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04688A - 엘리베이터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04688A
KR20040004688A KR10-2003-7015836A KR20037015836A KR20040004688A KR 20040004688 A KR20040004688 A KR 20040004688A KR 20037015836 A KR20037015836 A KR 20037015836A KR 20040004688 A KR20040004688 A KR 200400046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istway
wall
car
elevator
installation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158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67364B1 (ko
Inventor
혼다타케노부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046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46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73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736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4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 B66B11/08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with hoisting rope or cable operated by frictional engagement with a winding drum or shea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2Guideways; Guides
    • B66B7/021Guideways; Guides with a particular position in the sha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65Roping
    • B66B11/008Roping with hoisting rope or cable operated by frictional engagement with a winding drum or shea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66B11/0226Constructional features, e.g. walls assembly, decorative panels, comfort equipment, thermal or sound insu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87Devices facilitating maintenance, repair or inspection tas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7/00Hoistway equipment
    • B66B17/12Counterpoi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Abstract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카실벽의 평면형상을 5개 이상의 각을 갖는 다각형으로 함으로써, 승강로벽과 카실벽과의 사이에 설치스페이스가 설치되어 있다. 설치스페이스에는 예를 들면 구동장치를 제어하는 주제어반 등, 적어도 1개의 승강로기기가 설치되어 있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장치{ELEVATOR}
종래의 기계실리스 엘리베이터에서는 구동장치나 제어반이 예를 들면 승강로벽과 카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또,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평 10-139321호 공보에 표시된 기계실리스 엘리베이터에서는 박형의 구동장치가 승강로내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기계실리스 엘리베이터에서는 여러가지의 기기를 승강로내에 설치할 필요가 있으므로 승강로의 평면적이나 오버헤드 치수가 커져 있었다. 따라서, 승강로를 더욱 컴팩트하게 구성하는 것을 요구하고 있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된 것으로, 승강로를 컴팩트하게 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는 승강로벽을 갖는 승강로, 카바닥과, 카바닥상에 배치되고 카출입구가 설치되어 있는 통형상의 카실벽과, 카실벽상에 배치되어 있는 천정을 가지고, 승강로내를 승강하는 카실 및 승강로내에 배치되어 있는 다수의 승강로기기를 구비하며, 카실벽의 평면형상을 5개 이상의 각을 갖는 다각형으로 함으로써, 승강로벽과 카실벽과의 사이에 설치스페이스가 설치되어 있고, 적어도 1개의 승강로기기가 설치스페이스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제어반 등의 기기가 승강로내에 배치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표시하는 정면도,
도 2는 도 1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요부를 표시하는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의 요부를 표시하는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3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의 요부를 표시하는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4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의 평면 레이아웃을 표시하는 설명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5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의 평면 레이아웃을 표시하는 설명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6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의 평면 레이아웃을표시하는 설명도.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의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실시의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표시하는 정면도, 도 2는 도 1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요부를 표시하는 평면도이다.
도면에서, 승강로(1)내에는 한쌍의 카가이드레일(2)과 한쌍의 균형추 가이드레일(3)이 설치되어 있다. 카(4)는 카가이드레일(2)에 안내되어 승강로(1)내를 승강한다. 카(4)는 카틀(5)과 카틀(5)에 지지된 카실(6)을 가지고 있다. 카틀(5)은 한쌍의 세로틀(7)과, 세로틀(7)의 하단부간에 고정되고, 카실(6)을 지지하는 아래틀(8)과 세로틀(7)의 상단부간에 고정되어 있는 위틀(9)을 가지고 있다.
아래틀(8)에는 제1 및 제2의 주삭접속부(11),(12)가 설치되어 있다. 제1 및 제2의 주삭접속부(11),(12)는 카(4)의 중심에 대해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균형추(13)는 균형추 가이드레일(3)에 안내되어 승강로(1)내를 승강한다. 또, 균형추(13)는 승차장측에서 보아 카(4)의 후방에 배치되어 있다.
승강로(1)내의 상부에는 부착틀(14)(도 2에서는 생략)이 배치되어 있다. 부착틀(14)은 카가이드레일(2) 및 균형추 가이드레일(3)의 상단부에 고정되어 있다. 부착틀(14)에는 카(4) 및 균형추(13)를 승강시키는 구동장치(권양기)(15)가 탑재되어 있다.
구동장치(15)는 구동장치 본체(16)와, 구동장치 본체(16)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시브(17)를 가지고 있다. 또, 구동장치(15)는 구동시브(17)의 회전축이 수직으로 뻗도록 수평으로 배치되어 있다. 구동장치 본체(16)는 축방향 치수가 직경보다도 작은 박형 모터를 가지고 있다.
부착틀(14)에는 제1 및 제2의 카측 반환풀리(18),(19), 균형추측 반환풀리 (20) 및 방향전환풀리(21)가 탑재되어 있다. 제1의 카측 반환풀리(18)는 그 회전축이 카(4)의 안쪽방향(도 2의 상하방향)을 따라 수평으로 뻗도록 제1의 주삭접속부 (11)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다. 제2의 카측 반환풀리(19)는 그 회전축이 카(4)의 안쪽방향(도 3의 상하방향)을 따라 수평으로 뻗도록 제2의 주삭접속부(12)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다.
균형추측 반환풀리(20)는 그 회전축이 수평으로 뻗도록 균형추(13)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다. 또, 구동장치(15), 제1 및 제2의 카측 반환풀리(18),(19), 균형추측 반환풀리(20) 및 방향전환풀리(21)는 수직투영면내에서 카(4)와 겹치도록 카(4)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다.
구동시브(17)에는 카(4) 및 균형추(13)를 승강로(1)내에 매다는 주삭군(22)이 감겨 있다. 주삭군(22)은 다수의 제1의 주삭(23)과 다수의 제2의 주삭(24)을 가지고 있다. 여기서는 제1의 주삭(23)의 개수와 제2의 주삭(24)의 개수가 같다.
또, 제1 및 제2의 주삭(23),(24)으로는 예를 들면 수지피복을 갖는 유연성이 높은 복합재료 로프가 사용된다. 이로써, 구동시브(17), 제1 및 제2의 카측 반환풀리(18),(19), 균형추측 반환풀리(20) 및 방향전환풀리(21)의 직경을 작게 할 수가있다.
제1의 주삭(23)은 제1의 주삭접속부(11)에 접속된 제1의 단부와, 균형추(13)의 상부에 접속된 제2의 단부를 가지고 있다. 제2의 주삭(24)은 제2의 주삭접속부 (12)에 접속된 제1의 단부와, 균형추(13)의 상부에 접속된 제2의 단부를 가지고 있다.
제1의 주삭(23)은 제1의 단부에서 제1의 카측 반환풀리(18), 구동시브(17) 및 균형추측 반환풀리(20)의 순으로 감겨져 제2의 단부에 이르고 있다. 제2의 주삭(24)은 제1의 단부에서 제2의 카측 반환풀리(19), 방향전환풀리(21), 구동시브 (17) 및 균형추측 풀리(20)의 순으로 감겨져 제2의 단부에 이르고 있다.
즉, 균형추(13)에 접속된 제1의 주삭(23)과 제2의 주삭(24)은 구동시브(17)에서 2방향으로 분기되어 카(4)에 접속되어 있다.
방향전환풀리(21)는 대략 수평으로 배치되어 있으나, 제2의 주삭(24)의 진입각도가 가능한 한 작게 되도록 방향전환풀리(21)의 회전축은 수직에 대해 약간 기울어져 있다.
또, 승강로(1)는 서로 대향하는 제1 및 제2의 승강로벽(1a),(1b)과, 승차장 출입구(25)가 설치되어 있는 제3의 승강로벽(1c)과, 제3의 승강로벽(1c) 및 카(4)의 배면에 대향하는 제4의 승강로벽(1d)을 가지고 있다.
카실(6)은 카바닥(도시않음)과, 카바닥상에 배치되고 카출입구(26)가 설치되어 있는 카실벽(27)과, 카실벽(27)상에 배치되어 있는 천정(28)을 가지고 있다.
카실벽(27)의 평면형상을 6각형으로 함으로써, 승강로벽(1a),(1b),(1d)과 카실벽(27)과의 사이에는 제1 및 제2의 설치스페이스(29),(30)가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카실벽(27)의 형상은 단면 4각형의 통에서의 서로 인접하고 있는 2개의 코너부를 모따기해서 경사면(27a),(27b)을 형성한 형상이다. 경사면(27a),(27b)은 승강로벽(1a),(1b)에 대해 경사져 있다. 설치스페이스(29),(30)는 경사면(27a), (27b)과 승강로벽(1a),(1b),(1d)과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제1의 설치스페이스(29)에는 승강로기기로서의 주제어반(31)이 설치되어 있다. 제2의 설치스페이스(30)에는 승강로기기로서의 부제어반(32)이 설치되어 있다. 주제어반(31) 및 부제어반(32)은 구동장치(15) 및 기타의 기기를 제어한다.
또, 주제어반(31) 및 부제어반(32)은 카실(6)이 최상층에 위치할 때에 카실벽(27)의 경사면(27a),(27b)에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 주제어반(31) 및 부제어반(32)은 승강로벽(1d)에 대해 균형추 가이드레일(3)을 지지하고 있는 다수의 레일브래킷(33)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경사면(27a),(27b)에는 설치스페이스(29),(30)에 임하는 점검창(34a),(34b)과, 카실(6)내로부터 점검창(34a),(34b)을 개폐하는 커버(35a),(35b)가 설치되어 있다.
또, 카실벽(27)에는 커버(35a),(35b)의 개폐를 검출하는 커버스위치(36a), (36b)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커버(35a),(35b)가 열려있을 때는 카(4)의 승강이 저지된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카실벽(27)의 평면형상을 6각형으로 함으로써, 승강로벽(1a),(1b),(1d)과 카실벽(27)과의 사이에 제 1 및 제2의 설치스페이스(29),(30)를 확보하고, 또 제1 및 제2의 설치스페이스(29),(30)에 주제어반(31) 및 부제어반(32)을 배치하였으므로 승강로(1)를 컴팩트하게 할 수가 있다.
또, 제1 및 제2의 설치스페이스(29),(30)는 카(4)의 승강행정 전체에 걸쳐 확보되므로 주제어반(31) 및 부제어반(32)을 크게 할 수 있는 동시에, 모든 승강로기기를 설치할 수가 있고, 소용량에서 대용량까지의 엘리베이터 장치에 대해 스페이스의 절약을 도모할 수가 있다.
또, 카실벽(27)의 형상은 단면 4각형의 통에서의 코너부를 모따기한 형상이므로 의장성의 저하를 방지할 수가 있는 동시에, 승강로(1)내의 스페이스를 보다 유효하게 이용할 수가 있다.
또, 카실벽(27)에는 설치스페이스(29),(30)에 임하는 점검창(34a),(34b)과, 점검창(34a),(34b)을 개폐하는 커버(35a),(35b)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설치스페이스 (29),(30)에 설치되어 기기의 보수점검작업을 카실(6)내에서 실시할 수가 있고,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또, 커버(35a),(35b)의 개폐를 검출하는 커버스위치(36a),(36b)를 사용하고, 커버(35a),(35b)가 열렸을 때는 카(4)의 승강이 저지되도록 하였으므로 보수점검시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또, 구동장치(15)를 승강로(1)내에 배치하고, 또 구동장치(15)를 제어하는 주제어반(31)을 최상층에 배치하였으므로 구동장치(15)와 주제어반(31)과의 사이의 거리를 짧게 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제어신호의 노이즈가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며,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실시의 형태 2.
다음,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의 요부를 표시하는 평면도이다. 이 예에서는 카실벽(27)의 형상은 단면 4각형의 통에서의 4개의 코너부를 모따기해서 경사면(27a ~ 27d)을 형성한 형상, 즉 단면 8각형의 통형상체이다. 그리고, 경사면(27a)과 승강로벽(1a),(1d)과의 사이에 제1의 설치스페이스(29)가 설치되어 있다. 또, 경사면(27c)과 승강로벽(1b),(1c)과의 사이에 제3의 설치스페이스(41)가 설치되어 있다.
경사면(27a),(27c)에는 각각 점검창(34a),(34c) 및 커버(35a),(35c)가 설치되어 있다. 제1의 설치스페이스(29)에는 주제어반(31)이 설치되어 있다. 제3의 설치스페이스(41)에는 부제어반(32)이 설치되어 있다. 부제어반(32)은 승강로벽(1b)에 고정되어 있다.
카실벽(27)의 측면에는 부제어반(32)을 카실(6)내에서 보수점검하기 위한 점검창(34e) 및 점검창(34e)을 카실(6)내에서 개폐하는 커버(35e)가 설치되어 있다.
카(4)의 아래틀(8)에는 제1 및 제2의 주삭접속부(11),(12)가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 및 제2의 주삭접속부(11),(12)는 경사면(27b),(27d)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 제1 및 제2의 주삭접속부(11),(12)는 카(4)의 중심에 대해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경사면(27b),(27d)에는 주삭접속부(11),(12)에 임하는 점검창(34b),(34d)과, 카실(6)내에서 점검창(34b),(34d)을 개폐하는 커버(35b),(35d)가 설치되어 있다.
제1의 주삭(23)은 제1의 단부에서 제1의 카측 반환풀리(18), 방향전환풀리(21), 구동시브(17) 및 균형추측 반환풀리(20)의 순으로 감겨져 제2의 단부에 이르고 있다. 제2의 주삭(24)은 제1의 단부에서 제2의 카측 반환풀리(19), 구동시브 (17) 및 균형추측 반환풀리(20)의 순으로 감겨져 제2의 단부에 이르고 있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카실벽(27)의 평면형상을 8각형으로 함으로써, 승강로벽(1a ~ 1d)과 카실벽(27)과의 사이에 제1 및 제3의 설치스페이스 (29),(41)를 확보하고, 또 제1 및 제3의 설치스페이스(29),(41)에 주제어반(31) 및 부제어반(32)을 배치하였으므로 승강로(1)를 컴팩트하게 할 수가 있다.
또, 카실벽(27)의 형상은 단면 4각형의 통에서의 4개의 코너부를 모따기한 형상이므로 의장성을 높일 수 있는 동시에, 승강로(1)내의 스페이스를 보다 유효하게 이용할 수가 있다.
또, 카실(6)의 대각에 위치하는 경사면(27b),(27d)의 외측에 주삭접속부 (11),(12)를 배치하였으므로 승강로(1)내의 스페이스를 더욱 유효하게 이용할 수가 있다.
또, 주삭접속부(11),(12)에 임하는 점검창(34b),(34d)을 경사면(27b),(27d)에 설치하였으므로 주삭접속부(11),(12)의 보수점검도 카실(6)내에서 할 수가 있고, 작업성 및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실시의 형태 3.
다음,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3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의 요부를 표시하는 평면도이다. 실시의 형태 1, 2에서는 승차장측에서 보아 카(4)의 후방에 균형추(13)가 배치되어 있으나, 실시의 형태 3에서는 균형추(13)는 카실(6)의 한쪽의 측면에 대향하도록 카(4)의 측방에 배치되어 있다. 카실벽(27)의 형상은 단면 4각형의 통에서의 3개의 코너부를 모따기해서 경사면(27a),(27b),(27d)을 형성한 형상, 즉 단면 7각형의 통형상체이다. 그리고, 경사면(27a)과 승강로벽(1a),(1d)과의 사이에 제1의 설치스페이스(29)가 설치되어 있다. 다른 구성은 실시의 형태 1 또는 2와 같다.
이와 같이 균형추(13)가 카(4)의 측방에 배치되는 엘리베이터 장치라도 카실벽(27)의 평면형상을 5개 이상의 각을 갖도록 다각형으로 해서 설치스페이스(29)를 확보하고, 그 설치스페이스(29)에 주제어반(31)을 설치하였으므로 승강로(1)를 컴팩트하게 할 수가 있다.
실시의 형태 4.
다음,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4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의 평면 레이아웃을 표시하는 설명도이다. 실시의 형태 1 ~ 3에서는 1대의 엘리베이터 장치에 대해서만 표시하였으나, 도 5에 표시한 바와 같이 여러대의 엘리베이터 장치가 나란히 설치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은 적용이 된다. 이 경우 2대의 카실(27) 사이에 설치스페이스(42)를 배치함으로써, 승강로(1)내를 유효하게 이용해서 보다 넓은 설치스페이스(42)를 확보할 수가 있다.
실시의 형태 5.
다음,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5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의 평면 레이아웃을 표시하는 설명도이다. 실시의 형태 1 ~ 4에서는 카실벽(27)의 형상을 단면 4각형의 통에서 적어도 1개의 코너부를 모따기해서 경사면(27a ~ 27d)을 형성한 형상으로 하였으나, 도 6에 표시한 바와 같이 4각형의 변의 일부에 요(凹)부(27e)를 설치한 단면형상으로 해도 된다. 이것에 의해서도 승강로벽(1a),(1d)과 요(凹)부 (27e)와의 사이에 설치스페이스(43)를 확보할 수가 있다.
실시의 형태 6.
다음,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6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의 평면 레이아웃을 표시하는 설명도이다. 실시의 형태 1 ~ 4에서는 카실벽(27)에 평면상의 경사면(27a ~ 27d)을 설치하였으나, 예를 들면 도 7에 표시한 바와 같이 설치스페이스(44)에 대향하는 카실벽(27)의 측면(27f)을 곡면으로 해도 된다.
또, 카실벽의 평면형상은 9개 이상의 각을 갖는 다각형으로 해도 된다. 다시 말하면, 카실벽은 5개 이상의 면을 갖는 통형상의 다면체이면 된다.
또, 상기한 예에서는 승강로기기로서 주제어반(31) 및 부제어반(32)을 표시하였으나, 다른 승강로기기를 설치스페이스에 설치해도 된다. 다른 승강기기로는 예를 들면 트랜스, 배터리(충전지) 및 원격관리장치(감시반) 등을 들 수 있다.
여기서, 원격관리장치는 원격에 위치하는 관리실로 원격관리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감시반이다. 또, 원격관리장치는 옵션으로 설치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설치스페이스의 확보가 어려우나, 본 발명에 의하면, 설치스페이스가 카의 승강행정의 거의 전체에 걸쳐 존재하므로 용이하게 설치할 수가 있다.
또, 승강로기기로서 카를 승강시키는 구동장치를 설치스페이스에 설치해도 된다.
또, 상기한 예에서는 1 : 1 로핑방식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표시하였으나, 로핑방식은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2 : 1 로핑방식의 엘리베이터 장치에도 본 발명은 적용할 수 있다.

Claims (3)

  1. 승강로벽을 갖는 승강로, 카바닥과, 상기 카바닥상에 배치되고 카출입구가 설치되어 있는 통형상의 카실벽과, 상기 카실벽상에 배치되어 있는 천정을 가지고, 상기 승강로내를 승강하는 카실 및 상기 승강로내에 배치되어 있는 다수의 승강로기기를 구비하며, 상기 카실벽의 평면형상을 5개 이상의 각을 갖는 다각형으로 함으로써, 상기 승강로벽과 상기 카실벽과의 사이에 설치스페이스가 설치되어 있고, 적어도 1개의 상기 승강로기기가 상기 설치스페이스에 설치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실벽에는 상기 설치스페이스에 임하는 점검창과, 상기 점검창을 개폐하는 커버가 설치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로내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카실을 승강시키는 구동장치를 또 구비하며, 상기 승강로기기는 상기 구동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반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제어반은 상기 카실이 최상층에 위치할 때에 상기 카실벽에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
KR1020037015836A 2002-04-26 2002-04-26 엘리베이터 장치 KR1005673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2/004271 WO2003091141A1 (fr) 2002-04-26 2002-04-26 Ascenseu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4688A true KR20040004688A (ko) 2004-01-13
KR100567364B1 KR100567364B1 (ko) 2006-04-04

Family

ID=292672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15836A KR100567364B1 (ko) 2002-04-26 2002-04-26 엘리베이터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1564176A4 (ko)
JP (1) JPWO2003091141A1 (ko)
KR (1) KR100567364B1 (ko)
CN (1) CN1295129C (ko)
WO (1) WO200309114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70005A1 (en) * 2004-02-19 2007-07-26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Machine room-less elevator
WO2005105652A1 (ja) * 2004-04-28 2005-11-10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エレベータ装置
US7258202B1 (en) * 2004-05-10 2007-08-21 Inventio Ag Creation of temporary safety spaces for elevators
JP4722846B2 (ja) * 2004-06-07 2011-07-13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
FR2892713B1 (fr) * 2005-11-03 2009-05-08 Ceima Conception D Equipements Ascenseur en coin.
US20070209292A1 (en) * 2006-03-13 2007-09-13 Broyan Frederick K Corner lift device
WO2012073065A1 (en) * 2010-12-02 2012-06-07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system with emergency operation and backup power supply at the same location as the elevator drive
JP5665666B2 (ja) * 2011-06-22 2015-02-04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
US10745240B2 (en) 2015-03-23 2020-08-18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operation and service panel
JP6258430B1 (ja) * 2016-09-26 2018-01-10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非常用マシンルームレスエレベータおよび非常用マシンルームレスエレベータの運転切替方法
WO2018229128A1 (en) * 2017-06-14 2018-12-20 Inventio Ag Operating and/or display panel, elevator car syste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n operating and/or display panel
CN112850395A (zh) * 2019-11-27 2021-05-28 中际联合(北京)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非接触式电磁感应探测的升降设备
CN116331996A (zh) * 2021-12-23 2023-06-27 奥的斯电梯公司 电梯轿厢框架、电梯轿厢和电梯系统
EP4269311A1 (de) * 2022-04-25 2023-11-01 Thoma Aufzüge GmbH Rollstuhlgerechte fahrstuhlkabine
EP4349758A1 (en) * 2022-10-05 2024-04-10 TK Elevator Innovation and Operations GmbH Elevator arrangement exhibiting eccentric guide rails and an eccentric drive unit as well as use of an eccentrically arranged drive unit for such elevator arrangements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89789A (ja) * 1990-07-30 1992-03-23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H0489787A (ja) * 1990-08-01 1992-03-23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ーの駆動装置
ES2197280T3 (es) 1996-11-11 2004-01-01 Inventio Ag Instalacion de ascensor con una unidad de accionamiento dispuesta en la caja de ascensor.
JPH10231074A (ja) * 1997-02-19 1998-09-02 Hitachi Ltd 小型エレベータ
JP2000238971A (ja) * 1999-02-19 2000-09-05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エレベータ装置
JP2000247560A (ja) * 1999-02-26 2000-09-12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ー装置
JP3747710B2 (ja) * 1999-10-05 2006-02-22 松下電工株式会社 エレベータ駆動装置の固定構造
JP2001233555A (ja) * 2000-02-22 2001-08-28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エレベータ装置
JP2001253659A (ja) * 2000-03-13 2001-09-18 Mitsubishi Electric Corp 駅用エレベーターの機械室
WO2001079104A1 (en) * 2000-04-17 2001-10-25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in-car maintenan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500061A (zh) 2004-05-26
CN1295129C (zh) 2007-01-17
EP1564176A4 (en) 2010-05-05
JPWO2003091141A1 (ja) 2005-09-02
EP1564176A1 (en) 2005-08-17
WO2003091141A1 (fr) 2003-11-06
KR100567364B1 (ko) 2006-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67364B1 (ko) 엘리베이터 장치
FI98296C (fi) Vetopyörähissi ja vetopyörähissin koneistotila
JP2000255933A (ja) エレベーター装置
KR20040052478A (ko) 기계실 없는 트랙션 시브 엘리베이터
WO2002102701A1 (en) Machine house-less elevator
WO2004020322A1 (ja) エレベータ装置
US7562745B2 (en) Elevator with an operation space in a center of a machine room
KR20040105837A (ko) 엘리베이터
JP2003146555A (ja) エレベータ
JP2001063935A (ja) エレベータ装置
KR100685505B1 (ko) 엘리베이터 장치
KR20040071325A (ko) 엘리베이터 장치
EP1057769B1 (en) Elevator
JP2000053343A (ja) エレベータ装置
EP1741660A1 (en) Elevator apparatus
EP1053969B1 (en) Elevator
WO2005121007A1 (ja) エレベータ装置
JP2001048445A (ja) エレベータ
EP1266859B1 (en) Elevator device
WO2012035599A1 (ja) エレベータ装置
KR101356111B1 (ko) 엘리베이터 장치
KR100804866B1 (ko) 엘리베이터 장치용 구동 유닛, 엘리베이터 장치,엘리베이터 장치의 설치 방법, 및 엘리베이터 장치의 보수점검 방법
CN116018314A (zh) 电梯系统
JP6440862B2 (ja) エレベータ装置
EP1710191B1 (en) Elevator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