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18468A - 끌어 들임 기능을 갖추는 척 - Google Patents

끌어 들임 기능을 갖추는 척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18468A
KR20040018468A KR10-2004-7000670A KR20047000670A KR20040018468A KR 20040018468 A KR20040018468 A KR 20040018468A KR 20047000670 A KR20047000670 A KR 20047000670A KR 20040018468 A KR20040018468 A KR 200400184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uck
master jaw
plunger
bush
ja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06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00275B1 (ko
Inventor
니시미야타미오
이소히사사토시
마사쓰구나오유키
나카무라토시히코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기타가와 뎃꼬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기타가와 뎃꼬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기타가와 뎃꼬쇼
Publication of KR200400184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84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02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027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31/00Chucks; Expansion mandrels; Adaptations thereof for remote control
    • B23B31/02Chucks
    • B23B31/10Chucks characterised by the retaining or gripping devices or their immediate operating means
    • B23B31/12Chucks with simultaneously-acting jaws, whether or not also individually adjustable
    • B23B31/16Chucks with simultaneously-acting jaws, whether or not also individually adjustable moving radially
    • B23B31/16233Jaws movement actuated by oblique surfaces of a coaxial control r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31/00Chucks; Expansion mandrels; Adaptations thereof for remote control
    • B23B31/02Chucks
    • B23B31/10Chucks characterised by the retaining or gripping devices or their immediate operating means
    • B23B31/12Chucks with simultaneously-acting jaws, whether or not also individually adjustable
    • B23B31/16Chucks with simultaneously-acting jaws, whether or not also individually adjustable moving radially
    • B23B31/16233Jaws movement actuated by oblique surfaces of a coaxial control rod
    • B23B31/16266Jaws movement actuated by oblique surfaces of a coaxial control rod using mechanical transmission through the spind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60/00Details of constructional elements
    • B23B2260/116Rollers or ro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60/00Details of constructional elements
    • B23B2260/136Spr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79/00Chucks or sockets
    • Y10T279/19Radially reciprocating jaws
    • Y10T279/1973Wedge actuat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79/00Chucks or sockets
    • Y10T279/19Radially reciprocating jaws
    • Y10T279/1986Jaws

Abstract

본 발명은, 워크를 끌어 들이는 기능을 가지는 척에 있어서,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척 보디 부분이 가지는 기능을, 이동하지 않는 보디 부분과 플런저와 부세 수단에 의해서 대행함으로써, 상기 이동하는 척 보디 부분을 없애는 구조로 하는 것이다.
즉, 종래의 이동하는 보디 부분의 기능 가운데, 조오의 척축방향 및 원주방향의 이동을 규제하는 안내 기능을, 고정된 보디부분(10)과 조오(20)를 척 앞쪽으로 압압하는 부세 수단(50)에 의해 대용하고, 또한, 워크잡음을 위한 조오의 반경 방향 이동은 웨지 수단(40)에 의해 행하고, 워크잡음력의 반력으로서 발생하는 조오의 회전 모멘트를, 플런저(30)의 일부 또는 플런저와 공동작용하는 웨지 수단(40)과 척 보디 본체 앞부분의 원통부(16)에 의해서 담지시키는 구조의 척이다.

Description

끌어 들임 기능을 갖추는 척{CHUCK WITH PULL­IN FUNCTION}
이런 종류의 척에는, 미국특허 제3460849호 공보 및 독일공개특허공보 제 2639818호 공보 등에 기재된 것이 있다. 그러나, 이들의 척은 어느것이나 종래의 척과 마찬가지로, 조오가 척 보디의 반경 방향으로 형성된 안내홈에 의해 그 축방향 및 원주방향의 움직임을 규제 되고, 워크를 끌어 들이는 경우도 조오가 척보디의 일부와 함께 끌어 들여지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있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척의 구조를, 예를 들면 미국특허 제 3460849호 명세서의 실시예에 대해서, 제 16도에 의해 개략 설명한다.
제 16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척(60)의 보디는 외측부분(61)과 내측 부분 (62)을 가지고 있고, 내측 부분(62)은 외측 부분(61)에 대해서 척의 축선방향 에 있어서 활동(滑動) 가능하게 설치되고 있다.
조오(63)를 담지 하는 조오캐리어(64)는, 그 내주측에 있어서 반경 방향 안쪽으로 경사해서 형성된 T자 형상 돌기(65)가, 드로오바아(66)에 연결된 플러그 (67)의 축방향으로 경사한 T자 형상의 구멍(68)과 걸어맞춤 하는 동시에, 반경 방향으로 형성된 T자 형상 돌기(69)가 마찬가지로 반경 방향으로 형성된 내측 부분 (62)의 T자 형상구멍(70)과 걸어맞춤 하고 있다.
또, 외측 부분(61)에 고정된 면판(71)에는 워크걸어맞춤버튼(72)이 고정되고, 예를 들면 파이프와 같은 워크(73)를 잡는 과정에서, 그 끝면이 워크 걸어맞춤 버튼(72)에 걸어맞춤 한다.
이와 같은 구조의 척(60)에 있어서의 워크의 잡는 동작을 설명하면, 도시한 상태에 있어서 드로오바아(66)을 예를 들면 에어 실린더(74)에 의해 척 후방으로 끌어들이면, 상기 드로오바아(66)에 연결된 플러그(67)는 조오캐리어(64)의 T자 형상 돌기(65)에 작용해서 이것을 반경방향 및 후방으로 이동시킴과 동시에, 마찬가지로 T자 형상 돌기(69)를 개재하여 척보디의 내측 부분(62)을 후방으로 이동시킨다.
드로오바아(66)의 끌어당김에 수반해서 척보디(60)의 내측부분(62)이 외측 부분(61)에 대해서 후방으로 이동하면, 내측 부분(62)의 후방끝면은 외측 부분 (61)에 설치된 스프링(75)에 맞닿고, 이것을 압축하기 위하여, 이 반력과 조오캐리어(64)의 T형상 돌기(65)및 플러그(67)의 경사구멍(68)의 작용에 의해, 조오캐리어 (64)가 조오(63)와 함께 안쪽으로 이동하여, 워크(73)의 잡음동작을 개시한다.
계속해서, 플러그(67), 조오캐리어(64), 척 보디의 내측 부분(62)의 후방에의 이동이 진행하고, 워크(73)의 단부가 워크 걸어맞춤버튼(72)에 맞닿으면 이들의 후방이동은 저지되므로, 드로오바아(66)의 더 한층의 끌어당김 작용에 의해서, 조오(63)와 워크(73)와의 사이의 잡는힘은 한층 증가하고, 충분한 클램프 동작을 수행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은 종래 공지의 워크를 끌어들이는 기능을 갖추는 척에 있어서는, 척을 스핀들에 설치하는 고정 부분인 외측 부분(61)과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 부분인 내측 부분(62)으로 나누어 있고, 척 보디 부분의 대형화를 피할 수 없고, 더욱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불안정한 이동 부분의 확보가 필요하게 되고, 특히 고속 회전시의 척 전체가 매우 불안정한 구조로 되어 있었다.
또, 척의 잡음힘이 증대함에 따라서 조오캐리어(64)에 발생하는 모멘트가 증대하나, 이 모멘트에 균형이 잡히는 반력은 척 보디(60)의 내측 부분(62)의 T자 형상구멍(70)과 조오캐리어(64)의 T자 형상 돌기(69)와의 사이에서만 담지되기 때문에, 척 보디(60)의 강성이 낮고, 척 전체를 대형으로 하지 않을 수 없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구조적인 결점을 해소하는 것으로서, 워크를 끌어 들이는 기능을 갖추는 척에 있어서 필요하게 되어 있던 척 보디의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부분을 없애고, 소형이고 컴팩트한 척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공작기계에 사용하는 척(chuck)의 구조에 관하여, 워크를 척본체의 표면을 향해서 끌어 들이는 기능을 갖추는 척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제 1의 실시예에 관한 척의 단면도
도 2는, 도 1에 표시하는 척의 척보디 부분의 전개 사시도
도 3은, 도 1에 표시하는 척의 웨지 수단을 구성하는 조오와 부시와 플런저와의 전개 사시도
도 4는, 제 2의 실시예에 관한 척의 단면도
도 5는, 도 4에 표시하는 척의 척보디의 전개 사시도
도 6은, 도 4에 표시하는 척의 플런저와 조오와의 전개 사시도
도 7은, 제 3의 실시예에 관한 척의 단면도
도 8은, 도 7에 표시하는 척의 정면도
도 9는 도 7에 표시하는 척의 조오와 플런저와 부시와의 전개 사시도
도 10은, 도 7에 표시하는 척의, 척보디의 구성 부분의 전개 사시도
도 11은, 도 7에 표시하는 척에 의한 워크잡음동작의 설명도
도 12는, 웨지 수단을 구성하는 다른 실시예의 부시 및 조오의 사시도
도 13은, 부세 수단에 관한 다른 실시예의 조오의 사시도
도 14는, 도 13에 표시하는 조오를 이용한 부세 수단의 설명도
도 15는, 웨지 수단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일부 단면을 포함한 사시도
도 16은, 종래 공지의 척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10, 60: 척보디 11: 본체후부분
12: 후반부(後盤部) 13: 본체구성부
13 ~ 13: 본체구성부분 14, 15: 플런저 지지구멍
16: 본체앞부분 17: 앞반부(前盤部)
18: 원통부 18-1, 19-1, 24-5: 절개부
19: 라이너 20, 63: 조오(JAW)
21, 21~21: 톱조오 22: 마스터조오
23: 마스터조오헤드 23-1: 마스터조오헤드의 후단면
23-5: 규제판24, 24 ~ 24: 마스터조오보디
24-1: 마스터조오보디의 앞단면24-2: 마스터조오수부(首部)
24-3: 척축에 직교하는 후단면(마스터조오보디의 후단면)
24-6: 탄성편
25, 36, 45, 25~25, 45 ~ 45: 캠면
26: 부시수단 수용구멍27: 라이너 걸어맞춤오목부
30: 플런저 31: 웨지수단지지부
32, 32 ~ 32: 부시관통구멍(부시지지구멍)
33: 도로오바아 연결부(걸어맞춤부)
35: 캠면 형성홈40: 웨지수단
41: 부시41 ~ 41: 3개의 부시
42: 캠면형성구멍43: 부시앞단면
44: 부시후단면50: 부세수단(부세력수단)
51: 롤러52: 코일스프링
53: 바닥판54: 조정나사
55: 가이드핀61: 외측부분
62: 내측부분64: 조오(캐리어)
65: T자형 돌기66: 드로우 바아
67: 플러그68, 70: T자형상의 구멍
69: T자형상 돌기71: 면판
72: 워크걸어맞춤 버튼73: (파이프와 같은)워크
74: 에어리어 실린더75: 스프링
11-1: 코일스프링수용구멍12-1: 롤러당접오목부
12-2, 30-1: 오목개소13-1, 13-1: 오목부
17-1 ~ 17-1: 마스터조오관통구멍31-1 ~ 30-1: 3개의 오목부
30-2 ~ 30-2: 플런저부41-1: 부시(41)의 외경단차
41-2, 41-3: 평탄한 지지면B1, B1~ B1, B2, B4: 볼트
B3: 가이드 볼트F, P: 반력
K: 잡음력(把持力)M: 모멘터
Q: 플런저의 인장력
본 발명의 제 1의 구성은 척 보디와, 상기 척 보디내에서 척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플런저와, 척축방향으로 끌여들임 가능한 조오를 갖추는 척으로서, 상기 조오는 척축선에 대해서 경사하는 마스터조오보디를 가지고, 상기 플런저는 그 일부에 상기 마스터조오보디와 공동으로 작용해서 쐐기 작용을 행하는 웨지 수단을 구성하는 부시를 수용하고, 상기 마스터조오보디의 후단에 부세수단(付勢手段)을 가지고, 상기 조오는 척 보디에 대해서 축방향의 위치를 규제하기 위한 마스터조오보디 앞단면 및 마스터조오헤드 후단면을 가지고, 이들의 끝면과 척 보디앞반부(前盤部)와의 관계에 의해, 미소거리 δ범위내에서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조오의 척축방향 이동이 규제되고 있고, 상기 웨지 수단이 워크 잡음시에 발생하는 조오의 전도 모멘트를 유지 하는 구조로 되어있고, 상기 부세 수단이 워크잡음을 위한 플런저에 대한 인장력에 대항하는 반력을, 상기 마스터조오보디에 대해서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끌어 들임 기능을 갖추는 척이다.
그리고, 상기 웨지 수단을 구성하는 부시를 수용하는 플런저의 일부는, 척 보디를 형성하는 원통부에 의해 지지되는 것이고, 상기 웨지 수단을 구성하는 부시는, 상기 부시가 수용하는 마스터조오보디와 함께, 척축과의 이루는 경사 방향을 반전 가능하고, 상기 부세 수단은, 상기 마스터조오보디의 후단부에 설치한 코일 스프링이다. 상기 마스터조오보디 및 부시의 단면 형상은 원형인 끌어 들임 기능을 갖추는 척이다.
본 발명의 제 2의 구성은 척 보디와, 상기 척 보디내에서 척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플런저와, 척축방향으로 끌여들임 가능한 조오를 갖추는 척으로서, 상기 조오는 척축선에 대해서 경사지는 단면 T자 형상의 마스터조오보디를 가지고, 상기 플런저는 그 일부에 상기 마스터조오보디와 공동으로 작용해서 쐐기 작용을 행하는 웨지 수단을 구성하는 단면 T자 형상의 캠면형성홈을 가지고, 상기 마스터조오보디의 캠면과 상기 플런저의 캠면형성홈내의 캠면에 의해 웨지 수단을 형성하는 것이며, 상기 척 보디의 본체 후부분에 부세수단이 수용되어 있고, 상기 조오는 그 마스터조오헤드의 후단면과 상기 척보디의 본체후부분앞단면에 의해서, 미소거리 δ의 범위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조오의 척 방향 이동이 규제되고 있고, 상기 웨지 수단이 워크잡음시에 발생하는 조오의 전도 모멘트를 유지하는 구조로 되어있고, 상기 부세 수단이 워크잡음을 위한 플런저에 대한 인장력에 대항하는 반력을, 상기 마스터조오보디에 대해서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끌어 들임 기능을 구비한 척이다.
또, 상기 웨지 수단의 일부를 구성하는 플런저의 외주는, 척 보디를 형성하는 본체 후부분의 원통부에 의해 지지되는 것이며, 상기 부세 수단은, 상기 척 보디의 본체 후부분에 있어서의 스프링 수용 구멍내에 장착한 코일 스프링인 끌어 들임 기능을 구비한 척이다.
본 발명의 제 3의 구성은 척 보디와, 상기 척 보디내에서 척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플런저와, 척축방향으로 끌여들임 가능한 조오를 갖추는 척으로서, 상기 조오는 척축선에 대해서 경사하는 마스터조오보디를 가지고, 상기 플런저는, 상기 마스터조오보디와 공동으로 작용해서 쐐기작용을 행하는 웨지 수단을 구성하는 부시를 위한 부시관통구멍의 일부를 구성하는 부분을 가지고, 마찬가지로 상기 플런저는, 상기 웨지 수단을 구성하기 위한 부시와 걸어맞춤하는 플런저부를 가지고, 상기 척보디는, 상기 웨지 수단을 구성하는 부시를 위한 부시 관통구멍의 다른 일부인 안쪽원통구멍형성부를 가지고, 상기 마스터조오보디의 후단부에 부세수단을 가지고, 상기 조오는 보디에 대해서 축방향의 위치를 규제하기 위한 마스터조오보디의 규제판 및 마스터조오보디 후단면을 가지고, 이들 규제판 및 끝면과 척 보디전반부 및 척보디 후반부(後盤部)와의 관계에 의해서, 미소 거리 δ의 범위내에서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조오의 척축방향 이동이 규제되고 있고, 상기 웨지 수단이 워크잡음시에 발생하는 전도 모멘트를 유지하는 구조로 되어있고, 상기 부시에 작용하는 잡음반력을 상기 척보디로 지지하는 구조이며, 상기 부세 수단이 워크잡음을 위한 플런저에 대한 인장력에 대항하는 반력을, 상기 마스터조오보디에 대해서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끌어 들임 기능을 갖추는 척이다.
그리고 또한, 상기 부시 및 마스터조오보디의 단면 형상은, 원형상의 상하면을 평탄하게 한 형상인 것을 포함하고, 상기 부세 수단은, 상기 마스터조오보디의 후단부와 상기 후단부에 형성한 절개부에 의해서 형성되는 탄성편 및 척보디의 본체 후부분에 있어서의 후반부와 상기 후반부에 형성한 오목개소에 의해서 구성되는 것이며, 상기 부시의 외형은 원주형상인 것도 포함한 끌어 들임 기능을 갖추는 척이다.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첨부한 도면에 따라서 이것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관한 제 1의 실시예를 도 1~ 도 3를 이용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의 실시예에 관한 척의 단면도, 도 2는 척보디(10)을 구성하는 본체 후부분(11)과 본체 앞부분(16)과의 전개 사시도,
도 3은 조오(20)와 상기 조오에 잡음동작을 실시하게 하기 위한 웨지 수단 (40)의 구성 부분인 부시(41)및 플런저(30)와의 전개 사시도이다.
도 1, 도 2로 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척 보디(10)는 본체 후부분(11)과 본체 앞부분(16)으로 이루어지고, 본체 앞부분(16)의 원통부(18)내에 본체 후부분 (11)의 3개의 본체 구성부분(13 ~ 13)이 끼워넣어지는 구조이다. 그리고, 이러한척 보디(10)의 본체 후부분(11) 및 본체 앞부분(16)은, 공작기의 도시하지 않는 스핀들에 대해서, 예를 들면 3개의 볼트 B1에 의해 일체적으로 고정된다.
척보디(10)를 구성하는 본체 후부분(11)의 후반부(12)와 본체 앞부분(16)의 전반부(17)의 각 플런저 지지구멍(14), (15)에 플런저(30)가 지지되어 있고, 그 드로오바아 연결부(33)는 종래 공지의 척과 마찬가지로, 예를 들면 도시하지 않는 에어 실린더에 의해 구동되는 드로오바아에 연결된다.
플런저(30)는 도 3에 있어서 명백한 바와 같이, 웨지 수단(40)의 주요 구성 부재의 하나인 부시(41)를 수용하기 위한 3개의 웨지 수단 지지부(31)를 가지고 있고, 상기 웨지 수단 지지부(31)에는 각각 부시 지지구멍(32)이 형성되고 있다. 그리고, 이들 3개의 웨지 수단 지지부(31)은, 도 2에 표시하는 본체 후부분(11)의 3개의 본체 구성부분(13 ~ 13)과 후반부(12)에 의해 형성되는 오목개소에 배치된 상태에서, 척 보디(10)내에 짜넣어진다.
조오(20)의 구성은, 톱조오(21)를 마스터조오(22)의 마스터조오헤드(23)에 대해서 볼트 B2, B2에 의해 위치 조절 자재하게 고정 가능하나, 이것 자체는 종래 주지의 구조이다.
상기 마스터조오(22)의 구조는 본 발명의 특징적 구성의 하나이며, 그 앞면이 워크잡음방향과 평행하는 면을 가지는 마스터조오헤드(23)와, 이것에 이어지는 마스터조오보디(24)가 후술하는 마스터조오수부(首部)(24-2)를 개재하여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마스터조오보디(24)는 원주혀상이며, 마스터조오헤드(23)의 후면에 이어지는 마스터조오 수부(24-2)에서 후방으로 또한 척의 축선에 대해서 바깥방향으로 경사해서 뻗어 있다.
마스터조오(22)의 마스터조오헤드(23)와 마스터조오보디(24)와의 사이에는, 후에 상술하는 라이너 걸어맞춤 오목부(27)가 형성되고 있다. 도 1 및 도 3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마스터조오헤드(23)의 후단면(23-1)과 마스터조오보디(24) 앞단면(24-1)과의 사이의 부분은 단면 4각형의 마스터조오 수부(24-2)로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수부(24-2)가 라이너 걸어맞춤 오목부(27)를 형성하고 있고, 상기 라이너 걸어맞춤 오목부(27)에는 도 2에 표시하는 바와 같은 라이너(19)의 개구부를 형성하는 절개부(19-1)가 걸어맞춤 하는 것이다. 또한, 라이너(19)는 각각 개구부를 형성하기 위한 절개부(19-1)를 가지는 한 쌍의 판 형상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마스터조오보디(24)의 후단부에 부세 수단 수용구멍(26)이 형성되어 있다. 부호(50)로 가리키는 부세 수단은, 개략 롤러(51), 코일 스프링(52) 및 바닥(53)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조정 나사(54)의 조작에 의해서 코일 스프링(52)을 조정함으로써, 본체 후부분(11)의 후반부(12)로부터 부여되는 마스터조오보디(24)에의 부세력을 조정하는 것이다. 또 부세력 수단(50)의 롤러(51)가 맞닿는 부분에는, 그 안정적인 부세력 부여를 위해서 롤러 맞닿음 오목부(12-1)가 형성되고 있다.
도 1로 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라이너 걸어맞춤 오목부(27)의 폭, 즉 마스터조오 수부(24-2)에 있어서의 마스터조오헤드 후단면(23-1)과 마스터조오보디 앞단면(24-1)과의 틈 치수는, 상기 라이너 걸어맞춤 오목부(27)내에 걸어맞춤하는 라이너(19)의 두께 치수보다 δ만큼 크게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점에 의한 작용은 후에 상세하게 설명하나, 이 실시예에 있어서 δ의 값을 0.5mm로 하고 있다.
도 1 및 도 3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웨지 수단(40)의 주요 구성요소인 부시(41)는 캠면형성구멍(42)을 가지고 있고, 상기 캠면형성구멍(42)이 부시 앞단면(43)으로부터 부시 후단면(44)을 향해서, 척축바깥쪽을 향해서 경사지는 방향으로 형성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캠면형성구멍(42)의 경사 방향과 상기 마스터조오보디(24)의 경사 방향이 일치하고 있고, 이 결과 후술하는 웨지 수단(40)에 있어서의 상호의 캠면(25), (45)을 구성하는 것이고, 상기 웨지 수단(40)의 상호의 캠면에 의해 쐐기 작용을 주효하는 것이다.
또한, 이 실시예에 관한 웨지 수단(40)에 있어서는, 상기 부시(41)를 그 캠면형성구멍(42)이 척축선에 대해서 바깥쪽으로 경사하는 것 같이 장착 고정하고 있으나, 조오의 잡음방향이 반대의 경우에는, 상기 부시(41)를 부시 관통구멍(32)에 대해서 180˚회전시켜서, 즉 캠면형성구멍(42)의 후방측이 척축선에 대해서 안쪽으로 경사하는 것 같이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이 경우, 상기 마스터조오(22)의 마스터조오보디(24)의 후방이 척축선에 대해서 안쪽으로 경사한 것을 이용하게 된다.
본 발명에 관한 제 2의 실시예를 도 4 ~ 도 6를 이용해서 설명한다.
가능한 한 도 1에 대응시켜서 그린 도 4에는, 제 2의 실시예에 관한 척 보디 (10)의 단면도가 표시되고 있고, 도 5에는 척 보디(10)를 구성하는 본체 앞부분 (16), 라이너(19)및 본체 후부분(11)의 전개 사시도가, 도 6에는 플런저(30)와 조오(20)의 각각 사시도가 표시되고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이 실시예에 있어서의 척보디(10)와 라이너(19)와의 관계가 분명하다.
척 보디(10)를 구성하는 한쪽의 일부인 본체 후부분(11)은, 개략 원통형상의 블록으로서 형성되고, 상기 본체 후부분(11)의 앞단면과 이것에 인접하는 본체 앞부분(16)의 원통부(18)와의 사이에 라이너(19)를 사이에 끼워 유지하고, 이들 본체 후부분(11)과 본체 앞부분(16)을 3개의 볼트 B1에 의해서 일체적으로 도시하지 않는 스핀들에 고정한다.
이 경우, 라이너(19)는 대략 링형상으로서, 후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부세 수단(50)을 적용하는 부분(19-1)의 폭이 넓게 형성되고 있다.
도 4 및 도 6에 표시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 있어서의 플런저(30)는 단면 T자 형상의 캠면형성홈(35)을, 상기 플런저(30)의 외주의 3개소에 가지고 있다. 그리고, 상기 캠면형성홈(35)의 양측에 형성되는 캠면(36), (36)은, 실시예 1의 것에 있어서의 부시(41)의 캠면형성구멍(42)에 있어서의 캠면(45)과 마찬가지로, 척의 앞족에서 뒷쪽을 향해서 척축바깥쪽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고 있으나, 상기 캠면 (45)과 후술하는 마스터조오측의 캠면(25)과 그 경사 관계는 실시예 1의 경우와 같다. 그리고, 이들의 캠면(45)과 캠면(25)에 의해 쐐기작용을 주효하는 웨지 수단 (40)이 구성되어 있다.
또한, 부호(33)는 실시예 1의 것과 마찬가지로, 플런저(30)의 드로오바아 연결부를 표시하고 있다. 또, 부호(15)는 보디내로의 절분(切粉)의 침입을 막는 커버의 지지구멍이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의 조오(20)는 특히 도 6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톱조오(21)와 마스터조오(22)로 구성되어 있고, 마스터조오(22)가 마스터조오헤드(23)와 마스터조오보디(24)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상기 마스터조오보디(24)의 단면 형상은 T자 형상으로서, 상기 플런저(30)에 있어서의 캠면형성홈(35)의 캠면(36), (36)과 걸어맞춤하는 캠면(25), (25)을 가지고 있다. 또, 마스터조오보디(24)는 마스터조오헤드(23)의 후면으로부터 후방을 향해서, 측면으로 보아 끝이 가늘어진 형상으로 형성되고 있다.
도 5에 표시되고 있는 바와 같이, 본체 앞부분(16)의 앞반부(17)에는 3개의 마스터조오 관통구멍(17-1 ~ 17-1)이 형성되고 도 4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마스터조오보디(24)의 대부분이 상기 마스터조오 관통구멍으로부터 척 보디(10)에 삽입되고 있다. 그리고,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라이너(19)나 척 보디(10)의 본체 후부분 (11)의 앞단과 본체 앞부분(16)의 원통부(18) 내측의 절개부(18-1)와의 사이에 삽입되므로, 상기 마스터조오 관통구멍(17-1 ~ 17-1)은 단순한 트인 구멍이면 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의 부세수단(50)은 도 4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본체후부분(11)과 본체 앞부분(16)의 원통부(18)와의 사이에 설치되고 있다.
라이너(19)는 본체 후부분(11)의 앞단면과 원통부(18) 내측의 절개부(18-1)의 사이에 삽입되고 있고 상기 라이너(19)를 수용하는 상기 본체 후부분(11)의 앞단면과 원통부(18) 내측의 절개부(18-1)의 후단면과의 간격은, 실시예 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라이너(19)의 두께 치수보다 δ만큼 크게 설정되어 있다.
또한, 이 실시예에 있어서 도 δ의 값은 0.5mm로 하고 있다.
라이너(19)를 개재하여 마스터조오헤드(23)에 부세력을 부여하는 코일 스프링(52)은, 본체 후부분(11)의 앞쪽측에 형성된 코일 스프링 수용구멍(11-1)내에 수납되고, 가이드 핀(55)및 가이드 볼트 B3에 의해서 라이너(19)의 안정된 이동을 보장하고 있다.
또한, 원판 형상의 라이너(19)는, 마스터조오(22)를 동시에 척 보디(10)의 앞면으로 향해 압압하기 위한 것이며, 코일 스프링이 직접 마스터조오헤드(23)의 후면을 압압해도 된다.
본 발명의 제 3의 실시예는 도 7 ~ 도 10에 의해서 명백하다.
도 7은, 제 3의 실시예에 관한 척 보디(10)의 단면도를 표시하고 있고, 도 8은 그 정면도이다. 또, 도 9는 이 실시예에 있어서 특징적 구성인 플런저(30)와 부시(41)및 마스터조오(22)의 전개 사시도이며, 도 10은, 척 보디(10)의 각 구성 부분의 전개도이다.
도 7에 있어서, 척 보디(10)를 구성하는 본체 후부분(11)은 서로 별체(別體)의 후반부(12)와 본체 구성부(13)로 되어 있고, 본체 앞부분(16)은 일체적으로 구성된 앞반부(17)및 원통부(18)로 되어 있다. 그리고, 앞반부(17)는 볼트 B4, B4에 의해, 후반부(12)와 함께 본체 후부분(11)을 형성하는 본체 구성부(13)에 결합됨과 동시에, 이들 본체 앞부분(16)과 본체 구성부(13)및 후반부(12)는, 상기 본체 구성부(13)와 후반부(12)의 사이에 부세 수단(50)을 개재장착한 상태에서 볼트 B1~ B1에 의해, 도시 하지 않는 스핀들에 고정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의 플런저(30)는 특히 도 9에서 명백하고, 그 3개의 오목부(30-1 ~ 30-1)가 후에 상술하는 도 10에 있어서의 본체 구성부(13)의 안쪽원통구멍형성부(13-1 ~ 13-1)와 공동으로 작용하고, 웨지수단(40)을 구성하는 부시 (41)를 위한 부시 관통구멍(32)을 형성한다. 상기 플런저(30)의 3개의 오목부(30-1 ~ 30-1)의 단부에는 플런저부(30-2 ~ 30-2)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플런저부가 부시 (41)의 외경 단차(41-1)에 걸어맞춤 함으로써, 드로오바아 걸어맞춤부(33)에 있어서 작용하는 인장력을 3개의 부시(41~41)에 전달하는 것이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의 조오(20)는, 도 1 ~ 도 3에 표시하는 제 1실시예의 경우와 개략 마찬가지로서, 톱조오(21)을 볼트 B2, B2에 의해 조절 자재하게 고정되는 마스터조오(22)는 마스터조오헤드(23)와 일체의 원주 형상 마스터조오보디(24)를 갖고 있다. 그리고, 마스터조오보디(24)의 웨지 수단을 구성하기 위한 캠면(25)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마찬가지로 웨지 수단(40)을 구성하는 부시(41)의 캠면형성구멍(42)에 있어서의 캠면(45)과 맞닿는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의 마스터조오(22)는, 그 마스터조오헤드(23)와 마스터조오보디(24)와의 관계에 있어서 실시예 1의 것과 다르고 있다. 도 7 및 도 9에 명백한 바와 같이, 상기 마스터조오헤드(23)와 마스터조오보디(24)와는 직접 연결되어 있고, 마스터조오헤드(23)의 외주에 설치되는 규제판(23-5)이 척 보디(10)의 앞반부(17)에 맞닿으므로써, 조오(20)의 앞쪽으로 이동이 규제된다. 또, 마스터조오보디(24)의 후단부는 척 축으로 직교하는 후단면(24-3)을 가지고, 후술 하도록 라이너(19)와 공동으로 작용해서 부세 수단(50)을 구성한다.
도 10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 있어서의 척 보디(10)는 후반부(12), 본체 구성부(13), 본체 앞부분(16)으로 구성되고, 라이너(19)는 후반부 (12)와 본체 구성부(13)의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 특징적이다.
도 7 및 도 10에 있어서, 후반부(12)와 본체 구성부(13)의 사이에 라이너 (19)가 사이에 끼워 유지되나, 3개의 조오(20)의 마스터조오보디 후단면(24-3)에 대응하는 라이너(19)의 후방 부분에서는, 특히 도 10에 명백한 바와 같이, 후반부 (12)의 대응하는 위치에 오목개소(12-2)가 각각 형성되고 있다. 그리고, 도 7에 표시한 바와 같이 마스터조오보디(24)의 후단면(24-3)과 상기 오목개소(12-2)로 형성하는 틈간격과 라이너(19)의 두께와의 차이 δ가 약 0.5mm로 설정되어 있다.
한편 도 7에 있어서와 같이, 척 보디(10)에 관해서 조오(20)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부분에 대해서는, 척 보디(10)를 구성하는 본체후부분(11)의 후반부(12)와 라이너(19)와 본체 구성부(13)가 일체적으로 결합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고, 이와 같이 해서 통상은, 라이너(19)와 마스터 조오보디(24)의 후단면(24-3)및 마스터조오헤드(23)의 앞단과 본체 앞부분(16)의 앞반부(17)와는 틈없이 접하고 있다. 또, 상기 웨지 수단(40)을 구성하는 부시캠면(45)과 마스터조오캠면(25)에 의해서 쐐기 작용을 주효하는 것이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의 웨지 수단(40)은, 부시(41)의 캠면형성구멍(42)에 있어서의 부시캠면(45)과 마스터조오(22)에 있어서의 마스터조오보디(24)의 마스터조오캠면(25)에 의해 구성된다. 그리고, 마스터조오보디(24)및 부시(41)의 캠면형성구멍(42)과 척축과의 이루는 경사 방향은, 그 밖의 실시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워크를 바깥쪽에서 잡느냐 안쪽에서 잡느냐에 따라서 그 경사 방향이 결정된다.
도 8는, 상기 도 7에 표시하는 척 보디(10)를 정면에서 본 도면이고, 일부에 톱조오(21)을 떼어낸 상태에서 마스터조오헤드(23)가 표시되고 있다. 도중의 볼트 B2, B2는, 마스터조오헤드(23)에 대해서 톱조오(21)를 고정하는 볼트이며, 3개의 볼트 B1~B1는, 척 보디(10)를 구성하는 본체 후부분(11), 본체 구성부(13), 라이너 (19)및 본체 앞부분(16)을 일체적으로, 도시하지 않는 스핀들에 고정하는 볼트이다.
또, 부호 B4, B4는 이 실시예의 척에 특유의, 상기 본체 구성부(13)와 본체 앞부분(16)의 앞반부(17)를 고정하는 볼트를 표시하고 있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가장 특징적 구성은, 도 9 및 도 10에 의해 명백하다. 도 10에 표시한 바와 같이 척 보디(10)의 중심적 부분인 본체 구성부(13)에 있어서, 웨지 수단(40)을 구성하기 위한 3개의 부시(41 ~ 41)를 수용하는 부시 관통구멍(32 ~ 32)을 위한 외측의 일부인 오목부(13-1 ~ 13-1)가 형성됨과 동시에, 도 9에 표시한 바와 같이, 플런저(30)의 3개의 오목부(30-1 ~ 30-1)에 의해 마찬가지로, 부시(41 ~ 41)를 수용하는 부시 관통구멍(32 ~ 32)을 위한 내측의 일부가 구성된다.
이와 같이 해서, 웨지 수단(40)은, 부시(41 ~ 41)의 부시캠면(45 ~ 45)과 마스터조오보디(24 ~ 24)의 마스터조오캠면(25 ~ 25)과, 상기 부시를 수용하는 본체 구성부 분(13)의 오목부(13-1 ~ 13-1)와 플런저(30)의 3개의 오목부(30-1 ~ 30-1)에 의해 구성된다.
그리고, 이 실시예에 있어서의 플런저(30)는 그 3개의 오목부(30-1 ~ 30-1)의 단부에 혀성된 플런저부(30-2 ~ 30-2)에 의해, 드로오바아로부터의 인장력을 웨지 수단(40)에 전달하는 것이다.
다음에, 도 7를 참조하면서 도 11의 설명서에 따라서, 이와 같은 실시예의 발명에 대해서도, 본 발명의 특징적 구성인 웨지수단과 플런저, 척보디, 조오 등의 역학적관계는 개략 마찬가지인 점에 주의할 필요가 있다.
제 7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워크를 잡는 동작은 먼저, 플런저(30)에 대해서 도시하지 않은 드로오바아의 조작력인 인장력(화살표시Q)을 부여하는 것으로 부터 개시된다. 그러면, 플런저(30)의 3개의 플런저부(30-2 ~ 30-2)가 각각 걸어맞춤하는 각 부시(41 ~ 41)의 외경단차(41-1 ~ 41-1)에 의해서, 각각의 부시(41 ~ 41)가 척축후방으로 이동하는 힘을 부여받는다. 그리고, 본 발명의 특징적 구성인 웨지수단(40)을 구성하는 바의 각 부시(41), (41)의 캠면(45)과 접하는 각각의 마스터조오(22)의 마스터조오보디(24)에는, 그 캠면(25)과의 사이에서 발생하는 접동저항때문에, 마찬가지로 척축후방, 정확하게는 마스터조오보디(24)의 축선방향 후방으로 이동하는 힘이 발생한다.
한편, 각 마스터조오보디(24 ~ 24)는 도 7의 구조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그 후방인 마스터조오보디 후단면(24-3)으로부터, 본 발명의 특징적 구성의 하나인 부세 수단(50)을 구성하는 바 라이너(19)에 의해, 잡음동작을 개시하는 동시에 척축앞쪽, 즉 척 보디(10)의 앞반부(17)에 대해서 압압력(화살표 F)이 부여되므로,상기 웨지 수단(40)부분의 접동 저항에 의해서 즉시 후방으로 이동할 일은 없다. 그 결과, 각 마스터조오보디(24 ~ 24)는 그 외측의 캠면(25 ~ 25)으로부터 각각 척 축심 방향의 힘을 받게 되어, 이러한 내향의 힘에 의해 상기 플런저의 이동거리에 따른 톱조오(21)의 안쪽으로 이동이 발생한다.
그리고, 상기 톱조오(21)의 상기 안쪽으로의 척 조작의 결과, 도시하지 않는 워크로부터의 잡음반력으로서의 반력(화살표 P)이 발생하는 것이다.
이 상태로부터 플런저(30)의 인장력 Q가 또 증가하면, 톱조오(21)에 의한 잡음력(화살표 K)이 증대해서 반력 P도 증대한다. 그리고, 조오(20)는 전체적으로 그 잡음부가 떠오르는 방향으로 모멘트 M를 발생하는 동시에, 조오(20)의 마스터조오보디(24)에 있어서는, 상기 모멘트 M에 대항 하도록 웨지 수단(40)을 구성하는 마스터조오캠면(25)의 A부 및 B부에 각각반력이 발생한다.
즉, 마스터조오보디(24)는 상기 A 및 B의 부분에서, 부시캠면(45)에 의해서 지지된 상태가 된다.
그런데, 상술과 같이 톱조오(21)에 작용하는 잡음력 K 또는 워크로부터의 반력 P가 증대하는 동시에, 웨지 수단(40)에 있어서의 대향하는 양캠면인 마스터조오캠면(25)과 부시캠면(45)이 접동하지 않는 일체적인 상태가 되어, 마스터조오보디 (24)에 작용하는 후방으로 힘이 증대하나, 이 힘은 부세 수단(50)을 구성하는 라이너(19)의 미소한 변형에 의해서 발생하는 반력과 어울려, 그 변위량은 틈 δ보다 적다. 그리고, 플런저(30)의 한층 더 인장력에 의해, 조오(20)에는 미리 결정된 잡음력 K가 부여되지만, 이 시점에서의 라이너(19)의 변위량, 즉 척 보디(24)의 척축후방으로의 변위량은, 상기부세 수단(50)부분에 있어서의 라이너(19)의 후단면과 후반부(12)의 오목개소(12-2)와의 틈 간격 δ와 대략 같거나, 그것 이하가 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척 구조에 있어서는, 상술한 종래 예와 마찬가지로, 톱조오(21~21)에 의한 워크잡음이 개시된 후, 그 잡음력 K에 의거하는 반력 P에 의해, 톱조오(21)에 모멘트 M가 작용하는 동시에, 톱조오 선단과 워크는 잡음개시 위치로부터 떠오르는 것으로 된다. 그러나, 플런저(30)에의 인장력의 증가에 수반해서 톱조우(21)는 상술과 같이, 부세 수단(50)인 라이너를 변형시키는 것으로서 미소량 후방으로 끌어 들여지므로, 최종적인 잡음 상태에 있어 워크의 축방향의 잡음위치는, 척 보디의 표면에 형성한 도시 하지 않는 워크 걸어맞춤 버튼의 기준면에 밀착한다. 또, 이 시점에서의 플런저(30)로의 인장력 Q와 부세 수단(50)에 의한 반력 F와는 대략 어울리고 있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척의 잡음력 K의 증대에 의해 발생하는 반력에 의한 모멘트 M, 따라서, 이러한 모멘트에 의한 마스터조오보디(24)의 회전을 규제하는 지지부 A, B의 반력은, 상기 지지부를 구성하는 부시(41) 자체에 의해서도 담지 되나, 또 척 보디의 본체 구성부(13)및 플런저(30)에 있어서의 C부 및 D부에 있어 담지 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형식의 척에 있어서는, 잡음력 K에 의한 반력을 척 보디 전체로 담지 하는 것으로서 조오(20)에 발생하는 모멘트를 완전히 받아들일 수 있어 워크(21)의 떠오름을 방지해서 올바른 위치에 고정할 수 있는 동시에, 소형의 척 보디로 큰 반력을 얻는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특징적 구성인 웨지 수단(40)에 관한 다른 실시예를 표시하고, 부시(41)및 마스터조오(22)의 구조를 표시하고 있다. 웨지 수단(40)을 구성하는 부시(41)의 외형은 개략, 원형의 상하에 평탄한 지지면(41-2,41-3)을 형성한 것으로서, 이러한 부시(41)는 당연히, 제3도 또는 도 10에 표시하는 것 같은 부시 관통구멍(32)에 삽입되므로, 상기 부시 관통구멍(32)의 형상도 상기 부시(41)의 외형과 마찬가지의 것으로 되게 된다.
그리고 또, 마스터조오(22)의 마스터조오보디(24)의 단면 형상도, 상기 부시 (41)의 외형 및 캠면형성구멍(42)의 형상과 동일하고, 그 캠면형성구멍(42)의 내부에 평탄한 캠면(45), (45)이 형성 되고, 마스터조오보디(24)의 상하면에는 평탄한 캠면(25), (25)이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부시(41)및 마스터조오(22)의 구성에 있어서의 다른 부분의 구조는, 예를 들면 도 7 ~ 도 11에 있어서 설명한 실시예의 것과 동일해도 된다.
도 13 및 도 14는, 예를 들면 도 7에 표시하는 실시예의 형식의 부세 수단(50)의 다른 실시예를 표시하고 있다. 이 실시예에 관한 부세 수단(50)은, 다른 실시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부세력은 척 보디의 본체 후부분을 형성하는 후반부 (12)와 마스터조오보디(24)의 후단부 구조와의 관계로 부여되는 구성이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라이너(19)를 불필요로 하고, 부세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탄성 부재가 마스터조오보디(24)의 일부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는 점에 특징이 있다.
도 13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마스터조오보디(24)의 후부분에는, 절개부(24-5)를 개재하여 탄성편(24-6)이 형성되고 있다. 한편 후반부(12)에는, 도 14에 표시한 바와 같이 그 마스터조오보디 맞닿음면 측인 척앞쪽측 면에, 오목부(12-2)가 형성되어 있고, 마스터조오보디(24)의 후단면으로서 상기 절개부(24-5)를 가지지 않는 부분과 이것에 대응하도록 상기 오목부(12-2)와의 사이에는, 틈 δ가 형성되고 있다.
따라서, 후반부(12)의 앞쪽측 면과 마스터조오보디(24)의 후단면이 맞닿은 상태에서, 상기 탄성편(24-6)을 미소한 변형 함으로서 필요한 초기 부세력이 부여되는 동시에, 척의 잡음력의 증가에 수반하는 마스터조오보디(24)의 후퇴의 결과, 상기 마스터조오보디(24)의 절개부를 가지지 않는 후단면이, 탄성편(24-6)의 부분을 변형시키면서 상기 오목부(12-2)와 맞닿을 때까지, 최대량의 끌어들임이 허용 된다.
도 15는, 도 7 ~ 도 11에 표시하는 제 3의 실시예와 개략 마찬가지의 웨지 수단(40)을 가지는 발명에 있어서, 특히 부시(41)와 본체 구성부(13)(또는 도 1에 표시하는 제1의 실시예의 원통부(18)) 및 플런저(30)와의 관련 구성에 있어서의 다른 실시예를 표시하는 것이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의 특징적 구조는, 도 7에 있어서의 부시(41)와 같은 외경 단차를 가지지 않은 점이다. 이 때문에, 부시(41)의 외형은 완전히 원주형상이며, 이것을 수용하는 본체 구성부(13)(또는 원통부 (18))의 부시 관통구멍(32)은, 플런저(30)의 오목개소(30-1)와 함께 원형 관통구멍을 형성하고 있다. 또, 플런저(30)와 부시(41)와의 걸어맞춤은 플랜지부(30-2)에서 행해지고, 이 때문에 부시 (41)의 외주면에 걸어맞춤 홈(41-2)이 형성되고 있다.
본 발명은, 끌어 들임 작용을 행하는 척에 있어서, 종래 공지의 발명과 같은 척축방향으로 이동하는 척보디의 부분을 소용없는 것으로 하고 있다.
이 때문에, 척 보디를 고속 회전시의 동밸런스가 뛰어난 것이 되었다. 또, 조오의 잡음력에 의한 전도 모멘트를 웨지 수단의 구성요소인 플런저 및 척 보디에 의해 지지시키기 때문에, 척 보디를 소형화할 수 있었다.

Claims (12)

  1. 척 보디와, 상기 척 보디내에서 척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플런저와, 척축방향으로 끌여들임 가능한 조오를 갖추는 척으로서,
    상기 조오는 척축선에 대해서 경사하는 마스터조오보디를
    가지고,
    상기 플런저는 그 일부에 상기 마스터조오보디와 공동으로 작용하여 쐐기작용을 행하는 웨지 수단을 구성하는 부시를 수용하고,
    상기 마스터조오보디의 후단에 부세 수단을 가지고,
    상기 조오는 척 보디에 대해서 축방향의 위치를 규제하기 위한 마스터조오보디 앞단면 및 마스터조오헤드 후단면을 가지고, 이들의 끝면과 척보디앞반부와의 관계에 의해서, 미소한 거리 δ의 범위내에서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조오의 척축방향 이동이 규제되고 있고,
    상기 웨지 수단이 워크잡음시에 발생하는 조오의 전도모멘트를 유지하는 구조로 되어 있고,
    상기 부세 수단이 워크잡음을 위한 플런저에 대한 인장력에 대항하는 반력을, 상기 마스터조오보디에 대해서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끌어 들임 기능을 구비한 척.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웨지 수단을 구성하는 부시를 수용하는 플런저의 일부는, 척 보디를 형성하는 원통부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끌어 들임 기능을 구비한 척.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웨지 수단을 구성하는 부시는, 상기 부시가 수용하는 마스터조오보디와 함께, 척축과의 이루는 경사 방향을 반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끌어 들임 기능을 구비한 척.
  4. 제 1항 ~ 3항의 어느 한 한에 있어서, 상기 부세 수단은, 상기 마스터조오보디의 후단부에 설치한 코일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끌어 들임 기능을 구비한 척.
  5. 제 1항 ~ 4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조오보디 및 부시의 단면 형상은 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끌어 들임 기능을 구비한 척.
  6. 척 보디와, 상기 척보디내에서 척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플런저와, 척축방향으로 끌여들임 가능한 조오를 갖추는 척으로서,
    상기 조오는 척축선에 대해서 경사하는 단면 T자 형상의 마스터조오보디를 가지고,
    상기 플런저는 그 일부에 상기 마스터조오보디와 공동으로 작용하여 쐐기작용을 행하는 웨지 수단을 구성하는 단면 T자 형상의 캠면형성홈을 가지고, 상기 마스터조오보디의 캠면과 상기 플런저의 캠면형성홈내의 캠면에 의해 웨지 수단을 형성하는 것이며,
    상기 척 보디의 본체 후부분에 부세 수단이 수용되어 있고,
    상기 조오는 그 마스터조오헤드의 후단면과 상기 척 보디의 본체 후부분 앞단면에 의해, 미소한 거리 δ의 범위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조오의 척 방향 이동이 규제되고 있고,
    상기 웨지 수단이 워크잡음시에 발생하는 조오의 전도 모멘트를 유지하는 구조로 되어 있고,
    상기 부세 수단이 워크잡음를 위한 플런저에 대한 인장력에 대항하는 반력을, 상기 마스터조오보디에 대해서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끌어 들임 기능을 구비한 척.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웨지 수단의 일부를 구성하는 플런저의 외주는, 척보디를 형성하는 본체 후부분의 원통부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끌어 들임 기능을 구비한 척.
  8. 제 6항 또는 7항에 있어서, 상기 부세 수단은, 상기 척 보디의 본체 후부분에 있어서의 스프링수용 구멍 내에 설치한 코일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끌어 들임 기능을 구비한 척.
  9. 척 보디와, 상기 척 보디내에서 척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플런저와, 척축방향으로 끌여들임 가능한 조오를 구비하는 척으로서,
    상기 조오는 척축선에 대해서 경사하는 마스터조오보디를 가지고,
    상기 플런저는, 상기 마스터조오보디와 공동으로 작용하여 쐐기작용을 행하는 웨지 수단을 구성하는 부시를 위한 부시 관통구멍의 일부를 구성하는 부분을 가지고,
    마찬가지로 상기 플런저는, 상기 웨지 수단을 구성하기 위한 부시와 걸어맞춤하는 플런저부를 가지고,
    상기 척 보디는, 상기 웨지 수단을 구성하는 부시를 위한 부시 관통구멍의 다른 일부인 안쪽원통구멍형성부를 가지고,
    상기 마스터조오보디의 후단부에 부세 수단을 가지고,
    상기 조오는 보디에 대해서 축방향의 위치를 규제하기 위한 마스터조오보디의 규제판 및 마스터조오보디 후단면을 가지고, 이들 규제판 및 끝면과 척 보디 앞반부 및 척 보디 후반부와의 관계에 의해서, 미소한 거리 δ의 범위내에서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조오의 척축방향 이동이 규제되어 있고,
    상기 웨지 수단이 워크잡음시에 발생하는 조오의 전도 모멘트를 유지하는 구조로 되어 있고,
    상기 부시에 작용하는 잡음반력을 상기 척 보디로 지지하는 구조이며,
    상기 부세 수단이 워크잡음을 위한 플런저에 대한 인장력에 대항하는 반력을, 상기 마스터조오보디에 대해서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끌어 들임 기능을구비한 척.
  10. 제 1항 또는 9항에 있어서, 상기 부시 및 마스터조오보디의 단면 형상은, 원형상의 상하면을 평탄하게 한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끌어 들임 기능을 구비한 척.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부세 수단은, 상기 마스터조오보디의 후단부와 상기 후단부에 형성한 절개부에 의해서 형성되는 탄성편 및 척 보디의 본체 후부에 있어서의 후반부와 상기 후반부에 형성한 오목개소에 의해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끌어 들임 기능을 구비한 척.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부시의 외형은 원주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끌어 들임 기능을 구비한 척.
KR1020047000670A 2001-07-18 2002-07-15 끌어 들임 기능을 갖추는 척 KR1006002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218002 2001-07-18
JP2001218002 2001-07-18
PCT/JP2002/007170 WO2003008135A1 (fr) 2001-07-18 2002-07-15 Mandrin dote d'une fonction de trac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8468A true KR20040018468A (ko) 2004-03-03
KR100600275B1 KR100600275B1 (ko) 2006-07-13

Family

ID=190522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0670A KR100600275B1 (ko) 2001-07-18 2002-07-15 끌어 들임 기능을 갖추는 척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311312B2 (ko)
EP (3) EP2055414A1 (ko)
JP (1) JP4194488B2 (ko)
KR (1) KR100600275B1 (ko)
CN (1) CN100387387C (ko)
DE (1) DE60229526D1 (ko)
TW (1) TW557238B (ko)
WO (1) WO200300813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24367A1 (de) * 2002-05-28 2004-02-05 Hainbuch Gmbh Spannende Technik Spannfutter mit mindestens zwei Spannbacken
US6953198B2 (en) * 2003-09-30 2005-10-11 Mp Tool & Engineering, Co. Short pull-back chuck
JP4443369B2 (ja) * 2004-10-05 2010-03-31 アロン化成株式会社 接続支管
KR101346078B1 (ko) * 2005-08-05 2013-12-31 가부시키가이샤 기타가와 뎃꼬쇼 터보차저 하우징의 워크 홀딩장치
WO2007106661A2 (en) * 2006-03-16 2007-09-20 Three M Tool And Machine Improved chuck assembly
JP4895688B2 (ja) * 2006-05-30 2012-03-14 株式会社北川鉄工所 チャック装置
US20080022811A1 (en) * 2006-06-30 2008-01-31 Murray Kathan Power tong having cam followers with sliding contact surfaces
US20080018060A1 (en) * 2006-07-20 2008-01-24 Masato Ishii Chuck
US8087675B2 (en) * 2006-08-24 2012-01-03 Korson Daniel G Chuck holder incorporating independent arrayed wedge clamps for clamping such as irregularly shaped and thin wall parts with a minimum of deformation
US8528914B2 (en) * 2007-02-27 2013-09-10 Forkardt Inc. Quick-release jaws with single-piece bearing chuck
EP2676755A1 (de) * 2012-06-20 2013-12-25 SMW-AUTOBLOK Spannsysteme GmbH Kraftspannfutter
JP6219106B2 (ja) * 2013-09-20 2017-10-25 株式会社北川鉄工所 引き込みチャック
JP6177640B2 (ja) * 2013-09-20 2017-08-09 株式会社北川鉄工所 引き込み機構を持つチャック装置
CN103630061A (zh) * 2013-11-08 2014-03-12 吴中区木渎蒯斌模具加工厂 一种角度调节参照棒
JP6654405B2 (ja) * 2015-11-06 2020-02-26 株式会社北川鉄工所 チャック装置
JP6687647B2 (ja) * 2016-02-08 2020-04-28 株式会社北川鉄工所 引き込み型チャック
TWI714770B (zh) 2016-05-25 2021-01-01 日商北川鐵工所股份有限公司 夾持裝置
CN106346032B (zh) * 2016-11-17 2018-08-03 常州倍得福机械科技有限公司 轴加工伸缩浮动爪卡盘
JP6345321B1 (ja) * 2017-07-28 2018-06-20 株式会社北川鉄工所 チャック機構
JP6411619B1 (ja) * 2017-12-01 2018-10-24 株式会社北川鉄工所 チャック及びその製造方法
JP7288441B2 (ja) * 2018-06-19 2023-06-07 株式会社北川鉄工所 引き込み機能付きチャック
TWI655055B (zh) * 2018-10-24 2019-04-01 佳賀精機股份有限公司 Chuck
KR20220066288A (ko) * 2019-08-28 2022-05-24 하딘지 인코포레이티드 개선된 파지 스트로크를 갖는 척
CN116197294B (zh) * 2023-05-05 2023-07-04 燕山大学 基于温度检测矩阵的钳口体定位方法及蒙皮拉伸设备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028537A (fr) * 1950-11-28 1953-05-26 Mandrin d'usinage
US3460849A (en) * 1966-01-11 1969-08-12 Sp Mfg Corp Variable force chuck construction
US3472526A (en) * 1967-10-17 1969-10-14 Woodworth Co N A Universal power chuck
US3512794A (en) * 1968-02-23 1970-05-19 Logansport Machine Co Inc Pull-back chuck false jaws for machine chucks
US3560010A (en) * 1969-02-06 1971-02-02 Woodworth Co N A Jaw mounting for chucks
US3771780A (en) * 1971-03-11 1973-11-13 Standard Tool & Manu Co Clamping device for an accurately located workpiece
US3814449A (en) * 1972-10-05 1974-06-04 Ruck Tool Co Hydraulic ring chuck
DE2436529B1 (de) * 1974-07-29 1975-10-30 Paul Forkardt Kg, 4000 Duesseldorf Kraftbetätigtes Spannfutter
DE2533803C3 (de) * 1975-07-29 1983-12-29 Röhm, Günter Horst, 7927 Sontheim Kraftbetätigtes Keilspannfutter
IT1047974B (it) 1975-09-05 1980-10-20 Pinto M S P A Mandrino autocentrante ed auto staffante per torni e simili macchine utensili
DE2729939B2 (de) * 1977-07-02 1980-10-09 Paul Forkardt Kg, 4000 Duesseldorf Kraftbetätigtes Spannfutter
DE3005459A1 (de) * 1980-02-14 1981-08-20 Paul Forkardt KG, 4000 Düsseldorf Spannfutter fuer drehmaschinen
US4735422A (en) * 1985-09-13 1988-04-05 Kabushiki Kaisha Kitagawa Tekkosho Precision chuck
JPH0344410Y2 (ko) * 1987-08-19 1991-09-18
JP3068117B2 (ja) * 1991-02-16 2000-07-24 豊和工業株式会社 チャック
FR2720670B1 (fr) * 1994-06-07 1996-08-09 Sandvik Tobler Mandrin de serrage à mors.
CN2246551Y (zh) * 1994-09-29 1997-02-05 临沂博特隆机械制造有限公司 斜楔式自紧钻夹头
GB2298599B (en) * 1995-03-07 1998-07-08 Chen Chao Chung Chuck mechanism
US6299179B1 (en) * 1995-03-22 2001-10-09 R. S. R. Adtec Ltd. Fluid actuated chuck
IL113089A (en) * 1995-03-22 1997-09-30 Rsr Adtec Fluid actuated chuck
JP2838188B2 (ja) * 1995-06-21 1998-12-16 株式会社北川鉄工所 精密チャック
ATE212263T1 (de) * 1998-09-10 2002-02-15 Christ Noss Marianne Werkstückspannvorrichtung
FR2788711B1 (fr) * 1999-01-25 2001-03-09 Sandvik Tobler Mandrin a serrage adaptatif
FR2792235B1 (fr) * 1999-04-15 2001-06-01 Sandvik Tobler Mandrin de serrage a six bras sur rotule, palonnes deux a deux
US6089578A (en) * 1999-05-04 2000-07-18 Chai; Cheng-Chung Chuck assembly
JP2001219309A (ja) * 2000-02-07 2001-08-14 Howa Mach Ltd チャック
US6454278B1 (en) * 2000-09-08 2002-09-24 Donald J. Wrobel Counter centrifugal power chuck assembly
DE10207567A1 (de) * 2002-02-22 2003-09-04 Roehm Gmbh Kugelbolzenfut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557238B (en) 2003-10-11
DE60229526D1 (de) 2008-12-04
JPWO2003008135A1 (ja) 2004-11-04
US7311312B2 (en) 2007-12-25
CN1538892A (zh) 2004-10-20
EP1407845A4 (en) 2006-08-30
EP1407845A1 (en) 2004-04-14
JP4194488B2 (ja) 2008-12-10
EP1407845B1 (en) 2008-10-22
US20040169342A1 (en) 2004-09-02
EP2055414A1 (en) 2009-05-06
EP2055415A1 (en) 2009-05-06
WO2003008135A1 (fr) 2003-01-30
CN100387387C (zh) 2008-05-14
KR100600275B1 (ko) 2006-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00275B1 (ko) 끌어 들임 기능을 갖추는 척
CA2175379C (en) System for coupling machine tools
JP4263702B2 (ja) チャックとそれに着脱自在に取り付け可能のパレットを有する締め付け装置
JP3617745B2 (ja) コレット式クランプ
JP5108613B2 (ja) クランプ装置
JPH06344268A (ja) 加工物を固定するための機械万力
US20190329327A1 (en) Chuck device
EP1138421A2 (en) Chuck for machine tool
JPH0671717B2 (ja) センタリング機能付エア−チヤツク
JP2006123103A (ja) 締結装置
JP2001225236A (ja) 締結装置
JP2005095996A (ja) チャック装置
JP2018114602A (ja) チャック装置
JP2003001507A (ja) 高精度引き込み型チャック
JP2826107B2 (ja) 超精密チャック
JP3360272B2 (ja) 環状工作物用保持具
JPH0437684Y2 (ko)
JPH0614977Y2 (ja) 成形機の摩擦クランプ式型締装置
JPH023418Y2 (ko)
JPH028627Y2 (ko)
JP2513210Y2 (ja) ワ―ク取付装置
JPS626732A (ja) 軸結合体のかしめ装置
JP2004286086A (ja) 締結装置
JPH07266112A (ja) 工作物保持用チャック
JPS6246482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1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