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9717Y1 - 도로용 안전유도대 - Google Patents

도로용 안전유도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9717Y1
KR200389717Y1 KR20-2005-0010526U KR20050010526U KR200389717Y1 KR 200389717 Y1 KR200389717 Y1 KR 200389717Y1 KR 20050010526 U KR20050010526 U KR 20050010526U KR 200389717 Y1 KR200389717 Y1 KR 20038971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ad
base
synthetic resin
induction
safe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05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성석
Original Assignee
정성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성석 filed Critical 정성석
Priority to KR20-2005-00105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971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971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9717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5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로의 중앙선, 도로 분기점의 경계선 등에 설치하여 차량의 안전운행을 유도하는 도로용 안전유도대의 에 관한 것이다.
이 분야에 관련된 종래의 기술로는 합성수지제 유도봉 자체만으로 된 것(예; 실용신안등록 제346220호)과 합성수지제 외피에 발포수지 등을 충전시키고 베이스에 유도봉을 결합한 것(예; 실용신안등록 제287820호)이 있다.
베이스 결합형 안전유도대의 합성수지제 베이스는 자외선과 기후 변화, 차륜과의 물리적 접촉 등으로 인하여 변색, 변형, 파손되기 쉬워 제수명을 다하기 전에 기능을 잃고 마는 것이 단점이다.
합성수지제 유도봉도 예외가 아니다.
본 고안에 의한 도로용 안전유도대는, 유도봉과 베이스의 외피가 결합된 도로용 안전유도대에 있어서, 소정의 형태를 갖춘 콘크리트(8)의 겉에 봉공(6)과 앵커보울트공(4)이 형성된 스테인레스 강판제 외피(2)를 씌워 일체화하고, 상기 봉공(6)에는 내식성이 우수한 금속관제 유도봉(1)을 내리 끼우고 용접(7)하여 일체화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도로용 안전유도대{Safety guided stand for road}
본 고안은 도로의 중앙선, 도로 분기점의 경계선 등에 설치하여 차량의 안전운행을 유도하는 도로용 안전유도대의 에 관한 것이다.
이 분야에 관련된 종래의 기술로는 합성수지제 유도봉 자체만으로 된 것(예; 실용신안등록 제346220호)과 합성수지제 외피에 발포수지 등을 충전시키고 베이스에 유도봉을 결합한 것(예; 실용신안등록 제287820호)이 있다.
베이스 결합형 안전유도대의 합성수지제 베이스는 자외선과 기후 변화, 차륜과의 물리적 접촉 등으로 인하여 변색, 변형, 파손되기 쉬워 제수명을 다하기 전에 기능을 잃고 마는 것이 단점이다.
합성수지제 유도봉도 예외가 아니다.
특히, 유도봉은 운행차량에 대한 안전한 유도를 생명으로 하는 데, 강도가 낮아 약한 충돌에도 쉽게 파손되고, 그래서 설치한 후 오래가지 않아 기능이 마비되기 일쑤다. 이러한 점에서 베이스 결합형 안전유도대는 내구성을 높이는 방향으로의 새로운 모색이 필요하다.
본 고안의 목적은 유도봉과 베이스가 결합되면서도 내구성과 시인성이 향상되는 도로용 안전유도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과제는, 소정의 형태를 가진 콘크리트의 겉에 내식성을 가진 스테인레스 강판제 외피를 씌워 콘크리트제의 취약점을 보완하는 동시에 은색 반사성을 이용하여 야간 운행 차량 운전자에 대한 시인성을 높여 안전한 운행을 돕고, 유도봉은 강도가 우수한 금속관으로 대체하여 합성수지제 유도봉의 취약점을 보완한 새로운 구조의 도로용 안전유도대로 달성할 수 있다.
도 1에서, 본 고안에 의한 도로용 안전유도대의 두드러진 특징은 유도봉(1)과 베이스의 외피(2)가 다같이 합성수지에 비해 강도가 높아 내구성이 큰 금속제인 점이다.
유도봉(1)은 내식성이 우수한 주석관, 아연도 강관 등의 금속관제이며, 두께도 상당하여 외력에 대한 응력이 높은 것이면 더욱 바람직하다.
표면에는 멀리서도 운전자가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유색띠(3)를 도장하거나 유색테이프를 둘러 붙인다.
외피(2)는 번거롭게 도색을 하지 않더라도 장기간 본색이 드러나 시인성을 유지하고 내식성도 우수하여 수명이 장구한 스테인레스 강판제이다.
양단부에는 앵커보울트로 지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앵커보울트공(4)이 형성되어 있다.
도면 중 미설명부호 5는 반사도료 또는 반사테이프 등으로 된 반사부를 예시한 것이다.
도 2에서, 외피(2)의 중앙에는 유도봉(1)의 외경만한 크기의 봉공(6)을 천공하여 유도봉(1)을 아래쪽을 내려 끼워서 직립시킨 후 봉공(6)의 아래쪽에서 용접(7)하여 일체화함으로써 유도봉(1)과 외피(2)에 대한 유도봉(1)의 결합 안정성을 높인다.
외피(2) 내에는 콘크리트(8)를 충전하여 양생함으로써 외력에 대한 내부응력을 키운다.
외피(2)의 하단에는 내향턱(9)을 형성하여 콘크리트(8)의 가장자리를 지지하도록 함으로써 콘크리트(8)의 충전 안정성을 높인다.
외피(2)와 콘크리트(8)가 합쳐진 것이 곧 베이스이다
그리고 앵커보울트공(4)의 중간 높이에는 보울트공이 천공된 횡막(10)을 형성하여 도로상에 박은 앵커보울트(20)의 상단을 관통시키고 너트를 체결하여 고정하기 편하게 한다.
이 같은 구조의 도로용 안전유도대에 있어서, 충전재인 콘크리트(8)는 발포수지제 충전물에 비해 중량감이 월등하므로 도로에 설치된 후의 안정성이 기존의 발포수지 충전형 합성수지제 외피제 안전유도대에 비해 훨씬 크다.
금속관제 유도봉(1)도 종래의 합성수지관제 유도봉에 비해 강도가 우수하여 내구성이 증대된 데다가 용접(7)에 의해서 스테인레스 강판제 외피(2)에 일체화함으로써 두 요소간의 결합강도가 종전의 보울트 체결형 도로용 안전유도대에 비해 월등하다.
게다가, 스테인레스 강판제 외피(2)는 차륜과의 접촉으로 인한 찰과상을 입을 우려가 적은 데다, 취성(脆性)이 약점인 콘크리트(8)의 보호기능도 출중하다.
또, 고유의 빛 반사성도 우수하기에 특히 야간 운행차량의 운전자에 대한 시인성이 향상되는 효과도 있다.
콘크리트(8)에 의한 베이스 자체의 큰 중량감은 그 자체만으로도 도로면에 대하여 어느 정도의 접지안정성을 가지므로 예컨대, 임시로 개설된 도로, 제한된 시간 또는 기간 동안 임시통행로 안내 목적을 띄고 배치할 때 굳이 앵커보울트로 고정하지 않고도 충분한 차량 유도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것은 드러나지 않는 효과에 속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도로용 안전유도대는 스테인레스 강판제 외피에 콘크리트를 충전하여 중량감을 높이고 콘크리트에 대한 보호기능도 겸비한 베이스는 도로면에 대한 접지안정성 제고, 시인성 향상, 외상에 대한 내력 증대 등의 효과가 있고, 내식성 금속관제 유도봉은 기후 변화, 태양광, 차량 충돌 등의 외적 요인에 대한 내구성이 획기적으로 개선된다.
여기에, 용접에 의해서 외피와 유도봉이 일체화됨에 따라 두 요소간의 결합안정성도 높아져 안전유도대의 전체 내구성이 개선되는 효과도 가지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도로용 안전유도대의 사시도
도 2는 시공 후 도로용 안전유도대의 부분 절개 정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유도봉 2: 외피
4: 앵커보울트공 6: 봉공
7: 용접 8: 콘크리트
9: 내향턱 10: 횡막

Claims (1)

  1. 유도봉과 베이스의 외피가 결합된 도로용 안전유도대에 있어서,
    소정의 형태를 갖춘 콘크리트(8)의 겉에 봉공(6)과 앵커보울트공(4)이 형성된 스테인레스 강판제 외피(2)를 씌워 일체화하고, 상기 봉공(6)에는 내식성이 우수한 금속관제 유도봉(1)을 내리 끼우고 용접(7)하여 일체화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용 안전유도대.
KR20-2005-0010526U 2005-04-15 2005-04-15 도로용 안전유도대 KR20038971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0526U KR200389717Y1 (ko) 2005-04-15 2005-04-15 도로용 안전유도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0526U KR200389717Y1 (ko) 2005-04-15 2005-04-15 도로용 안전유도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9717Y1 true KR200389717Y1 (ko) 2005-07-14

Family

ID=436909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0526U KR200389717Y1 (ko) 2005-04-15 2005-04-15 도로용 안전유도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971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2004Y1 (ko) 2010-10-25 2012-08-20 조연숙 차선 규제블럭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2004Y1 (ko) 2010-10-25 2012-08-20 조연숙 차선 규제블럭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47678B1 (ko) 각도조절이 용이한 디자인형 울타리용 브라켓
KR101007728B1 (ko) 가드레일
KR200389717Y1 (ko) 도로용 안전유도대
KR102397106B1 (ko) 도로표지병
KR101570576B1 (ko) 건축 구조물
KR200376017Y1 (ko) 지주 고정용 베이스
KR102022286B1 (ko) 방호성능이 우수한 디자인형 울타리
KR200391860Y1 (ko) 가드레일용 차광판 고정브래킷
KR102222363B1 (ko) 펜스 기둥구조물
JP2006249723A (ja) 可撓性路面標識物
KR20080006192A (ko) 은폐된 보강구성을 갖는 가로등
JP4789201B2 (ja) 防護柵
KR200436308Y1 (ko) 차광 및 차선 유도 기능을 가진 교통 안전 난간
KR101050927B1 (ko) 도로분리대용 지주
RU219238U1 (ru) Дорожное сигнальное оград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KR100935626B1 (ko) 경사 조절기능을 갖는 도로용 가드레일
KR20110049273A (ko) 도로 가드레일
KR20100003794A (ko) 충격흡수용 볼라드
KR101729175B1 (ko) 강성 구조의 목재 지주를 갖는 목재 펜스 구조체 및 그의 설치 방법
JP3769696B2 (ja) 視線誘導道路標識柱
KR101787290B1 (ko) 다기능 차선규제봉
KR200479073Y1 (ko) 차량 신호등용 철주
JP2869334B2 (ja) 道路用防護柵
JP2572977Y2 (ja) 緩衝フェンス
KR200287820Y1 (ko) 안전 유도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