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2806B1 - 미닫이 도어용 댐퍼 - Google Patents

미닫이 도어용 댐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2806B1
KR102082806B1 KR1020190037648A KR20190037648A KR102082806B1 KR 102082806 B1 KR102082806 B1 KR 102082806B1 KR 1020190037648 A KR1020190037648 A KR 1020190037648A KR 20190037648 A KR20190037648 A KR 20190037648A KR 102082806 B1 KR102082806 B1 KR 1020828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pper
sliding door
upper rail
damper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76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성호
Original Assignee
진성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성호 filed Critical 진성호
Priority to KR10201900376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28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28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28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03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for 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6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1Brakes
    • E05Y2201/212Buff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4Rails;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8Rollers

Landscapes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닫이 도어용 댐퍼에 관한 것으로써, 상부레일에 설치된 스토퍼가 진입하여 이동되도록 가이드 라인이 형성된 본체, 상기 가이드 라인의 말단에 구비되며, 상기 스토퍼가 상기 가이드 라인을 따라 이동시 상기 스토퍼로 인한 충격을 완충하고, 상기 스토퍼를 고정시키는 고정부, 상기 본체의 일측에 좌우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된 복수개의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일단에 구비되어 상기 상부레일의 내부 측면과 접촉하여 마찰을 저감하는 측면 롤러 및 상기 지지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부를 좌우방향으로 벌리는 탄성부재를 포함함으로써, 도어의 두께와 상관없이 상부레일과의 유격을 없애 도어가 한 쪽 방향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Description

미닫이 도어용 댐퍼{DAMPER FOR SLIDING DOOR}
본 발명은 미닫이 도어용 댐퍼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도어를 문틀에 결합하는 경우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는 미닫이 도어용 댐퍼에 관한 것이다.
도어를 지지하는 롤러가 레일부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여 도어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데, 사용자가 의식적으로 주의를 하지 않으면 도어의 개폐시에 도어가 레일부의 단부에 부딪혀 충격을 가하는 일이 많고, 충격이 과하면 도어가 반발력으로 후진 이동하여 살짝 열리거나 닫히는 일이 많다.
도어의 개폐 시에 가해지는 속도(충격)를 완화하기 위해서 도어에는 댐퍼를 구비하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도어(1)의 경우 상부레일(10)에 도어(1)를 끼워 조립하게 되는데 이때, 도어(1)는 상부레일(10)를 따라 이동하기 위하여 상부레일(10)의 너비에 비하여 작은 두께로 형성되고, 도어(1)의 상부에는 도어(1)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롤러(30)가 형성된다.
그러나, 상부레일(10)에 도어(1)를 끼워 조립할 시 롤러가 고정되어 있어 도어(1)의 상부에 설치된 댐퍼와 상부레일(10) 사이에 유격이 발생될 수 밖에 없다. 이에 따라, 도어(1)가 상부레일에서 한 쪽 방향으로 기울어진 상태로 작동되기 때문에 도어(1)가 정상적으로 작동할 수 없고, 도어(1)가 기울어져 동작함으로 인해 도어(1)의 하부에 형성된 바퀴에 편마모가 생겨 도어(1)가 고장나는 하자의 요인이 된다.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1607555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본 발명은 상부레일과의 유격이 없도록 하여 도어가 한 쪽 방향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도어를 상부레일에 쉽게 끼워 조립할 수 있도록 한 미닫이 도어용 댐퍼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닫이 도어용 댐퍼는 상부레일에 설치된 스토퍼가 진입하여 이동되도록 가이드 라인이 형성된 본체, 상기 가이드 라인의 말단에 구비되며, 상기 스토퍼가 상기 가이드 라인을 따라 이동시 상기 스토퍼로 인한 충격을 완충하고, 상기 스토퍼를 고정시키는 고정부, 상기 본체의 일측에 좌우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된 복수개의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일단에 구비되어 상기 상부레일의 내부 측면과 접촉하여 마찰을 저감하는 측면 롤러 및 상기 지지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부를 좌우방향으로 벌리는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닫이 도어용 댐퍼는 측면 롤러 사이에 탄성부재를 구비하여 측면 롤러가 내부 측면에 접촉되어 도어를 지지하도록 함으로써, 도어의 두께와 상관없이 상부레일과의 유격을 없애 도어가 한 쪽 방향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함에 따라, 도어의 하부에 있는 바퀴의 편마모로 인한 하자를 방지할 수 있고, 스토퍼와 센터를 일치시켜 미닫이 도어용 댐퍼의 정상적인 동작이 가능하다. 또한, 도어를 상부레일에 쉽게 끼워 조립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도어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닫이 도어용 댐퍼가 구비된 도어를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닫이 도어용 댐퍼를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닫이 도어용 댐퍼와 동작하는 스톱퍼 및 그 설치위치를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기술 등은 첨부되는 도면들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함과 더불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부가적으로, 각 도면에 걸쳐 표시된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본 발명의 설명된 실시예의 논의를 불필요하게 불명료하도록 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공지된 특징 및 기술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닫이 도어용 댐퍼가 구비된 도어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닫이 도어용 댐퍼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닫이 도어용 댐퍼와 동작하는 스톱퍼 및 그 설치위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닫이 도어용 댐퍼(100)는 미닫이 도어(1)의 상단 양쪽에 설치되는 것으로써 미닫이 도어(1)를 열린 상태로 고정되도록 하거나, 미닫이 도어(1)가 닫힐때 문의 속도를 감속시키면서 이동하는 힘을 완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닫이 도어용 댐퍼(100)는 본체(110), 고정부(120), 지지부(130), 측면롤러(140) 및 탄성부재(15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110)는 미닫이 도어용 댐퍼(100)의 외형을 구성하는 것으로, 미닫이 도어(1)의 길이 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양 끝단에는 볼트와 같은 결합부재를 이용하여 미닫이 도어(1)의 상단에 결합할 수 있도록 결합홀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본체(110)는 미닫이 도어(1)의 두께와 대응되거나, 미닫이 도어(1)의 두께에 비하여 좁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110)는 상부레일(10)에 설치된 스토퍼(20)가 진입하여 이동되도록 가이드 라인(111)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이드 라인(111)은 본체(110)의 일단에서 중심 영역까지 길이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스토퍼(20)에 돌출되게 형성된 고정돌기(21)가 끼워져 이동하도록 소정 깊이의 홈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120)는 가이드 라인(111)에 구비될 수 있으며, 스토퍼(20)가 가이드 라인(111)을 따라 이동시 스토퍼(20)로 인한 충격을 완충하고, 스토퍼(20)를 고정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부(120)는 가이드 라인(111)에 구비될 수 있으며, 미닫이 도어(1)를 개폐하는 경우 스토퍼(20)의 고정돌기(21)가 가이드 라인(111)의 일단으로 진입하여 가이드 라인(111)을 따라 이동하면 고정돌기(21)의 이동하는 힘을 완충함과 함께 고정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120)는 완충부(121)와 고정홀(12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완충부(121)는 두 개의 직삼각형이 빗변을 마주한 상태로 상하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밑변과 높이 변이 절개되어 있어 탄성력을 가지게 된다. 이러한 상기 완충부(121)는 두 개의 직삼각형이 빗변을 마주한 부분에 가이드 라인(111)을 따라 이동하는 고정돌기(21)가 부딪히면서 완충작용을 한다.
또한, 상기 고정홀(122)은 고정돌기(21)가 완충부(121)에 의해 완충된 후 고정돌기(21)가 삽입됨으로써, 미닫이 도어(1)가 닫힌상태 또는 열린상태로 고정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미닫이 도어(1)가 열린상태에서 닫히거나, 닫힌상태에서 열리는 경우, 완충부(121)는 원위치, 즉 가이드 라인(111)의 일단부로 이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부(130)는 본체(110)의 일측에 좌우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부(130)는 본체(110)의 일측에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각각의 지지부(130)는 일단부가 수직방향의 회전축(131)에 의해 결합되어 회전축(131)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면롤러(140)는 지지부(130)의 끝단에 구비되어 상부레일(10)의 내부 측면과 접촉하여 마찰을 저감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측면롤러(140)는 각각의 지지부(130) 끝단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회전축에 결합되어 회전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미닫이 도어(1)가 상부레일(10)를 따라 이동할 시 측면롤러(140)가 상부레일(10)의 내측면을 따라 회전하여 상부레일(10)과 미닫이 도어(1) 사이의 마찰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미닫이 도어(1)가 소음 없이 부드럽게 개폐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탄성부재(150)는 지지부(130) 사이에 구비되어 지지부(130)를 좌우방향으로 벌리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탄성부재(150)는 'V'자 형태의 스프링 일 수 있으며, 지지부(130) 사이에 구비되어 양단부가 양측에 구비된 지지부(130)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탄성부재(150)는 양측의 지지부(130)에 힘이 가해져 오므려지는 경우 탄성 복원력에 의해 양측의 지지부(130)를 다시 좌우방향으로 벌릴 수 있다. 또한, 탄성부재(150)는 탄성 복원력에 의해 양측의 지지부(130)를 다시 좌우방향으로 벌림으로써, 측면롤러(140)를 상부레일(10)의 내측면에 밀착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닫이 도어용 댐퍼(100)는 탄성부재(15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측면롤러(140)를 상부레일(10)의 내측면에 밀착시킴으로써, 미닫이 도어(1)의 두께와 상관없이 상부레일(10)과의 유격을 없앨 수 있다. 이에 따라, 미닫이 도어(1)가 한 쪽 방향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미닫이 도어(1)의 하부에 있는 바퀴의 편마모로 인한 하자를 방지할 수 있고, 스토퍼(20)와 미닫이 도어용 댐퍼(10)의 센터를 일치시켜 미닫이 도어용 댐퍼(10)의 정상적인 동작이 가능하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 상기 탄성부재(150)는 가운데 부분이 권취된 'V'자 형태의 스프링을 채택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지지부(130)를 양측으로 벌릴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지지부(130) 타단이 톱니 형상으로 형성되어 서로 맞물려 회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체(110)의 양측에 각각 구비된 지지부(130)의 타단은 톱니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톱니 형태의 타단 부분이 서로 맞물리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한쪽의 지지부(130)가 회전하는 경우, 톱니 형태의 서로 맞물린 지지부(130)의 타단으로 인해 다른 쪽의 지지부(130)도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미닫이 도어(1)를 상부레일(10)에 조립할 시 미닫이 도어(1)를 비스듬하게 기울인 상태로 조립하게 된다. 이때 한 쪽의 측면롤러(140)가 상부레일(10)의 내측면에 먼저 닿아 한 쪽의 지지부(130)가 회전하게 되고, 톱니 형태의 지지부(130)에 의해 다른 쪽의 지지부(130)도 함께 회전하여 양측의 지지부(130)가 오므라들면서 미닫이 도어(1)를 상부레일(10)에 쉽게 끼워 조립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본체(110)는 일측에 상부레일(10)의 천정면과 접촉하여 마찰을 저감하도록 형성된 천정면 롤러(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천정면 롤러(160)는 본체(110)의 일측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회전축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미닫이 도어(1)를 상부레일(10)에 끼워 조립할 시 상부레일(10)의 천정면과 접촉하여 회전함으로써, 상부레일(10)과 미닫이 도어(1) 사이의 마찰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미닫이 도어(1)가 소음 없이 부드럽게 개폐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아울러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또는 '포함하는'으로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소자 및 장치의 존재 또는 추가를 의미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명세서를 통해 개시된 모든 실시예들과 조건부 예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독자가 본 발명의 원리와 개념을 이해하도록 돕기 위한 의도로 기술된 것으로, 당업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 본체
120 : 고정부
121 : 완충부
122 : 고정홀
130 : 지지부
140 : 측면롤러
150 : 탄성부재
160 : 천정면 롤러

Claims (4)

  1. 상부레일에 설치된 스토퍼가 진입하여 이동되도록 가이드 라인이 형성된 본체;
    상기 가이드 라인에 구비되며, 상기 스토퍼가 상기 가이드 라인을 따라 이동시 상기 스토퍼로 인한 충격을 완충하고, 상기 스토퍼를 고정시키는 고정부;
    상기 본체의 일측에 좌우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된 복수개의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끝단에 구비되어 상기 상부레일의 내부 측면과 접촉하여 마찰을 저감하는 측면 롤러; 및
    상기 지지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부를 좌우방향으로 벌리는 탄성부재;
    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부는
    두 개의 직삼각형이 빗변을 마주한 상태로 상하로 형성되고, 밑변과 높이변이 절개된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스토퍼로 인한 충격을 완충하는 완충부; 및
    상기 완충부의 후단에 구비되어 상기 스토퍼를 고정시키는 고정홀;
    을 포함하는 미닫이 도어용 댐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타단이 톱니 형상으로 형성되며, 서로 맞물려 회전되도록 형성된 미닫이 도어용 댐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일측에 상기 상부레일의 천정면과 접촉하여 마찰을 저감하도록 형성된 천정면 롤러를 더 포함하는 미닫이 도어용 댐퍼.
KR1020190037648A 2019-04-01 2019-04-01 미닫이 도어용 댐퍼 KR1020828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7648A KR102082806B1 (ko) 2019-04-01 2019-04-01 미닫이 도어용 댐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7648A KR102082806B1 (ko) 2019-04-01 2019-04-01 미닫이 도어용 댐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2806B1 true KR102082806B1 (ko) 2020-02-28

Family

ID=696381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7648A KR102082806B1 (ko) 2019-04-01 2019-04-01 미닫이 도어용 댐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280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39411A (zh) * 2019-09-09 2019-11-12 苏州升德精密电气有限公司 一种防跳移门阻尼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49955A (ja) * 2011-08-30 2013-03-14 Nakanishi Metal Works Co Ltd 引戸用ブレーキ装置
CN204436115U (zh) * 2015-01-14 2015-07-01 冯秋波 一种壁柜门防跳阻尼上轮装置
KR20160002772A (ko) * 2013-04-15 2016-01-08 중산 오파이크 하드웨어 프로덕트 컴퍼니.,리미티드. 이중댐퍼 튀어오름 방지 상부휠 장치
KR101607555B1 (ko) 2014-10-13 2016-03-30 전기순 미닫이 도어의 댐퍼 시스템
CN106968559A (zh) * 2017-03-11 2017-07-21 广东亚当斯金属制造有限公司 一种推拉门滑行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49955A (ja) * 2011-08-30 2013-03-14 Nakanishi Metal Works Co Ltd 引戸用ブレーキ装置
KR20160002772A (ko) * 2013-04-15 2016-01-08 중산 오파이크 하드웨어 프로덕트 컴퍼니.,리미티드. 이중댐퍼 튀어오름 방지 상부휠 장치
KR101607555B1 (ko) 2014-10-13 2016-03-30 전기순 미닫이 도어의 댐퍼 시스템
CN204436115U (zh) * 2015-01-14 2015-07-01 冯秋波 一种壁柜门防跳阻尼上轮装置
CN106968559A (zh) * 2017-03-11 2017-07-21 广东亚当斯金属制造有限公司 一种推拉门滑行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39411A (zh) * 2019-09-09 2019-11-12 苏州升德精密电气有限公司 一种防跳移门阻尼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1348B1 (ko) 서랍식 냉장고 도어가스켓 보호 장치
KR101718484B1 (ko) 슬라이딩 도어용 스토퍼
KR102082806B1 (ko) 미닫이 도어용 댐퍼
JP6512403B2 (ja) 引戸用緩衝閉鎖装置
KR20170041061A (ko) 가구용 아웃도어 댐퍼
KR20090003401U (ko) 경사진 레일을 통하여 자동개폐 기능을 구현한 슬라이딩도어
TWM551642U (zh) 滑動門的滑動裝置
KR20080076475A (ko) 스윙 도어
KR102112274B1 (ko) 여닫이식 도어와 문틀의 결합구조
CN205532132U (zh) 一种防尘隔音门
KR20190033232A (ko) 슬라이딩 도어
JP2018127776A (ja) 引き戸用クローザ
KR20230086061A (ko) 확장형 발코니용 유리난간대
JP2011084903A (ja) シャッタ
KR20040084002A (ko) 창문용 패킹
KR20210009857A (ko) 도어의 신체 끼임 방지장치
KR100744717B1 (ko) 미닫이 도어용 하부가이드레일 지지구조
KR200413512Y1 (ko) 도어 조립체
CN217300255U (zh) 一种可缓冲的自动闭门装置和门体
JP2004169469A (ja) 引戸構造
KR20110133865A (ko) 가구용 슬라이딩 도어의 롤러 어셈블리
KR102634414B1 (ko) 가구용 슬라이딩 도어 시스템
KR20110134265A (ko) 가구용 슬라이딩 도어의 롤러 어셈블리
KR102492726B1 (ko) 도어 스토퍼
JP5035968B2 (ja) 緩衝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