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16384A - 광커넥터용 소켓 - Google Patents

광커넥터용 소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16384A
KR20040016384A KR1020030047498A KR20030047498A KR20040016384A KR 20040016384 A KR20040016384 A KR 20040016384A KR 1020030047498 A KR1020030047498 A KR 1020030047498A KR 20030047498 A KR20030047498 A KR 20030047498A KR 20040016384 A KR20040016384 A KR 200400163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cket
optical connector
shutter
plug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74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오바야시요시아키
미네케이지
나카가와히로시
Original Assignee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163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6384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4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 G02B6/429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the light guide being disconnectable from the opto-electronic element, e.g. mutually self aligning arrang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4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 G02B6/4296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coupling with sources of high radiant energy, e.g. high power lasers, high temperature light sourc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4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 G02B6/4296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coupling with sources of high radiant energy, e.g. high power lasers, high temperature light sources
    • G02B2006/4297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coupling with sources of high radiant energy, e.g. high power lasers, high temperature light sources having protection means, e.g. protecting humans against accidental exposure to harmful laser radi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9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astening connecting plugs and sockets, e.g. screw- or nut-lock, snap-in, bayonet type
    • G02B6/3893Push-pull type, e.g. snap-in, push-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Couplings Of Light Guides (AREA)
  • Mechanical Coupling Of Light Guides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광누설이나 먼지의 침입이 없고, 또한 캡을 이용하지 않고, 게다가 장착되는 기기나 벽에 대해서 개구부분을 정면을 향해서 장착 가능하고, 전자 기기에 결합한 상태에서의 검사에서도 캡을 빼고 꽂기 할 필요를 없게 한것을 목적으로 한것이며, 그 구성에 있어서 내부에 소켓쪽 광소자(600)이 형성되어, 접속되는 광커넥터용 플럭 (B)가 삽입되는 삽입부(110)을 가지는 보디(100)과 보디(l00)에 씌우지고, 삽입부(110)과 연이어 통하는 개구부분(210)을 가지는 커버(200)과 개구부분(210)을 폐색하기 위하여 커버(200)에 개폐 가능하게 장착되는 셔터(300)과 셔터(300)을 상시 폐색 방향으로 탄성힘붙임 하는 탄성체로서의 코일스프링(500)을 구비하고, 개구부분(210)은, 커버(200)에 삽입되는 광커넥터용 플럭(B)의 외형 치수보다 크고, 또한 셔터(300)의 외형 치수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다.

Description

광커넥터용 소켓{SOCKET FOR OPTIC CONNECTOR}
본 발명은, 광커넥터용 소켓에 관한 것이다.
이런 종류의 광커넥터용 소켓은, 설치용의 DVD, TV, STB(세트 톱 박스 : 위성방송의 어댑터 장치), CD, MD 앰프등의 디지털신호를 출력 또는/및 입력하는 장치에 설치되어 있다. 또, 최근에는, 광파이버를 이용한 컴퓨터 통신의 입출력 단자 로서도 이용되고 있다.
종래의 이런 종류의 광커넥터용 소켓으로서는,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2000- 131564호 공보, 동 특개2001-20l663호공보에 기재된 것이 있다. 이들의 광커넥터용 소켓에 있어서는, 안쪽에 소켓쪽 광소자를 가진 삽입부가 형성된 보디와, 상기 보디의 삽입부를 거의 폐색하는 셔터를 가지고 있다. 상기 셔터는, 보디에 삽입부를 개폐할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다. 이 셔터는, 보디의 삽입부의 내부에 먼지등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광커넥터용 소켓에는 이하와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이들의 광커넥터용 소켓의 셔터는, 보디의 전면에 장착되어 있고, 광커넥터용 플럭을 삽입부에 밀어넣는 것에 의해서 보디의 안쪽에 변위시키는 것이기 때문에, 삽입부의 개구부분보다 약간 작은 치수의 것이 사용되어 있었다. 이 때문에, 소켓쪽 광소자로서 발광소자와 수광소자를 가지는 이른바 쌍방향 광커넥터에 있어서는, 발광소자로부터의 광이 외부에 누설되어 나오는 일이 있었다. 발광소자의 광을 직시 하면 망막의 손상등의 장해가 생길 우려가 있기 때문에, 광커넥터용 소켓은, 광커넥터용 플럭의 끼워넣기 어려움보다 안전성을 우선해서 개구부분이 기울기 하향으로 되도록 장착되어 있었다.
또, 셔터가 없는 광커넥터용 소켓도 있지만, 이 경우에는, 광누설이나 먼지의 침입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삽입부의 개구부분에는 캡이 끼워넣어져 있다. 그러나, 이 캡은 적은 것이기 때문에, 분실하는 일이 있다. 또, 유아가 캡을 잘못 삼키는 일이 있었다.
또, 이 광커넥터용 소켓을 결합하게된 전자기기, 예를 들면 셋트툽박스의 검사때, 광커넥터용 소켓에 캡이 끼워넣어져 있으면 , 캡을 발취하고 나서 광커넥터용 플럭을 빼고 꽃음하고, 그 후 다시 캡을 광커넥터용 소켓에 깨워넣는 작업이 필요하게 되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에 비추어서 창안된것으로서, 광누설이나 먼지의 침입이 없고, 또한 캡을 사용하지 않고, 게다가 장착되는 기기나 벽에 대해서 개구부분을 정면을 향해서 장착할 수 있고, 전자 기기에 결합한 상태에서의 검사에서도 캡을 빼고 꽂음 할 필요가 없는 광커넥터용 소켓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 으로 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관한 광커넥터용 소켓의 개략적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관한 광커넥터용 소켓으로부터 실드 커버의 윗면, 커버의 상부벽 및 보디의 상부벽부분을 제거한 상태를 표시한 개략적 일부 파단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관한 광커넥터용 소켓의 개략적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관한 광커넥터용 소켓의 개략적 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관한 광커넥터용 소켓에 접속되는 광커넥터용 플럭의 개략적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보디110 : 삽입부
200 : 커버210 : 개구부분
300 : 셔터500 : 코일스프링(탄성체)
600 : 소켓쪽 광소자
A : 광커넥터용 소켓 B : 광커넥터용 플럭
본 발명에 관한 광커넥터용 소켓은, 내부에 소켓쪽 광소자가 설치되고, 접속되는 광커넥터용 플럭이 삽입되는 삽입부를 가지는 보디와, 이 보디에 씌우지고, 상기 삽입부와 연이어 통하는 개구부분을 가지는 커버와, 상기 개구부분을 폐색하기 위하여 상기 커버에 개폐 가능하게 장착되는 셔터와, 이 셔터를 상시 폐색 방향에 탄성힘붙임하는 탄성체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개구부분은, 커버에 삽입되는 광커넥터용 플럭의 외형치수보다 크고, 또한 셔터의 외형치수보다 작게 설정되고 있다.
이러한 광커넥터용 소켓 라면, 광누설이나 먼지의 침입을 완전하게 막을 수 있다.
또, 상기 보디의 삽입부의 내부에는, 삽입된 광커넥터용 플럭을 상기 소켓쪽 광소자에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용 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용 돌기는, 삽입부의 안쪽을 감에 따라서 폭이 좁게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광커넥터용 소켓의 소켓쪽 광소자를 광커넥터용 플럭의 플럭쪽 광소자에 정면으로 마주보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상기 가이드용 돌기로부터 안쪽에는, 광커넥터용 플럭의 외부면에 형성된 록용 볼록부와 걸어맞춤하는 록용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이면, 광커넥터용 소켓에 삽입된 광커넥터용 플럭을 확실히 고정할 수 있다.
(발명의 실시의 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관한 광커넥터용 소켓의 개략적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관한 광커넥터용 소켓으로부터 실드 커버의 윗면, 커버의 상부벽 및 보디의 상부벽부분을 제거한 상태를 표시한 개략적 일부 파단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관한 광커넥터용 소켓의 개략적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에 관한 광커넥터용 소켓의 개략적 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관한 광커넥터용 소켓에 접속되는 광커넥터용 플럭의 개략적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관한 광커넥터용 소켓(A)는, 내부에 소켓쪽 광소자 (600)이 설치되고, 접속되는 광커넥터용 플럭(B)가 삽입되는 삽입부(110)을 가지는 보디(100)과, 이 보디(100)에 씌우지고, 상기 삽입부(110)과 연이어 통하는 개구부분 (210)을 가지는 커버(200)과, 상기 개구부분(210)을 폐색하기 위하여 상기 커버 (200)에 개폐 가능하게 장착되는 셔터(300)과 이 셔터(300)을 상시 폐색 방향으로 탄성힘붙임하는 탄성체로서의 코일스프링(500)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개구부분(210)은, 커버(200)에 삽입되는 광커넥터용 플럭(B)의 외형치수 보다 크고, 또한 셔터 (300)의 외형치수 보다작게 설정되어 있다.
먼저, 이 광커넥터용 소켓(A)를 설명하기 전에, 이 광커넥터용 소켓(A)에 접속되는 광커넥터용 플럭(B)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러한 광커넥터용 플럭(B)는, 도 5에 표시한 바와 같이, 광파이버(B1)과, 이 광파이버(B1)이 몰드된 합성수지제의 플럭보디(B2)를 가지고 있다.
상기 플럭보디(B2)의 선단에는, 상기 광파이버(B1)의 끝부분에 정면으로 마주대하는 개구(도시 생략)가 개설되어 있다. 또, 이 플럭보디(B2)의 좌우 양측면에는, 광커넥터용 소켓(A)의 록용 오목한 부분(180)과 걸어맞춤하는 록용 볼록한 부분(B2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플럭보디(B2)의 윗면에는, 광커넥터용 소켓(A)의 록 멈춤쇠 (160)과 걸어맞춤하는 록홈(B2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보디(100)은, 절연성을 가지는 합성수지등으로 성형된것으로서, 앞쪽에서부터 안쪽을 향해서 개방된 삽입부(110)이 형성되어 있다. 이 삽입부(110)의 안쪽에는, 평행한 2개의 원통형상의 차광통(130) 개구부분이 삽입부(1l0)의 개구 쪽을 향해서 형성되어 있다. 이 차광통(130)의 안쪽에는, 후술하는 소켓쪽 광소자 (600)이 세트되게 되어 있다. 보디(100)의 좌우 측면의 안쪽 측방에는, 상기 차광통(130)에 연결되는 광소자 삽입구멍(140)이 형성되어 있다. 이 광소자 삽입구멍 (140)으로부터 삽입된 소켓쪽 광소자(600)은, 차광통(130)의 뒷부분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광소자 삽입구멍(140)의 뒤끝쪽에는, 광소자 삽입구멍(140)에 삽입된 소켓쪽 광소자(600)의 리드단자(612, 622)가 끼워넣어지는 리드용 슬릿(141)이 형성되어 있다.이 리드용 슬릿(l41)이 있기 때문에, 소켓쪽 광소자(600)의 리드 단자 (612, 622)는, 보디(100)의 좌우벽부분의 표면보다 안쪽에 위치한다. 이 때문에, 상기 리드단자(6l2, 622)는, 커버(200)을 보디(100)에 씌울 때의 장해되는 일이 없다.
또, 이 보디(100)의 상부쪽벽(150)은, 도 1에 표시한 바와 같이, 앞쪽으로부터 안쪽을 향한 끊어낸 부분(120)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상부쪽벽(150)은, 평면에서봐서 대략 오목한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끊어낸 부분(120)의 안쪽에서부터 앞쪽을 향해서는, 삽입된 광커넥터용 플럭(B)를 걸어두기 위한 록 멈춤쇠(160)이 구비되어 있다. 이 록 멈춤쇠(160)은, 선단에 안쪽을 향해서 내리막 경사지게 아래쪽으로 돌출하는 돌출 부분(161)이 형성되어 있고, 이 돌출 부분(16l)이 삽입된 광커넥터용 플럭(B)의 록홈(B22)에 걸어맞춤하게 되어 있다. 또한, 이 록 멈춤쇠(160)은, 셔터(300)의 개폐을 방해하지않는 길이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이 보디(100)의 좌우 양쪽벽의 안쪽에는, 삽입부의 안쪽으로 감에 따라서 폭이 좁아지는 가아드용 돌기(190)이 형성되어 있다. 이 가이드용 돌기(190)은, 삽입부(1l0)에 삽입된 광커넥터용 플럭(B)를 소정의 위치, 즉 광커넥터용 플럭(B)의 광파이버(B1)이, 차광통(130), 나아가서는 소켓쪽 광소자(600)에 대해서 정면으로 맞서는 위치에 안내하는 것이다. 따라서, 좌우 양쪽벽에 형성된 1쌍의 가이드용 돌기(190)의 사이의 가장 폭이 좁은 부분의 치수는, 광커넥터용 플럭(B)의 외형보다 약간 폭이 좁게 설정되어 있다.
상기 보디(100)의 좌우 양쪽벽의 안쪽에서, 상기 가이드용 돌기(190)로 부터 안쪽에는, 광커넥터용 플럭(B)의 외부면에 형성된 록용 볼록부(B21)에 걸어맞춤하는 록용 오목부(180)이 개설되어 있다. 이 록용 오목부(180)은, 상기 좌우 양쪽벽을 관통하는 구멍으로 되고 있다. 따라서, 가이드용 돌기(190)을 타고 넘은 광커넥터용 플럭(B)의 록용 오목부(B21)은, 록용 오목부(l80)에 끼워넣음으로써, 보디(100)에 대해서 걸어두게되는 것이다.
또, 이 보디(100)의 좌우 양쪽벽의 앞 하부쪽, 즉 삽입부(110)의 좌우의 앞 하부쪽에는, 커버(200)을 장착했을 때에, 커버(200)의 축의 끼워맞춤부(231)이 들어가는 셔터용 끊어낸 부분(112)이 형성되어 있다. 이 셔터용 끊어낸 부분(112)는, 보디 (100)의 앞쪽을 향해서 개방되어 있다.
또한, 이 보디(100)의 뒤끝부터는 4개의 단붙임의 장착용보스(170)이 돌출되어 있다. 이 장착용보스(170)을 프린트 기판(700)의 구멍(7l0)에 삽입한다. 상기구멍(7l0)의 직경은, 장착용 보스(170)의 선단쪽의 소직경부(171)은 삽입할 수 있지만, 밑부분의 대직경부(172)는 삽입할 수 없게 설정되고 있다. 따라서, 이 장착용보스(170)의 소직경부(171)을 상기 구멍(710)에 삽입하고, 소직경부(171)을 용융 시킴으로써, 대직경부(172)의 높이 정도만큼 프린트 기판(700)의 표면에서 떨어진 위치에서, 광커넥터용 소켓(A)가 장착되는 것이다.
또, 이 보디(100)의 앞끝부분 윗면에는, 상기 끊어낸 부분(l20)의 좌우 양측방에 대략 쐐기모양의 돌기부(ll1)가 형성되어 있다. 이 돌기부(111)은, 후술하는 커버(200)을 보디(100)에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셔터(3OO)은, 절연성을 가지는 합성수지등으로 성형된것으로서, 전체적으로 대략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셔터(300)의 가로폭 치수 W3은, 삽입부(1l0)의 가로폭 치수 W1보다작게 설정되고 있다. 마찬가지로 셔터(300)의 높이 치수 H3는 삽입부(110)의 높이 치수 H1보다작게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셔터 (300)은 보디(100)의 삽입부(110)의 내부쪽을 향해서 쓰러지는 것이 가능하게되어 있다. 또한, 이 셔터(300)은, 절연성을 가지는 합성수지등 뿐만 아니라, 도전성을 가지는 금속 소재나 합성수지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이 셔터(300)의 뒷면쪽의 아래쪽 양단에 형성된 축의 끼워맞춤부(231)에는, 1개의 지지축(800)이 끼워맞춤되어 있다. 이 지지축(800)은, 셔터(300)의 회동의 중심이 되는 것이다.
셔터(300)의 지지축(800)이 후술하는 축의 끼워맞춤부(231)에 끼워맞춤된 상태에서, 커버(200)이 보디(100)에 장착되면, 보디(100)에 의해서 축의 끼워맞춤부(231)은 셔터용 끊어낸 부분(112)에 끼워넣어져서, 축의 끼워맞춤부(231)이 보디(l00)에 의해서 닫혀지므로, 셔터(300)이 커버(200)에 확실히 축받침되게 된다.
상기 지지축(800)의 대략 중앙부에는, 도 3에 표시한 바와 같이, 보디(100)에 축받침된 셔터(300)을 상시 폐색 방향으로 탄성힘붙임하는 탄성체로서의 코일스프링(500)이 밖에서 끼워져 있다. 이 매달린 코일스프링(500)은, 상기 지지축(800)이 안에서 끼워지는 매달아감긴부분(510)과 이 매달아감긴(510)의 한쪽끝(520)및 다른쪽끝(530)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한쪽끝(520)과 다른쪽끝(530)은, 매달린 코일스프링(500)의 감긴 접선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 매달린 코일스프링(500)은, 상기 지지축(800)이 안에서 끼워진 상태에서, 한쪽끝(520)이 셔터(300)의 후면에, 다른쪽끝(530)이 보디(100)의 삽입부 (110)의 바닥면에 각각 접촉하고 있다. 따라서, 셔터(300)의 폐색 위치로부터 열릴 방향에의 변위는, 매달린 코일스프링(500)의 탄성력에 대항해서 행해지게 된다. 이 때문에, 셔터(300)은, 매달린 코일스프링(500)에 의해서 상시 폐색 방향으로 탄성힘붙임되게 된다.
한편, 상기 보디(l00)에 씌우지는 커버(200)은, 절연성을 가지는 합성수지등으로 성형되어 있다. 이러한 커버(200)은, 상하 좌우벽으로 이루어진 4각통 모양의 커버 본체부(220)과 이 커버 본체부(220)의 전방쪽에 형성되는 대략 액자모양의 앞면 액자부분(230)이 일체적으로 성형된 것이다.
상기 앞면 액자부분(230)에는, 커버(200)을 보디(100)에 씌웠을 경우에, 상기 삽입부(110)과 연통하는 개구부분(210)이 개설되어 있다. 이 개구부분(210)은 대략 직4각형모양이며, 그 가로폭 치수 W2는 상기 셔터(300)의 가로폭 치수 W3보다작고, 그 높이 치수 H2는 상기 셔터(300)의 높이 치수 H3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다.따라서, 상기 개구부분(210)은, 커버(200)에 삽입되는 광커넥터용 플럭(B)의 외형치수 보다 크고, 또한 셔터(300)의 외형치수 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 된다.
따라서, 개구부분(210)의 가로폭 치수 W2, 높이 치수 H2, 셔터(300)의 가로폭 치수 W3, 높이 치수 H3 및 삽입부(1l0)의 가로폭 치수 W1, 높이 치수 H1는, H1> H3>H2, W1>W3>W2의 관계가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상기 개구부분(210)은, 셔터(300)이 폐색 상태에 있으면, 확실히 닫혀지게 되어, 소켓쪽 광소자(600)의 발광소자(610)의 광이 외부에 빠져 나오는 일이 없고, 소켓쪽 광소자(600)의 수광소자 (620)이 불필요한 광을 신호로서 수광하지 않게 되어 있다.
또, 상기 앞면액자부분(230)의 뒷면쪽좌우하단부분에는, 상기 지지축(800)의 양단이 끼워넣어지는 축의 끼워맞춤부분(231)이 형성되어 있다. 이 축의 끼워맞춤부분(231)에, 셔터(300)에 장착된 지지축(800)이 끼워맞춤하면, 셔터(300)은 지지축(800)을 중심으로해서 안쪽을 향해서 회전구동하게 되어 있다.
또한, 이 커버(200)의 커버 본체부(220)의 좌우 양쪽벽에는, 후술하는 실드 커버(400)을 걸어맞춤하기 위한, 가로길이의 직4각형 모양의 돌기(222)가 각각 1개씩 돌출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앞면 액자부분(230) 및 뒤끝부분은, 커버 본체부 (220)의 상하 좌우벽부분 보다 약간 등이 높게 형성되어 있고, 실드 커버(400)이장착 되면, 실드 커버(400)과 한면이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이 커버(300)의 상부벽의 앞끝부분에는, 상기 보디(100)의 돌기부(111)이 끼워맞춤하는 끼워맞춤구멍(221)이 개설되어 있다. 이 끼워맞춤(221)에 돌기부 (111)이 끼워맞춤함으로써, 커버(200)이 보디(100)에 고정된다.
상기 소켓쪽 광소자(600)은, 입력된 전기신호를 광신호로 변환해서 출력하는 발광소자(610)과 입력된 광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해서 출력하는 수광소자(620)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발광소자(610)은, 박형의 직4각형 형상의 몰드수지(6l1)의 대략 중앙에 발광칩이 몰드되고, 몰드수지(61l)의 외부에 발광 칩에 접속된 리드단자(612)가 돌출 된 것이다. 또, 상기 수광소자(620)은, 박형의 직4각형모양의 몰드수지(621)의 대략 중앙에 수광칩이 몰드되고, 몰드수지(621)의 외부에 수광칩에 접속된 리드단자(622)가 돌출 된 것이다.
이러한 발광소자(610) 및 수광소자(620)은, 상기 보디(100)의 광소자 삽입구멍(140)으로부터 삽입 되면, 각각의 발광칩 및 수광칩이, 차광통(130)의 안쪽에 위치 하게 되어 있다.
또한, 발광소자(610) 및 수광소자(620)의 리드단자(612, 622)는, 광소자 삽입구멍(140)에 삽입된 상태에서, 광커넥터용 소켓(A)의 후방을 향하도록 대략 직각으로 절곡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광커넥터용 소켓(A)에는, 도전성의 금속판을 절곡 형성한 실드 커버(400)이 씌우져 있다. 이 실드 커버(400)은, 하향으로 대략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 보디(100)에 씌우진 커버(200)위 및 좌우벽을 덮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 실드 커버(400)의 좌우의 하단에는, 아래쪽을 향해서 돌출 한 돌출편부분 (410)이 형성되어 있다. 이 돌출편부분(410)은, 도시 하지 않는 프린트 기판에 형성된 개구에 삽입되어서, 광커넥터용 소켓(A)를 상기 프린트 기판에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또, 이 실드 커버(400)의 좌우 양벽에는, 가로길이의 직4각형 형상의 개구(420)이 개설되어 있다. 이 개구(420)은, 상기 커버(200)의 좌우 양쪽벽에 돌출 형성된 돌기(222)에 걸어맞춤 하는 것이다.
다음에, 상술한 구성의 광커넥터용 소켓(A)와 광커넥터용플럭(B)와의 접속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광커넥터용플럭(B)의 플럭보디(B2)를 커버(200)의 개구부분(210)으로부터 삽입부(110)에 삽입한다. 그러자, 셔터(300)이 플럭보디(B2)에 밀리는 것에 의해서, 코일스프링(500)의 탄성력에 대항 하면서 하부쪽을 향해서 쓰러진다. 또한, 플럭보디(B2)를 삽입부(110)에 삽입하면, 플럭보디(B2)의 선단이, 보디(100)의 가이드용 돌기(190)에 접촉한다. 이 상태로부터 다시 플럭보디(B2)를 삽입부(110)에 삽입하면, 가이드용 돌기(190)에 안내됨으로써, 광커넥터용 플럭(B)의 광 파이버(B1)이 소켓쪽 광소자(600)과 확실히 정면으로 맞선다.
플럭보디(B2)를 삽입부(110)에 끝까지 삽입하면, 가이드용 돌기(190)을 타고 넘은 광커넥터용플럭(B)의 록용볼록부분(B21)은, 보디(100)의 록용 오목부분(180)에 걸어맞춤 된다. 동시에, 보디(100)의 록 멈춤쇠(160)의 돌출 부분(161)이 플럭보디 (B2)의 록홈(B22)에 걸어맞춤 된다.
이 상태에서, 광커넥터용 플럭(B)의 수광쪽의 광파이버(B1)은 광커넥터용 소켓(A)의 소켓쪽 광소자(600)의 발광소자(610)과 광커넥터용플럭(B)의 발광쪽의 광파이버(B1)은 광커넥터용 소켓(A)의 소켓쪽 광소자(600)의 수광소자(620)과 각각 확실히 정면으로 맞선다. 이에 의해서, 광커넥터용플럭(B)는 광커넥터용 소켓(A)에 완전하게 접속된 것으로 된다.
광커넥터용 소켓(A)에 삽입된 광커넥터용플럭(B)를 빼내는 경우에는, 플럭보디(B2)를 바깥쪽을 향해서 잡아 당긴다. 그러자, 광커넥터용플럭(B)의 록용 볼록부분(B21)이, 보디(100)의 록용 오목부분(180)에 계속되는 가이드용 돌기(190)을 타고 넘어 걸어맞춤이 해제된다. 또 동시에, 보디(100)의 록 멈춤쇠(160)의 돌출 부분 (161)이 플럭보디(B2)의 록홈(B22)로부터 빠져서 걸어맞춤이 해제 된다.
플럭보디(B2)를 삽입부(110)으로부터 완전하게 빼내면, 셔터(300)에 대한 외력이 없어지므로, 셔터(300)은 코일스프링(500)의 탄성력에 의해서 일어나서 원래의 위치, 즉 삽입부(110)을 폐색하는 위치에 복귀한다.
또한, 상술한 실시의 형태에서는, 광커넥터용 소켓(A)는, 소켓쪽 광소자(600)이 발광소자(610)과 수광소자(620)을 가지는 이른바 쌍방향 광커넥터용 소켓이었지만, 본 발명은, 발광소자와 수광소자중의, 한쪽 밖에 가지지 않는 이른바 한방향 광커넥터용 소켓에도 응용할 수 있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본 발명에 관한 광커넥터용 소켓은, 내부에 소켓쪽 광소자가 설치되고, 접속되는 광커넥터용플럭이 삽입되는 삽입부를 가지는 보디와, 이 보디에 씌우고 상기 삽입부와 연통하는 개구부분을 가지는 커버와, 상기 개구부분을 폐색하기 위하여 상기 커버에 개폐 가능하게 장착되는 셔터와, 이 셔터를 상시 폐색 방향으로 탄성힘붙임하는 탄성체를 구비하고, 상기 개구부분은, 커버에 삽입되는 광커넥터용플럭의 외형치수보다 크고, 또한 셔터의 외형치수보다 작게 설정되고 있다.
이 때문에, 개구부분은, 광커넥터용 소켓에 광커넥터용플럭이 접속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셔터에 의해서 확실히 닫혀지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캡을 사용할 필요 없이, 광누설이나 먼지의 침입을 없앨 수 있다. 따라서, 발광소자의 광을 직시하는 것에 의한 망막의 손상등의 장해가 발생할 우려가 없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개구부분이 기울기 하향으로 되도록 장착할 필요가 없이, 광커넥터용플럭의 꽂음의 용이성을 우선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전자 기기에 결합한 상태에서의 검사에서도, 종래와 같은 캡을 빼고 꽂기 할 필요가 없어진다.
또, 상기 보디의 삽입부의 내부에는, 삽입된 광커넥터용플럭을 상기 소켓쪽 광소자에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용 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용 돌기는, 삽인부의 안쪽으로 감에 따라서 폭이 좁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광커넥터용플럭은, 소켓쪽 광소자를 광커넥터용 플럭의 플럭쪽 광소자에 확실히 정면으로 마주대하게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상기 가이드용 돌기로부터 안쪽에는, 광커넥터용플럭의 외부면에 형성된 록용 볼록부분과 걸어맞춤하는 록용 오목부분이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광커넥터용 소켓에 삽입된 광커넥터용플럭를 확실히 고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소켓쪽 광소자는, 발광소자와 수광소자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안전하고, 또한 전자 기기에 결합된 상태에서도 검사 공정이 적은 광 커넥터용소켓으로 할수 있다.

Claims (4)

  1. 내부에 소켓쪽 광소자가 형성되고, 접속되는 광커넥터용 플럭이 삽입되는 삽입부분을 가지는 보디와, 이 보디에 씌우지고, 상기 삽입부분과 연이어 통하는 개구부분을 가지는 커버와, 상기 개구부분을 폐색하기 위하여 상기 커버에 개폐 가능하게 장착되는 셔터와, 이 셔터를 상시 폐색 방향으로 탄성을 힘붙임하는 탄성체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개구부분은, 커버에 삽입되는 광커넥터용플럭의 외형치수 보다크고, 또한 셔터의 외형치수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커넥터용 소켓.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디의 삽입부의 내부에는, 삽입된 광커넥터용 플럭를 상기 소켓쪽 광소자에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용 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용 돌기는, 삽입부의 안쪽으로 감에 따라서 폭이 좁게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커넥터용 소켓.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용 돌기로부터 안쪽으로는, 광커넥터용플럭의 외부면에 형성된 록용 볼록부분과 걸어맞춤하는 록용 오목부분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광커넥터용 소켓.
  4. 제 1항,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쪽 광소자는, 발광소자와수광소자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커넥터용 소켓.
KR1020030047498A 2002-08-15 2003-07-12 광커넥터용 소켓 KR2004001638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236805A JP3895233B2 (ja) 2002-08-15 2002-08-15 光コネクタ用ソケット
JPJP-P-2002-00236805 2002-08-1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6384A true KR20040016384A (ko) 2004-02-21

Family

ID=317120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7498A KR20040016384A (ko) 2002-08-15 2003-07-12 광커넥터용 소켓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114856B2 (ko)
JP (1) JP3895233B2 (ko)
KR (1) KR20040016384A (ko)
CN (1) CN100378482C (ko)
TW (1) TWI265329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15137A1 (en) * 2010-07-27 2012-02-02 Raytron Co., Ltd Optical cable connection module having function of preventing separation of shutter
KR20120033587A (ko) * 2010-09-30 2012-04-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기 자동차의 무인 충전 시스템 및 그의 구동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01520B2 (en) * 2003-05-30 2007-04-10 Sumitomo Electric Industries, Ltd. Optical module having a simple mechanism for releasing from a cage
JP4246138B2 (ja) * 2004-11-02 2009-04-02 ホシデン株式会社 シャッター付き光コネクタ
JP4389845B2 (ja) * 2005-06-15 2009-12-24 株式会社デンソー 車載装置
JP2007065366A (ja) * 2005-08-31 2007-03-15 Sharp Corp 光伝送コネクタおよび電子機器
TWI322661B (en) * 2006-05-19 2010-03-21 Asustek Comp Inc Electromagnetic sheilding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EP2363739A3 (en) * 2006-06-21 2011-09-21 Firecomms Limited An optical connector
TWM329781U (en) * 2007-07-24 2008-04-01 Hon Hai Prec Ind Co Ltd Optical fiber connector
CN201130783Y (zh) * 2007-11-09 2008-10-08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JP4741571B2 (ja) * 2007-12-12 2011-08-03 シャープ株式会社 光伝送コネクタおよび電子機器
US8579518B2 (en) * 2010-03-19 2013-11-12 Corning Incorporated Optical receptacles and systems and devices including optical receptacles
US8727636B2 (en) * 2010-03-19 2014-05-20 Corning Incorporated Fiber optic interface device with positionable cleaning cover
CN102340078B (zh) * 2010-07-24 2013-10-02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连接器
JP2013037114A (ja) * 2011-08-05 2013-02-21 Toshiba Corp 光リンクモジュール
CN103091789A (zh) * 2011-10-27 2013-05-08 东侑光电股份有限公司 光纤适配器的防护盖
KR101937131B1 (ko) 2012-02-07 2019-01-10 티이 커넥티비티 코포레이션 광섬유 정렬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광섬유 연결 시스템
JP5706375B2 (ja) * 2012-07-24 2015-04-22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光コネクタ
CN104216054B (zh) * 2013-05-31 2016-10-26 深圳日海通讯技术股份有限公司 光纤适配器
JP6400892B2 (ja) * 2013-09-17 2018-10-03 三和電気工業株式会社 Lc形光コネクタの防塵シャッタ内蔵アダプタ
CN104516061B (zh) * 2014-11-28 2016-08-17 中航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光纤插头模块及使用该光纤插头模块的集成插头
TWI565165B (zh) * 2014-12-10 2017-01-01 英業達股份有限公司 母連接器
EP3387715B1 (en) * 2015-12-08 2021-05-12 Panduit Corp. Rj45 shuttered jacks and related communication systems
JP2017151338A (ja) * 2016-02-26 2017-08-31 三和電気工業株式会社 光アダプタ用ホルダ装置
CN107329213A (zh) * 2017-08-29 2017-11-07 清远市亿源通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防尘遮光的光纤适配器
TWI677724B (zh) * 2018-04-27 2019-11-21 楊沐晨 光纖適配器
CN115706377A (zh) * 2021-08-04 2023-02-17 台达电子工业股份有限公司 具光纤连接装置的连接器及连接器组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15211A (ja) 1983-11-28 1985-06-21 Hitachi Ltd 油入電器
FR2567379B1 (fr) 1984-07-10 1988-05-27 Gefitec Sa Ensemble de rangement constitue d'un empilage de coffrets.
US4993803A (en) * 1989-05-18 1991-02-19 General Motors Corporation Electro-optical header connector
US6079881A (en) * 1998-04-08 2000-06-27 Molex Incorporated Fiber optic connector receptacle assembly
JP3440022B2 (ja) 1998-04-20 2003-08-25 ホシデン株式会社 光コネクタのソケット
US6076975A (en) 1998-10-15 2000-06-20 Molex Incorporated Fiber optic connector assembly
JP3404621B2 (ja) * 1998-11-10 2003-05-12 ソニー株式会社 光コネクタ
JP3654052B2 (ja) * 1999-06-01 2005-06-02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光リセプタクル
US6715931B1 (en) * 1999-12-07 2004-04-06 Wenzong Chen Self-contained fiber optic connector module
JP3573675B2 (ja) 2000-01-21 2004-10-06 ホシデン株式会社 光コネクタのソケット
TW495624B (en) * 2000-02-25 2002-07-21 Sharp Kk Light transmission device
US6821023B2 (en) * 2001-03-01 2004-11-23 Huber+Suhner Ag Fiber-optical connector system
TW493760U (en) * 2001-11-30 2002-07-01 Hon Hai Prec Ind Co Ltd Optical fiber connector
US6715930B2 (en) * 2002-03-21 2004-04-06 Lucent Technologies Inc. Optical fiber shutter adapter with protective doo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15137A1 (en) * 2010-07-27 2012-02-02 Raytron Co., Ltd Optical cable connection module having function of preventing separation of shutter
US8926193B2 (en) 2010-07-27 2015-01-06 Raytron Co., Ltd. Optical cable connection module having function of preventing separation of shutter
KR20120033587A (ko) * 2010-09-30 2012-04-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기 자동차의 무인 충전 시스템 및 그의 구동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114856B2 (en) 2006-10-03
JP2004077715A (ja) 2004-03-11
TW200402555A (en) 2004-02-16
TWI265329B (en) 2006-11-01
CN100378482C (zh) 2008-04-02
CN1484055A (zh) 2004-03-24
JP3895233B2 (ja) 2007-03-22
US20040033030A1 (en) 2004-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016384A (ko) 광커넥터용 소켓
KR950004986B1 (ko) 전기 접속기
US4767179A (en) Fiber optic connector assembly
EP0415489B1 (en) Mountable connector for cable assembly
JP2004228079A (ja) 過度押込防止ストッパを備えたコネクタの揺動蓋
WO1985004493A1 (en) Connection apparatus for optical fibers
US10651618B2 (en) Double density small form-factor plug connector
JP7404479B2 (ja) 引抜抵抗を増加させるためのケーブル保護カバー
KR100435916B1 (ko) 커넥터플러그
US6206580B1 (en) Optical connector
US5230636A (en) Terminal protection type connector
KR20130018746A (ko) 광학 도파체용 이중 플러그-인 커넥터
EP1170613B1 (en) Optical connector
CN109212676B (zh) 光纤连接器组件及其光纤插头组件和对应的适配器
CN109212674B (zh) 适配器安装壳及使用该安装壳的适配器
KR101051862B1 (ko) 광 리셉터클
JP6200184B2 (ja) 防塵キャップ
US20010016443A1 (en) Electrical and/or optical connector with a latching arm
WO2022120759A1 (zh) 一种线缆适配器
JP2001272583A (ja) 光波導体を接続するための装置
TW201932892A (zh) 可多方向插拔之光纖連接器
JP3135572U (ja) 内蔵式防塵装置付きコネクタ
JP2001074985A (ja) 光ファイバ接続用コネクタの係止構造
CN219717347U (zh) Hdmi母座连接器及电子设备
CN210005740U (zh) 能够保护光纤插座的光纤通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