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8188Y1 - 조리장치 - Google Patents

조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8188Y1
KR200408188Y1 KR2020050033174U KR20050033174U KR200408188Y1 KR 200408188 Y1 KR200408188 Y1 KR 200408188Y1 KR 2020050033174 U KR2020050033174 U KR 2020050033174U KR 20050033174 U KR20050033174 U KR 20050033174U KR 200408188 Y1 KR200408188 Y1 KR 20040818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outer member
cooker
cooking
internal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31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주환
Original Assignee
황주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주환 filed Critical 황주환
Priority to KR20200500331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818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818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818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0/00Receptacles
    • Y10S220/912Cookware, i.e. pots and p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음식물의 가열 조리 중에 발생되는 각종 냄새를 제거하여 조리냄새가 발생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하여 쾌적한 환경을 조성하고 그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이 용이하고 제조원가를 크게 절감할 수 있으며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조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하면, 내측의 조리기 본체와 상기 조리기 본체를 외부에서 감싸는 구조로서 서로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는 외측부재를 서로 결합하고, 상기 외측부재의 상부에는 뚜껑을 얹어 놓는 구조로 이루어지되, 상기 조리기 본체와 외측부재와의 사이로서 상부엔 내부기류의 유입부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내부기류의 배출부가 형성되며 중간부에는 내부기류의 통로부가 각각 마련되고, 상기 유입부의 내측으로서 이격되고 하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 스커트부를 상기 뚜껑에 마련하여 이루어지는 조리장치를 제공한다.
조리, 냄새, 가열, 원가, 절감, 위생

Description

조리장치{Cooker}
도 1은 본 고안에 대한 바람직한 일례로서 결합상태 종단면도,
도 2는 도 1의 요부 확대도,
도 3은 도 1의 다른 요부 확대도,
도 4는 도 1의 저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대한 작동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조리기 본체, 2: 외측부재,
3: 뚜껑, 4: 유입부,
5: 배출부, 6: 통로부,
7: 스커트부, 10,20: 외향절곡부,
12,22: 내향절곡부, 14: 바닥면,
24: 개방공
본 고안은 조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음식물의 가열 조리 중에 발생되는 각종 냄새를 제거하여 조리냄새가 발생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하여 쾌적한 환경을 조성하고 그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이 용이하고 제조원가를 크게 절감할 수 있으며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조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조리장치는 내부에 조리하고자 하는 각종 음식재료를 넣고 뚜껑을 닫은 다음에 조리장치와 내부의 음식재료를 가열하여 조리하는데 다양하게 활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조리장치는 조리가 이루어지는 중에 조리장치 내부의 음식재료, 예를 들면 청국장, 생선요리를 위한 재료, 등이 가열되면서 내부 공간의 기류에는 수증기 형태로 채워지다가 내압에 의하여 뚜껑이 조금씩 열렸다 닫쳤다 하면서 내부기류가 외부로 배출되게 되고, 이와 같이 배출되는 내부기류에는 각종 음식 냄새가 함유되어 있어 조리를 행하는 외부환경을 오염시키게 되고 쾌적하지 못한 조리상황을 발생시키게 된다.
그리하여 종래에도 조리 중에 발생되게 되는 이러한 음식냄새를 사전에 제거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여러가지가 제안되고 있는데, 그 중 대표적인 것이 국내 등록 실용신안공보 공고번호 20-0203452호인 "수증기 배출공이 저면에 구성된 2중 솥"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첫째, 저부에 맥반석이나 세라믹볼을 채워 넣은 충전함을 채택하고 내솥의 외측에 외솥을 서로 이격된 2중구조로 이루어져 저부에서 가열이 이루어지더라도 가열원이 직접 내솥에 도달하지 못하게 되므로 음식물을 조리하는데 너무 많은 시 간이 소요되게 되는 단점,
둘째, 조리시에 솥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수증기가 뚜껑의 내부 통기공을 거쳐 뚜껑의 내부공간으로 들어가 충전물을 거쳐 뚜껑의 외부로 나와 내외부 솥의 사이 내부공간을 경유 하부의 배출공으로 배출되도록 이루어져 있으나 이들 경로중 특히 뚜껑의 내부를 거치는 경우에 맥반석이나 세라믹볼과 같은 충전물에 의하여 저항을 받게 되어 솥의 내부에 내압이 작용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뚜껑이 솥으로부터 조금이라도 분리되게 되면 내부의 수증기가 배출공을 거치지 않고 직접 배출되어 냄새를 제거하는 본래의 기능을 수행할 수 없게 되는 점,
셋째, 뚜껑이나 솥은 각각 일체로 구성되고 그 구성상 분리할 수 있는 구조가 아니어서 조리시에 음식재료로부터 발생되는 수증기가 뚜껑이나 솥의 내부공간에 통과하면서 이물질이나 수분형태로 응결하고 누적되는 경우 이를 세척할 수 있는 대책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비위생적이고 이로 인하여 새로운 악취를 발생시키게 되는 근원이 된다는 점,
넷째, 조리시에 솥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수증기가 뚜껑의 내부 통기공을 거쳐 뚜껑의 내부공간으로 들어가 충전물을 거쳐 뚜껑의 외부로 나와 내외부 솥의 사이 내부공간을 경유 하부의 배출공으로 배출되도록 이루어져 있으나 그 경로가 길고 뚜껑의 내부충전물로 인하여 통과하는 수증기가 응결되면서 물방울 형태로 남게 되고 결국 이들 물방울은 하부로 흘러내려 배출공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거나 아니면 가열원에 의하여 내,외솥 사이 내부공간에서 증발되어 내압의 형태로 저항요소로 작용하게 되어 결국 조리시 발생되는 수증기가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될 수 없 는 점,
다섯째, 조리가 완료된 후에도 뚜껑의 내부공간이나 내, 외 솥의 사이 내부공간 중 특히 뚜껑의 내부공간에 위치하게 되는 맥반석이나 세라믹볼로 이루어지는 충전물에 음식물의 조리중에 발생된 수분이 잔류하게 되어 그곳으로부터 악취가 발생되게 된다는 점,
여섯째, 뚜껑의 내부에 충전물이 채워져 불투명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조리시 솥의 내부를 확인할 수 없고, 뚜껑, 내,외 솥 및 솥의 저부 충전함이 가지고 있는 구조가 복잡하여 제조원가가 많이 소요되고, 충전물은 일단 내장시키게 되면 이를 교체할 수 없는 구조로 되어 있어 이를 교환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전체 솥과 뚜껑을 교체하여야 하는 비경제적인 문제점 등이 발생되고 있다.
본 고안은 전수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연구 개발이 이루어진 것으로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갖는다.
본 고안의 목적은 조리시에 외부 가열원에 의하여 가열이 이루어지는 부위는 조리기 본체의 저부에 직접 형성되도록 하여 가열효과를 향상시키면서 조리시간도 단축시킬 수 있고, 조리시에 발생되는 내부 수증기가 유입되고 배출되는 과정에 저항요소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는 기술적인 요소를 배제시키며 냄새를 제거하는 기능이나 효율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음식물의 조리시에 내부에서 발생되는 수증기가 경유하게 되는 경로를 단순화하여 냄새가 잔류할 가능성을 최소화하면서, 내측의 조리 기 본체와 외측부재를 서로 분리하여 수증기가 경유하게 되는 경로가 외부로 그대로 표출될 수 있도록 하여 세척이 용이하고 위생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고자 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내측의 조리기 본체와 외측부재 자체 및 상호간의 결합구조, 그리고 뚜껑의 구조를 단순화하여 제조하기가 쉽고 대량생산에 적합하며, 제조원가도 크게 절감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은 위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내측의 조리기 본체와 상기 조리기 본체를 외부에서 감싸는 구조로서 서로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는 외측부재를 서로 결합하고, 상기 외측부재의 상부에는 뚜껑을 얹어 놓는 구조로 이루어지되, 상기 조리기 본체와 외측부재와의 사이로서 상부엔 내부기류의 유입부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내부기류의 배출부가 형성되며 중간부에는 내부기류의 통로부가 각각 마련되고, 상기 유입부의 내측으로서 이격되고 하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 스커트부를 상기 뚜껑에 마련하여 이루어지는 조리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4에 예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례에 의하면, 내측의 조리기 본체(1)와 상기 조리기 본체(1)를 외부에서 감싸는 구조로서 서로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는 외측부재(2)를 서로 결합하고, 상기 외측부재(2)의 상부에는 뚜껑(3)을 얹어 놓는 구조로 이루어지되, 상기 조리기 본체(1)와 외측부재(2)와의 사이로서 상부엔 내부기류의 유입부(4)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내부기류의 배출부(5)가 형성되며 중간부에는 내부기류의 통로부(6)가 각각 마련되고, 상기 뚜껑(3)의 외주연에는 상기 유입부(4)의 내측으로서 이격되고 하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 스커트부(7)를 마련하여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조리기 본체(1)의 상부에는 외향절곡부(10)를 마련하고 내부에는 음식물(8)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12)이 마련되며 상부는 개방된 구조를 이루고, 상기 외측부재(2)는 상부에 외향절곡부(20)를 마련하고 하부에는 배출부(5)를 갖는 내향절곡부(22)를 마련하며 상기 내향절곡부(22) 내측으로는 다수의 개방공(24)이 그리고 상부는 개방된 구조를 이루어, 상기 외측부재(2)의 내측에 상기 조리기 본체(1)가 끼워 결합되어 상기 조리기 본체(1)와 상기 외측부재(2)가 서로 결합되도록 이루어진다.
다음, 상기 외측부재(2)의 상부에 위치한 외향절곡부(20)는 오목하게 형성되고 그 내측에는 뚜껑(3)의 외주연부가 얹혀져 외측부재(2)와 뚜껑(3) 상호간 밀착되고 뚜껑(3)의 자중과 조리시 응결되는 응축수에 의하여 상호간 기밀유지가 가능하게 구성되고, 뚜껑(3)은 상부에 손잡이(30)가 위치하고 자체는 투명한 소재로 이루어져 조리기 본체(1) 내부의 음식물(8)이 육안으로 볼 수 있게 구성되며, 뚜껑(3)의 외주연엔 내측에 스커트부(7)가 연장 형성되는 형태로 고정 설치하는 구조로 이루어지게 된다.
미설명부호로서 26은 손잡이를 나타내고, 28은 상기 손잡이(26)를 고정시키기 위한 리벳을 각각 나타낸다.
이하, 본 고안에 대한 작동 관계를 살펴보기로 한다.
우선 분리되어 있던 조리기 본체(1)와 외측부재(2)를 서로 결합하되, 외측부재(2)의 내측에는 조리기 본체(1)의 내향절곡부(12)를 포함하여 바닥면의 저부가 얹혀지도록 서로 끼워 결합하여 리벳(28)의 머리만큼 이격된 상태로 유입부(4), 통로부(6) 및 배출부(5)가 상기 조리기 본체(1)와 외측부재(2)의 사이에 형성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조리기 본체(1)와 외측부재(2)를 결합한 상태로 조리기 본체(1)의 내측에 조리하고자 하는 음식물(8)을 넣은 상태에서 가스렌지와 같은 외부가열원의 상부에 얹어 놓고 뚜껑(3)을 외측부재(2)의 외향절곡부(20) 내측에 기밀유지가 가능하게 얹어 놓아 조리를 위한 준비를 완료한다.
다음, 외부가열원에 의하여 가열시키면 화염은 조리기 본체(1)의 바닥면(14)의 외측을 거쳐 조리기 본체(1)의 외향절곡부(12)의 일부, 외측부재(2)의 내향절곡부(22)의 외부와 벽면을 타고 움직이게 되나 대부분의 열기는 조리기 본체(1)에 전달되어 조리기 본체(1)의 내부에 있던 음식물(8)을 가열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음식물(8)을 가열하는 과정이 반복되게 되면 내부에서는 음식물(8)로부터 수증기가 발생되고 내부의 기류와 혼합되어 서서히 압력이 차게 되며, 내압에 의하여 자연스럽게 내부의 기류는 스커트(7)와 조리기 본체(1)의 외향절곡부(10)와의 사이 공간을 거쳐 유입부(4), 통로부(6) 및 배출부(5)를 거쳐 외부로 배출되게 되는데, 이와 같은 현상이 발생하게 되는 시점은 조리기 본체(1)의 내부에서 음식물(8)의 가열에 의하여 형성되게 되는 압력에 의하여 상기 통로부(6)에도 생성되는 압력이 외측부재(2)의 배출부(5)의 외측 압력보다 커지게 되어 그 균형이 깨어지는 시점에서 조리기 본체(1)의 내부 기류가 배출부(5)를 경유하여 외부로 배출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외부가열원으로부터 발생되는 열기가 조리기 본체(1)의 바닥면 외측에 전달되는 열기와 외측부재(2)의 배출구(5)에 미치게 되는 열기가 아주 근거리에 위치하게 되어 서로 같은 정도의 고온의 온도가 서로 유지하게 되므로, 배출부(5)를 통한 내부기류의 외부 배출시에 고온의 화염에 의하여 연소가 이루어져 악취를 발생하게 되는 분자입자가 소멸되게 되고 음식물의 조리시에 발생되는 악취의 제거가 자연스럽게 이루어지게 된다.
특히, 음식물(8)의 조리나 위와 같은 악취의 제거를 위한 목적으로 열원이 활용된 다음에 나머지 여열은 외측부재(2)의 외측면을 타고 상향 이동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조리기 본체(1)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기류가 통로부(6)를 통과하는 과정에서도 그 온도가 낮아지지 않고 일정한 온도 이상을 유지하게 하는 예열 내지 냉각방지의 효과를 갖도록 하게 된다.
더우기, 조리기 본체(1)의 외향절곡부(10)와 스커트부(7)의 사이에 위치하게 되는 유입부(4)를 거쳐 통로부(6)의 내측으로 계속하여 음식물(8)에 의하여 발생되는 수증기가 유입되게 되면 뚜껑(3)의 스커트부(7)와 외측부재(2)의 외향절곡부(20) 사이에도 영향을 끼치게 되고 내,외기의 온도차에 의하여 수증기가 응결되면서 물방울 형태로 극히 일부가 변화되게 되는 경우에 외향절곡부(20)의 단면 형태가 오목하게 형성되어 그 내측으로 응결된 수분이 고이게 되고, 이와 같이 고이게 되는 수분은 외측부재(2)의 외향절곡부(20)와 뚜껑(3)의 스커트부(7)와의 사이에서 기밀을 유지하게 되는 바람직한 현상으로 변화가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뚜껑(3)에 설치되는 스커트부(7)가 하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되어 음식물(8)의 조리중에 유입부(4)를 통하여 국물이 끓어 넘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고 뚜껑(3)의 내측면에 내,외기의 온도차에 의하여 수분이 응결되는 경우에도 내측면을 타고 내려와 결국 스커트부(7)의 내측면을 타고 하향으로 낙하하여 조리기본체(1)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작용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음식물(8)의 조리가 이루어진 다음에 외부가열원을 끄게 되는 경우에는 음식물(8)에 대한 가열이 중지되기 때문에 음식물(8)의 온도는 더 이상 상승하지 못하고 내부 기류의 생성도 약화되면서 조리기 본체(1)의 내부 압력도 약화되어 압력의 균형이 깨어지면서 내부기류가 배출부(5)를 거쳐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고 자연스럽게 내부에서 순환이 이루어지면서 서서히 냉각되게 되어 결국 악취가 발생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물론, 이러한 효과를 보다 확실하게 하기 위해서는 외부가열원을 갑자기 끄는 것이 아니라 화염의 세기를 서서히 줄여가면서 열기를 서서히 약화시킨 다음에 까스렌지를 끄는 것도, 조리기 본체(1)의 내부기류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악취가 발생되지 않게 함에 보다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
또한, 필요한 경우에 조리기 본체(1)와 외측부재(2)를 서로 분리하게 되면 조리기 본체(1)의 외측이나 외측부재(2)의 내측을 세척하기가 용이하게 되므로 내부기류가 통과하게 되는 부위의 세척에 의하여 항상 청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조리시에 외부 가열원에 의하여 가열이 이루어지는 부위는 조리기 본체(1)의 저부에 직접 형성되도록 하여 가열효과를 향상시키면서 조리시간도 단축시킬 수 있고, 조리시에 발생되는 내부 수증기가 유입되고 배출되는 과정에 저항요소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는 기술적인 요소를 완전히 배제시켜 냄새를 제거하는 기능이나 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음식물의 조리시에 내부에서 발생되는 수증기가 경유하게 되는 경로를 단순화하여 냄새가 잔류할 가능성을 최소화하면서, 내측의 조리기 본체(1)와 외측부재(2)를 서로 분리하여 수증기가 경유하게 되는 경로가 외부로 그대로 표출될 수 있도록 하고 세척이 용이하여 위생적으로 사용이 가능하게 되고, 내측의 조리기 본체(1)와 외측부재(2) 자체 및 상호간의 결합구조, 그리고 뚜껑(3)의 구조를 단순화하여 제조하기가 쉽고 대량생산에 적합하며, 제조원가도 크게 절감할 수 있게 되는 등의 우수한 효과를 갖게 된다.

Claims (3)

  1. 내측의 조리기 본체(1)와 상기 조리기 본체(1)를 외부에서 감싸는 구조로서 서로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는 외측부재(2)를 서로 결합하고, 상기 외측부재(2)의 상부에는 뚜껑(3)을 얹어 놓는 구조로 이루어지되,
    상기 조리기 본체(1)와 외측부재(2)와의 사이로서 상부엔 내부기류의 유입부(4)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내부기류의 배출부(5)가 형성되며 중간부에는 내부기류의 통로부(6)가 각각 마련되고,
    상기 뚜껑(3)의 외주연에는 상기 유입부(4)의 내측으로서 이격되고 하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 스커트부(7)를 마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기 본체(1)의 상부에는 외향절곡부(10)를 마련하고 내부에는 음식물(8)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12)이 마련되며 상부는 개방된 구조를 이루고,
    상기 외측부재(2)는 상부에 외향절곡부(20)를 마련하고 하부에는 배출부(5)를 갖는 내향절곡부(22)를 마련하며 상기 내향절곡부(22) 내측으로는 다수의 개방공(24)이 그리고 상부는 개방된 구조를 이루어,
    상기 외측부재(2)의 내측에 상기 조리기 본체(1)가 끼워 결합되어 상기 조리기 본체(1)와 상기 외측부재(2)가 서로 결합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부재(2)의 상부에 위치한 외향절곡부(20)는 오목하게 형성되고 그 내측에는 뚜껑(3)의 외주연부가 얹혀져 외측부재(2)와 뚜껑(3) 상호간 밀착되고 뚜껑(3)의 자중과 조리시 응결되는 응축수에 의하여 상호간 기밀유지가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뚜껑(3)의 외주연엔 내측에 스커트부(7)가 연장 형성되는 상태로 고정 설치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장치.
KR2020050033174U 2005-11-24 2005-11-24 조리장치 KR20040818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3174U KR200408188Y1 (ko) 2005-11-24 2005-11-24 조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3174U KR200408188Y1 (ko) 2005-11-24 2005-11-24 조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8188Y1 true KR200408188Y1 (ko) 2006-02-07

Family

ID=444815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3174U KR200408188Y1 (ko) 2005-11-24 2005-11-24 조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8188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4794B1 (ko) 2008-11-04 2010-03-04 정승재 탈취 조리용기
KR100944795B1 (ko) 2008-10-14 2010-03-04 정승재 제연 탈취기능을 구비하는 음식물 조리용기
KR20200001561U (ko) * 2019-01-03 2020-07-13 주식회사 캔 통합형 온수탱크가 구비된 라면 조리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4795B1 (ko) 2008-10-14 2010-03-04 정승재 제연 탈취기능을 구비하는 음식물 조리용기
KR100944794B1 (ko) 2008-11-04 2010-03-04 정승재 탈취 조리용기
KR20200001561U (ko) * 2019-01-03 2020-07-13 주식회사 캔 통합형 온수탱크가 구비된 라면 조리기
KR200493232Y1 (ko) 2019-01-03 2021-02-25 주식회사 캔 통합형 온수탱크가 구비된 라면 조리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1494B1 (ko) 냄새 제거용 프라이팬
JP4572253B2 (ja) 調理容器蓋の臭い排出装置
KR200408188Y1 (ko) 조리장치
CN106175477A (zh) 无油空气炸锅
CN210540981U (zh) 一种气流稳定的烹饪器具
KR200467826Y1 (ko) 프라이팬 커버
KR200441579Y1 (ko) 조리장치
KR200391164Y1 (ko) 찜 및 직화구이 겸용냄비
JP3740573B2 (ja) 油揚げ器
KR200393644Y1 (ko) 찜 및 직화구이 겸용냄비
KR200426082Y1 (ko) 직화열 조리가 가능한 이중 냄비
KR200428739Y1 (ko) 직화구이 팬
KR200422882Y1 (ko) 냄새 제거용 프라이팬
JP5630762B2 (ja) 調理容器およびその蓋
KR20120105118A (ko) 간이형 떡 찜 세트
KR100690401B1 (ko) 냄새제거기를 갖춘 조리장치
KR100993106B1 (ko) 튀김기
KR100330622B1 (ko) 직화 구이팬
KR200421229Y1 (ko) 다기능 직화 조리기
KR200495376Y1 (ko) 에어프라이어 튀김 바스켓용 커버
KR200206135Y1 (ko) 이중뚜껑 가열솥
KR200409222Y1 (ko) 가열식조리기
KR101430343B1 (ko) 냄새 저감형 조리용기
CN209547810U (zh) 双热源烧烤炉
KR200406414Y1 (ko) 직화 냄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