수
Original Assignee
천안논산고속도로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천안논산고속도로주식회사 filed Critical 천안논산고속도로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135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99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99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99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63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 A01D34/67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hand-guided by a walking operator
    • A01D34/68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hand-guided by a walking operator with motor driven cutters or wheels
    • A01D34/6806Driving mechanisms
    • A01D34/6818Motor starting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63/00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63/02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implements mounted on tract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835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69/00Driving mechanisms or parts thereof for harvesters or mowers
    • A01D69/002Driving mechanisms or parts thereof for harvesters or mowers driven by power take-off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39/00Other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soil on which crops are growing
    • A01B39/12Other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soil on which crops are growing for special purposes, e.g. for special culture
    • A01B39/18Other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soil on which crops are growing for special purposes, e.g. for special culture for weed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장착용 길어깨 예초장치에 관한 것으로, 차량에 연결되는 암(arm), 이 암에 구비되는 프레임, 장애물과의 간섭을 줄이기 위해 프레임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헤드, 이 헤드에 구비되어 잡초를 제거하는 커팅유닛, 및 이 커팅유닛의 작동으로 제거되는 잡초의 비산을 방지하기 위해 프레임에 구비되는 보호덮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과 달리 예초장치를 차량에 장착하고 탑승자가 차량에 탑승한 채로 예초장치의 작동을 제어함으로써 잡초 제거 작업을 신속하고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고, 도로와 도로변의 잡초를 제거할 수 있도록 커팅부재의 위치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 장착용 길어깨 예초장치{EQUIPPED VEHICLE FOR GRASS MOWER APPARATUS}
본 발명은 차량 장착용 길어깨 예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예초장치를 차량에 장착하고 탑승자가 차량에 탑승한 채로 예초장치의 작동을 제어함으로써 잡초 제거 작업을 신속하고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고, 도로와 도로변의 잡초를 제거할 수 있도록 커팅부재의 위치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는 차량 장착용 길어깨 예초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존에는 도로변의 잡초를 제거하기 위해, 제초약과 같은 화학약품을 이용한 예초기 또는 커터의 회전 등 물리력을 이용한 예초기가 사용되었다.
제초 약을 이용한 예초기는, 작업자가 예초기의 저장통에 화학약품을 저장한 후 제초가 필요한 구역에 제초약을 살포함으로써, 제초작업이 이루어진다.
하지만 상기 제초약을 이용하여 작업을 할 경우, 제초약이 토양에 스며들면서, 토양오염을 일으켜, 토양 생태계가 심각하게 파괴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그래서, 커터를 이용한 예초기를 사용하여 제초작업을 진행하였다.
예초기에 대해서는 국내실용신안등록 제20-0287795호(고안의 명칭: 예초기)에 제안된 바 있다.
종래에는 작업자가 도로 중앙분리대측과 가장자리 측에 자라나는 잡초를 제거하기 위해 예초기를 들고 도로를 따라 걸어서 이동하며 예초기를 사용하게 되었는데, 예초기의 커터에 튀는 이물질이나 차량에 의해 작업자가 다치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작업자가 걸어가며 일일이 도로변이나 중앙분리대측의 잡초를 제거함에 따라 작업 속도가 느려 장시간 차량 통행에 제한을 주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예초장치를 차량에 장착하고 탑승자가 차량에 탑승한 채로 예초장치의 작동을 제어함으로써 잡초 제거 작업을 신속하고 편리하게 수행하고자 하는 차량 장착용 길어깨 예초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도로와 도로변의 잡초를 제거할 수 있도록 커팅부재의 위치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어 다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 장착용 길어깨 예초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커팅부재와 도로면이나 도로변 바닥과 커팅부재의 간격을 일정 거리 유격되도록 초기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 장착용 길어깨 예초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노면의 요철에 따른 커팅부재와 노면의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 장착용 길어깨 예초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장착용 길어깨 예초장치는: 차량에 연결되는 암(arm), 상기 암에 구비되는 프레임, 장애물과의 간섭을 줄이기 위해 상기 프레임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헤드, 상기 헤드에 구비되어 잡초를 제거하는 커팅유닛, 및 상기 커팅유닛의 작동으로 제거되는 잡초의 비산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프레임에 구비되는 보호덮개를 포함한다.
상기 암은, 차량의 전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바, 및 상기 연결바에 힌지 연결되고 상기 커팅유닛을 도로와 일정 거리 유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부재를 구비하는 굽힘바를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은 각도조절부에 의해 상기 암에 대해 각도 조절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각도조절부는, 상기 프레임과 상기 암을 힌지 연결하는 피벗핀, 상기 프레임의 힌지 부위에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과 함께 회동되고 호 궤적의 제 1기어치를 구비하는 회전기어부재, 및 상기 암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고정되고 상기 암에 대해 상기 프레임의 각도를 조절 후 상기 제 1기어치와 맞물림되는 제 2기어치를 구비하는 고정기어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은 이송레일을 구비하고, 상기 헤드는 상기 이송레일을 따라 직선 왕복 이동되는 이송롤러를 구비하며, 상기 헤드는 상기 프레임에 대해 후진한 상태에서 초기 위치 복원되도록 상기 프레임에 연결되는 탄성복원부재를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굽힘바는 제 1굽힘바와 제 2굽힘바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2굽힘바는 힌지부에 의해 상기 제 1굽힘바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힌지부는, 상기 제 1굽힘바와 제 2굽힘바를 힌지 굽힘하는 힌지핀, 상기 제 1굽힘바의 둘레면으로 연장되는 리브, 상기 리브와 상기 제 2굽힘바를 굽힘하여 상기 제 1굽힘바에 대해 제 2굽힘바의 일직선상태 또는 둔각 기울어짐 상태를 유지하는 쇼바부재, 및 상기 제 1굽힘바 또는 상기 리브에 구비되어 상기 제 2굽힘바에 대해 상기 제 1굽힘바의 예각 기울어짐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제 2굽힘바의 로킹돌기에 걸리는 로킹레버를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은 도로 가장자리에 구비된 다이크(dyke)를 따라 구름 회전되는 제 1구름롤러를 분리 가능하게 구비하고, 상기 다이크의 전측을 따라 구름 회전되는 제 2구름롤러를 분리 가능하게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팅유닛은, 상기 프레임 또는 상기 헤드에 지지되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의 가동을 단속할 수 있도록 차량 내부에 구비되는 전원스위치, 및 상기 구동모터의 가동시 회전되며 잡초를 제거하도록 상기 헤드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헤드의 직경보다 작은 크기의 커팅부재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장착용 길어깨 예초장치는 종래 기술과 달리 예초장치를 차량에 장착하고 탑승자가 차량에 탑승한 채로 예초장치의 작동을 제어함으로써 잡초 제거 작업을 신속하고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도로와 도로변의 잡초를 제거할 수 있도록 커팅부재의 위치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어 다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커팅부재와 도로면이나 도로변 바닥과 커팅부재의 간격을 일정 거리 유격되도록 초기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노면의 요철에 따른 커팅부재와 노면의 간격을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예초장치를 차량에 사용 상태로 장착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 잡초 제거 상태인 예초장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변 잡초 제거 상태인 예초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예초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예초장치 커팅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예초장치를 세운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예초장치를 세운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예초장치의 커팅부재 기울기 조절 상태를 보인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예초장치의 도로변 사용 상태를 보인 측면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예초장치의 헤드 이송 상태를 보인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장착용 길어깨 예초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예초장치를 차량에 사용 상태로 장착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 잡초 제거 상태인 예초장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변 잡초 제거 상태인 예초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예초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예초장치 커팅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예초장치를 세운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예초장치를 세운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예초장치의 커팅부재 기울기 조절 상태를 보인 측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예초장치의 도로변 사용 상태를 보인 측면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예초장치의 헤드 이송 상태를 보인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예초장치(100)는 차량(2)의 전측에 장착되는 설비로서, 차량(2)이 운행 중에 도로면이나 도로변에서 자라나는 잡초를 제거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2) 장착용 예초장치(100)는 암(arm,110), 프레임(105), 헤드(200), 커팅유닛(120) 및 보호덮개(130)를 포함한다.
암(110)은 차량(2)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차량(2)의 전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편의상, 암(110)은 차량(2)의 전측을 향하는 차체(4)에 볼팅 결합되는 것으로 도시된다.
물론, 암(110)이 차량(2)에 결합되는 위치는 한정되지 않는다. 암(110)은 다양한 형상으로 적용 가능하다.
그리고, 프레임(105)은 암(110)에 연결되게 구비된다. 다시 말해서, 프레임(105)은 암(110)의 단부 특히, 후술할, 굽힘바(113)의 단부에 연결된다.
프레임(105)은 헤드(200)와 커팅유닛(120) 및 보호덮개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물론, 프레임(105)은 다양한 형상 및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다.
또한, 헤드(200)는 프레임(105)에 직선 왕복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이때, 헤드(200)는 도로나 도로변의 잡초를 제거시 장애물(8)과의 부딪힐 경우 장애물(8)과의 간섭을 줄이거나 방지하기 위해 프레임(105)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헤드(200)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아울러, 헤드(200)는 평면상 원형으로 형성되어 장애물(8)과 부딪히더라도 안정적으로 프레임(105) 내측으로 후진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헤드(200)는 테두리를 따라 완충패드를 부가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커팅유닛(120)은 헤드(200)에 구비되어 외부 전원 인가시 도로나 도로변의 잡초를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아울러, 보호덮개(130)는 커팅유닛(120)의 작동으로 제거되는 잡초의 비산을 방지하기 위해 프레임(105)이나 암(110)에 분리 가능하게 구비된다.
이때, 암(110)은 차량(2)의 차체(4)로부터 외팔보 형상으로 연장됨에 따라 자중에 의해 하부 방향으로 회전 모멘트가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암(110)은 프레임(105), 헤드(200) 커팅유닛(120) 및 보호덮개(130) 등의 자중에 의해 하부 방향으로 휠 수 있게 된다.
그래서, 암(110)은 지지부재(140)를 구비한다. 지지부재(140)는 암(110)을 도로에 대해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편의상, 지지부재(140)는 바퀴로 도시한다.
지지부재(140)가 도로 지면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암(110)은 도로 지면에 대해 견고하게 지지된다.
그리고, 지지부재(140)가 항상 도로 지면에 접하고 있기 때문에, 암(110)이 도로 노면의 형상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움직임으로써, 커팅유닛(120)은 도로 노면과 유격된 거리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즉, 지지부재(140)는 커팅유닛(120)을 도로와 일정 거리 유격된 상태를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커팅유닛(120)은 도로 상의 잡초를 제거하는 설비로서, 작업자가 운행되는 차량(2) 내부에서 잡초를 제거할 수 있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즉, 커팅유닛(120)은, 구동모터(122), 전원스위치(124), 및 커팅부재(126)를 포함한다.
구동모터(122)는 프레임(105) 또는 헤드(200)에 지지되도록 구비되어, 차량(2)의 배터리(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가동된다. 편의상, 구동모터(122)는 헤드(200)에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 도시된다.
그리고, 전원스위치(124)는 탑승자가 구동모터(122)의 가동을 단속할 수 있도록 차량(2) 내부에 구비된다. 이때, 전원스위치(124)는 차량(2) 내부의 인스트루먼트 패널(도시하지 않음) 특히, 운전용 핸들 인근에 해당되는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커팅부재(126)는 구동모터(122)에 연결되고, 헤드(200)의 하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구동모터(122)의 가동시 회전되며 잡초를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커팅부재(126)가 도로 노면이나 돌멩이에 부딪힐 수 있는데, 작업자가 차량(2)을 운행 중에 커팅부재(126)가 도로 노면이나 돌멩이에 부딪히지 않도록 하기 어렵기 때문에, 커팅부재(126)는 형상 기억 합금의 띠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커팅부재(126)는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한편, 보호덮개(130)는 절단된 잡초가 사방으로 비산되는 것을 최대한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보호덮개(130)는, 어퍼플레이트(132), 및 사이드플레이트(13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어퍼플레이트(132)는 프레임(105)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제거되는 잡초가 상부로 비산되는 것을 막는 역할을 한다. 물론, 어퍼플레이트(132)는 커팅유닛(120)의 커팅부재(126)로부터 사람을 보호하는 역할도 한다. 특히, 어퍼플레이트(132)는 커팅부재(126)를 보호하고, 하부 방향으로 휘지 않도록 금속이나 플라스틱 등 경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사이드플레이트(134)는 차량(2)의 진행 방향을 기준으로 어퍼플레이트(132)의 양측 가장자리에서 연장되어 제거되는 잡초의 측방향 비산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차량(2)의 진행 방향에 대해 어퍼플레이트(132)의 전측에는 잡초가 어퍼플레이트(132) 하부로 유입되어야 하기 때문에, 사이드플레이트(134)가 어퍼플레이트(132)의 전측에 구비되지 않는다. 아울러, 일부 절단된 잡초가 전진하는 어퍼플레이트(132)나 사이드플레이트(134)에 간섭을 주지 않도록, 사이드플레이트(134)가 어퍼플레이트(132)의 후측에 구비되지 않는다.
또한, 사이드플레이트(134)는 울퉁불퉁한 노면과 접촉시 파손이 방지되도록 가요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사이드플레이트(134)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특히, 헤드(200)는 어퍼플레이트(132)와 사이드플레이트(134)의 전측으로 일부 돌출되는 크기로 이루어진다. 이는, 헤드(200)가 장애물(8)과 부딪히며 후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커팅유닛(120)이 항상 잡초를 제거할 수 있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암(110)이 펼쳐져 있으면, 잡초 제거 작업을 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차량(2)은 고속으로 이동할 수 없게 된다. 그리고, 차량(2)은 펼쳐진 암(110)에 의해 넓은 차고지가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암(110)은 필요에 따라 굽혀질 수 있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암(110)은, 연결바(112), 및 굽힘바(1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연결바(112)는 차량(2)의 전측 특히, 차체(4)의 전측에 직접적으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굽힘바(113)는 연결바(112)에 힌지 연결되어 연결바(112)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그래서, 굽힘바(113)는 잡초 제거 상태로 펴거나, 커팅유닛(120)의 미사용 상태로 세워 보관할 수 있게 된다.
특히, 굽힘바(113)는 프레임(105), 헤드(200), 커팅유닛(120) 및 지지부재(140) 등을 구비하게 된다.
이때, 굽힘바(113)는 다양한 방식에 의해 연결바(112)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굽힘바(113)는 커팅유닛(120) 등의 하중 및 자체 하중에 의해 연결바(112)에 힌지 연결되는 부위에 로드(load)가 크게 걸리게 된다. 그래서, 굽힘바(113)와 연결바(112)의 연결부위가 파손될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해, 굽힘바(113)가 하향하게 됨으로써, 커팅부재(126)가 도로 노면에 부딪혀 작동되지 않거나 파손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굽힘바(113)가 연결바(112)에 대해 지지됨이 바람직하다.
예로서, 연결바(112)는 굽힘바(113)의 뉘여 진 상태를 지지하기 위해 실린더유닛(116)을 구비한다. 실린더유닛(116)은 연결바(112)의 단부 하측에서 연장되어 나란하게 펼쳐진 상태의 굽힘바(113) 하측에 접함으로써 굽힘바(113)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실린더유닛(116)은 실린더 등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더욱 상세히, 연결바(112)는 제 1연결바(114)와 제 2연결바(115)로 이루어지고, 굽힘바(113)는 제 1굽힘바(113a)와 제 2굽힘바(113b)로 이루어진다.
제 1연결바(114)는 차체(4)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 2연결바(115)는 제 1연결바(114)에 대해 지면에 대해 상부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또한, 제 1굽힘바(113a)는 제 2연결바(115)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 2굽힘바(113b)는 힌지부(400)에 의해 제 1굽힘바(113a)에 대해 평면상 좌우 회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이에 따라, 커팅유닛(120)은 차체(4)로부터 분리하여 보관할 수 있다.
그리고, 굽힘바(113) 특히, 제 2굽힘바(113b)는 바퀴인 지지부재(140)에 의해 지지된다. 그래서, 커팅부재(126)는 노면과 일정거리 유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커팅유닛(120)에 의해 잡초 제거가 완료된 후, 굽힘바(113)는 제 1연결바(114)에 대해 세워진 상태를 유지함이 바람직하다. 이는, 보관 공간을 줄이기 위함이다.
즉, 연결바(112)는 연결바(112)에 대해 예각을 이루며 세워진 굽힘바(113)를 지지하기 위해 스토퍼(118)를 구비한다. 이때, 굽힘바(113)가 연결바(112)에 대해 시계방향으로(도 7에서 봤을 때) 예각을 이루도록 회동된 후 스토퍼(118)에 지지됨으로써, 굽힘바(113)는 임의적으로 펼쳐지지 않게 된다. 스토퍼(118)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더욱 상세히, 굽힘바(113)와 제 2연결바(115)는 제 1연결바(114)에 대해 세워지게 된다.
아울러, 보호덮개(130)는 도로의 장애물(8)이나 잡초와의 부딪힘에 의해 회전 모멘트를 받게 된다. 그래서, 풀탄성부재(119)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풀탄성부재(119)는 굽힘바(113) 특히, 제 2굽힘바(113b)의 축 방향으로 대략 중앙 부위에 일측이 연결되고, 보호덮개(130)에 타측이 연결된다. 따라서, 풀탄성부재(119)는 보호덮개(130)의 양측을 동일한 힘으로 탄성적으로 당기는(pull)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보호덮개(130)에 작용하는 회전 모멘트는 일부 또는 전체가 상쇄된다. 그래서, 보호덮개(130)는 회전되지 않고 위치 고정된다. 풀탄성부재(119)는 코일 스프링으로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세워진 상태의 굽힘바(113)가 구속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차량(2)의 운행 중에 흔들림에 의해 굽힘바(113)가 펼쳐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예로서, 스토퍼(118) 또는 제 1연결바(114)는 걸고리부재(152)를 구비하고, 제 2연결바(115) 또는 제 1굽힘바(113a)는 걸고리부재(152)에 걸려 세워진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걸림후크(154)를 구비한다.
편의상, 걸고리부재(152)는 스토퍼(118)에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되고, 걸림후크(154)는 제 2연결바(115)에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된다.
이에 따라, 걸고리부재(152)가 걸림후크(154)에 구속됨으로써, 굽힘바(113)는 연결바(112)에 예각을 이루며 세워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물론, 걸고리부재(152)가 걸림후크(154)로부터 이탈시, 굽힘바(113)는 작업자에 의해 쉽게 펼쳐질 수 있게 된다.
한편, 프레임(105)은 노면의 기울기나 커팅부재(126)의 부피 등에 따라 각도조절부(300)에 의해 암(110)에 대해 각도 조절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예로서, 각도조절부(300)는, 피벗핀(310), 회전기어부재(320) 및 고정기어부재(330)를 포함한다.
피벗핀(310)은 프레임(105)과 암(110) 특히, 프레임(105)과 제 2굽힘바(113b)를 힌지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회전기어부재(320)는 제 2굽힘바(113b)에 연결되는 프레임(105)의 힌지 부위에 형성되고, 프레임(105)과 함께 회동된다.
아울러, 회전기어부재(320)는 호 궤적을 따라 제 1기어치(322)를 구비한다.
또한, 고정기어부재(330)는 암(110) 특히, 제 2굽힘바(113b)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고정된다. 고정기어부재(330)는 평면상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져 볼팅 등에 의해 제 2굽힘바(113b)와 결합된다.
그리고, 고정기어부재(330)는 피벗핀(310)을 기준으로 제 2굽힘바(113b)에 대해 프레임(105)의 각도를 조절한 후, 제 1기어치(322)와 맞물림되는 제 2기어치(332)를 구비한다. 즉, 제 1기어치(322)가 제 2기어치(332)와 기어 맞물림됨으로써, 프레임(105)은 제 2굽힘바(113b)에 대해 위치 고정된다.
한편, 헤드(200)는 프레임(105)에 대해 다양한 방식으로 전후진 가능하게 구비된다.
예로서, 프레임(105)은 양측에 이송레일을 구비한다.
그리고, 헤드(200)는 이송레일을 따라 직선 왕복 이동되는 이송롤러(210)를 구비한다.
또한, 헤드(200)는 보호덮개(130)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전진된 상태에서 장애물(8)과 부딪히며 후진된다. 이 후, 장애물(8) 제거시, 헤드(200)는 초기 위치로 자동 복귀됨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헤드(200)는 프레임(105)에 대해 후진한 상태에서 초기 위치 복원되도록 프레임(105)에 연결되는 탄성복원부재(220)를 구비한다. 탄성복원부재(220)는 프레임(105)에 대해 헤드(200)를 미는 힘이 발생한다. 그래서, 헤드(200)가 후진시, 탄성복원부재(220)는 전진되며 탄성 복원되려는 힘이 작용하게 된다.
이때, 탄성복원부재(220)의 설치 위치, 개수 등은 한정되지 않는다.
아울러, 커팅유닛(120)이 차량(2)의 전진 방향을 따라 도로 노면의 잡초를 제거할 수도 있고, 도로 가장자리인 도로변의 잡초를 제거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암(110)은 차량(2)의 전진 방향과 나란하게 일직선이 되거나, 도로변 방향으로 회동됨이 바람직하다.
즉, 제 2굽힘바(113b)는 힌지부(400)에 의해 제 1굽힘바(113a)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힌지부(400)는, 힌지핀(410), 리브(420), 쇼바부재(430), 및 로킹레버(440)를 포함한다.
힌지핀(410)은 제 1굽힘바(113a)와 제 2굽힘바(113b)를 힌지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그래서, 제 2굽힘바(113b)는 제 1굽힘바(113a)에 대해 평면상 양측으로 특히, 도로 가장자리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된다.
리브(420)는 제 1굽힘바(113a)의 둘레면으로 연장된다. 특히, 리브(420)는 회동된 제 2굽힘바(113b)를 지지하는 역할도 한다. 물론, 리브(420)는 제 1굽힘바(113a)에 일체로 구비될 수도 있고, 분리 가능하게 구비될 수도 있으며,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리브(420)는 제 1굽힘바(113a)의 양측에 구비된다.
또한, 쇼바부재(430)는 제 1굽힘바(113a)에 대해 제 2굽힘바(113b)의 굽힘 작동을 조작한다. 그래서, 쇼바부재(430)는 제 1굽힘바(113a)에 대해 제 2굽힘바(113b)의 일직선상태 또는 둔각 기울어짐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 2굽힘바(113b)를 탄성적으로 밀거나 당기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로킹레버(440)는 제 1굽힘바(113a) 또는 리브(420)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편의상, 로킹레버(440)는 리브(420)에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된다.
아울러, 로킹레버(440)는 제 2굽힘바(113b)에 대해 제 1굽힘바(113a)의 예각 기울어짐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 2굽힘바(113b)에 형성된 로킹돌기(442)에 걸리게 된다.
이때, 쇼바부재(430)는 압축된 상태이다.
한편, 도로변에는 돌출된 다이크(dyke,6)가 구비된다.
그리고, 프레임(105)은 도로 가장자리에 구비된 다이크(6)를 따라 구름 회전되는 제 1구름롤러(106)를 분리 가능하게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프레임(105)은 다이크(6)의 전측을 따라 구름 회전되는 제 2구름롤러(108)를 분리 가능하게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특히, 제 2구름롤러(108)가 다이크(6)의 전측을 따라 이동됨으로써, 제 1구름롤러(106)는 다이크(6)의 상측면을 따라 안정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된다.
이때, 다이크(6)는 요철 등에 의해 평탄하지 않을 수 있게 된다.
그래서, 굽힘바(113) 특히, 제 2굽힘바(113b)와 프레임(105)은 분리 가능하게 구비하고, 제 2굽힘바(113b)와 프레임(105)의 연결부위는 연결핀(160)에 의해 연결된다.
특히, 연결핀(160)은 완충부재(162)를 구비한다. 이에 따라, 프레임(105)은 완충부재(162)에 의해 제 2굽힘바(113b)에 대해 상하 완충된다.
완충부재(162)는 코일스프링으로 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예초장치 105: 프레임
110: 암(arm) 112: 연결바
113: 굽힘바 114,115: 제 1,2연결바
118: 스토퍼 120: 커팅유닛
122: 구동모터 124: 전원스위치
126: 커팅부재 130: 보호덮개
132: 어퍼플레이트 134: 사이드플레이트
140: 지지부재 152: 걸고리부재
154: 걸림후크 200: 헤드
300: 각도조절부 310: 피벗핀
320: 회전기어부재 330: 고정기어부재
400: 힌지부 410: 힌지핀
420: 리브 430: 쇼바부재
440: 로킹레버

Claims (9)

  1. 차량에 연결되는 암(arm);
    상기 암에 구비되는 프레임;
    장애물과의 간섭을 줄이기 위해 상기 프레임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헤드;
    상기 헤드에 구비되어 잡초를 제거하는 커팅유닛; 및
    상기 커팅유닛의 작동으로 제거되는 잡초의 비산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프레임에 구비되는 보호덮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장착용 길어깨 예초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암은,
    차량의 전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바; 및
    상기 연결바에 힌지 연결되고, 상기 커팅유닛을 도로와 일정 거리 유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부재를 구비하는 굽힘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장착용 길어깨 예초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각도조절부에 의해 상기 암에 대해 각도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장착용 길어깨 예초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부는,
    상기 프레임과 상기 암을 힌지 연결하는 피벗핀;
    상기 프레임의 힌지 부위에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과 함께 회동되고, 호 궤적의 제 1기어치를 구비하는 회전기어부재; 및
    상기 암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고정되고, 상기 암에 대해 상기 프레임의 각도를 조절 후 상기 제 1기어치와 맞물림되는 제 2기어치를 구비하는 고정기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장착용 길어깨 예초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이송레일을 구비하고;
    상기 헤드는 상기 이송레일을 따라 직선 왕복 이동되는 이송롤러를 구비하며;
    상기 헤드는 상기 프레임에 대해 후진한 상태에서 초기 위치 복원되도록 상기 프레임에 연결되는 탄성복원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장착용 길어깨 예초장치.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굽힘바는 제 1굽힘바와 제 2굽힘바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2굽힘바는 힌지부에 의해 상기 제 1굽힘바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장착용 길어깨 예초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는,
    상기 제 1굽힘바와 상기 제 2굽힘바를 힌지 굽힘하는 힌지핀;
    상기 제 1굽힘바의 둘레면으로 연장되는 리브;
    상기 리브와 상기 제 2굽힘바를 굽힘하여 상기 제 1굽힘바에 대해 상기 제 2굽힘바의 일직선상태 또는 둔각 기울어짐 상태를 유지하는 쇼바부재; 및
    상기 제 1굽힘바 또는 상기 리브에 구비되어 상기 제 2굽힘바에 대해 상기 제 1굽힘바의 예각 기울어짐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제 2굽힘바의 로킹돌기에 걸리는 로킹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장착용 길어깨 예초장치.
  8. 제 1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도로 가장자리에 구비된 다이크(dyke)를 따라 구름 회전되는 제 1구름롤러를 분리 가능하게 구비하고, 상기 다이크의 전측을 따라 구름 회전되는 제 2구름롤러를 분리 가능하게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장착용 길어깨 예초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팅유닛은,
    상기 프레임 또는 상기 헤드에 지지되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의 가동을 단속할 수 있도록 차량 내부에 구비되는 전원스위치; 및
    상기 구동모터의 가동시 회전되며, 잡초를 제거하도록 상기 헤드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헤드의 직경보다 작은 크기의 커팅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장착용 길어깨 예초장치.
KR1020130113537A 2013-09-24 2013-09-24 차량 장착용 길어깨 예초장치 KR1013499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3537A KR101349971B1 (ko) 2013-09-24 2013-09-24 차량 장착용 길어깨 예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3537A KR101349971B1 (ko) 2013-09-24 2013-09-24 차량 장착용 길어깨 예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49971B1 true KR101349971B1 (ko) 2014-01-15

Family

ID=501451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3537A KR101349971B1 (ko) 2013-09-24 2013-09-24 차량 장착용 길어깨 예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997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6831B1 (ko) * 2020-10-12 2021-04-29 박석민 자율회피기능을 가진 과수 보호 예초시스템
JP7426106B2 (ja) 2021-02-17 2024-02-01 株式会社ササキコーポレーション 草刈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50822A (ja) * 1996-11-22 1998-06-09 Sanyo Kiki Kk 作業車両用の作業装置
KR100764605B1 (ko) 2006-08-22 2007-10-08 주식회사태림산업 접철구조를 갖는 예초기
KR20100085205A (ko) * 2009-01-20 2010-07-29 한아에쎄스 주식회사 각도조절이 용이한 복합굴절면 예초장치
KR101242052B1 (ko) 2012-10-24 2013-03-11 천안논산고속도로주식회사 차량 장착용 예초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50822A (ja) * 1996-11-22 1998-06-09 Sanyo Kiki Kk 作業車両用の作業装置
KR100764605B1 (ko) 2006-08-22 2007-10-08 주식회사태림산업 접철구조를 갖는 예초기
KR20100085205A (ko) * 2009-01-20 2010-07-29 한아에쎄스 주식회사 각도조절이 용이한 복합굴절면 예초장치
KR101242052B1 (ko) 2012-10-24 2013-03-11 천안논산고속도로주식회사 차량 장착용 예초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6831B1 (ko) * 2020-10-12 2021-04-29 박석민 자율회피기능을 가진 과수 보호 예초시스템
JP7426106B2 (ja) 2021-02-17 2024-02-01 株式会社ササキコーポレーション 草刈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04282B2 (en) Riding lawn mower having a front mower unit
JP6699021B2 (ja) 草刈機用の刈刃部
KR101349971B1 (ko) 차량 장착용 길어깨 예초장치
RU2395191C2 (ru) Сельскохозяйственная машина
KR100999290B1 (ko) 제설기
KR101242052B1 (ko) 차량 장착용 예초장치
US6123611A (en) Blade sharpening apparatus
JP2018071177A (ja) レール研磨用グラインダ保持装置およびレール研磨装置
KR20160092268A (ko) 자주식 차량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초 장치
CN109372045B (zh) 推土铲装置和推土机
JP3141500U (ja) 草刈機用回転刃の高さ保持部材
JP6261403B2 (ja) 水田作業機
FR2893639A1 (fr) Dispositif porte-balai pour vehicule de nettoyage de voirie de type balai "pousse" pouvant integrer une fonction balai "tire"
JP3168171U (ja) 車載用植栽刈取機
DE202009008718U1 (de) Kehrmaschine mit einem Seitenbesen
JP7224679B2 (ja) 草刈り用アタッチメント
JP3679874B2 (ja) 作業車両用の作業装置
KR102332479B1 (ko) 유체 분사형 예초장치
US20050050873A1 (en) Tractor mountable brush cutting device
JP2923620B2 (ja) 茶刈機
CN211152776U (zh) 一种割草机
JP3231657U (ja) 除雪ブレードにおける左右のブレード両端に装着するサイドシャッター垂直保持装置
KR102206110B1 (ko) 접이식 흙 튀김 차단장치
KR200419422Y1 (ko) 승용식 제초기
KR200454027Y1 (ko) 예초기 탑재부를 갖는 화물 특장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