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1705Y1 - 도로의 안전기구 - Google Patents

도로의 안전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1705Y1
KR200381705Y1 KR20-2005-0000918U KR20050000918U KR200381705Y1 KR 200381705 Y1 KR200381705 Y1 KR 200381705Y1 KR 20050000918 U KR20050000918 U KR 20050000918U KR 200381705 Y1 KR200381705 Y1 KR 20038170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shaft
reflector
hinge
ventilation
ro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09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봉근
Original Assignee
(주)성지토목기술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성지토목기술공사 filed Critical (주)성지토목기술공사
Priority to KR20-2005-00009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170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170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1705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E01F13/12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for forcibly arresting or disabling vehicles, e.g. spiked mats
    • E01F13/123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for forcibly arresting or disabling vehicles, e.g. spiked mats depressible or retractable below the traffic surface, e.g. one-way spike barriers, power-controlled prong barr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어린이 안전보호구역이거나 운전자의 안전 등을 위해 주행차량의 서행을 강제 유도해야 하는 도로에 설치되는 과속방지턱과 같은 안전기구에 관한 것으로, 상면이 개구된 중공을 갖추고, 상단일측에는 힌지축삽입홈이 구비된 제1회동연결쇠가 배치되어서, 도로에 매설되는 베이스: 압력에 대한 탄발력을 갖는 완충스프링과, 상기 완충스프링 상에 안착되는 연동블록으로 되어, 상기 중공 내에 탑재되는 완충기; 및, 상기 힌지축삽입홈으로 인입되는 힌지축과, 상기 힌지축을 매개로 상기 베이스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상기 힌지축이 인입되는 힌지축끼움구멍을 갖추고 편중되게 위치되는 제2회동연결쇠와, 상면에 배치되는 반사체와, 상기 연동블록의 상면과 맞물려 이동하면서 상기 완충기에 압력을 가하는 연동롤러로 된 반사대로 이루어진 것이다.

Description

도로의 안전기구{Safe apparatus for driving}
본 고안은 어린이 안전보호구역이거나 운전자의 안전 등을 위해 주행차량의 서행을 강제 유도해야 하는 도로에 설치되는 과속방지턱과 같은 안전기구에 관한 것으로, 야간에도 운전자가 이를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고 차량에도 무리를 주지 않도록 된 것이다.
아파트 단지ㆍ학교 앞ㆍ고속도로 톨케이트 등에는 차량의 과속주행을 방지할 목적으로 상방으로 돌출된 과속방지턱을 두어 운전자로 하여금 감속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야간에도 이러한 과속방지턱을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과속방지턱 상에 위험색(검은색과 노란색이 사선으로 교대 도포된 것)을 칠하여 전조등을 통해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였다.
하지만, 상기 위험색은 잦은 차량통행으로 인해 벗겨지거나 닳아없어져서 야간에는 운전자가 과속방지턱 자체의 존재여부를 확인하는데 곤란함이 있었고, 과속방지턱을 통행할 때 운전자가 과속방지턱의 존재여부를 확인하지 못하여 감속을 하지 못할 경우에는 고속으로 턱을 넘는 차량에 무리를 주어 차량의 파손을 일으킬 수 있었다. 또한, 상기 차량의 탑승자에게도 그 충격이 전달되어 부상을 입을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과속방지를 위한 과속방지턱 등의 안전기구를 운전자가 야간에도 그 존재를 용이하게 파악함으로서 주행속도를 줄일 수 있고, 안전기구를 통과할 경우에도 돌출된 턱에 의해 차량이 무리를 받지 않아 기계적인 손상을 입지 않도록 하는 도로의 안전기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상면이 개구된 중공을 갖추고, 상단일측에는 힌지축삽입홈이 구비된 제1회동연결쇠가 배치되어서, 도로에 매설되는 베이스:
압력에 대한 탄발력을 갖는 완충스프링과, 상기 완충스프링 상에 안착되는 연동블록으로 되어, 상기 중공 내에 탑재되는 완충기; 및
상기 힌지축삽입홈으로 인입되는 힌지축과, 상기 힌지축을 매개로 상기 베이스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상기 힌지축이 인입되는 힌지축끼움구멍을 갖추고 편중되게 위치되는 제2회동연결쇠와, 상면에 배치되는 반사체와, 상기 연동블록의 상면과 맞물려 이동하면서 상기 완충기에 압력을 가하는 연동롤러로 된 반사대;
로 이루어진 도로의 안전기구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상기 도로의 안전기구에 있어서,
상기 중공은 격벽에 의해 격실과 통풍로로 구획되고, 상기 격벽은 상기 통풍로와의 개폐를 유동적으로 이루는 통풍도어가 연결되되 상기 통풍도어는 소정크기의 통풍구가 구비되고 상기 통풍로 방향으로만 회동되며;
상기 완충기는 상기 연동블록에 더 구비된 패킹이 상기 격실의 내벽과 맞물리면서 상기 격실 내에 긴밀하게 배치되어, 상하 이동에 따라 격실 내 공압을 조절하여 상기 통풍도어를 여닫도록 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도로의 안전기구에 대한 분해사시도인바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도로의 안전기구(100)는 과속방지턱의 기능을 수행하면서 차량의 충격을 최소화시키고 운전자가 야간에도 안전기구(100)의 존재여부를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된 것으로, 상기 안전기구(100)는, 상면이 개구된 중공(111)을 갖추고, 상단일측에는 힌지축삽입홈(112a)이 구비된 제1회동연결쇠(112)가 배치되어서, 도로에 매설되는 베이스(110): 압력에 대한 탄발력을 갖는 완충스프링(122, 123)과, 상기 완충스프링(122, 123) 상에 안착되는 연동블록(121)으로 되어, 상기 중공(111) 내에 탑재되는 완충기(120); 및, 상기 힌지축삽입홈(112a)으로 인입되는 힌지축(134)과, 상기 힌지축(134)을 매개로 상기 베이스(110)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상기 힌지축(134)이 인입되는 힌지축끼움구멍(132a)을 갖추고 편중되게 위치되는 제2회동연결쇠(132)와, 상면에 배치되는 반사체(131)와, 상기 연동블록(121)의 상면과 맞물려 이동하면서 상기 완충기(120)에 압력을 가하는 연동롤러(133)로 된 반사대(130)로 이루어진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도로 상에 돌출되게 설치되어서 차량이 이를 넘기위해 감속을 해야하는 원리를 이용한 것으로, 운전자의 부주의로 인해 미처 감속하지 못할 경우에도 돌출된 부분을 고속으로 넘으면서 받는 충격에 의해 차량이 기계적인 손상을 입지 않도록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반사대(130)와, 야간에도 운전자가 안전기구(100)의 존재여부를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반사체(131)가 포함된다.
상기 베이스(110)는 도로의 소정위치를 절개하여 매설하며, 종래 과속방지턱에 상응하는 충분한 길이를 갖는다. 한편, 상기 베이스(110)의 상단일측에는 제1회동연결쇠(112)가 구비된다. 상기 제1회동연결쇠(112)는 상기 반사대(130)에 구비된 제2회동연결쇠(132)에 대응하며, 상기 힌지축(134)을 매개로 상호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서 베이스(110)과 반사대(130)가 회동가능하게 상호 고정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제1ㆍ2회동연결쇠(112, 132)에는 각각 상기 힌지축(134)이 관통하게 되는 힌지축삽입홈(112a)과 힌지축끼움구멍(132a)이 형성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ㆍ2회동연결쇠(112, 132)는 반사대(130)와 베이스(110)의 상호 고정력이 통행차량의 하중을 지탱하기에 충분하도록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는데, 이는 본 고안에 따른 도로의 안전기구(100)를 실시하기 위한 한 일예에 불과하므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미설명된 힌지축고정홈(113)은, 제시된 실시예에서 하나의 상기 힌지축(134)이 다수의 제1ㆍ2회동연결쇠(112, 132)를 일괄적으로 꿰뚫을 수 있는 충분한 길이로 되어서 상기 힌지축(134)의 양단을 베이스(110)에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힌지축(134)이 끼워지는 곳이다.
계속해서, 상기 완충기(120)는 통행차량의 하중으로 발생된 압력에 탄발하여 상기 반사대(130)를 지지하는 한편, 압력이 소멸하면 상기 반사대(130)를 제 위치로 복귀시켜 후발차량의 운전자가 이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완충스프링(122, 123)은 판스프링이 활용되고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고안의 경우에는 상기 완충스프링(122, 123)이 상기 연동블록(121)의 저면 양측에 각각 균형적으로 위치되도록 되었지만, 이 또한 상기 완충스프링(122, 123)이 반드시 한쌍이 구비되어야 함을 보이는 것은 아니다.
상기 연동블록(121)은 상기 완충스프링(122, 123) 상에 조적되어 상기 완충스프링(122, 123)에 의해 탄발지지된다.
상기 반사대(130)는 편중되게 위치된 제2회동연결쇠(132)를 관통하는 힌지축(134)에 의해 상기 베이스(110)와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며, 그 상부는 상방으로 크게 돌출되어서 운전자가 도로 상에 턱이 있음을 확인하도록 된다. 또한, 그 상면에는 반사체(131)가 구비되어서 차량 전조등을 반사시켜 야간에도 운전자가 안전기구(100)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그런데, 본 고안에 따른 상기 반사대(130)의 경우 그 돌출높이와 크기를 종래 과속방지턱보다 상대적으로 크게함으로서, 운전자로 하여금 시각적으로나 심리적으로 감속을 할 수 밖에 없도록 할 수 있다. 이는 상기 반사대(130)가 통행차량의 압력에 의해 회동되면서 상기 베이스(110) 안쪽으로 내입되어 차량에는 무리를 주지 않으므로 가능한 것이다. 물론 상기 반사대(130)의 회동가능범위에 제한을 두어 이러한 안전기구(100)를 지나는 통행차량이 어느정도의 충격은 받을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계속해서, 상기 반사대(130)의 저면에는 연동롤러(133)가 더 구비된다. 상기 연동롤러(133)는 연동블록(121)의 상면과 맞물려서 완충기(120)에 압력을 전달하게 되며, 회전에 의해 상기 연동블록(121)의 상면을 이동할 수 있으므로 회동으로 상하 이동되는 반사대(130)와 연동블록(121) 간의 접합점이 수시로 변하게 되는 구조하에서도 반사대(130)가 받는 압력을 연동블록(121)에 무리없이 전달할 수 있게 한다.
본 고안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상기 중공(111)은 격벽(116)에 의해 격실(117)과 통풍로(119)로 구획되고, 상기 격벽(116)은 상기 통풍로(119)와의 개폐를 유동적으로 이루는 통풍도어(118)가 연결되되 상기 통풍도어(118)는 소정크기의 통풍구(118a)가 구비되고 상기 통풍로(119) 방향으로만 회동되며; 상기 완충기(120)는 상기 연동블록(121)에 더 구비된 패킹(121a)이 상기 격실(117)의 내벽과 맞물리면서 상기 격실(117) 내에 긴밀하게 배치되어, 상하 이동에 따라 격실(117) 내 공압을 조절하여 상기 통풍도어(118)를 여닫도록 된다.
즉, 통행차량의 하중이 가하는 압력으로 상기 반사대(130)가 회동되면 상기 연동롤러(133)를 통해 상기 연동블록(121)이 압력을 받게되고, 상기 완충기(120)가 상기 격실(117) 내에 긴밀하게 조적된 상태에서, 상기 연동블록(121)의 이동은 격실(117) 내 공압을 높이게 된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도로의 안전기구가 작동되는 모습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인바 이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격실(117) 내 공압이 상승하면 상기 통풍도어(118)가 통풍로(119) 방향으로 열리면서 격실(117) 내 공기가 방출되고, 이로인해 공압이 조절된다. 따라서, 상기 연동블록(121)은 큰 저항없이 상기 압력으로 하방이동된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이 통행하여 더 이상의 압력이 가해지지 않게 되면 상기 완충스프링(122, 123)에 의해 상기 연동블록(121)은 상방으로 강제이동된다. 그러면, 상기 격실(117)의 공압이 크게 낮아지면서 상기 통풍로(119)의 공기를 흡수하게 되는데 상기 통풍도어(118)는 기류에 의해 다시 닫히게 된다. 물론, 상기 통풍도어(118)는 걸림돌기(118b)에 의해 격실(117) 안쪽으로는 회동되지 못하므로 격실(117)은 폐구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통풍도어(118)에는 소정크기의 통풍구(118a)가 하나이상 형성되어 작게나마 공기의 유입이 이루어지게 되고 이로인해 상기 연동블록(121)은 상방이동된다. 하지만, 상기 상방이동은 하방이동에 비해 느려질 것이다.
이는 종래 과속방지턱에 비해 돌출 높이가 크게 형성된 본 고안에 따른 반사대(130)가 앞바퀴로부터 받은 압력으로 접혔다가 뒷바퀴가 지나가기도 전에 제 위치로 복귀되면 차량의 저면부와 부딪쳐 이를 파손 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이상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르면, 반사체가 구비된 반사대가 통행차량의 하중으로 접철 및 복귀되면서 상기 반사대가 비교적 크고 높게 돌출되더라고 차량에 무리를 주지 않게 되며, 시각적으로 운전자의 감속을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압력이 소멸한 상황에서 반사대의 복귀시간을 지연시킴으로서, 상기 반사대의 돌출높이를 차체높이보다 높게할 수도 있어 운전자로 하여금 과속에 대해 심리적으로 부담감을 주어 효과적인 과속방지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도로의 안전기구에 대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2 내지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도로의 안전기구가 작동되는 모습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 첨부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용어설명 -
100 ; 안전기구 110 ; 베이스
111 ; 중공 112 ; 제1회동연결쇠
113, 114 ; 힌지고정축 116 ; 격벽
117 ; 격실 118 ; 통풍도어
119 ; 통풍로 120 ; 완충기
121 ; 연동블록 122, 123 ; 완충스프링
130 ; 반사대 131 ; 반사체
132 ; 제2회동연결쇠 133 ; 연동롤러
134 ; 힌지축

Claims (2)

  1. 상면이 개구된 중공을 갖추고, 상단일측에는 힌지축삽입홈이 구비된 제1회동연결쇠가 배치되어서, 도로에 매설되는 베이스:
    압력에 대한 탄발력을 갖는 완충스프링과, 상기 완충스프링 상에 안착되는 연동블록으로 되어, 상기 중공 내에 탑재되는 완충기; 및
    상기 힌지축삽입홈으로 인입되는 힌지축과, 상기 힌지축을 매개로 상기 베이스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상기 힌지축이 인입되는 힌지축끼움구멍을 갖추고 편중되게 위치되는 제2회동연결쇠와, 상면에 배치되는 반사체와, 상기 연동블록의 상면과 맞물려 이동하면서 상기 완충기에 압력을 가하는 연동롤러로 된 반사대;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의 안전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은 격벽에 의해 격실과 통풍로로 구획되고, 상기 격벽은 상기 통풍로와의 개폐를 유동적으로 이루는 통풍도어가 연결되되 상기 통풍도어는 소정크기의 통풍구가 구비되고 상기 통풍로 방향으로만 회동되며;
    상기 완충기는 상기 연동블록에 더 구비된 패킹이 상기 격실의 내벽과 맞물리면서 상기 격실 내에 긴밀하게 배치되어, 상하 이동에 따라 격실 내 공압을 조절하여 상기 통풍도어를 여닫도록 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의 안전기구.
KR20-2005-0000918U 2005-01-12 2005-01-12 도로의 안전기구 KR20038170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0918U KR200381705Y1 (ko) 2005-01-12 2005-01-12 도로의 안전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0918U KR200381705Y1 (ko) 2005-01-12 2005-01-12 도로의 안전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1705Y1 true KR200381705Y1 (ko) 2005-04-14

Family

ID=436832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0918U KR200381705Y1 (ko) 2005-01-12 2005-01-12 도로의 안전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1705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5742B1 (ko) 2008-03-05 2008-06-09 (주)성지토목기술공사 과속방지 및 차량정지를 위한 도로구조
KR100835741B1 (ko) 2008-03-05 2008-06-09 (주)성지토목기술공사 주행차량의 정지유도를 위한 도로구조
KR101545960B1 (ko) * 2014-07-25 2015-08-21 (주)벽산 역주행 방지 과속방지턱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5742B1 (ko) 2008-03-05 2008-06-09 (주)성지토목기술공사 과속방지 및 차량정지를 위한 도로구조
KR100835741B1 (ko) 2008-03-05 2008-06-09 (주)성지토목기술공사 주행차량의 정지유도를 위한 도로구조
KR101545960B1 (ko) * 2014-07-25 2015-08-21 (주)벽산 역주행 방지 과속방지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84905B2 (en) Energy absorbing bollard system
KR100405361B1 (ko) 자동차의 본네트용 힌지
KR101345534B1 (ko) 바리케이드 겸용 볼라드
KR200381705Y1 (ko) 도로의 안전기구
EP1945473A1 (en) Vehicle sliding window
CN105658481A (zh) 具有冲击保护装置的鸥翼门
KR101163784B1 (ko) 상하 열림각도 조정이 가능한 특수차량의 해치 개폐장치
JP2003336232A (ja) 阻止装置
KR100726165B1 (ko) 차량의 액티브 후드용 힌지장치
KR101976326B1 (ko) 차단장치와 이것을 이용한 주차시스템의 안전장치
KR100380359B1 (ko) 자동차의 엔진후드패널 힌지 조립체
WO2006100928A1 (ja) エレベータのドア装置
KR200487715Y1 (ko) 요동 방지용 스토퍼를 구비한 터널용 피난갱문
KR100520360B1 (ko) 자동차용 후드힌지의 충격흡수장치
KR200374521Y1 (ko) 철도 건널목의 바리케이드장치
KR101448425B1 (ko) 자동차 도어 개폐 장치
GB2064642A (en) Door Mounting
KR100376470B1 (ko) 자동차의 엔진후드패널 힌지 조립체
KR100368392B1 (ko) 자동차의 충격완충형 후드 로크장치
KR100716847B1 (ko) 자동차의 도어 체커
CN104093925B (zh) 具有阻尼器的倾斜和转动式窗系统
KR100578054B1 (ko) 자동차용 후드힌지의 충격흡수구조
KR100448060B1 (ko) 자동차용 힌지장치
KR100380357B1 (ko) 자동차의 엔진후드패널 힌지 조립체
KR100527116B1 (ko) 보행자 보호기능을 갖는 자동차의 후드 힌지 충격 흡수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3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