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9241Y1 - 직화구이기 - Google Patents

직화구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9241Y1
KR200459241Y1 KR2020090009527U KR20090009527U KR200459241Y1 KR 200459241 Y1 KR200459241 Y1 KR 200459241Y1 KR 2020090009527 U KR2020090009527 U KR 2020090009527U KR 20090009527 U KR20090009527 U KR 20090009527U KR 200459241 Y1 KR200459241 Y1 KR 20045924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grill
inlet
main body
dir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95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0953U (ko
Inventor
김종부
채기탁
최태일
조홍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Priority to KR20200900095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9241Y1/ko
Publication of KR2011000095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095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92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924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23Small-size cooking ovens, i.e. defining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cooking cavit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2Cooking-vessels with enlarged heating surfaces
    • A47J27/026Cooking-vessels with enlarged heating surfaces with conduits through the vessel for circulating heating ga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열장치의 직화열을 그릴의 중심부에 설치된 열 확산부에 의해 대류와 순환시킴으로써 그릴내에 놓인 내용물을 조리할 수 있도록 한 직화구이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열 유입구를 갖는 본체; 상기 본체에 안착되어, 상기 열 유입구를 통하여 유입된 열에 의해 가열되는 그릴; 및 상기 그릴을 덮도록 상기 본체상에 설치된 뚜껑을 포함하고, 상기 그릴의 중심부에는, 상기 열 유입구를 통하여 유입된 열을 확산시켜 상기 그릴에 놓인 내용물에 전달하는 열 확산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직화구이기, 열 유입구, 열 확산부, 그릴, 원뿔, 나발, 비선형적, 유리

Description

직화구이기{DIRECT FIRE ROASTER}
본 고안은 직화구이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가열장치의 직화열을 그릴의 중심부에 설치된 열 확산부에 의해 대류와 순환시킴으로써 그릴내에 놓인 내용물을 고르게 익힐 수 있도록 한 직화구이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직화열을 이용하여 각종 음식물을 조리하기 위한 직화구이용 조리기는 가스레인지와 같은 조리용 가열장치에서 발생된 직화열에 의한 열전도에 의해 용기가 가열됨과 아울러 용기 내부로 직화열의 일부가 유입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통공들이 형성되어 이 각 통공들을 통합하여 용기 내부로 직화열이 직접 유입되어 이러한 열원들에 의해 용기에 담겨진 음식물이 가열되면서 익혀지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직화열을 이용하여 음식물의 조리가 가능한 조리기로는 1999년 특허출원되어 등록된 특허 제10-0330622호의 직화구이팬이 있다.
이 직화구이팬은 몸통(이하 "용기"라 함)의 상부에서 외벽 둘레를 따라 보열벽이 형성되고, 이 보열벽 둘레 내측에 다수개의 직화유입공 및 배기공들이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관통되어 있다.
직화 구이팬은 조리용 가열장치에서 발생하는 직화열이 직화유입공들을 통하여 용기 내부로 유입되어 용기 바닥면에서 발생된 간접열과 함께 음식물의 조리를 위한 열원으로 사용되며, 이와 같이 용기 내부에 분포된 열원들은 내부 압력에 의해 배기공들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방식으로 음식물이 조리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의한 직화구이팬은 조리용 가열장치에서 발생된 상향식 직화열이 보열벽 내측에 모이면서 다수개의 직화유입공들을 통하여 용기의 상부 둘레측에서 내부로 유입되므로, 이와 같은 구조는 용기의 바닥면에서 발생되어 상측으로 이동되는 간접열의 압력에 의해 직화열이 아래쪽으로 이동되지 못하고 상부에 머물면서 배기공들을 통하여 다시 외부로 배출되는 현상이 발생된다.
특히, 상기한 현상은 용기 내부 공간에 직화열 머무는 시간이 짧을 뿐만 아니라, 전체 공간에 균일하게 분포되지 않고 상부 공간에만 머물면서 그대로 배출되므로 과다한 열 손실을 유발하는 한 요인이 된다. 이러한 요인들에 의해 음식물의 조리에 소요되는 시간이 길어질 뿐만 아니라, 용기의 중앙에 얹혀진 음식물은 과열에 의해 쉽게 타게 되고 용기의 주변에 얹혀진 음식물은 열기의 전달이 늦어져 덜 익혀지므로 만족할 만한 조리 품질을 얻기가 어렵다.
본 고안의 목적은, 가열장치의 직화열을 그릴의 중심부에 설치된 열 확산부에 의해 대류와 순화시킴으로써 직화열이 상부로 몰리지 않고 그릴의 중심부로부터 사방으로 이동되어 그릴내에 놓인 내용물을 고르게 익힐 수 있도록 한 직화구이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직화구이기는 열 유입구를 갖는 본체; 상기 본체에 안착되어, 상기 열 유입구를 통하여 유입된 열에 의해 가열되는 그릴; 및 상기 그릴을 덮도록 상기 본체상에 설치된 뚜껑을 포함하고, 상기 그릴의 중심부에는, 상기 열 유입구를 통하여 유입된 열을 확산시켜 상기 그릴에 놓인 내용물에 전달하는 열 확산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열 확산부는 역원뿔형상을 가지며, 물이 채워지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 외벽에 형성되어, 상기 열의 이동방향을 안내하는 안내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열 확산부는 체결수단에 의해 상기 그릴의 중심부에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용부의 상단은 위쪽으로 갈수록 직경이 비선형적으로 넓어지는 나팔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그릴의 중심부와 상기 그릴의 외주부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홀이 형 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뚜껑의 상면은 투명한 유리재질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가스레인지와 같은 가열장치에서 발생된 직화열을 열 확산부에 의해 대류 및 순환시켜 그릴에 놓인 내용물에 전달함으로써, 내용물을 고르게 익힐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직화열이 상부로 몰리지 않고 열 확산부의 안내홈으로 이동됨에 따라 열의 과도한 상승을 막고 조리시 대류를 활성화시켜 유리재질의 뚜껑 상면의 파손을 막아주어 상해위험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열 확산부의 수용부에 물을 채움으로써, 그릴 가열시 수용부의 물이 증기로 변하여 그릴에 놓인 내용물의 건조를 막아 촉촉한 상태로 조리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실시예에 따르면 그릴의 중심부에 착탈가능하게 열 확산부가 체결됨으로써, 그릴과 열 확산부 사이에 끼는 이물질의 청소가 용이한 효과도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본체의 공간부에 물이 채워지고, 그릴의 중심부과 그릴의 외주부 사이에 홀이 형성됨으로써, 과열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나아가, 기름이 홀을 통해 공간부의 물과 섞이기 때문에 기름이 타서 생기는 연기를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뚜껑 상면이 유리재질로 이루어짐으로써, 조리시 그릴에 놓인 내용물의 조리상태를 볼 수 있는 효과도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뚜껑의 외주부에 손잡이가 설치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한 효과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직화구이기의 단면 모식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열 확산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직화구이기의 열 확산부와 그릴간의 결합 및 분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직화구이기(1)는 크게 본체(11), 조리될 내용물이 놓이는 그릴(12)과, 뚜껑(1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체(11)는 물이 채워지는 공간부(113)를 가지며, 가스레인지와 같은 조리용 가열장치의 직화열이 유입되는 열 유입구(111)를 예컨대, 정중앙에 구비한다. 또한, 본체(11)는 열 유입구(111)의 근처에서 가열장치의 직화열이 집중되게 유도하는 유도벽(112)이 형성되어 있다. 나아가, 유도벽(112)은 열 유입구(111)로 바람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으며, 가열장치의 직화열이 항상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전술된 본체(11)는 그릴(12)의 외주부(123)가 안착되는 제 1 안착부(114)와, 뚜껑(13)의 돌출부(133)가 안착되는 제 2 안착부(115)를 더 구비하여, 그릴(12)과 뚜껑(13)이 간편하고 안전하게 본체(11)에 안착시킬 수 있다. 돌출부(133)는 뚜껑(13) 외주부(131)의 끝단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돌출된다.
본체(11)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게 위치한 그릴(12)은 본체(11)의 열 유입구(111)를 통하여 유입된 직화열에 의해 가열되어, 그릴(12)에 놓인 내용물을 익힌다. 이러한 그릴(12)의 중심부(121)에는 예컨대 삼발이 형태의 고정부(미도시)가 있을 수 있고, 그릴(12)의 중심부(121)는 열 유입구(111)와 동일 면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나, 본 고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그릴(12)의 중심부(121)와 그릴(12)의 외주부(123) 사이에는 홀(122)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서는 두개의 홀이 그릴(12)의 중심부(121)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게 각각 형성되어 있으나, 홀의 개수와 위치가 본 고안을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홀(122)은 본체(11)의 공간부(113)에 수납된 물로 낙하될 수 있는 그릴(12)의 위치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릴(12)의 중심부(121)에 고정 또는 착탈가능하게 설치된 열 확산부(14)는 열 유입구(111)를 통하여 유입된 직화열을 대류 및 순환을 일으킨다. 이러한 열 확산부(14)는 위쪽으로 갈수록 직경이 선형적으로 넓어지는 역원뿔형상일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열 확산부(14)는 수용부(141)와, 안내홈(142)을 포함한다.
수용부(141)는 물이 수용되는 부분으로, 내용물의 종류에 따라 적정량의 물을 채운다. 수용부(141)의 물은 직화열에 의해 증기로 변해 내용물의 건조를 막아 촉촉한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수용부(141)의 외벽에는 안내홈(142)이 형성되며, 안내홈(142)은 열 유입구(111)를 거친 직화열의 이동방향을 안내한다. 특히, 수용부(141)의 상단이 위쪽으로 갈수록 직경이 비선형적으로 넓어지는 나발 형상으로 이루어져, 열 유 입구(111)를 통과한 직화열이 상부로 집중되지 않고 안내홈(142)을 따라 그릴(12) 내에 놓인 내용물쪽으로 확산되어, 그릴(12) 위에 놓인 내용물을 직접 가열시켜 굽게 되므로 그릴(12)의 어느 위치에 내용물을 놓더라도 고르게 익힐 수 있다. 또한, 조리용 가열장치로부터 발생되는 열이 내용물에 전달되어 직접 구운것과 같은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나아가, 안내홈(142)은 열 유입구(111)를 거쳐 올라오는 열의 확산범위가 더욱 넓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열 확산부(14)는 수용부(141)의 하단에서 연장된 체결수단(143), 예컨대 스크류에 의해 그릴(12)의 중심부(121)에 마련된 구멍(1211)에 체결될 수 있다.이에 따라,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릴(12)의 중심부(121)에 열 확산부(14)를 결합시킬 수 있고,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릴(12)의 중심부(121)에서 열 확산부(14)를 분리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스크류에 의해 열 확산부(14)를 그릴(12)의 중심부(121)에 체결시키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본 고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닌바, 용접에 의해 열 확산부(14)를 그릴(12)의 중심부(121)에 고정적으로 체결시킬 수도 있다.
그릴(12)의 상부에는 그릴(12)을 덮도록 뚜껑(13)이 위치한다. 뚜껑(13)은 외주부(131)와 상면(132)으로 이루어진다. 외주부(131)는 예컨대 철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면(132)은 투명한 유리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유리재질로 이루어진 상면(132)을 통하여 그릴(12) 내에 놓은 내용물의 조리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뚜껑(13)이 외주부(131)에는 손잡이(134)가 설치되어, 뚜껑(13)의 개폐를 돕는다. 이때, 손잡이(134)는 내열성이 우수한 합성수지류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사용가 뚜껑(13)을 손으로 잡은 상태로 손쉽게 운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직화구이기(1)의 동작을 설명하면, 먼저 사용자는 열 유입구(111)를 갖는 본체(11)의 공간부(113)에 물을 담는다.
다음, 본체(11)의 제 1 안착부(114)에 안착되도록 그릴(12)을 놓는다.
다음, 그릴(12)의 중심부(121)에 열 확산부(14)를 설치한다. 이때, 그릴(12)의 중심부(121)와 열 확산부(14)는 체결수단(143)에 의해 고정적으로 체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그릴(12)를 본체(11)상에 안착시킨 후, 열 확산부(14)가 그릴(12)의 중심부(121)에 설치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본 고안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미 열 확산부(14)를 중심부(121)에 체결한 그릴(12)를 본체(11)에 안착시킬 수도 있다.
다음, 그릴(12) 내에 내용물을 올려놓는다.
다음, 그릴(12)을 덮도록 뚜껑(13)을 본체(11)상에 설치한다.
이후, 조리용 가열장치에서 발생된 직화열이 열 유입구(111)를 통하여 유입되고, 유입된 직화열을 열 확산부(14)에 의해 확산시켜 그릴(12)에 놓인 내용물에 전달되어, 직화열로 내용물을 익힐 수 있다. 이때, 열 확산부(14)는 열 유입구(111)를 거친 열의 이동방향이 상부쪽이 아닌 안내홈(142)을 따라 이동되어 열의 대류와 순화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그릴(12)에 놓은 내용물을 고르게 익힐 수 있다.
이상의 본 고안은 상기에 기술된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들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을 가져올 수 있으며, 이는 첨부된 청구항에서 정의되는 본 고안의 취지와 범위에 포함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직화구이기의 단면 모식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열 확산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직화구이기의 열 확산부와 그릴간의 결합 및 분리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직화구이기 11 : 본체
111 : 열 유입구 112 : 유도벽
113 : 공간부 114 : 제 1 안착부
115 : 제 2 안착부 12 : 그릴
121 : 중심부 122 : 홀
123 : 그릴 외주부 13 : 뚜껑
131 : 뚜껑 외주부 132 : 상면
133 : 돌출부 134 : 손잡이
14 : 열 확산부 141 : 수용부
142 : 안내홈

Claims (6)

  1. 열 유입구를 갖는 본체;
    상기 본체에 안착되어, 상기 열 유입구를 통하여 유입된 열에 의해 가열되는 그릴; 및
    상기 그릴을 덮도록 상기 본체상에 설치된 뚜껑을 포함하고,
    상기 그릴의 중심부에는, 상기 열 유입구를 통하여 유입된 열을 확산시켜 상기 그릴에 놓인 내용물에 전달하는 열 확산부가 설치되는데,
    상기 열 확산부는
    역원뿔형상을 가지며, 물이 채워지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 외벽에 형성되어, 상기 열의 이동방향을 안내하는 안내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화구이기.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열 확산부는 체결수단에 의해 상기 그릴의 중심부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화구이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의 상단은 위쪽으로 갈수록 직경이 비선형적으로 넓어지는 나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화구이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그릴의 중심부와 상기 그릴의 외주부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화구이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뚜껑의 상면은 투명한 유리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화구이기.
KR2020090009527U 2009-07-22 2009-07-22 직화구이기 KR20045924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9527U KR200459241Y1 (ko) 2009-07-22 2009-07-22 직화구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9527U KR200459241Y1 (ko) 2009-07-22 2009-07-22 직화구이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0953U KR20110000953U (ko) 2011-01-28
KR200459241Y1 true KR200459241Y1 (ko) 2012-03-23

Family

ID=442060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9527U KR200459241Y1 (ko) 2009-07-22 2009-07-22 직화구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924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8118639A1 (de) 2017-12-04 2019-06-06 Eun Seong Choi Gaskochherd mit automatisch rotierendem Topf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0321Y1 (ko) * 1998-05-22 2001-05-02 옥재섭 구이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0321Y1 (ko) * 1998-05-22 2001-05-02 옥재섭 구이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8118639A1 (de) 2017-12-04 2019-06-06 Eun Seong Choi Gaskochherd mit automatisch rotierendem Top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0953U (ko) 2011-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36173Y1 (ko) 오븐형 간편 조리기
JP5906211B2 (ja) 加熱調理容器
KR100869185B1 (ko) 간편 조리기
WO2020101116A1 (ko) 화기조절판을 구비한 조리용기
KR200459241Y1 (ko) 직화구이기
KR101993792B1 (ko) 열순환 및 냄새 제거 기능을 갖는 조리용기
KR101722562B1 (ko) 숯불용 화로구이 장치
KR200475796Y1 (ko) 직열구이냄비
WO2011043506A1 (ko) 조리용기의 뚜껑 및 구이판과 전골냄비의 겸용이 가능한 조리기기
KR20170011040A (ko) 간접열 오리 구이기
KR101285707B1 (ko) 냄새 제거용 조리용기
CN205458190U (zh) 环保节能烧烤炉
KR100893326B1 (ko) 조리용기용 뚜껑
KR102147534B1 (ko) 열효율이 높은 불판
KR200459604Y1 (ko) 찜통형 직화 조리기구
KR101045571B1 (ko) 직화 조리기
KR101232617B1 (ko) 직화 가열용 조리기구
KR20110005564U (ko) 직화를 이용한 찜 조리기구
KR101935866B1 (ko) 열순환 및 냄새 제거 기능을 갖는 조리용기
KR101605612B1 (ko) 직화 조리용 뚜껑
KR101131541B1 (ko) 직화 조리기
KR101320210B1 (ko) 열효율이 증가되는 오븐의 구조
KR101032528B1 (ko) 직화 가열용 조리기구
KR20100012797U (ko) 훈제요리가 가능한 열기순환식 고기구이장치
TWM512377U (zh) 多功能爐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