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0709Y1 - 파손 방지 주차장 차단기 - Google Patents

파손 방지 주차장 차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0709Y1
KR200350709Y1 KR20-2004-0003799U KR20040003799U KR200350709Y1 KR 200350709 Y1 KR200350709 Y1 KR 200350709Y1 KR 20040003799 U KR20040003799 U KR 20040003799U KR 200350709 Y1 KR200350709 Y1 KR 20035070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
arm portion
parking lot
breaker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37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정연
강승재
고명
김준기
손대범
손주리
윤성배
정민호
조현창
차지원
Original Assignee
차정연
강승재
고명
김준기
손대범
손주리
윤성배
정민호
차지원
조현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정연, 강승재, 고명, 김준기, 손대범, 손주리, 윤성배, 정민호, 차지원, 조현창 filed Critical 차정연
Priority to KR20-2004-00037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070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07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0709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E01F13/04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 E01F13/06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by swinging into open position about a vertical or horizontal axis parallel to the road direction, i.e. swinging g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파손 방지 주차장 차단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 주차장 차단기는 제1아암부(1)와 제2아암부(2)로 구성되며, 상호간에 탄성적으로 결합되어 수평면에서 직진성을 유지하며, 제1아암부(1)의 일단에 연결핀이 형성되어 있고, 제2아암부(2)의 일단에 연결홀(14)이 형성되어 결합되어있다. 또한 상기 제1아암부(1)가 충돌에 의하여 수평면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소정의 탄성력을 받고 있는 쇠구슬(12)과, 충돌력에 따라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제1아암부(1)의 일단에 원호를 따라 반원형중공홀(13)이 형성된다.

Description

파손 방지 주차장 차단기{Unbreakable Gate Bar Of Parking Lot}
본 고안은 파손 방지 주차장 차단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주차장 차단기의 아암부가 차량과 충돌하는 경우 차단기가 파손되지 않고 차량 또한 안전을 보장할 수 있는 주차장 차단기에 관한 것이다. 특별히, 본 고안에 따를 경우, 상기 아암부가 작동 중 차량과 충돌하는 경우 아암부의 일부가 충돌을 흡수하면서 회전하게 되어 차단기가 파손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상기 아암부에 충돌하는 차량에 충격을 주지 않게 되고 상기 아암부의 파손 방지를 보장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아암부가 회전함에 따라 수직방향에서 상기 아암부와 차량의 충돌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아암부가 수직방향으로 회전되어 열린 위치에서 차량이 진입할 때 차단기의 아암부가 하방으로 내려오면 차량과 아암부의 충돌이 발생할 수 있다.
다른 경우로서, 상기 아암부의 수평방향에서 차량이 충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암부가 일부 열린 상태 또는 닫힌 상태(아암부가 수평위치에 있는 경우)에서 차량이 진입하는 경우 그 수평방향에서 아암부와 차량의 충돌이 있을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주차장 차단기(4)를 보인다. 도시한 바와 같이 주차장 차단기(4)는 지지체(3)에 대하여 상호 결합부위(A)를 갖는 아암부(1, 2)가 수직방향으로 회전하여 차량의 입출(入出)을 통제하게 된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지지체(10)에는 제2아암부(2)에 정역회전이 가능한 모터가 연결되어 상기 모터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2아암부(2)가 회전하고 상기 제2아암부(2)와 결합되어 있는 제1아암부(1)의 회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본 고안과 관련되어 비교적 유사하거나 비교적 관련된 종래 기술에 따른 기술 문헌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한국실용신안 등록번호 20-0311353호는 아암(1)이 작동 중 물체와 충돌하는 경우 홀더(100)가 분해되면서 아암(1)이 탈거된다는 점에서 본 고안과 상이하다. 차단기의 아암(1)과 차량의 충돌 시 차단기와 차량에 충격을 주지 않고 안전을 보장한다는 점에서 본 고안의 효과와 유사하나 아암(1)이 일체형으로 되어 있고 아암을 지지하고 회전시켜주는 아암홀더(100)가 상기 충돌 시에 분해된다는 점이 본 고안과의 상이점을 갖는다. 또한 상기 도 1a의 고안은 충돌 후 아암홀더(100)와 아암(1)이 분해되므로 상기 충돌 후 차량의 바퀴에 의해 파손의 우려가 있는 단점이 있으며, 상기 아암홀더(100)가 탈거 시 조립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요청을 만족시킨다. 본 고안의 목적은 주차장 차단기의 아암부와 차량의 충돌이 있을 때 그 충격을 최소화하여 안전을 보장할 수 있는 주차장 차단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주차장 차단기의 구조를 보이는 도면,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주차장 차단기의 안전 아암홀더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아암부가 수평방항에서 충돌이 있는 경우 본 고안의 작동을 보이는 도면,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아암부의 일 실시예의 절단면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1아암부의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제1아암부
2 : 제2아암부
11 : 스프링
12 : 쇠구슬
13 : 반원형중공홀
14 : 연결홀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에 따른 주차장 차단기의 아암부는 제1아암부와 제2아 암부로 구성되며, 상호간에 탄성적으로 결합되어 수평면에서 직진성을 유지하며, 제1아암부의 일단에 연결핀이 형성되어 있고, 제2아암부의 일단에 연결홀이 형성되어 결합되어있다. 또한 상기 제1아암부가 충돌에 의하여 수평면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소정의 탄성력을 받고 있는 쇠구슬과, 충돌력에 따라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제1아암부의 일단에 원호를 따라 반원형중공홀이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상기 아암부가 수평방향(차단기가 닫혀진 상태)에서 차량과 충돌 시 상기 제1아암부는 충돌을 흡수하게 되고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한다. 또한 제2아암부에 소정의 탄성력을 갖고 구비된 쇠구슬은 상기 제1아암부에 형성된 반원형중공홀에 걸리게 되어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지 못하게 된다.
또한, 상기 아암부가 수직 회전방향에서(차단기가 닫히거나 열리는 상태에서) 차량과 충돌 시 상기 제1아암부는 그 충돌력에 의하여 회전하고 상기 쇠구슬-반원형중공홀 결합에 따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지 못하게 된다.
이에 따라 아암부와 차량이 충돌할 때 상기 차량에 가하는 충격력은 최소화 되고 아암부 파손 방지는 보장된다.
본 고안에서, 상기 제1아암부와 제2아암부의 연결부는 제1아암부가 제2아암부를 수직방향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핀-홀 연결 방식, 즉, 연결홀에 연결핀이 결합되어 있는 연결 방식이므로, 차량 충돌 시 제2아암부의 회전이 쉽게 이루어지도록 쇠구슬에 소정의 탄성력을 주고, 회전 후 반원형중공홀에 쇠구슬이 걸리도록 쇠구슬을 밀어주는 소정의 탄성력을 가진 스프링을 갖추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제1아암부 및 제2아암부의 첫번째 반원형중공홀에는 접점센서가 부착되어 상기 제1아암부가 회전할 경우 이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체 아암부의 길이 중 상기 제2아암부의 길이를 최소화하여 상기 결합부위가 충돌에 노출되지 않고, 상기 제2아암부의 회전관성모멘트가 커져 회전이 쉽게 되도록 제1아암부의 길이를 최대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주차장 차단기의 아암부(1, 2)의 단면 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아암부(1, 2)는 본 고안의 설명에서 병기된 바와 같이 두 개로 분할되는 제1아암부(1)와 제2아암부(2)를 가진다.
이들 두 개의 아암부(1, 2)중의 어느 하나는 상호간에 결합하는 상호 결합부위에서 다른 하나를 수직으로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연결핀 또는 연결홀(14)이 형성되어 있고, 주차장 차단기의 정면에서 보았을 때 아암부가 수평하게 연결되어 있도록 한다. 또한 제2아암부는 상단과 하단에 소정의 스프링(11) 설치공간이 구비되고 상기 스프링 끝에 쇠구슬(12)을 위치시켜 상기 쇠구슬(12)이 소정의 탄성력을 받도록 상기 스프링(11)의 길이를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스프링(11)에 의해서 설치공간에서 지지되도록 결합됨과 동시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설치공간의 턱에 의해서 스프링(11)의 탄성력이 유한한 스트로크 거리만큼 억제되도록 결합된 쇠구슬(12)은 본 고안의 설명에서 탄성 돌기를 의미한다.
또한, 제1아암부(1)에는 돌출단이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는 제2아암부(2)에는 상기 돌출단을 축 연장방향으로 삽입시켜서 지면을 기준으로 수직방향으로 지지력을 발생시키면서 수평방향으로 회전 가능케 감싸는 'Y' 자 단면 형상의 힌지형 홀더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연결홀(14)은 상호간의 결합위치인 상기 돌출단과 힌지형 홀더를 수직방향으로 관통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쇠구슬(12)과 반원형중공홀(13)은 1:1로 대응되는 것으로서, 설치 원주면을 따라서 원주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배열된다. 특히, 쇠구슬(12)들은 상호 결합부위의 일측에, 즉 제2아암부(2)에서 힌지형 홀더의 상, 하단에 배열되며, 반원형중공홀(13)은 상호 결합부위의 타측에, 즉 제1아암부(1)의 돌출단을 제외한 내곡면의 상, 하단에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아암부(1)와 제2아암부(2)의 상호 결합부위는 주차장 차단기의 본체에 근접하게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런 경우, 전체 아암부의 길이 중 제2아암부(2)의 길이를 최소화하여 결합부위가 충돌에 노출되지 않고, 상기 제2아암부(2)의 회전관성모멘트가 커져 회전이 쉽게 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아암부(1)의 결합부위에 연결홀(14)을 형성하고 상기 쇠구슬(12)이 안착되도록 소정의 위치에 반원형중공홀(13)을 형성하여 상기 제1아암부(1)와 제2아암부(2)는 수평방향에 탄성적으로 결합되어 있다.
이제, 본 고안의 작동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상기 아암부가 차량과 충돌 시 제1아암부(1)가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다. 상기 제1아암부(1)는 차량과 충돌 시 제2아암부 결합단의 원호를 따라 회전한다. 상기 충돌 시의 충격량은 제1아암부(1)의 회전관성모멘트로 변환되고 상기 쇠구슬(12)에 인가되어 있는 탄성력의 접선력보다 상기 모멘트가 클 경우 회전이 일어난다. 수평상태에서 상기 쇠구슬(12)에 해당하는 제1아암부(1)의 해당 반원형중공홀(13)은 다음 단의 쇠구슬에 안착되고 다시 상기 쇠구슬의 접선력이 모멘트보다 클 경우 다음 단의 쇠구슬에 위치하게 되어 회전이 일어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접선력이 모멘트보다 작을 경우 회전은 더 이상 진행하지 못하고 상기 반원형중공홀(13)에 걸리게 되어 제1아암부(1)의 회전은 멈추게 되는 것이다.
특별히,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아암부(1)의 첫번째 반원형중공홀(13)에 접점스위치를 달아 제1아암부(1)가 회전할 경우 회전을 감지하여 차량 관제실 등에 알릴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를 경우, 차량과의의 충돌이 있으면 제1아암부(1)가 회전하므로서 차량에 미치는 충격량이 최소화되고 아암부(1, 2)의 파손 방지를 보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주차장 차단기의 아암부와 차량의 충돌이 있을 때 제1아암부가 회전함으로서 그 충격을 최소화하여 차량에 안전을 보장할 수 있고, 차단기의 아암부가 파손되지 않는 주차장 차단기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파손 방지 주차장 차단기는 복수개로서 소정의 탄성력을 받고 있는 쇠구슬들과, 충돌력에 따라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쇠구슬들에 각각 대응하는 제1아암부의 반원형중공홀들에 의해서, 제1아암부가 상기 제2아암부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일시에 90도 만큼 회전하지 않고 충돌의 강도에 따라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할 수 있어서 충격 감쇠의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아암부가 수직으로 회전하여 차량의 입출을 통제하는 주차장 차단기에 있어서,
    상기 아암부(1, 2)의 상호 결합부위에 형성된 연결홀(14)과,
    상기 아암부(1, 2)의 어느 하나가 상기 아암부(1, 2)의 다른 하나에 수직방향으로 지지되도록 상기 연결홀(14)에 결합된 연결핀과,
    소정 크기의 탄성력을 발생시키도록 상기 아암부(1, 2)의 상호 결합부위의 일측에서 소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배치된 복수개의 탄성 돌기와,
    상기 탄성 돌기에 대응하도록 상호 결합부위의 타측에 각각 형성된 복수개의 반원형중공홀(1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손 방지 주차장 차단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부(1, 2)의 회전을 감지하도록 상기 반원형중공홀(13)과 상기 탄성돌기 중 어느 하나에 접점센서가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손 방지 주차장 차단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부(1, 2)의 상호 결합부위가 주차장 차단기의 본체에 근접하게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손 방지 주차장 차단기.
KR20-2004-0003799U 2004-02-11 2004-02-11 파손 방지 주차장 차단기 KR20035070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3799U KR200350709Y1 (ko) 2004-02-11 2004-02-11 파손 방지 주차장 차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3799U KR200350709Y1 (ko) 2004-02-11 2004-02-11 파손 방지 주차장 차단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0709Y1 true KR200350709Y1 (ko) 2004-05-17

Family

ID=494303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3799U KR200350709Y1 (ko) 2004-02-11 2004-02-11 파손 방지 주차장 차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070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4750B1 (ko) * 2012-08-14 2013-02-19 권봉원 차량 진입 차단 장치
KR102453452B1 (ko) 2022-05-17 2022-10-12 김홍일 파손방지기능을 구비한 굴절 주차차단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4750B1 (ko) * 2012-08-14 2013-02-19 권봉원 차량 진입 차단 장치
KR102453452B1 (ko) 2022-05-17 2022-10-12 김홍일 파손방지기능을 구비한 굴절 주차차단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199429B1 (en) Vehicle hood hinge
US6834735B2 (en) Vehicle bonnet hinge
ES2382172T3 (es) Dispositivo de ajuste de posición de volante de dirección
KR100633639B1 (ko) 후드 래치어셈블리의 세이프티 레버 작동구조
KR200350709Y1 (ko) 파손 방지 주차장 차단기
JP4604717B2 (ja) 排気管構造
KR100913951B1 (ko) 자동차 핸들의 고정 장착용 네비게이션 장치
ES2219492T3 (es) Tope de puerta para vehiculos.
KR101461340B1 (ko) 자동차용 후드의 레치식 액티브 힌지장치
ES2376863B1 (es) Lavadora.
KR200313385Y1 (ko) 주차장 차단기의 안전 아암 홀더
KR100546854B1 (ko) 승강이 가능한 바퀴를 구비한 슬라이딩도어
KR20000020872U (ko) 차량 출입 통제용 안전 구조물
KR100551266B1 (ko) 차량의 후드힌지 장착구조
KR100380382B1 (ko) 자동차 후드힌지부의 충격 흡수장치
KR100471295B1 (ko) 스티어링 컬럼의 회전 방지구조
KR100406150B1 (ko) 충격 흡수 래치 구조
KR100368417B1 (ko) 자동차의 엔진후드패널 힌지 조립체
KR200365453Y1 (ko) 와이퍼 피봇 하우징
KR100513878B1 (ko) 도난방지용 후드탑마크 어셈블리
KR20010034944A (ko) 자동차의 와이퍼 아암용 피봇축의 충격흡수장치
KR100748889B1 (ko) 승객용 버스손잡이
JPH04103976U (ja) ドアガード
KR100588674B1 (ko) 차량 도어의 임팩트 패드 고정 구조
KR100368392B1 (ko) 자동차의 충격완충형 후드 로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10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