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7715Y1 - 요동 방지용 스토퍼를 구비한 터널용 피난갱문 - Google Patents
요동 방지용 스토퍼를 구비한 터널용 피난갱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87715Y1 KR200487715Y1 KR2020180000511U KR20180000511U KR200487715Y1 KR 200487715 Y1 KR200487715 Y1 KR 200487715Y1 KR 2020180000511 U KR2020180000511 U KR 2020180000511U KR 20180000511 U KR20180000511 U KR 20180000511U KR 200487715 Y1 KR200487715 Y1 KR 200487715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oor
- contact
- stopper
- closed
- rail frame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0000003139 buffer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1
- 230000002457 bidirection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92 sprea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F—SAFETY DEVICES, TRANSPORT, FILLING-UP, RESCUE, VENTILATION, OR DRAINING IN OR OF MINES OR TUNNELS
- E21F11/00—Rescue devices or other safety devices, e.g. safety chambers or escape way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0621—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6—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7/00—Accessories for wing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E05F7/04—Arrangement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rattling
-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F—SAFETY DEVICES, TRANSPORT, FILLING-UP, RESCUE, VENTILATION, OR DRAINING IN OR OF MINES OR TUNNELS
- E21F17/00—Methods or devices for use in mines or tunnels, not covered elsewhe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ulmonology (AREA)
- Gat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널의 양방향 통행로 사이를 연결하는 피난통로에 설치되는 터널용 피난갱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피난통로에 폐쇄되어 있는 피난갱문의 도어가 주행중인 차량들의 풍압에 의해 전후로 요동하여 도어의 탈선 내지 파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피난통로에 설치되는 레일 프레임; 상기 레일 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결합되어 미닫이 방식으로 개폐되고, 폐쇄 방향측 일측 단부에 타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수용홈을 구비한 도어; 상기 레일 프레임에서 일측단에 설치되고, 상기 도어가 폐쇄되었을 때 상기 수용홈에 끼워져 도어의 전후 요동을 방지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터널용 피난갱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널의 양방향 통행로 사이를 연결하는 피난통로에 설치되는 터널용 피난갱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피난통로에 폐쇄되어 있는 피난갱문의 도어가 주행중인 차량들의 풍압에 의해 전후로 요동하여 도어의 탈선 내지 파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피난통로에 설치되는 레일 프레임; 상기 레일 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결합되어 미닫이 방식으로 개폐되고, 폐쇄 방향측 일측 단부에 타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수용홈을 구비한 도어; 상기 레일 프레임에서 일측단에 설치되고, 상기 도어가 폐쇄되었을 때 상기 수용홈에 끼워져 도어의 전후 요동을 방지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터널용 피난갱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이 통행하는 터널은 양방향 차선이 서로 분리되어 시공되며, 좌우 양 차선 각각을 위한 터널이 인접 배열되어 있다.
이러한 터널에는 어느 하나의 차선에서 화재 등의 재난이 발생하는 경우, 다른 차선으로 대피하기 위해 양방향 차선 사이에는 터널 사이를 연결시킨 피난통로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피난통로에는 피난갱문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피난갱문은 평상 시 폐쇄된 상태로 주행중인 차량에 의한 소음 및 풍압이 다른 차선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며, 재난 발생 시 피난갱문의 도어를 개방하여 재난이 발생하지 않는 다른 차선으로 대피 가능하도록 한다.
이와 관련된 종래 기술로써, 실용신안등록 제20-0413097호가 있는데, 상기 등록고안에서는 대차용 피난갱문과 대인용 피난갱문이 통합되어 여단이문과 미단이문이 통합 구성되어 있다.
한편 특허등록 제10-0750715호에서는 대차용 갱문과 대인용 갱문이 통합된 구조의 피난갱문에서 대인용으로 구성된 미닫이문이 다단으로 구성되고, 다단 도어가 함께 연동할 수 있는 구조를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들에 있어서, 대인용 피난갱문은 미닫이 방식으로 개폐 가능한 슬라이딩 도어가 레일 프레임에서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슬라이딩 도어는 각 차선에서 차량, 특히 대형 차량이 통과하면서 발생하는 풍압이 도어에 가해지게 되고,
통상적으로 슬라이딩 행거도어 방식으로 설치되는 슬라이딩 도어의 특성 상, 프레임의 상부레일 보다는 하부레일 측에서 풍압에 의한 도어의 탈선 내지 파손이 발생하기 쉬운 바,
이로 인하여 정작 재난 발생 시에는 슬라이딩 도어의 개방이 불가능하여 피난 기능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피난통로에 폐쇄되어 있는 피난갱문의 도어가 주행중인 차량들의 풍압에 의해 전후로 요동하여 도어의 탈선 내지 파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피난통로에 설치되는 레일 프레임; 상기 레일 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결합되어 미닫이 방식으로 개폐되고, 폐쇄 방향측 일측 단부에 타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수용홈을 구비한 도어; 상기 레일 프레임에서 일측단에 설치되고, 상기 도어가 폐쇄되었을 때 상기 수용홈에 끼워져 도어의 전후 요동을 방지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터널용 피난갱문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본 고안은 스토퍼의 고정이 안전하고 견고하에 유지될 수 있도록, 스토퍼를 상하로 관통하여 형성된 결합공을 구비하여, 상기 결합공에 끼워지는 체결부재가 상기 레일 프레임에 결합되어 스토퍼의 고정이 이루어지는 터널용 피난갱문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도어 폐쇄 시 수용홈을 형성하는 도어의 돌출부가 상기 스토퍼에 접촉하여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며, 폐쇄 상태에서 돌출부와 스토퍼의 밀착을 통해 도어의 전후 요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스토퍼는 전후 양면에 타측 단부를 향해 내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 비접촉 경사면을 포함하여, 상기 도어의 폐쇄 시 상기 수용홈을 형성하는 도어의 돌출부들이 상기 비접촉 경사면에 접촉하지 않으면서 상기 스토퍼의 전후면에 밀착되는 터널용 피난갱문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본 고안은 도어 폐쇄 시 발생하는 스토퍼와의 접촉 충격을 해소함과 동시에, 도어 폐쇄 상태에서 풍압에 의한 도어의 전후 흔들림을 흡수할 수 있도록, 상기 비접촉 경사면의 경사도에 대응하는 사면부를 갖는 삼각형 형상의 완충블록, 상기 완충블록이 상기 돌출부의 내측으로 소정 간격 이격하도록 연결하며 양단이 상기 완충블록과 상기 돌출부에 힌지 결합된 회동바, 상기 완충블록의 일측 단부에 구비된 접촉롤러를 포함하여, 상기 도어가 폐쇄될 때, 상기 접촉롤러가 상기 비접촉 경사면에 선(先) 접촉하면서 상기 완충블록이 외측으로 회동하여 충격 해소가 이루어지는 완충수단을 포함하는 터널용 피난갱문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터널용 피난갱문은,
터널의 양방향 차선 사이를 연결하는 피난통로에 설치되는 터널용 피난갱문에 있어서,
상기 피난통로에 설치되는 레일 프레임;
상기 레일 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결합되어 미닫이 방식으로 개폐되고, 폐쇄 방향측 일측 단부에 타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수용홈을 구비한 도어;
상기 레일 프레임에서 일측단에 설치되고, 상기 도어가 폐쇄되었을 때 상기 수용홈에 끼워져 도어의 전후 요동을 방지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터널용 피난갱문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하로 관통 형성된 결합공을 구비하여, 상기 결합공에 끼워지는 체결부재가 상기 레일 프레임에 결합되어 스토퍼의 고정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터널용 피난갱문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전후 양면에 타측 단부를 향해 내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 비접촉 경사면을 포함하여,
상기 도어의 폐쇄 시 상기 수용홈을 형성하는 도어의 돌출부들이 상기 비접촉 경사면에 접촉하지 않으면서 상기 스토퍼의 전후면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본 고안에 따른 터널용 피난갱문은,
상기 도어의 폐쇄 시, 상기 스토퍼와의 접촉 충격을 해소하는 완충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완충수단은, 상기 비접촉 경사면의 경사도에 대응하는 사면부를 갖는 삼각형 형상의 완충블록, 상기 완충블록이 상기 돌출부의 내측으로 소정 간격 이격하도록 연결하며 양단이 상기 완충블록과 상기 돌출부에 힌지 결합된 회동바, 상기 완충블록의 일측 단부에 구비된 접촉롤러를 포함하여,
상기 도어가 폐쇄될 때, 상기 접촉롤러가 상기 비접촉 경사면에 선(先) 접촉하면서 상기 완충블록이 외측으로 회동하여 충격 해소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터널용 피난갱문은,
미닫이 방식으로 개폐되는 도어가 평상 시 폐쇄된 상태에서, 양방향 차선을 주행하는 차량에 의해 발생하는 풍압에 의해 전후 요동하여 도어의 탈선 내지 파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재난 상황 발생 시 도어의 용이한 개방을 통해 신속하고 안전한 피난이 가능하도록 하고,
스토퍼의 견고한 설치를 통해 도어의 흔들림에 의해 스토퍼의 이탈 내지 파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도어 폐쇄 시 스토퍼가 끼워지는 수용홈을 형성하는 도어의 돌출부 파손을 방지하여 도어의 원활한 개폐가 가능하고,
도어 폐쇄 중 발생하는 도어와 스토퍼의 접촉 충격을 해소함과 동시에, 도어 폐쇄 상태에서 가해지는 도어의 흔들림을 흡수하여, 도어의 안전한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터널용 피난갱문의 요부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터널용 피난갱문의 평면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스토퍼의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완충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 단면도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터널용 피난갱문의 평면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스토퍼의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완충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 단면도들.
본 고안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고안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고안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터널용 피난갱문을 설명함에 있어 편의를 위하여 엄밀하지 않은 대략의 방향 기준을 도 1을 참고하여 특정하면,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을 하측으로 하여 보이는 방향 그대로 상하좌우를 정하고, 다른 도면과 관련된 고안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에서도 다른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이 기준에 따라 방향을 특정하여 기술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터널용 피난갱문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은 터널의 양방향 차선 사이를 연결하는 피난통로에 설치되는 터널용 피난갱문에 관한 것으로, 크게 피난통로에 설치되는 레일 프레임(10), 상기 레일 프레임(10)의 길이방향으로 개폐되는 도어(20), 상기 도어(20)가 폐쇄된 상태에서 도어(20)의 전후 요동을 방지하는 스토퍼(30)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도면에서는 슬라이딩 행거도어 방식의 도어(20)를 대표하여 스토퍼(30)가 레일 프레임(10)의 하측 레일부에 구비된 형태가 도시되어 있고, 좌우 양측 도어(20)가 각각 슬라이딩 개폐 가능한 형태의 피난갱문이 대표적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기 스토퍼(30)는 레일 프레임(10)의 상측 레일부에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 한 개의 도어(20)(다단 도어 포함)만이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레일 프레임(10)은 상기 도어(20)의 슬라이딩 개폐를 안내하는 것으로, 피난통로의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홈(11)이 형성되어 도어(20)가 상기 슬라이딩홈(11)에 끼워져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슬라이딩홈(11)에는 도어(20)의 탈선 방지를 위해 슬라이딩홈(11)의 길이방향으로 가이드부(12)가 설치되며, 도면에서는 파이프 형상의 가이드부(12)가 대표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특히 상기 슬라이딩홈(11)은 종단면이 상측변이 하측변보다 넓은 역사다리꼴(상측 레일부의 경우 사다리꼴) 형상으로 이루어져 도어(20)가 슬라이딩홈(11)에 안착된다.
상기 도어(20)는 상기 레일 프레임(10)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결합되어 미닫이 방식으로 개폐되고, 폐쇄 방향측 일측 단부에 타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수용홈(22)을 구비한다.
상기 수용홈(22)은 도어의 폐쇄 방향측 단부(일측 단부)의 전후면에서 일측으로 돌출된 한 쌍의 돌출부(21)로 형성되며, 경우에 따라 도어(20)의 하측면(또는 상측면)에 돌출부로 형성된 수용홈이 구비되어, 도어가 스토퍼의 상부를 통과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도어(20)는 상기 가이드부(12)에 끼움 결합되어 지지되는 지지수단(미도시, 대표적으로 롤러 등)이 구비되어, 도어(20)의 슬라이딩 개폐가 이루어지며,
레일 프레임(10)의 상부에 도어(20)에 연동하여 도어(20)의 자동 폐쇄를 위한 구동수단(미도시)이 구비되어, 평상 시 도어의 폐쇄 상태가 유지되고 재난 발생 시 인력으로 도어(20)를 쉽게 개방할 수 있음은 물론, 필요 시 도어(20)를 자동으로 폐쇄시켜 재난이 다른 차선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스토퍼(30)는 상기 레일 프레임(10)에서 일측단에 설치되고, 상기 도어(20)가 폐쇄되었을 때 상기 수용홈(22)에 끼워져 도어(20)의 전후 요동을 방지한다.
여기서 상기 스토퍼(30)가 설치되는 레일 프레임(10)의 일측단이란, 도어(20)가 폐쇄되었을 때, 폐쇄 방향측 단부(즉, 우측 도어의 좌측단)가 위치하는 부위를 의미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도면과 같이, 양측 도어(20)를 구비한 피난갱문의 경우,
상기 스토퍼(30)는 양측 도어(20)가 폐쇄되었을 때 서로 접하는 위치인 상기 슬라이딩홈(11)의 중앙에 설치되어, 상기 스토퍼(30)가 양측 도어(20)의 수용홈(22)에 걸리면서, 중행 중인 차량에 의해 발생하는 풍압에 의해 도어(20)가 전후로 요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특히 통상적인 슬라이딩 행거도어 방식을 고려할 때, 상기 스토퍼(30)는 레일 프레임(10)의 하측 레일 상에 구비되어, 풍압에 의한 도어(20)의 탈선 내지 파손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토퍼(30)는 상하로 관통 형성된 결합공(31)을 구비하여, 상기 결합공(31)에 끼워지는 체결부재(미도시)가 상기 레일 프레임(10)에 결합되어 스토퍼(30)의 고정이 이루어진다.
상기 결합공(31)은 스토퍼(30)의 안전한 고정을 위해 전후좌우 총 4개소에 구비되어, 볼트 등의 체결부재가 각 결합공(31)에 끼워져 스토퍼(30)의 설치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스토퍼(30)는 전후 양면에 타측 단부를 향해 내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 비접촉 경사면(32)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도면과 같이, 양측 도어(20)를 구비한 피난갱문의 경우,
상기 스토퍼(30)는 전후면의 각 양측 단부에 전후좌우로 대칭되는 상기 비접촉 경사면(32)이 구비된다.
이러한 비접촉 경사면(32)은 상기 도어의 폐쇄 시 상기 수용홈(22)을 형성하는 도어(20)의 돌출부(21)들이 상기 비접촉 경사면(32)에 접촉하지 않으면서 상기 스토퍼(30)의 전후면에 밀착되도록 한다.
즉, 스토퍼(30)와 도어(20) 제작 시 스토퍼(30)의 전후 폭과 돌출부(21)들 사이의 간격은 일정 이상의 공차가 발생할 수밖에 없는데, 이들 공차가 작아질수록 돌출부(21)가 스토퍼(30)에 충돌하여 파손될 위험성이 커져 도어(20)가 정상적으로 개방 작동하지 않을 수 있고, 공차가 커질수록 돌출부(21)와 스토퍼(30) 사이의 간격이 넓어져 도어(20)의 전후 요동 방지 기능이 저하될 수 있으므로,
상기 비접촉 경사면(32)을 통해 상기한 문제점을 동시에 해결할 수 있다.
이때 비접촉 경사면(32)의 경사도 및 양측 비접촉 경사면(32)들 사이의 간격은 도어(20)의 규격(도어(20) 전체의 사이즈, 돌출부(21)의 길이나 간격 등)에 따라, 도어(20)의 안전한 폐쇄가 가능하면서 도어 폐쇄 상태에서 스토퍼(30)에 의한 도어(20)의 전후 지지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스토퍼(30)는 도 3과 같이, 전후(또는 좌우)로 대칭되는 한 쌍의 분체(30A)들의 결합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고안은 상기 비접촉 경사면(32)을 통해 도어(20)와 스토퍼(30)의 충돌을 방지하나, 도어(20)가 슬라이딩홈(11)에 설치될 때 발생하는 공차 등으로 인해 도어(20)가 전후방 일측으로 쏠려서 돌출부(21) 중 하나가 비접촉 경사면(32)에 충돌하여 파손될 수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 도어의 폐쇄 시 상기 스토퍼(30)와의 접촉 충격을 해소하면서, 도어 폐쇄 상태에서 도어(20)의 흔들림을 흡수할 수 있는 완충수단(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완충수단(40)은, 상기 비접촉 경사면(32)의 경사도에 대응하는 사면부를 갖는 삼각형 형상의 완충블록(41), 상기 완충블록(41)이 상기 돌출부(21)의 내측으로 소정 간격 이격하도록 연결하며 양단이 상기 완충블록(41)과 상기 돌출부(21)에 힌지 결합된 회동바(41a), 상기 완충블록(41)의 일측 단부에 구비된 접촉롤러(41b)를 포함한다.
상기 완충블록(41)은 각 돌출부(21)의 내측에 모두 구비되며, 도어 개방 상태에서 완충블록(41)이 돌출부(21)와 이격하도록 구비된다.
이를 위해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회동바(41a)가 힌지 결합되는 돌출부(21)의 힌지부에는 회동바(41a)를 내측으로 회동하도록 강제하는 탄성수단(예를 들어 힌지부에 구비되어 양단이 벌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휘하여 회동바(41a)를 내측으로 회동시키는 토션스프링 등)이 설치되어, 상기 완충블록(41)이 돌출부(21)이 이격되도록 강제된다.
상기 접촉롤러(41b)는 상기 완충블록(41)의 일측(도어의 폐쇄방향측) 단부에서 좌우 수평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도어(20)가 폐쇄될 때, 상기 접촉롤러(41b)가 상기 비접촉 경사면(32)에 선(先) 접촉하면서 상기 완충블록(41)이 외측으로 회동하여, 충격 해소가 이루어진다.
즉, 도어 폐쇄 시 접촉롤러(41b)가 비접촉 경사면(32)에 접촉하여 완충블록(41)이 타측(도어 개방 방향)으로 가압되면서 돌출부(21)를 향해 외측으로 회동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탄성수단의 탄성력이 작용하여 완충블록(41)의 회동 속도를 줄여줌으로써, 스토퍼(30)와의 접촉 충돌을 해소한다.
또한 이렇게 접촉 충격을 해소할 경우 돌출부(21)와 스토퍼(30) 사이의 간격이 넓어져 도어(20)의 요동 방지 기능이 저하될 수 있다.
이에 상기 완충수단(40)은 상기 돌출부(21)의 내측면에 구비되고, 내부에 공기가 충진된 에어셀(42a)을 형성하면서 소정의 탄성력을 갖는 가요성 소재로 이루어진 쿠션부재(42)를 포함하여,
상기 완충블록(41)이 외측으로 회동하면서 상기 쿠션부재(42)를 눌러서, 상기 에어셀(42a)의 압축으로 인해 상기 쿠션부재(42)의 일측 확장부(42b)가 팽창하면서 확장부(42b)가 상기 돌출부(21)와 상기 스토퍼(30)의 접면 사이로 밀착되어 돌출부(21)의 탄성 지지가 이루어진다.
즉, 상기 완충블록(41)의 외측 회동으로 접촉 충격을 1차적으로 해소한 후, 도어(20)가 완전하게 닫힌 상태에서, 완충블록(41)에 의해 쿠션부재(42)의 에어셀(42a)이 가압되면, 쿠션부재(42)의 소재 특성으로 인해 에어셀(42a)의 공기가 스토퍼(30)측으로 연장된 확장부(42b) 영역으로 이동하여 확장부(42b)를 부풀리게 되고, 이렇게 팽창된 확장부(42b)가 돌출부(21)와 스토퍼(30) 사이에 밀착됨에 따라, 풍압에 의해 도어(20)가 전후로 흔들릴 경우 확장부(42b)가 이를 흡수하여 도어(20)의 요동 방지 기능을 보다 안정적으로 보장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완충블록(41)의 가압에 의해 확장부(42b)가 팽창하는 단면적이 가압 전의 에어셀(41a)의 단면적보다 작게 도시되어 있으나, 쿠션부재(42)의 상하좌우 길이 팽창에 의한 단면적 감소에 의한 것으로, 에어셀(41a)의 내부 체적은 변화되지 않는다.
이상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요동 방지용 스토퍼를 구비한 터널용 피난갱문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레일 프레임 11 : 슬라이딩홈
12 : 가이드부
20 : 도어 21 : 돌출부
22 : 수용홈
30 : 스토퍼 31 : 체결공
32 : 비접촉 경사면 40 : 완충수단
41 : 완충블록 41a : 회동바
41b : 접촉롤러 42 : 쿠션부재
42a : 에어셀 42b : 확장부
12 : 가이드부
20 : 도어 21 : 돌출부
22 : 수용홈
30 : 스토퍼 31 : 체결공
32 : 비접촉 경사면 40 : 완충수단
41 : 완충블록 41a : 회동바
41b : 접촉롤러 42 : 쿠션부재
42a : 에어셀 42b : 확장부
Claims (4)
- 터널의 양방향 차선 사이를 연결하는 피난통로에 설치되는 터널용 피난갱문에 있어서,
상기 피난통로에 설치되는 레일 프레임;
상기 레일 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결합되어 미닫이 방식으로 개폐되고, 폐쇄 방향측 일측 단부에 타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수용홈을 구비한 도어;
상기 레일 프레임에서 일측단에 설치되고, 상기 도어가 폐쇄되었을 때 상기 수용홈에 끼워져 도어의 전후 요동을 방지하는 스토퍼;를 포함하되,
상기 스토퍼는 전후 양면에 타측 단부를 향해 내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 비접촉 경사면을 포함하여,
상기 도어의 폐쇄 시 상기 수용홈을 형성하는 도어의 돌출부들이 상기 비접촉 경사면에 접촉하지 않으면서 상기 스토퍼의 전후면에 밀착되고,
상기 도어의 폐쇄 시, 상기 스토퍼와의 접촉 충격을 해소하는 완충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완충수단은, 상기 비접촉 경사면의 경사도에 대응하는 사면부를 갖는 삼각형 형상의 완충블록, 상기 완충블록이 상기 돌출부의 내측으로 소정 간격 이격하도록 연결하며 양단이 상기 완충블록과 상기 돌출부에 힌지 결합된 회동바, 상기 완충블록의 일측 단부에 구비된 접촉롤러를 포함하여,
상기 도어가 폐쇄될 때, 상기 접촉롤러가 상기 비접촉 경사면에 선(先) 접촉하면서 상기 완충블록이 외측으로 회동하여 충격 해소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용 피난갱문.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하로 관통 형성된 결합공을 구비하여, 상기 결합공에 끼워지는 체결부재가 상기 레일 프레임에 결합되어 스토퍼의 고정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용 피난갱문.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80000511U KR200487715Y1 (ko) | 2018-02-01 | 2018-02-01 | 요동 방지용 스토퍼를 구비한 터널용 피난갱문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80000511U KR200487715Y1 (ko) | 2018-02-01 | 2018-02-01 | 요동 방지용 스토퍼를 구비한 터널용 피난갱문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87715Y1 true KR200487715Y1 (ko) | 2018-10-25 |
Family
ID=640499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80000511U KR200487715Y1 (ko) | 2018-02-01 | 2018-02-01 | 요동 방지용 스토퍼를 구비한 터널용 피난갱문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87715Y1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164820A (ja) * | 1999-12-06 | 2001-06-19 | Okamura Corp | 家具等における引戸装置 |
KR20110062005A (ko) * | 2009-12-02 | 2011-06-10 | (주)해밀 | 슬라이딩 도어패널을 위한 이탈방지부재를 구비한 피난갱문 |
-
2018
- 2018-02-01 KR KR2020180000511U patent/KR200487715Y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164820A (ja) * | 1999-12-06 | 2001-06-19 | Okamura Corp | 家具等における引戸装置 |
KR20110062005A (ko) * | 2009-12-02 | 2011-06-10 | (주)해밀 | 슬라이딩 도어패널을 위한 이탈방지부재를 구비한 피난갱문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806917A (en) | Integrated motor vehicle door and chassis | |
KR101776374B1 (ko) | 자동차용 패시브 후드 힌지 장치 | |
KR102366950B1 (ko) | 차량 및 보행자 사용이 가능한 터널용 차단문 | |
KR101127639B1 (ko) | 개폐구용 완충장치 | |
US4078333A (en) | Swinging door system | |
WO2007046779A1 (en) | Vehicle sliding window | |
KR101718484B1 (ko) | 슬라이딩 도어용 스토퍼 | |
EP1640537B1 (en) | Device for stopping with shock absorption and stabilizing sliding doors and shutters | |
KR101169607B1 (ko) | 안전문 | |
KR200487715Y1 (ko) | 요동 방지용 스토퍼를 구비한 터널용 피난갱문 | |
US3038196A (en) | Door hinge | |
KR101232283B1 (ko) | 여닫이식 도어의 도어 완충기 결합형 경첩 | |
KR20200071952A (ko) | 대향형 슬라이딩 도어의 슬라이딩 트림 커버 구조 | |
RU201449U1 (ru) | Рельсовое 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с подвижной частью пола в дверном проёме | |
JP2008308968A (ja) | 吊り引戸の閉鎖緩衝装置 | |
US10711510B2 (en) | Fixation device especially for glass folding devices | |
US12188273B1 (en) | Hinge assembly with energy control and methods | |
KR20140105916A (ko) | 여닫이문의 완충장치 | |
KR102116766B1 (ko) | 슬라이드식 도어를 갖는 장롱의 듀얼 댐핑 스토퍼 | |
KR102082806B1 (ko) | 미닫이 도어용 댐퍼 | |
KR101467625B1 (ko) | 댐퍼가 구비된 티-티 방식 창호 | |
KR100935010B1 (ko) | 강성이 향상된 플랫폼 스크린도어용 창호 | |
KR200395339Y1 (ko) | 도어의 방풍 겸용 쿠션장치 | |
KR200381599Y1 (ko) | 미닫이 창호 및 이에 사용되는 크리센트 | |
KR200361241Y1 (ko) | 도어 완충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