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3315Y1 - 조리용 솥 - Google Patents

조리용 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3315Y1
KR200383315Y1 KR20-2005-0002984U KR20050002984U KR200383315Y1 KR 200383315 Y1 KR200383315 Y1 KR 200383315Y1 KR 20050002984 U KR20050002984 U KR 20050002984U KR 200383315 Y1 KR200383315 Y1 KR 20038331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t
hot air
drain pipe
heating
cooking p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29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천
Original Assignee
이재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천 filed Critical 이재천
Priority to KR20-2005-00029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331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331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3315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2Cooking-vessels with enlarged heating surfaces
    • A47J27/022Cooking-vessels with enlarged heating surfaces with enlarged bottom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mercial Cooking Devices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리용 솥에 관한 것으로, 조리용 솥을 형성함에 있어서 가열장치의 의한 열기가 급속하게 유동됨으로 인한 열효율을 저하를 방지할 수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본 고안은 솥의 하부 외면에 링상의 체류돌기로 이루어진 열기체류부를 형성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솥의 하부 외면에 열기체류부를 형성하므로서 가열장치에 의한 고온의 열기가 솥의 저면을 일정시간 체류됨으로서 열기에 가열효과가 극대화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조리용 솥{An iron pot}
본 고안은 조리용 솥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솥의 하부 외면에 링상의 체류돌기로 이루어진 열기체류부를 형성하여서 가열장치의 의한 고온의 열기를 체류시켜서 가열장치에 의한 가열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리목적으로 사용되는 조리용 솥은 버너등과 같은 가열장치의 상측에 올려져서 가열장치에 의하여 가열되어 내부에 담아진 내용물이 조리되게 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조리용 솥은 하부의 형상이 반구형 또는 평면상으로 이루어져 있어 가열장치의 뿔꽃과 이에 따른 열기가 직접 가열됨과 더불어 솥의 하부 가열부를 가열하는 불꽃과 열기가 상측으로 유동되게 되게 되는데, 이때 상측으로 유동되는 불꽃 열기가 솥의 외면을 따라 바로 상승 유동되어서 솥의 하부 가열면에 머무르는 시간 즉 체류시간이 매우 짧아 가열효과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이 가열장치의 의한 열기가 급속하게 유동됨으로 인한 열효율을 저하를 방지할 수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본 고안은 솥의 하부 외면에 링상의 체류돌기로 이루어진 열기체류부를 형성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솥의 하부 외면에 열기체류부를 형성하므로서 가열장치에 의한 고온의 열기가 솥의 저면을 일정시간 체류됨으로서 열기에 가열효과가 극대화되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솥을 가열하는 가열장치에 의한 고온의 열기가 솥의 저면에서 체류되게 하여서 그 가열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게 한 것으로, 음식을 담아 조리할 수 있게 형성되는 조리용 솥에 있어서, 하부 저면에 솥의 수직 중심을 중심으로하여 링 형상으로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체류돌기(10)로 이루어진 하나 이상의 열기체류부(20)를 형성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열기체류부(20)를 형성하는 체류돌기(10)는 체류된 열기의 유동이 급속제한에 의한 수격현상등에 의한 와류를 유발하지 않게 삼각형상의 단면으로 형성하여 실시함이 바람직한 것이다.
한편, 상기 체류돌기(10)는 솥의 하부로 일체로 형성하거나, 용접등에 의하여 결속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 있어서, 솥의 하부에 세척 등을 위하여 내용물을 배수할 수 있게한 배수관(30)을 형성하여 실시하고, 상기 배수관(30)의 하부에 배수밸브(40)를 구비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으로, 가열장치(100)에 의한 가열과정에 있어 배수관(30)에 체류된 음식물이 과도한 가열에 의하여 탄맛을 발생시켜서 전체 음식물이 탄맛을 가지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배수관(30)의 외주연과 내주연 중 일측에 단열재로 이루어진 과도가열방지부(50)를 구비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음식을 담아 조리할 수 있게 형성되는 조리용 솥에 있어서, 하부 저면에 솥의 수직 중심을 중심으로하여 링 형상으로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체류돌기(10)로 이루어진 하나 이상의 열기체류부(20)를 형성하되, 상기 열기체류부(20)를 형성하는 체류돌기(10)는 체류된 열기의 유동이 급속제한에 의한 수격현상등에 의한 와류를 유발하지 않게 삼각형상의 단면으로 형성한 본 고안을 적용하여 실시하게 되면, 가열장치(100)에 의한 열기가 솥의 바닥면을 따라 상승 유동되다가 링 형상으로 형성되는 체류돌기(10)에 걸려져서 대류유동에 따라 최상측에 위치되는 고온의 열기가 상기 체류돌기(10)에 의하여 형성되는 열기체류부(20)에 머물러 가열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열기체류부(20)에 체류되어서 솥을 가열하는 과정에 온도가 낮아진 열기는 하강되면서 체류돌기(10)를 넘어서서 유동되게 되고 더 고온의 열기가 열기체류부에 머무르며 가열이 이루어져서 고온의 열기에 의한 집중가열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와 같이 솥의 바닥면에 배수관(30)과 배수밸브(40)를 구비함에 있어 상기 배수관(30)의 내측 또는 외측에 단열재로 이루어진 과도가열방지부(50)를 구비하여 실시함에 있어서 가열장치(100)에 의한 가열과정에 있어 배수관(30)에 담아진 음식물에 가열장치에 의한 가열이 이루어지지 않아 과도한 가열로 인하여 음식물이 타서 음식이 전체적으로 탄맛을 가지게 되는 현상이 방지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솥의 하부 외면에 열기체류부를 형성하므로서 가열장치에 의한 고온의 열기가 솥의 저면을 일정시간 체류됨으로서 열기에 가열효과가 극대화되는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를 보인 저면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의 사용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사용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체류돌기 20 : 열기체류부
30 : 배수관 40 : 배수밸브
50 : 과도과열방지부

Claims (3)

  1. 음식을 담아 조리할 수 있게 형성되는 조리용 솥에 있어서;
    하부 저면에 솥의 수직 중심을 중심으로하여 링 형상으로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체류돌기(10)로 이루어진 하나 이상의 열기체류부(20)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 솥.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기체류부(20)를 형성하는 체류돌기(10)는 체류된 열기의 유동이 급속제한에 의한 수격현상등에 의한 와류를 유발하지 않게 삼각형상의 단면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 솥.
  3. 제 1 항 내지 제 2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솥의 하부에 세척 등을 위하여 내용물을 배수할 수 있게한 배수관(30)을 형성하여 실시하고, 상기 배수관(30)의 하부에 배수밸브(40)를 구비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으로, 가열장치(100)에 의한 가열과정에 있어 배수관(30)에 체류된 음식물이 과도한 가열에 의하여 탄맛을 발생시켜서 전체 음식물이 탄맛을 가지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배수관(30)의 외주연과 내주연 중 일측에 단열재로 이루어진 과도가열방지부(5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 솥.
KR20-2005-0002984U 2005-02-01 2005-02-01 조리용 솥 KR20038331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2984U KR200383315Y1 (ko) 2005-02-01 2005-02-01 조리용 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2984U KR200383315Y1 (ko) 2005-02-01 2005-02-01 조리용 솥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3315Y1 true KR200383315Y1 (ko) 2005-05-03

Family

ID=436848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2984U KR200383315Y1 (ko) 2005-02-01 2005-02-01 조리용 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331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59240B2 (en) Double heating-type pots
KR200404678Y1 (ko) 열기 유도커버가 구비된 조리용 솥
KR200383315Y1 (ko) 조리용 솥
KR200406372Y1 (ko) 열기 유도커버가 구비된 조리용 솥
KR200475796Y1 (ko) 직열구이냄비
KR101285707B1 (ko) 냄새 제거용 조리용기
KR200394229Y1 (ko) 조리용기의 뚜껑
KR200379455Y1 (ko) 조리용 솥
KR200444536Y1 (ko) 배기 가열식 주방용 조리기구
US20070221650A1 (en) Constructive Arrangement Applied To Vessel For Heating
KR200426082Y1 (ko) 직화열 조리가 가능한 이중 냄비
KR200408188Y1 (ko) 조리장치
KR200391164Y1 (ko) 찜 및 직화구이 겸용냄비
KR200388274Y1 (ko) 수막 제거수단을 구비한 조리용기
JP3902772B2 (ja)
JP4293975B2 (ja) 麺茹で鍋
JP2010042100A (ja) 吹きこぼれ防止具およびそれを利用した調理容器支持具
CN204372990U (zh) 一种炊暖炉
KR200312267Y1 (ko) 구이용 수냉 석쇠
KR200406414Y1 (ko) 직화 냄비
KR200459241Y1 (ko) 직화구이기
GB2118024A (en) Cooking utensil
KR100432316B1 (ko) 동가열관이 내장된 솥
KR200322514Y1 (ko) 가열용기용 넘침방지구
JP6861020B2 (ja) 加熱調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