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2004Y1 - 차선 규제블럭 - Google Patents

차선 규제블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2004Y1
KR200462004Y1 KR2020100010904U KR20100010904U KR200462004Y1 KR 200462004 Y1 KR200462004 Y1 KR 200462004Y1 KR 2020100010904 U KR2020100010904 U KR 2020100010904U KR 20100010904 U KR20100010904 U KR 20100010904U KR 200462004 Y1 KR200462004 Y1 KR 20046200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lar
track
center
recessed
open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109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3020U (ko
Inventor
조동제
Original Assignee
조연숙
조동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연숙, 조동제 filed Critical 조연숙
Priority to KR20201000109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2004Y1/ko
Publication of KR2012000302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302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200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200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03Individual devices arranged in spaced relationship, e.g. buffer bollard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14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specially adapted for local protection, e.g. for bridge piers, for traffic islands
    • E01F15/141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specially adapted for local protection, e.g. for bridge piers, for traffic islands for column or post protec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16Signs formed of or incorporating reflecting elements or surfaces, e.g. warning signs having triangular or other geometrical sha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선을 구분시켜 차량의 진입을 막도록 하는 차선 규제블럭에 관한 기술로서, 하부면 중심부에 전후방향으로 관통되는 개구홈이 형성되며, 상면 중심부에 함몰홈이 형성되되, 상기 함몰홈은 직선부와 곡선부로 이루어지는 트랙부와 상기 트랙부 중앙에 원형으로 보다 깊게 함몰된 연장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장부 바닥으로부터 상기 개구홈까지 이어지는 연통홀이 형성되고, 다수의 앵커볼트에 의해 도로면에 고정 설치되는 몸체; 상기 함몰홈에 끼워져 직립되게 설치되되, 상협하광 형태이면서 상단으로부터 하단까지 이어지는 공기구멍이 형성되는 기둥; 하단부에 트랙형태로 돌출되는 플랜지가 형성되어 상기 트랙부에 상기 플랜지가 안착되어 고정 연결되며, 상기 기둥을 부분적으로 감싸게 됨으로써 상기 기둥을 보호하는 보호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선 규제블럭{RESTRICTION BLOCK FOR TRAFFIC LANE}
본 고안은 차선을 구분시켜 차량의 진입을 막도록 하는 차선 규제블럭에 관한 기술이다.
자동차는 생활에 편리함을 제공하지만 점차 늘어나는 차량으로 인해 많은 교통사고가 발생되는 실정이다.
교통사고의 원인은 다양하지만 운전자들이 중앙선을 넘어 불법 유턴하거나 무리하게 차선을 변경함에 따른 사고비율도 상당하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도로 중앙선이나 안전지대 혹은 교통정체가 심한 병목구간 등에는 차선을 명확히 구분하여 차량이 침범하지 못하도록 하는 차선 규제블럭이 설치된다.
대표적인 공지의 차선 규제장치로는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번호 제20-2009-0004715호의 "차선 규제장치"가 있다.
첨부되는 도 1은 종래기술에 대한 사시도이며, 도 2는 종래기술에 대한 단면도를 보여준다.
도시된 바와 같이 규제블록(10)의 상면 중심부에 규제봉(20)을 결합시키며, 규제봉 상단부에 광검출센서(40)를 두도록 하고, 규제봉 내부에 점등되는 LED를 두도록 하여 어두워지면 LED가 켜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규제봉은 규제블록에 끼워져 고정되기 때문에 차량이 규제블록을 넘게 되면 규제봉은 규제블록의 상단면에서 쉽게 부러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도로변에 설치되는 규제블록의 주위로 각종 먼지와 흙 등이 쌓이게 되어 미관상 좋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로 인해 청소부가 규제블럭 주위에 쌓인 흙을 청소해주어야만 한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1.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번호 제20-2009-0004715호(2009.05.19 공개)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몸체 상부로 길게 돌출되는 기둥이 쉽게 부러지지 않도록 하며, 동시에 몸체 저면 중심부에 바람이 통할 수 있는 개구홈을 두어서 몸체 주변으로 흙이나 먼지 등이 쌓이지 않도록 하는 차선 규제블럭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기둥 상단으로부터 개구홈까지 서로 연통되게 하여 빗물이 빠질 수 있도록 하며, 공기가 소통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개구홈을 통한 공기의 흐름이 보다 잘 발생될 수 있도록 하는 차선 규제블럭을 제공하고자 한다.
제시한 바와 같은 과제 달성을 위한 본 고안의 차선 규제블럭은, 하부면 중심부에 전후방향으로 관통되는 개구홈이 형성되며, 상면 중심부에 함몰홈이 형성되되, 상기 함몰홈은 직선부와 곡선부로 이루어지는 트랙부와 상기 트랙부 중앙에 원형으로 보다 깊게 함몰된 연장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장부 바닥으로부터 상기 개구홈까지 이어지는 연통홀이 형성되고, 다수의 앵커볼트에 의해 도로면에 고정 설치되는 몸체; 상기 함몰홈에 끼워져 직립되게 설치되되, 상협하광 형태이면서 상단으로부터 하단까지 이어지는 공기구멍이 형성되는 기둥; 하단부에 트랙형태로 돌출되는 플랜지가 형성되어 상기 트랙부에 상기 플랜지가 안착되어 고정 연결되며, 상기 기둥을 부분적으로 감싸게 됨으로써 상기 기둥을 보호하는 보호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고안에서 상기 기둥은, 우레탄 재질이며 기둥의 외면에는 다수의 반사시트가 결합되고, 상기 보호캡은 알루미늄 소재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한 차선 규제블럭은 몸체 상부로 돌출되는 기둥이 쉽게 부러지지 않기 때문에 교체나 유지보수에 따른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몸체 저면을 통해 바람이 잘 통할 수 있는 구조이므로 각종 퇴적물이 쌓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대한 사시도.
도 2는 종래기술에 대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차선 규제블럭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차선 규제블럭의 단면도.
도 5는 도 3에 대한 분해 사시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고안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첨부되는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차선 규제블럭의 사시도를 보여주며, 도 4는 차선 규제블럭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 도 5는 도 3에 대한 분해 사시도를 보여준다.
본 고안에 의한 차선 규제블럭은 크게 몸체(100), 기둥(200) 및 보호캡(300)을 포함하며, 주로 도로변이나 중앙선, 병목구간의 차선분리를 위해 도로면에 설치된다.
몸체(100)는 대략 길다란 사각 블럭 형태이며, 몸체(100)의 하부면 중심부에 전후방향으로 관통되는 개구홈(110)이 형성된다. 즉, 개구홈(110)은 몸체(100)를 지면에 고정하기 위해 몸체(100)의 좌우측에 하나씩 결합되는 앵커볼트(A) 사이 구간에 형성되도록 한다.
개구홈(110)은 몸체(100)의 하부면으로부터 대략 사각형태로 함몰되어 지면과의 사이에 빈 공간 영역이 형성되도록 한다. 개구홈(110)을 통해서 공기가 소통될 수 있기 때문에 몸체(100) 주변에 먼지 등이 퇴적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몸체(100)의 상면 중심부에 함몰홈(120)이 형성되도록 하며, 함몰홈(120)은 세분하여 트랙부(121)와 연장부(122)로 이루어진다.
트랙부(121)와 연결되면서 보다 깊게 형성되는 것이 연장부(122)이며, 트랙부(121)는 직선부(121a)와 곡선부(121b)가 연결되면서 트랙 형태와 같이 함몰되는 부위를 말한다. 트랙부(121)의 중앙에 원형으로 보다 깊게 함몰되는 연장부(122)가 형성된다.
함몰홈(120)의 전체 깊이는 몸체(100)의 전체 높이에 대해 대략 절반 정도가 되도록 함이 바람직하고, 함몰홈(120)을 구성하는 연장부(122)의 바닥에는 개구홈(110)까지 이어지는 연통홀(130)이 형성되도록 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연장부(122)의 바닥 중심에 개구홈(110)과 연결되는 하나의 연통홀(130)을 두도록 한다. 연통홀(130)은 빗물의 배출 및 공기의 소통을 위한 통로가 된다.
그리고 몸체(100)의 하부면에 마련되는 개구홈(110)의 좌우측으로 앵커볼트(A)의 설치를 위한 앵커볼트홀(140)이 하나씩 형성된다. 앵커볼트홀(140)은 몸체(100)의 상면에서 하부면까지 관통되는 것이며, 바람직하게 몸체(100)의 상면에서 앵커볼트홀(140)의 설치후 마개(150)로 밀폐시키도록 한다.
함몰홈(120)에 기둥(200)이 직립되게 설치되는데, 기둥(200)은 전체적으로 상협하광 형태의 길다란 봉과 같은 것이며, 기둥(200)의 상단으로부터 하단까지 이어지는 공기구멍(210)이 기둥(200)의 내부로 형성된다. 그리고 기둥(200)의 하단부는 함몰홈(120)의 연장부(122) 바닥에 접촉되도록 삽입된다.
바람직하게 기둥(200)은 우레탄 재질로 성형되는 것으로 하며, 기둥(200)의 외면에 반사시트(220)가 부착되도록 한다. 기둥(200)에 형성되는 공기구멍(210)은 몸체(100)에 형성되는 연통홀(130)과 연결됨으로써 개구홈(110)으로부터 기둥(200) 상단까지 전체적으로 유로가 형성된다.
기둥(200) 내부를 통해 기둥(200) 상단으로부터 몸체(100)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개구홈(110)까지 공기가 소통되도록 구성됨으로써 개구홈(110)을 통한 공기의 흐름을 보다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즉, 이것은 일종의 굴뚝효과(stack effect)와 같은 것으로 높게 형성되는 기둥(200) 내부를 통해 공기가 상승됨으로써 개구홈(110)을 통한 공기의 흐름은 잘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종래기술의 문제점 중 하나인 기둥(200)의 부러짐을 방지하기 위해 몸체(100)의 상면에서 기둥(200)을 부분적으로 감싸는 보호캡(300)을 두는 것으로 한다.
보호캡(300)은 몸체(100) 상면으로 돌출되는 기둥(200)의 하단 부위를 감싸게 되며, 보호캡(300)의 하단부에 트랙형태로 돌출되는 플랜지(310)가 형성되고 함몰홈(120)의 트랙부(121)에 플랜지(310)가 안착된 후 볼트(320)로 고정 연결된다.
즉, 보호캡(300)의 플랜지(310)는 트랙부(121)의 형상과 같이 곡선부와 직선부로 이루어져 트랙형태를 이루며 트랙부(121)에 끼워진다. 보호캡(300)에 트랙 형태로 돌출되는 플랜지(310)를 마련하여 트랙부(121)에 고정시키게 되면 보호캡(300)은 회전이 저지되기 때문에 결합된 볼트(320)가 헐거워지거나 하지 않아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보호캡(300)은 알루미늄 소재로 제작되는 것으로 함이 바람직하다. 알루미늄은 가벼우면서도 튼튼할 뿐 아니라 산화피막이 형성된 알루미늄은 녹이 발생되지 않기 때문에 보호캡의 소재로 적당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차선 규제블럭은 몸체의 하부에 형성되는 개구홈을 통해 바람이 잘 통하기 때문에 몸체 주변에 흙이나 각종 먼지가 퇴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기둥의 결합 구조를 보다 튼튼하게 구성함으로써 내구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
전술한 본 고안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일 뿐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고안은 도로의 중앙선이나 안전지대 혹은 차선구분용을 위한 차선 규제블럭으로 사용될 수 있다.
100 : 몸체 110 : 개구홈
120 : 함몰홈 121 : 트랙부
121a: 직선부 121b: 곡선부
122 : 연장부 130 : 연통홀
140 : 앵커볼트홀 150 : 마개
200 : 기둥 210 : 공기구멍
220 : 반사시트 300 : 보호캡
310 : 플랜지 320 : 볼트

Claims (2)

  1. 도로면에 설치되는 차선 규제블럭에 있어서,
    하부면 중심부에 전후방향으로 관통되는 개구홈이 형성되며, 상면 중심부에 함몰홈이 형성되되, 상기 함몰홈은 직선부와 곡선부로 이루어지는 트랙부와 상기 트랙부 중앙에 원형으로 보다 깊게 함몰된 연장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장부 바닥으로부터 상기 개구홈까지 이어지는 연통홀이 형성되고, 다수의 앵커볼트에 의해 도로면에 고정 설치되는 몸체;
    상기 함몰홈에 끼워져 직립되게 설치되되, 상협하광 형태이면서 상단으로부터 하단까지 이어지는 공기구멍이 형성되는 기둥;
    하단부에 트랙형태로 돌출되는 플랜지가 형성되어 상기 트랙부에 상기 플랜지가 안착되어 고정 연결되며, 상기 기둥을 부분적으로 감싸게 됨으로써 상기 기둥을 보호하는 보호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선 규제블럭.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은,
    우레탄 재질이며 기둥의 외면에는 다수의 반사시트가 결합되고,
    상기 보호캡은 알루미늄 소재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선 규제블럭.
KR2020100010904U 2010-10-25 2010-10-25 차선 규제블럭 KR20046200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0904U KR200462004Y1 (ko) 2010-10-25 2010-10-25 차선 규제블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0904U KR200462004Y1 (ko) 2010-10-25 2010-10-25 차선 규제블럭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3020U KR20120003020U (ko) 2012-05-03
KR200462004Y1 true KR200462004Y1 (ko) 2012-08-20

Family

ID=466069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10904U KR200462004Y1 (ko) 2010-10-25 2010-10-25 차선 규제블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2004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2812B1 (ko) * 2020-10-07 2021-03-05 (주)이도산업 탄성 기둥의 하부 고정구조
KR102597817B1 (ko) * 2022-01-28 2023-11-03 해늘사회적협동조합 발광형 차단봉이 구비된 차선 규제 블록 조립체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3947Y1 (ko) 2000-11-20 2001-05-15 이기식 안전유도대
KR200267301Y1 (ko) 1998-07-08 2002-06-26 백승수 차선분리대
KR200389717Y1 (ko) 2005-04-15 2005-07-14 정성석 도로용 안전유도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7301Y1 (ko) 1998-07-08 2002-06-26 백승수 차선분리대
KR200223947Y1 (ko) 2000-11-20 2001-05-15 이기식 안전유도대
KR200389717Y1 (ko) 2005-04-15 2005-07-14 정성석 도로용 안전유도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3020U (ko) 2012-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82082B2 (en) Impact absorbing barrier assembly
US20070258764A1 (en) One-way speed bump
KR100880873B1 (ko) 소음 흡수장치와 이를 이용한 도로 분리대
US5080397A (en) Vehicle tire water spray control system
CN104908822A (zh) 一种汽车用防飞溅挡泥板
KR200462004Y1 (ko) 차선 규제블럭
KR101814783B1 (ko) 충격 흡수형 도로경계석
KR102222363B1 (ko) 펜스 기둥구조물
CN202116999U (zh) 间隔接地式带旋转体的交通护栏
KR200474730Y1 (ko) 도로 표지병
EP2098442B1 (en) Straddle type vehicle
KR100941502B1 (ko) 차선규제봉
KR100961607B1 (ko) 조립식 차선규제봉
KR200436308Y1 (ko) 차광 및 차선 유도 기능을 가진 교통 안전 난간
EP3543404B1 (en) Road stud
KR20130132194A (ko) 제설차량에 의한 파손방지형 도로표지병
KR101268873B1 (ko) 연료 절감형 통기성 흙받이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KR101256872B1 (ko) 도로용 중앙분리대
KR100750936B1 (ko) 스프레이 기능이 있는 도로표지병
KR200294980Y1 (ko) 차량 방호 울타리
CN208415149U (zh) 一种高速公路穿戴式减震装置
KR102625165B1 (ko) 태양광 패널이 구비된 경광등장치
KR101299989B1 (ko) 볼라드
KR200430923Y1 (ko) 스프레이 기능이 있는 도로표지병
CN210338066U (zh) 一种中大型货车用防飞溅挡泥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