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4730Y1 - 도로 표지병 - Google Patents

도로 표지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4730Y1
KR200474730Y1 KR2020140000009U KR20140000009U KR200474730Y1 KR 200474730 Y1 KR200474730 Y1 KR 200474730Y1 KR 2020140000009 U KR2020140000009 U KR 2020140000009U KR 20140000009 U KR20140000009 U KR 20140000009U KR 200474730 Y1 KR200474730 Y1 KR 20047473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rusion
main body
opening
main
protrus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00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길호
Original Assignee
김길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길호 filed Critical 김길호
Priority to KR20201400000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473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473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473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53Low discrete bodies, e.g. marking blocks, studs or flexible vehicle-striking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76Traffic lin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12Reflex reflectors
    • G02B5/126Reflex reflectors including curved refracting surface
    • G02B5/128Reflex reflectors including curved refracting surface transparent spheres being embedded in matrix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주반사체의 양측에 이물질이 쉽게 배출되도록 통로를 형성하여 주반사체 주변에 이물질이 쌓이는 것을 방지하고, 앵커를 절곡되게 형성하여 몸체의 고정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도로 표지병은 본체(110); 상기 본체(110)의 상면에 돌출 형성되는 제1돌출부(120); 상기 본체(110)의 상면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1돌출부(120)의 일측 대각선 방향에 배치되는 제2돌출부(130); 상기 본체(110)의 상면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1돌출부(120)의 타측 대각선 방향에 배치되어, 상기 제1돌출부(120)의 중심선에 대해 상기 제2돌출부(130)와 대칭되게 배치되는 제3돌출부(140); 상기 제1돌출부(120)에 설치되는 주반사체(150); 및 상기 본체(110)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110)를 지면에 고정시키는 앵커(190);를 포함하되, 상기 제2돌출부(130)와 상기 제3돌출부(140) 사이에는 상기 주반사체(150)의 출사광 경로를 제공하는 개구부(160)가 형성되고, 상기 제1돌출부(120)와 상기 제2돌출부(130) 사이에는 상기 개구부(160)와 연통되며 상기 본체(110)의 외주연 방향으로 개방되는 제1통로(170)가 형성되며, 상기 제1돌출부(120)와 상기 제3돌출부(140) 사이에는 상기 개구부(160)와 연통되며 상기 본체(110) 외주연 방향으로 개방되는 제2통로(180)가 형성된다.

Description

도로 표지병 {A road maker}
본 고안은 도로 표지병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도로의 중앙선 등을 식별하기 위하여 도로 상에 설치되며, 반사체 또는 발광체 등을 구비한 도로 표지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 표지병은 도로의 중앙선이나 구획된 도로의 구획차선에 설치되어 주간에는 물론, 야간에도 도로 표지병의 반사체 또는 발광체가 불빛을 발산하여 운전자가 도로의 구획선을 뚜렷이 식별하도록 함으로써 안전운행을 유도하는 역할과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또한, 도로 표지병은 다양한 형태와 재질로 제작되어 포장된 도로의 구획된 선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결합된다.
도 1은 이러한 종래의 도로 표지병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도로 표지병은 몸체(1)와, 상기 몸체(1)의 저면에 돌출되어 도로의 바닥면에 박혀 몸체(1)를 고정시키는 지지돌기(2)와, 야간이나 어두울 때 상기 몸체(1)의 식별이 용이하도록 상기 본체에 장착되는 발광체(3)로 구성된다.
그러나 종래의 도로 표지병은 설치 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상기 본체(1)의 주변에 이물질 등이 쌓여 상기 발광체(3)를 가리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직사각형인 상기 몸체(1)는 제설작업 시 제설차의 삽날에 파손되기 쉬우며, 상기 지지돌기(2)가 수직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어서 고정력이 약하고, 차량 바퀴 등의 외부 충격에 의해 쉽게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다.
0001) 대한민국 동록실용신안공보 제20-0156365호. 0002)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3-0066499호.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주반사체의 하부를 지면보다 아래에 배치하여 제설작업 시 제설차의 삽날이 주반사체에 걸림없이 넘어가게 함으로써 파손을 방지하고, 주반사체의 양측에 이물질이 쉽게 배출되도록 통로를 형성하여 주반사체 주변에 이물질이 쌓이는 것을 방지하며, 앵커를 절곡되게 형성하여 몸체의 고정력을 향상시키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도로 표지병은 본체(110); 상기 본체(110)의 상면에 돌출 형성되는 제1돌출부(120); 상기 본체(110)의 상면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1돌출부(120)의 일측 대각선 방향에 배치되는 제2돌출부(130); 상기 본체(110)의 상면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1돌출부(120)의 타측 대각선 방향에 배치되어, 상기 제1돌출부(120)의 중심선에 대해 상기 제2돌출부(130)와 대칭되게 배치되는 제3돌출부(140); 상기 제1돌출부(120)의 일면에 설치되는 주반사체(150); 및 상기 본체(110)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110)를 지면에 고정시키는 앵커(190);를 포함하되, 상기 제2돌출부(130)와 상기 제3돌출부(140) 사이에는 상기 주반사체(150)의 출사광 경로를 제공하는 개구부(160)가 형성되고, 상기 제1돌출부(120)와 상기 제2돌출부(130) 사이에는 상기 개구부(160)와 연통되며 상기 본체(110)의 외주연 방향으로 개방되는 제1통로(170)가 형성되며, 상기 제1돌출부(120)와 상기 제3돌출부(140) 사이에는 상기 개구부(160)와 연통되며 상기 본체(110) 외주연 방향으로 개방되는 제2통로(180)가 형성된다.
상기 본체(110)의 상면 중 상기 개구부(160)에 대응되는 부분은 상기 제1돌출부(120) 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져, 상기 본체(110)가 도로 상에 설치된 경우 상기 본체(110)의 외주연은 지면과 동일선상에 배치되고, 상기 주반사체(150)의 하부는 지면보다 하부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돌출부(120) 중 상기 개구부(160)에 대향하는 일면은 상기 개구부(160)의 반대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일면에는 상기 주반사체(150)가 장착되는 설치홈(121)이 형성되며, 상기 제1돌출부(120), 상기 제2돌출부(130) 및 상기 제3돌출부(140)의 각 상면은 상기 본체(110)의 외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각 상면에는 미끄럼방지부(P)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돌출부(130)와 상기 제3돌출부(140) 사이의 수평 거리가 상기 제1돌출부(120)에서 멀어질수록 증가되도록 서로 대응되는 면이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서로 대응되는 면에는 보조반사체(155)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앵커(190)는 상기 본체(110)의 하면 외주연에서 연장되는 제1앵커부(191) 및 상기 제1앵커부(191)의 하단에서 절곡 형성되는 제2앵커부(192)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도로 표지병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체 중 개구부에 대응되는 상면이 제1돌출부 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져 주반사체의 하부가 지면보다 아래에 배치됨으로써 지면 상부로 돌출되는 부분이 종래보다 적어 제설작업 시 제설차의 삽납에 의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발생시킨다.
상기 제1돌출부의 양측에 상기 개구부와 연결되는 상기 제1통로 및 상기 제2통로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개구부에 유입된 이물질들을 상기 제1통로 및 상기 제2통로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켜 상기 개구부에 퇴적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발생시킨다.
상기 제1앵커부의 측면에 상기 본체 반대 방향으로 경사진 다수개의 상기 걸림부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본체를 지면에 설치했을 때 지면 안쪽에 상기 걸림부가 고정되어 상기 제1앵커부가 지면 위로 빠지지 않도록 고정력을 강화시키는 효과를 발생시킨다.
상기 개구부 방향에 배치되며 상기 개구부의 반대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상기 제1돌출부의 일면에 상기 주반사체를 설치함으로써, 운전자가 상기 개구부를 통해서 상기 주반사체를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발생시킨다.
상기 제1돌출부, 상기 제2돌출부 및 상기 제3돌출부의 각 상면이 상기 본체의 외주연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각 상면에 미끄럼방지부가 형성됨으로써, 차량 바퀴가 접촉할 때 충격을 완화시키고, 바퀴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발생시킨다.
상기 제1돌출부 반대 방향으로 점점 넓어지게 형성된 상기 개구부를 이루는 상기 제2돌출부의 일면과 상기 제3돌출부의 일면에 보조반사체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주반사체가 이물질에 의해 오염되어 기능을 발휘하지 못할 경우에 상기 보조반사체를 통해 운전자가 도로 표지병을 식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도로 표지병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도로 표지병의 일방향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도로 표지병의 타방향 사시도,
도 4는 도 2의 A-A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도로 표지병의 평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로 표지병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도로 표지병의 일방향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도로 표지병의 타방향 사시도, 도 4는 도 2의 A-A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도로 표지병의 평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로 표지병의 평면도이다.
이하에서, 전방은 도면에서 우측 방향을 가리키고, 후방은 좌측 방향을 가리키는 것으로 정의한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도로 표지병은 본체(110), 제1돌출부(120), 제2돌출부(130), 제3돌출부(140), 주반사체(150), 개구부(160), 제1통로(170), 제2통로(180) 및 앵커(190)로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110)는 납작한 원통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주물 방식으로 제작되고, 도로의 중앙선 등의 차선이나 과속 방지턱에 설치된다.
상기 본체(110)의 상면에는 상기 제1돌출부(120), 제2돌출부(130), 제3돌출부(140)가 형성되며, 상면 중 제1,2,3 돌출부(110,120,130)를 제외한 판상 부분은 수평으로 형성되거나,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즉 제1돌출부(120) 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도로 표지병이 도로에 설치된 경우, 상면이 지면과 대략 일치하거나, 상면의 외주연은 지면과 대략 일치하고 제1돌출부(120) 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져 제1돌출부(120) 전방은 지면보다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돌출부(120)는 상기 본체(110)의 상면에 상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보다 높게 돌출되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면에서 볼 때 대략 사각형 형상을 이루며, 상기 본체(110)의 외주연에 접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돌출부(120)의 일면은 상기 개구부(160) 반대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일면에는 상기 주반사체(150)가 장착되는 설치홈(121)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돌출부(120)의 일면은 상기 본체(110)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높아지게 기울어진 경사면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개구부(160)를 향해 배치된다.
또한, 상기 설치홈(121)은 가로 방향으로 긴 직사각형 형상을 이루며, 상기 제1돌출부(120)의 일면에 함몰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기 주반사체(150)가 상기 제1돌출부(120)의 일면과 같이 기울어지도록 삽입 설치된다.
상기 제1돌출부(120)의 일면과 이웃하는 상면은 일면과 반대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즉, 상기 제1돌출부(120)의 상면은 상기 본체(110)의 외주연 방향으로 갈수록 점점 낮아지게 기울어진 경사면을 이루며, 이러한 제1돌출부(120)의 상면에는 미끄럼방지부(P)가 형성된다.
상기 미끄럼방지부(P)는 다수개의 돌기가 일정간격 이격 배치되어 격자 무늬 형상으로 형성된 표면 또는 일정한 간격으로 길게 홈(미도시)이 형성되어 치형 형상의 표면일 수 있다. 여기서, 미끄럼방지부(P)가 치형 형상의 표면으로 형성되면 제설차량의 삽날이 걸리지 않게 되고, 빗물도 잘 흘러내릴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상기 미끄럼방지부(P)는 후술할 상기 제2돌출부(130) 및 상기 제2돌출부(130)의 상면에도 각각 형성된다.
상기 제2돌출부(130)는 상기 본체(110)의 상면에 상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1돌출부(120)의 일측 대각선 방향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돌출부(130)는 대략 삼각형 형상이며, 상기 제1돌출부(120)의 좌측 대각선 방향에 이격 배치되고, 상기 본체(110)의 외주연과 접한다.
또한, 상기 제2돌출부(130)의 상면은 상기 제1돌출부(120)와 마찬가지로 상기 본체(110)의 외주연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치형 형상 또는 격자 형상의 상기 미끄럼방지부(P)가 형성된다.
상기 제3돌출부(140)는 상기 제1돌출부(120)의 타측 대각선 방향에 배치되며, 상기 본체(110)의 상면에 상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3돌출부(140)는 상기 제1돌출부(120)를 중심으로 상기 제2돌출부(130)와 대칭되는 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돌출부(120)의 우측 대각선 방향에 이격 배치되고, 상기 본체(110)의 외주연과 접한다.
상기 제3돌출부(140)의 상면은 상기 본체(110)의 외주연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이러한 상면에는 치형 형상 또는 격자 형상의 상기 미끄럼방지부(P)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1돌출부(120), 상기 제2돌출부(130) 및 상기 제3돌출부(140)의 각 상면이 상기 본체(110)의 외주연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각 상면에 미끄럼방지부(P)가 형성됨으로써, 차량 바퀴가 접촉할 때 충격을 완화시키고, 바퀴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발생시킨다.
한편, 상기 주반사체(150)는 가로 방향으로 긴 직사각형으로 형성되며, 정면에는 반사율이 높은 다면체로 이루어진 돌기가 다수개 구비된다. 또한, 상기 주반사체(150)는 어두울 때 식별이 가능하도록 밝은 색상을 갖는다.
이러한 상기 주반사체(15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돌출부(120)의 일면에 형성된 상기 설치홈(121)에 삽입 고정되며, 가로 방향 양단이 볼트나 리벳 등으로 상기 본체(110)에 결합된다.
또한, 상기 주반사체(150)는 상기 제1돌출부(120)의 일면과 같이 상기 개구부(160)의 반대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된다.
이와 같이 상기 개구부(160) 방향에 배치되며 상기 개구부(160)의 반대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상기 제1돌출부(120)의 일면에 상기 주반사체(150)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개구부(160)를 통해서 운전자가 상기 주반사체(150)를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발생시킨다.
또한, 상기 본체(110)의 상면 중 개구부(160)에 대응되는 상면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경우, 주반사체(150)의 하부는 지면보다 아래에 배치되고, 지면 상부로는 종래보다 덜 돌출되어 제설작업 시 제설차의 삽날에 의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제설차의 삽날이 주반사체(150)를 부드럽게 타고 넘어갈 수 있어 주반사체(15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개구부(160)는 상기 제1돌출부(120), 상기 제2돌출부(130) 및 상기 제3돌출부(140) 사이에 형성된다.
상기 개구부(160)는 상기 제1돌출부(120), 상기 제2돌출부(130) 및 상기 제3돌출부(140)에 둘러싸인 공간이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사각형 형상을 이루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돌출부(120)의 일면에 배치된 상기 주반사체(150)의 정면 방향으로 개방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개구부(160)를 통해 상기 제1돌출부(120)의 일면에 장착되는 상기 주반사체(150)가 외부로 노출된다.
경우에 따라 상기 개구부(160)는 상기 제1돌출부(120) 반대 방향으로 너비가 점점 넓어지게 형성되며, 상기 제2돌출부(130)와 상기 제3돌출부(140)에 보조반사체(155)가 구비될 수 있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돌출부(130)와 상기 제3돌출부(140)의 너비가 상기 제1돌출부(120) 반대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본체(110)의 외주연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여기에서 상기 제2돌출부(130)의 상기 개구부(160) 방향 일면과 상기 제3돌출부(140)의 상기 개구부(160) 방향 일면에는 보조반사체(155)가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1돌출부(120) 반대 방향으로 점점 넓어지게 형성된 상기 개구부(160)를 이루는 상기 제2돌출부(130)의 일면과 상기 제3돌출부(140)의 일면에 보조반사체(155)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주반사체(150)가 이물질에 의해 오염되어 기능을 발휘하지 못할 경우에 상기 보조반사체(155)를 통해 운전자가 도로 표지병을 식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개구부(160)를 이루는 상기 본체(110)의 상면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과 수평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 상기 제1돌출부(120)의 반대 방향으로 갈수록 높이가 점점 낮아지는 경사면으로 이루어져 이물질이 쉽게 빠져나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1통로(170)는 상기 제1돌출부(120)와 상기 제2돌출부(130) 사이에 형성되며, 일단이 상기 개구부(160)와 연통되고, 타단이 상기 본체(110)의 외주연 방향으로 개방된다.
즉, 상기 제1통로(170)는 상기 제1돌출부(120)와 상기 제2돌출부(130) 사이의 이격된 공간이다.
상기 제1통로(170)를 이루는 상기 본체(110)의 상면, 즉 상기 제1통로(170)의 바닥면은 상기 개구부(160)의 바닥면과 동일면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상기 본체(110)의 외주연 방향으로 갈수록 점점 낮아지는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2통로(180)는 상기 제1돌출부(120)와 상기 제3돌출부(140) 사이에 배치되며, 일단이 상기 개구부(160)와 연통되고, 타단이 상기 본체(110)의 외주연 방향으로 개방된다.
즉, 상기 제2통로(180)는 상기 제1돌출부(120)를 중심으로 상기 제1통로(170)와 대칭되게 형성된다.
상기 제2통로(180)의 바닥면은 상기 제1통로(170)의 바닥면과 마찬가지로 상기 개구부(160)의 바닥면과 동일면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상기 본체(110)의 외주연 방향으로 갈수록 점점 그 높이가 낮아지는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상기 제1통로(170) 및 상기 제2통로(180)는 모래나 흙이 상기 개구부(160)에 유입되었을 때 다시 외부로 쉽게 빠져나가도록 하는 통로이다.
이와 같이 상기 제1돌출부(120)의 양측에 상기 개구부(160)와 연결되는 상기 제1통로(170) 및 상기 제2통로(180)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개구부(160)에 유입된 이물질들을 상기 제1통로(170) 및 상기 제2통로(180)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켜 상기 개구부(160)에 이물질이 퇴적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발생시킨다.
한편, 상기 앵커(190)는 상기 본체(110)의 하부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본체(110)를 지면에 설치할 때 지면 아래에 삽입되어 상기 본체(110)를 고정시킨다.
상기 앵커(190)는 본체(110)의 외주연을 따라 하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앵커(190)는 본체(110)에서 연장된 제1앵커부(191) 및 선택적으로 제1앵커부(191)의 하단에서 제1앵커부(191)에 직교하게 연장된 제2앵커부(19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의 경우, 지면에 설치 시 제2앵커부(192)가 걸림부 기능을 하여 본 고안의 도로 표지병이 지면에서 쉽게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본체(110)의 측벽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개의 홈(미도시)이 형성되고, 상기 홈에는 외부로 돌출되게 걸림바(미도시)가 결합되어 본 고안의 도로 표지병의 설치 시 도로 표지병이 침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상기 걸림바는 상기 홈에 삽입된 형태이거나, 액상의 에폭시 등을 홈에 충진한 후 경화시켜 일체화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인 도로 표지병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10 : 본체, 120 : 제1돌출부,
121 : 설치홈, 130 : 제2돌출부,
140 : 제3돌출부, 150 : 주반사체,
155 : 보조반사체, 160 : 개구부,
170 : 제1통로, 180 : 제2통로,
190 : 앵커, 191 : 제1앵커부,
192 : 제2앵커부, P : 미끄럼방지부,

Claims (2)

  1. 하면 측이 개방되는 원통형의 본체(110);
    상기 본체(110)의 상면에 돌출 형성되는 제1돌출부(120);
    상기 본체(110)의 상면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1돌출부(120)의 일측 대각선 방향에 배치되는 제2돌출부(130);
    상기 본체(110)의 상면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1돌출부(120)의 타측 대각선 방향에 배치되어, 상기 제1돌출부(120)의 중심선에 대해 상기 제2돌출부(130)와 대칭되게 배치되는 제3돌출부(140);
    상기 본체(110)의 측벽에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홈 내에 일정한 간격으로 돌출된 걸림바;
    상기 제1돌출부(120)의 일면에 설치되는 주반사체(150);를 포함하고,
    상기 제2돌출부(130)와 상기 제3돌출부(140) 사이에는 상기 주반사체(150)의 출사광 경로를 제공하는 개구부(160)가 형성되고,
    상기 제1돌출부(120)와 상기 제2돌출부(130) 사이에는 상기 개구부(160)와 연통되며 상기 본체(110)의 외주연 방향으로 개방되는 제1통로(170)가 형성되며,
    상기 제1돌출부(120)와 상기 제3돌출부(140) 사이에는 상기 개구부(160)와 연통되며 상기 본체(110) 외주연 방향으로 개방되는 제2통로(180)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110)의 상면 중 상기 개구부(160)에 대응되는 부분은 상기 제1돌출부(120) 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져, 상기 본체(110)가 도로 상에 설치된 경우 상기 본체(110)의 외주연은 지면과 동일선상에 배치되고, 상기 주반사체(150)의 하부는 지면보다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1돌출부(120) 중 상기 개구부(160)에 대향하는 일면은 상기 개구부(160)의 반대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일면에는 상기 주반사체(150)가 장착되는 설치홈(121)이 형성되며,
    상기 제1돌출부(120), 상기 제2돌출부(130) 및 상기 제3돌출부(140)의 각 상면은 상기 본체(110)의 외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각 상면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길게 홈이 형성되어 치형 형상을 형성하는 미끄럼방지부(P)가 구비되고,
    상기 제2돌출부(130)와 상기 제3돌출부(140) 사이의 수평 거리가 상기 제1돌출부(120)에서 멀어질수록 증가되도록 서로 대응되는 면이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서로 대응되는 면에는 보조반사체(155)가 구비되며,
    상기 주반사체(150)에는 빛반사 기능을 가진 다면체로 이루어진 복수개의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표지병.
  2. 삭제
KR2020140000009U 2014-01-02 2014-01-02 도로 표지병 KR20047473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0009U KR200474730Y1 (ko) 2014-01-02 2014-01-02 도로 표지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0009U KR200474730Y1 (ko) 2014-01-02 2014-01-02 도로 표지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4730Y1 true KR200474730Y1 (ko) 2014-10-13

Family

ID=519998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0009U KR200474730Y1 (ko) 2014-01-02 2014-01-02 도로 표지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4730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8416Y1 (ko) 2018-04-19 2019-01-28 대구시설공단 차선표지병
KR20190002700U (ko) 2018-12-20 2019-10-29 홍기철 차선표지병
KR102652231B1 (ko) * 2023-12-19 2024-04-01 제일종합안전(주) 매립형 도로 표지병의 고정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9672B1 (ko) * 2008-01-29 2010-03-29 박병수 미끄럼방지 기능이 구비된 도로표지병
KR101082341B1 (ko) * 2009-02-12 2011-11-10 남정위 도로 차선 표지병
KR101184301B1 (ko) * 2010-02-05 2012-09-21 김길호 태양전지를 이용한 도로표지병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9672B1 (ko) * 2008-01-29 2010-03-29 박병수 미끄럼방지 기능이 구비된 도로표지병
KR101082341B1 (ko) * 2009-02-12 2011-11-10 남정위 도로 차선 표지병
KR101184301B1 (ko) * 2010-02-05 2012-09-21 김길호 태양전지를 이용한 도로표지병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8416Y1 (ko) 2018-04-19 2019-01-28 대구시설공단 차선표지병
KR20190002700U (ko) 2018-12-20 2019-10-29 홍기철 차선표지병
KR200492008Y1 (ko) * 2018-12-20 2020-07-17 이정배 차선표지병
KR102652231B1 (ko) * 2023-12-19 2024-04-01 제일종합안전(주) 매립형 도로 표지병의 고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640821T3 (es) Neumático con tracción mejorada
KR200474730Y1 (ko) 도로 표지병
KR200492413Y1 (ko) 도로 표지병
US8070381B2 (en) Road stud
US2146359A (en) Block for road surface marking
US4402628A (en) Pavement marker
KR101191138B1 (ko) 미끄럼 방지용 맨홀 뚜껑
KR101317841B1 (ko) 도로표지병
EP3543404B1 (en) Road stud
KR200457962Y1 (ko) 콘크리트 제품의 차선이탈방지구조
KR20080087964A (ko) 도로 경계석
KR200462004Y1 (ko) 차선 규제블럭
JP2008248481A (ja) 地下構造物用鉄蓋
CN203096903U (zh) 一体式线性排水沟
JP2012127142A (ja) 道路鋲
JP6277112B2 (ja) 安全コーン
CN204475218U (zh) 新型防滑碗式路标
KR102106516B1 (ko) 맨홀 안전 보호 판
KR20090003738U (ko) 도로 경계블럭
KR20110051856A (ko) 차량 과속방지턱
KR20130007234U (ko) 도로 표지병
KR100945261B1 (ko) 분리형 볼라드
KR101161671B1 (ko) 충돌보호장치가 구비된 도로 표지병
CN108842650B (zh) 道路活动标线
KR101340960B1 (ko) 매립형 도로 표지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