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2514Y1 - 가열용기용 넘침방지구 - Google Patents

가열용기용 넘침방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2514Y1
KR200322514Y1 KR20-2003-0015407U KR20030015407U KR200322514Y1 KR 200322514 Y1 KR200322514 Y1 KR 200322514Y1 KR 20030015407 U KR20030015407 U KR 20030015407U KR 200322514 Y1 KR200322514 Y1 KR 20032251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container
skirt
present
cylindrical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54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재완
Original Assignee
나재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재완 filed Critical 나재완
Priority to KR20-2003-00154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251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251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2514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56Preventing boiling over, e.g. of mil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mmercial Cook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삶는 용기의 넘침방지구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음식물의 증숙과 빨래를 삶을 때 용기내의 끓는 물과 거품등이 밖으로 넘치는 것을 방지하고, 용기 내에서의 와류 현상을 촉진시켜서 빠르고 고르게 삶거나 익히면서 타지 않도록 하기 위한 가열용기용 넘침방지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종래의 일체형에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특히 삶는 용기 내에 수용되는 크기의 원판형의 스커트와 이 스커트 중앙부에 체결공과 체결턱을 형성하고 상기 체결공에 끼워져 체결턱에 걸림되는 체결부를 형성한 상협하광(上浹下廣)형상의 원통부를 끼워맞춤 또는 용접으로 체결하는 간단한 구성과,
상기 원통형상단면에 펀칭에 의한 복수개의 절취공을 형성하되 절취공의 방향과 크기를 조절시켜 분출물이 소정위치로 분사되도록 하려는 것이다.

Description

가열용기용 넘침방지구{Overflow preventer for heating pot}
본 고안은 삶는 용기의 넘침방지구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음식물의 증숙과 빨래를 삶을 때 용기내의 끓는 물과 거품등이 밖으로 넘치는 것을 방지하고, 용기 내에서의 와류 현상을 촉진시켜서 빠르고 고르게 삶거나 익히면서 타지않도록 하기 위한 가열용기용 넘침방지구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가정에서 빨래를 삶을 때에 찜통, 솥 등의 가열용기에 물과 세제를 넣고 가열함으로써 빨래의 살균과 세척 효과를 증대시키고 있다.
이러한 경우 세제 거품이 용기 외부로 넘쳐 가스불을 소화시켜 이로인한 가스의 누출에 따른 위험성이 발생되거나 또는 넘친 물 등으로 인하여 레인지가 더럽혀지면서 쉽게 녹슬고 고장을 일으키는 폐단이 발생되고 있다.
그리고 삶을 때에는 일정한 시간으로 빨래를 뒤집으면서 삶아야 밑에 있는 빨래가 타거나 눌지 않게 된다.
이러한 작업을 주부들이 집안청소 및 가정일을 하면서 하기 때문에 매우 번거롭고 미처 처리하지 못할 때에는 빨래가 타고 또는 화재의 위험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문제점은 빨래삶기와 함께 곰국 끓이기 등의 음식조리에서도 매우 유사하게 발생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빨래 삶는 용기에 대한 종래 기술들이 국내외에서 다수 고안된바 있고 특히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공고 제 20-0209955호의 "빨래 삶는 용기"와, 일본국 실개소 63-199712호의 "취반부(炊飯釜)" 및 등록실용신안 20-0264819호가 알려진 바 있다.
상기 선고안들은 가열용기내에 수용되는 크기로 구성하되, 상부로 길게 형성되는 원통부와 이 원통부와 일체로 확장된 스커트부를 구성함과 함께 상기 원통부의 상단주면과 스커트부의 하단측으로 다수의 출입공을 형성하여 용기내에서 물이 스커트부로 유입되어 상승되면서 원통부의 배출공으로 끓는 물이 배출되면서 온도변화로 용기의 끓어넘침을 방지하며 내용물의 균형적인 삶음이 이루어지도록 한 바 있다.
그러나 이들은 빨래를 삶을 때, 와류 현상의 발생과 원통부의 배출구로 상승된 물이 순환되도록 하였으나 끓는 물이 멀리 배출되지 못하여 원통부측에만 고온을 유지하게 되어 균형적인 삶기가 어려운 단점과 함께 원통부와 스커트부가 하나의 몸체로 구성되어짐으로 제조의 어려움에 따른 제작비용의 상승으로 고가의 상품가격을 유지하여 많은 사용을 이룰 수 없는 단점을 가지고 있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의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특히 원통부와 스커트부를 분리하여 구성함과 함께 분리구성된 원통부와 스커트부를 조립 및 용접으로 체결구성하도록 하여 제조의 용이성으로 생산비를 낮추고 원통부의 상단면에서 펀칭에 의한 파형의 절취공형성함으로 끓는 물이 소정거리로 분출될 수 있도록 함으로 용기내의 균형적인 가온을 유지시켜 빠른 삶기를 이룰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고안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의 설명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4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10;가열용기 20;스커트 21;체결공
22;체결턱 23;입출공 30;원통부
31;체결부 32;상단면 33;절취공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삶는 용기 내에 수용되는 크기의 원판형의 스커트와 이 스커트 중앙부에 체결공과 체결턱을 형성하고 상기 체결공에 끼워져 체결턱에 걸림되는 체결부를 형성한 상협하광(上浹下廣)형상의 원통부를 끼워맞춤 또는 용접으로 체결하는 간단한 구성과,
상기 원통형상단면에 펀칭에 의한 복수개의 절취공을 형성하되 절취공의 방향과 크기를 조절시켜 분출물이 소정위치로 분사되도록 하려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을 첨부도면에 의하여 그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결합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의 설명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삶는 가열용기(10) 내에 수용되는 크기의 원판형의 스커트(20)와 이 스커트(20) 중앙부에 체결공(21)과 체결턱(22)을 형성함과 함께 외측으로 복수개의 입출공(23)을 형성한 스커트와,
상기 체결공(21)에 끼워져 체결턱(22)에 걸림되는 체결부(31)를 형성한 상협하광형상의 원통부(30)를 끼워맞춤 또는 용접으로 체결하는 원통부와,
상기 원통부(30)의 상단면(32)에 펀칭에 의한 복수개의 절취공(33)을 형성하여 분사물이 절취공(33)의 방향과 크기로 조절되어 소정위치로 분사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미설명부호 11은 가열부이며 12는 삶을 내용물 일례로 빨래 등을 표시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을 첨부도면에 의하여 그 작용효과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로 스커트부와 원통부를 결합시킨 도 2의 도 1의 결합단면도와 도 4와 5의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도 3과 도 5에서와 같이 사용하게 된다.
즉, 빨래 삶기에서 볼 때 가열용기(10)내에 물과 세제를 적량으로 넣고 이에 빨래감을 넣은 후 뚜껑을 닫고 상기 가열용기(10)를 레인지 등의 가열부(11)에 적재시켜 가열하게 된다.
따라서 가열부의 가온으로 가열용기(10)의 물이 끓어오르게 되면 용기내에서 거품이 상승하게 되고 이때에 원통부(30) 외부에는 빨래가 적재되고 내측보다는 저온상태이므로 원통부(30)내에서 먼저 상승한다.
상기에 의하여 상승되는 거품과 물은 원통부 상단까지 도달된 후 절취공(33)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면서 절취공이 작고 각각의 방향으로 구성되어 있어 소정한 위치와 거리로 분사되는 효과를 발휘하여 원통부와 먼거리로 분사되면서 외측에 수용된 빨래의 상단에 고온의 세제물이 뿌려지게 된다.
이에 따라 빨래는 하부와 함께 상단부에도 고온의 세제물이 뿌려짐으로서 삶기가 이루어지는 것이며 고온의 끓는 물은 빨래상단으로 분사되면서 일정한 온도를 하강시키게 되어 세제물이 용기밖으로 끓어넘침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에서 분사된 세제물은 냉각되어 하강되면서 입출공(23)과 외주면으로 유입되고 다시 가온되는 순환을 이루게 됨과 함께 배출구들에 의한 순환으로 용기 내부에서 와류 현상을 촉진시켜 세탁물을 골고루 삶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사용상태는 빨래삶기와 함께 음식물의 조리용구로서도 사용가능함은물론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스커트부와 원통부를 각기 구성시켜 체결구성하는 구조로 형성되어 제조가 용이하고 저렴한 생산가에 의한 대량생산성이 향상되는 특징과 함께 사용효과의 증대를 이룰 수 있는 고안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이 가열용기 내에 수용되는 크기의 원판형의 스커트와 이 스커트 중앙부에 체결공과 체결턱을 형성하고 상기 체결공에 끼워져 체결턱에 걸림되는 체결부를 형성한 상협하광(上浹下廣)형상의 원통부를 끼워맞춤 또는 용접으로 체결하는 간단한 구성으로 제조의 용이성 및 제조원가를 낮추어 대량 판매성을 향상함과,
상기 원통형상단면에 펀칭에 의한 복수개의 절취공을 형성시켜 절취공의 방향과 크기로 조절되는 분출물이 소정의 위치로 분사되도록 하여 빨래의 고른 삶기를 이루는 작용효과의 상승과 함께 고장이 없는 특징을 발휘하는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가열용기(10) 내에 수용되는 크기의 원판형의 스커트(20)와 이 스커트(20) 중앙부에 체결공(21)과 체결턱(22)을 형성함과 함께 외측으로 복수개의 입출공(23)을 형성한 스커트와,
    상기 체결공(21)에 끼워져 체결턱(22)에 걸림되는 체결부(31)를 형성한 원통부(30)와,
    상기 원통부(30)의 상단면(32)에 펀칭에 의한 복수개의 절취공(33)을 형성하여 분사물이 소정위치로 분사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용기용 넘침방지구.
KR20-2003-0015407U 2003-05-19 2003-05-19 가열용기용 넘침방지구 KR20032251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5407U KR200322514Y1 (ko) 2003-05-19 2003-05-19 가열용기용 넘침방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5407U KR200322514Y1 (ko) 2003-05-19 2003-05-19 가열용기용 넘침방지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2514Y1 true KR200322514Y1 (ko) 2003-08-09

Family

ID=494124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5407U KR200322514Y1 (ko) 2003-05-19 2003-05-19 가열용기용 넘침방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251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9984B1 (ko) 2012-10-26 2014-05-30 차윤호 끓는점을 이용한 빨래 삶는 용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9984B1 (ko) 2012-10-26 2014-05-30 차윤호 끓는점을 이용한 빨래 삶는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7522947A (ja) 調理器具
KR200322514Y1 (ko) 가열용기용 넘침방지구
KR101530070B1 (ko) 구이 및 탕이 가능한 다용도 조리기구
KR200447010Y1 (ko) 행주 삶는 전기 포트
KR100880676B1 (ko) 냄비
KR200323694Y1 (ko) 넘침 방지 냄비뚜껑 손잡이
KR200394229Y1 (ko) 조리용기의 뚜껑
KR101285707B1 (ko) 냄새 제거용 조리용기
KR200391164Y1 (ko) 찜 및 직화구이 겸용냄비
KR200393644Y1 (ko) 찜 및 직화구이 겸용냄비
KR200371725Y1 (ko) 직화 조리기
KR200269209Y1 (ko) 찜통
KR200416297Y1 (ko) 직화식 조리용기
KR200305018Y1 (ko) 넘침방지 기능을 구비한 전골냄비겸용 찜솥
CN211155264U (zh) 可导水蒸具及蒸锅
KR101072987B1 (ko) 고온증기 순환 찜용기
KR200339705Y1 (ko) 찜용기
RU2655870C2 (ru) Кухонная утварь для предотвращения утечки кипящего молока - универсальная кастрюля
KR200437901Y1 (ko) 가열용기용 스팀샤워장치
KR200466643Y1 (ko) 유체류 찜용기
CN220898451U (zh) 电煮锅
KR102547837B1 (ko) 다기능 후라이팬
CN211722759U (zh) 烹饪器具
KR200352899Y1 (ko) 다용도 집열식 조리용기
KR200264819Y1 (ko) 빨래 삶는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72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