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0927B1 - 도로분리대용 지주 - Google Patents

도로분리대용 지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0927B1
KR101050927B1 KR1020080113742A KR20080113742A KR101050927B1 KR 101050927 B1 KR101050927 B1 KR 101050927B1 KR 1020080113742 A KR1020080113742 A KR 1020080113742A KR 20080113742 A KR20080113742 A KR 20080113742A KR 101050927 B1 KR101050927 B1 KR 1010509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road
core
strut
piece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37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54913A (ko
Inventor
박영주
Original Assignee
박영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영주 filed Critical 박영주
Priority to KR10200801137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0927B1/ko
Publication of KR201000549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49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09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0927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4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longitudinal beams or rigid strips supported above ground at spaced points
    • E01F15/0453Rails of materials other than metal or concrete, e.g. wood, plastics; Rails of different materials, e.g. rubber-faced metal profiles, concrete-filled steel tub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4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longitudinal beams or rigid strips supported above ground at spaced points
    • E01F15/0407Metal r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그 재질을 친환경적인 목재로 하면서도 그 강도를 증대시키어 미관을 친자연적인 미감을 가지도록 하면서도 차량의 충돌시에 차량이 인도로의 진입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노면에 설치되는 수직지주(2)들에 수평적으로 연결되는 수평지주(3)를 가지며 차도 및/또는 인도를 분리하도록 된 도로분리대(4)의 수직지주(2)와 수평지주(3)를 구성하는 도로분리대용 지주에 있어서; 상기한 지주(1)는 일정한 크기의 직경을 가지는 금속재질의 심관(5)과; 상기 심관(5)의 외주면을 감싸면서 내입하는 내입부(6)가 형성된 나무재질의 외관(7)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외관(7)은 길이방향으로 분할되어 서로 상응하여 결합하는 한 쌍의 분할편(9)으로 이루어져 있는 도로분리대용 지주를 제공한다.
휀스, 분리대, 차단봉, 지주, 안전대.

Description

도로분리대용 지주{A STAFF OF A PREVENT PALTE}
본 발명은 차도와 차도 및/또는 차도와 인도 사이의 경계에 설치되어 차량의 주행을 통제함으로서 인도로의 질주 및/또는 보행자의 차도로의 진입을 방지하도록 하는 도로분리대에 적용되는 지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그 재질을 친환경적인 목재로 하면서도 그 강도를 증대시키어 미관을 친자연적인 미감을 가지도록 하면서도 차량의 충돌시에 차량이 인도로의 진입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된 도로분리대용 지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분리대는 차도와 차도 및/또는 차도와 인도의 경계지점에 설치되는 일 종의 안전시설물으로써, 차도를 주행하는 차량이 인도로 질주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차량의 역주행을 방지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것에 사용되는 것으로, 지면에 일정한 간격을 가지면서 수직상으로 설치되는 수직지주와, 상기 수직지주들을 각각 수평적으로 연결되도록 용접설치되는 다수의 수평지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종래의 도로분리대는 차량의 인도로의 질주시에 차량이 수평지주 및 수직지주에 의하여 주행을 저지하거나 보행자의 차도로의 진입을 방지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하여 인도를 보행하는 보행자를 보호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도로분리대는 대부분이 금속재질의 수직지주에 수평상으로 금속봉으로 이루어진 수평지주가 용접으로 결합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의 미관을 친환경적으로 꾸미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금속의 차가운 미감만을 주기 때문에 도시를 친환경적으로 꾸밀 수 없고, 따뜻한 미감을 주는 자연환경이 가지는 심미감을 얻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근자에는 상기 수직지주 및 수평지주의 재질을 자연친화적인 재질인 나무재질로 하여 제조하여 도시의 미관을 친자연적인 환경으로 꾸밀 수 있도록 된 도로분리대가 널리 이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기존의 나무재질로 이루어지는 지주들을 채용한 도로분리대의 경우에는 도시의미감을 친환경적으로 꾸밀 수는 있었으나, 차량과의 충돌시에는 그 충격강도를 극복하지 못하고 판괴되면서 차량이 인도 혹은 역차도로 진입하여 대형사고를 발생시킬 우려가 내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상기 지주들의 외관은 나무재질의 형상과 모양으로 하고 그 재질은 콘크리트, 철재 및 고강도합성수지로 제조하여 도로분리대에 적용하는 것들이 있으나, 그 표면재질이 친환경재질인 나무와는 전혀 틀리어 질감이 친환경적이지 못한 문제점을 유발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기존의 도로분리대용 지주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 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그 재질을 친환경적인 목재로 하면서도 그 강도를 증대시키어 미관을 친자연적인 미감을 가지도록 하면서도 차량의 충돌시에 차량이 인도로의 진입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된 도로분리대용 지주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도로분리대용 지주는 노면에 설치되는 수직지주과 상기 수직지주들에 수평적으로 연결되는 수평지주로 이루어진 도로분리대에 있어, 상기 수직지주와 수평지주를 구성하며 일정한 크기의 직경을 가지는 금속재질의 심관과 상기 심관의 외주면을 감싸면서 결합하도록 내부에 심관이 수용되는 내입부가 형성되며 길이방향으로 상하 2등분되어 조립되는 한 쌍의 분할편들로 이루어진 외관으로 이루어진 도로분리대용 지주에 있어서; 상기한 분할편들의 분할면에는 단턱이 구비되는 절곡면이 형성되고, 상기 분할면들은 접착제에 의해 접착결합하고 상기 심관과 분할편들은 결합피스에 의해 고정되되, 상기 분할편들은 나무재질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도로분리대용 지주는 외관이 나무재질로 이루어지면서 외관의 내부에 금속재질의 심관이 마련되어 있어, 그 외관은 친환경적인 심미감을 가지면서, 그 강도는 금속재질의 심관에 의해 증대되어 강도가 증대되어 차량의 충돌시에도 차량의 충돌강도를 극복함으로써 차량이 인도 혹은 역차선으로 진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어 안전성을 현저히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도로분리대용 지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 의한 도로분리대용 지주를 보인 도면으로서, 본 실시예의 도로분리대용 지주(1)는 노면에 설치되는 수직지주(2)들에 수평적으로 연결되는 수평지주(3)를 가지며 차도 및/또는 인도를 분리하도록 된 도로분리대(4)의 수직지주(2)와 수평지주(3)를 구성하는 도로분리대용 지주에 있어서; 상기한 지주(1)는 일정한 크기의 직경을 가지는 금속재질의 심관(5)과; 상기 심관(5)의 외주면을 감싸면서 내입하는 내입부(6)가 형성된 나무재질의 외관(7)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외관(7)은 길이방향으로 분할되어 서로 상응하여 결합하는 한 쌍의 분할편(9)으로 이루어져 있다.
싱기한 분할편(9)들의 분할면에는 단턱(8)이 구비되는 절곡면(10)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분할편(9)들이 폭방향으로 하중을 받아도 상기 절곡면(10)에 의해 횡으로 틀어지거나 분리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한 분할편(9)들의 분할면은 접착제에 의해 접착결합되며, 상기 심관(5)과 분할편(9)들은 결합피스(11)에 의해 고정됨으로서, 최종적으로 양 분할편(9)들이 서로 밀차되도록 결합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외관(7)의 표면에는 상기 결합피스(11)가 내입되는 내입공(12)이 관통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결합피스(11)는 상기 내입공(12)을 통해 심관(5)을 관통하여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즉 상기 결합피스(11)를 상기 내입공(12)에 위치시킨 후 강하게 심관(5)측으로 타격하면, 결합피스(11)는 상기 타격력에 의해 심관(5)의 표면을 뚫고 심관(5)의 내부로 일부가 내입되어 심관(5)과 외관(7)을 결합고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심관(5)의 양 외주면에 각각 분할편(9)들을 고정하면 최종적으로 상기 양 분할편(9)들이 서로 밀착된 상태로 심관(5)이 내부에 위치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예의 도로분리대용 지주(1)는 도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인도와 차도의 경계선상 및/또는 차도와 차도와의 경계선상의 지면에 설치되는 수직지주(2)와 상기 수직지주(2)에 연결구(13)를 통해 수평상으로 연결고정되는 수평지주(3)에 적용되어 사용이되는 바, 그 표면이 나무재질의 외관(7)으로 이루어져 도시를 자연친화적인 심미감을 가지도록 되어 있다.
또한 그 강도가 외관(7)의 내부에 마련된 심관(5)에 의해 증대되어 있어, 차량의 충돌시 상기 충돌강도를 극복함으로서, 충돌하는 차량의 인도로의 진입 혹은 역차선으로로 진입을 방어하여 대형의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도로분리대용 지주는 내부에 금속재질의 심관이 마련되는 한 쌍의 분할편들로 이루어지는 외관이 구성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임을 부언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 의한 도로분리대용 지주를 보인 분리사시 예시도,
도 2는 동 결합 단면 예시도,
도 3은 동 사용상태 정면 예시도,
[도면 중 중요한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지주, 2 : 수직지주,
3 : 수평지주, 4 : 도로분리대,
5 : 심관, 6 : 내입부,
7 : 외관, 8 : 단턱,
9 : 분할편, 10 : 절곡면,
11 : 결합피스, 12 : 내입공,
13 : 연결구.

Claims (4)

  1. 노면에 설치되는 수직지주과 상기 수직지주들에 수평적으로 연결되는 수평지주로 이루어진 도로분리대에 있어, 상기 수직지주와 수평지주를 구성하며 일정한 크기의 직경을 가지는 금속재질의 심관과 상기 심관의 외주면을 감싸면서 결합하도록 내부에 심관이 수용되는 내입부가 형성되며 길이방향으로 상하 2등분되어 조립되는 한 쌍의 분할편들로 이루어진 외관으로 이루어진 도로분리대용 지주에 있어서;
    상기한 분할편들의 분할면에는 단턱이 구비되는 절곡면이 형성되고, 상기 분할면들은 접착제에 의해 접착결합하고 상기 심관과 분할편들은 결합피스에 의해 고정되되,
    상기 분할편들은 나무재질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분리대용 지주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080113742A 2008-11-17 2008-11-17 도로분리대용 지주 Expired - Fee Related KR1010509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3742A KR101050927B1 (ko) 2008-11-17 2008-11-17 도로분리대용 지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3742A KR101050927B1 (ko) 2008-11-17 2008-11-17 도로분리대용 지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4913A KR20100054913A (ko) 2010-05-26
KR101050927B1 true KR101050927B1 (ko) 2011-07-20

Family

ID=422794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3742A Expired - Fee Related KR101050927B1 (ko) 2008-11-17 2008-11-17 도로분리대용 지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092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7027B1 (ko) * 2010-09-02 2011-02-23 주식회사 태현이엔지 건축물용 조립식 난간 및 그 시공방법
KR102133374B1 (ko) * 2019-09-18 2020-07-13 우성안전 주식회사 시인성이 우수하고 반사부재의 교체가 용이한 차선분리대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7179Y1 (ko) 2000-07-29 2000-12-15 주식회사창신건업 강성 및 부식 방지 성능을 갖는 펜스재
JP2006002506A (ja) * 2004-06-18 2006-01-05 Hideyuki Matsuda 化粧カバー及びそれを利用した構造物
JP2007303115A (ja) 2006-05-10 2007-11-22 Iichiro Yamauchi 竹筒体及び竹筒組立体並びにその製法
KR100851887B1 (ko) 2008-02-29 2008-08-18 (주)디엔테크 인조목을 이용한 볼라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7179Y1 (ko) 2000-07-29 2000-12-15 주식회사창신건업 강성 및 부식 방지 성능을 갖는 펜스재
JP2006002506A (ja) * 2004-06-18 2006-01-05 Hideyuki Matsuda 化粧カバー及びそれを利用した構造物
JP2007303115A (ja) 2006-05-10 2007-11-22 Iichiro Yamauchi 竹筒体及び竹筒組立体並びにその製法
KR100851887B1 (ko) 2008-02-29 2008-08-18 (주)디엔테크 인조목을 이용한 볼라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4913A (ko) 2010-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7728B1 (ko) 가드레일
JP3968202B2 (ja) 道路標識柱
KR101050927B1 (ko) 도로분리대용 지주
KR101355841B1 (ko) 보강 토압판을 이용한 지주 보강 구조물
JP6285682B2 (ja) 防止柵
KR20140055618A (ko) 보행자용 방호 울타리
KR100908328B1 (ko) 도로용 안전펜스
KR200412276Y1 (ko) 도로용 충격흡수 방호책
KR101757260B1 (ko) 연결구를 이용한 독립형 무단횡단 금지 펜스 및 이의 시공 방법
US10612201B2 (en) Shock-absorbing barrier using pillars and rail
JP3206070U (ja) 上昇ガードレール
KR101298689B1 (ko) 난간울타리 가로바 연결구조
KR200391781Y1 (ko) 가드레일용 지주대의 매설보강구조
KR100995872B1 (ko) 원터치 연결형 도로용 가드레일
KR200357783Y1 (ko) 상하분리형 차등강성 가드레일
KR101421031B1 (ko) 노측용 가드레일
KR101115356B1 (ko) 목재와 금속을 결합한 개방형 가드레일
KR20160027702A (ko) 차량방호울타리 레일 프레임
KR200249098Y1 (ko) 폐타이어를 이용한 자동차 충격흡수형 도로시설물
CN216615486U (zh) 一种结合防抛网及防冲击网于一体的多功能钢护栏构造
KR101177427B1 (ko) 가드레일
CN2668689Y (zh) 护栏的吸收冲击结构体
KR101130570B1 (ko) 자전거 도로용 방호벽
CN205223920U (zh) 一种不伤害行人和车辆的新型护栏
KR100467083B1 (ko) 충격흡수형 도로 중앙 분리대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111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12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1032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0122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20110427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1032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110628

Appeal identifier: 2011101003100

Request date: 20110427

PB0901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110427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427

Patent event code: PB09011R01I

B701 Decision to grant
PB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date: 20110628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B07012S01D

Patent event date: 20110530

Comment text: Transfer of Trial File fo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code: PB07011S01I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1070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7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107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1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71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1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72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012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3

Year of fee payment: 6

PR0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atent event code: PR04011E01D

Patent event date: 20170120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12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2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21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0425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0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