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3385Y1 - 주차장 차단기의 안전 아암 홀더 - Google Patents

주차장 차단기의 안전 아암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3385Y1
KR200313385Y1 KR20-2002-0037761U KR20020037761U KR200313385Y1 KR 200313385 Y1 KR200313385 Y1 KR 200313385Y1 KR 20020037761 U KR20020037761 U KR 20020037761U KR 200313385 Y1 KR200313385 Y1 KR 20031338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
opening
arm holder
body portion
parking l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77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윤원
Original Assignee
아마노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마노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아마노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2-00377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338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338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3385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E01F13/04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 E01F13/042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for controlling access to an individual parking space

Landscapes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주차장 차단기의 안전 아암홀더(100)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안전 아암홀더는 본체부(150)(50)를 가지며 상기 본체부에 대하여 선회가능하게 결합되는 선회판(180)을 가진다. 상기 선회판(180)은 아암의 회전방향에 따른 궤적을 가지는 선회개구부(185)를 가지며, 상기 개구부(185)에 대하여 핀(85)이 설치된다.

Description

주차장 차단기의 안전 아암 홀더{Safe arm holder for lifting gate on the parking lot}
본 고안은 주차장의 차단기의 안전 아암홀더(arm holder)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주차장 차단기의 아암이 차량 또는 사람과 충돌하는 경우 안전을 보장할 수 있는 안전 아암홀더에 관한 것이다. 특별히, 본 고안에 따를 경우, 상기 아암이 하강시 물체와 충돌하는 경우 더 이상의 아암의 하강이 없다. 또한 아암이 그 수평방향에서 물체와 충돌하는 경우, 홀더가 분해되면서 아암이 탈거된다. 이에 따라, 상기 아암에 충돌하는 물체 또는 사람에 충격을 주지 않게 되며 이에 따라 이들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일반적인 주차장 차단기(30)를 보인다. 도시한 바와 같이 주차장 차단기(30)는 지지체(10)에 대하여 아암(1)이 회전하여 차량의 입출(入出)을 통제하게 된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지지체(10)에는 아암(1)을 지지하는 아암홀더가 설치되며 상기 아암홀더의 회전에 따라 상기 아암(1)의 회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아암(1)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아암(1)의 하부에서 차량 또는 사람이 충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아암(1)이 상방으로 회전되어 열린 위치에서 차량이 진입할 때 차단기(100)의 아암(1)이 하방으로 내려오면 차량과 아암(1)이 충돌할 수 있다.
다른 경우로서, 상기 아암(1)의 수평방향에서 차량 또는 사람이 충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암(1)이 일부 열린 상태 또는 닫힌 상태(아암이 수평위치에 있는 경우)에서 차량이 진입하는 경우 그 수평방향에서 아암(1)과 차량의 충돌이 있을 수 있다.
이렇게 주차장 차단기의 아암(1)은 차량 또는 사람과 충돌할 위험성을 가지고 있는데, 만일 이러한 충돌이 있을 때 그 충격을 극소화 할 수 있다면 안전상 매우 바람직할 것이다.
본 고안은 상술한 요청을 만족시킨다. 본 고안의 목적은 주차장 차단기의 아암과 물체의 충돌이 있을 때 그 충격을 최소화하여 안전을 보장할 수 있는 주차장 차단기의 아암홀더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아암홀더는 그 내부를 관통하여 아암이 설치되는 아암홀더 본체부와, 상기 아암홀더 본체부의 일측면에 선회 가능하게 부착되는 것으로서, 그 하측부분에서 상방내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이며 상기 아암의 회전시 하강하는 방향에 대하여 기울어져 형성되는 제1개구부와 상기 제1개구부의 상부측에서 이로부터 연속적으로 아암의 회전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2개구부를 포함하는 선회개구부가 형성된 선회판을 가진다. 이때, 상기 아암홀더본체부의 상기 일측면에는 상기 선회판의 제1개구부에 대응한 대응홈이 형성되고 상기 선회판의 제1개구부 및 상기 대응홈을 관통하여 가이드 부재가 설치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아암홀더 본체부와 상기 선회판의 사이에는 상기 선회판의 제1개구부에 대응한 대응 개구부가 형성된 것으로서 그 상방에 스토퍼가 설치된 중간판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아암홀더 본체부는 아암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으로 분리되는 두 개의 몸체부를 포함하고, 각각의 몸체부는 상기 아암을 지지하는 공간부를 가져 여기에 상기 아암이 적치된다. 또한, 상기 몸체부 중 어느 하나는 상호간 대면하는 방향으로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다른 하나의 몸체부에는 상기 돌출부를 수용하는 수용공이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돌출부는 다수 개로 분할되고 전체적으로 유선형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아암홀더본체부의 각각의 몸체부에는 접점센서가 부착되어 상기 몸체부들이 분리될 경우 이를 감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주차장 차단기의 구조를 보이는 도면;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아암홀더의 일 실시예의 분해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본 고안에 따른 선회판의 작동을 보이는 도면;
도 4a 및 도 4b는 아암의 하강시 충돌이 있는 경우 본 고안의 작동을 보이는 도면; 그리고
도 5a 및 도 5b는 아암이 그 수평방향에서 충돌이 있는 경우 본 고안의 작동을 보이는 도면.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50: 제1몸체부 50: 제2몸체부 180: 선회판
160: 중간판 185: 선회개구부 85: 가이드 핀
이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주차장 차단기의 안전아암홀더(10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안전아암홀더(100)는 제1몸체부(150)와 제2몸체부(50)를 가진다. 이들 제1몸체부(150)와 제2몸체부(50)는 하나로 결합되어 아암홀더 본체부를 구성하며 상기 아암홀더 본체부에 아암(1)이 그 내부를 관통하여 설치된다.
상기 아암홀더본체부의 제1몸체부(150)의 일측면에는 상기 제1몸체부(150)에 대하여 선회 가능한 선회판(180)이 부착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선회판(180)의 좌측하단에 개구(189)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189)에 대응하여 제1몸체부(150)에 개구(159)가 형성된다. 이들 개구(159)(189)에 대하여 캡(89)이 끼워지고 상기 캡(89)에 대하여 볼트(9)가 결합되어 상기 선회판(180)은 상기 제1몸체부(150)에 대하여 선회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선회판(180)은 그 하측부분에서 상방내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선회개구부(185)를 가지는데, 상기 선회개구부(185)는 상기 아암(1)의 회전시 하강하는 방향에 대하여 기울어져 형성되는 제1개구부(1851)와 상기 제1개구부(1851)의 상부측에서 이로부터 연속적으로 아암(1)의 회전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2개구부(1852)를 가진다.
상기 아암홀더 본체부의 제1몸체부(150)의 상기 선회판(180)이 부착되는 측면에는 상기 선회판(180)의 제1개구부에 대응한 대응홈(155)이 형성되고 이들 제1개구부(1851) 및 상기 대응홈(155)을 관통하여 가이드부재(85)가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가이드부재(85)는, 도시된 바와 같이, 머리가 달린 핀이고 상기 핀을 수용하는 링체(86)가 상기 대응홈(155)에 끼워진다. 따라서 상기 핀 부재(85)는 상기 제1개구부(1851) 및 상기 대응홈(155)을 따라 움직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아암홀더 본체부의 제1몸체부(150)와 상기 선회판(180)의 사이에는 중간판(160)이 설치된다. 상기 중간판(160)에는 상기 선회판(180)의 제1개구부(1851)에 대응한 대응개구부(165)가 형성되고 또한 그 상측에는 상기 선회판(180)의 상방으로의 추가의 회전을 막는 스토퍼(162)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핀 부재(85)는 상기 대응개구부(165)를 관통하게 된다.
상기 중간판(160)에는 개구(168)가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제1몸체부(150)에는 개구(158)가 형성되며, 이들 개구를 관통하여 볼트(8)가 결합되어 상기 중간판(160)은 상기 제1몸체부(150)에 결합된다. 또한 상기 중간판(160)에는 상기 캡(189)을 위한 개구(169)가 형성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기 중간판(160) 및 상기 제1몸체부(150)에는 각각 개구(166) 및 개구(156)가 각각 형성되고 여기에 볼트(186)가 관통하고 있다. 상기 볼트(186)를 탈거 할 수 있도록 상기 선회판(180)에는 개구(6)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선회판(180)에는 모터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부(187)가 설치되어있다.
도 3a는 본 고안에 따른 아암홀더(100)가 차단기에서의 회전위치상 상방에 위치한 경우를 보인다. 이 경우, 상기 선회판(180)의 제1개구부(1851)에 설치된 가이드핀(85)은 제1개구부(1851)에서, 도면을 참고로, 최좌측위치에 놓여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아암홀더(100)는 모터의 동력을 받아 하방으로 회전하게 되는데, 도 3b의 위치까지 홀더(100)가 회전된 상태에서 충격이 있는 경우는 충격에 의하여 상기 가이드핀(185)은 제1개구부(1851)를 따라 하측(도면상 우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제2개구부(1852)와 접하는 부분에 이르게 된다. 그러면 그 이후의 모터의 회전력의 전달은 몸체부(150)를 회전시키지 못하고 단지 선회판(180)만의 회전을 일으키게 된다. 즉 이 경우 도 3b에서 보이는 것과 같이 선회판(180)에서, 상기 가이드 핀(85)은 상기 제2개구부(1852)의 궤적을 따를 수 있게되어 선회판(180)에 전달되는 회전력은 단지 선회판(180)만의 회전을 이루게 된다. 이에 따라서 상기 아암홀더 본체부에 지지되는 아암(1)의 회전은 없고 그 위치에서 고정되게 된다.
다시 도 2를 참고로, 본 고안에 따른 아암홀더 본체부는 아암(1)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으로 분리되는 두 개의 제 1 및 제 2 몸체부로 (150)(50)이루어진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몸체부(150)(50)는 상기 아암(1)을 지지하는 공간부(157)(57)를 가져 여기에 상기 아암(1)이 적치된다.
특별히 본 고안에 따를 경우, 상기 몸체부(150)(50) 중 어느 하나(50)는 상호간 대면하는 방향으로 돌출부(51)가 형성되고 상기 다른 하나의 몸체부(150)에는상기 돌출부(150)를 수용하는 수용공(151)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돌출부(51)가 상기 수용공(151)에 결합되어 상기 몸체부들(150)(50)의 결합이 이루어진다.
상기 돌출부(51)는 다수 개로 분할되어 전체적으로 유선형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돌출부(51)는 4개의 부분(511)(512)(513)(524)으로 분할되며 전체적으로 유선형의 형상을 하고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분할된 부분들은 탄성을 가지게 되어 돌출부(51)가 그 수용공(151)에 쉽개 결합이 되고 그 분리도 용이해진다.
각각의 몸체부(150)(50)에는 접점센서(18)가 부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이들 몸체부(150)(50)가 분리되면 이를 감지할 수 있게 된다.
이제, 본 고안의 작동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4a는 차단기의 아암(1)이 열린 위치에서 하방으로 회전할 때 그 하부에서 특정물체와 충돌하는 상황을 보인다. 이러한 경우, 도 4b에서 보이는 것과 같이 단지 선회판(180)만의 회전이 있고 홀더 본체부의 회전은 없어 상기 아암은 그 자리에 고정되게 된다. 이에 따라 그 충격이 최소화된다.
도 5a는 차단기 아암(1)과 그 수평방향에서 충돌이 있는 경우를 보인다. 이 경우 그 충격에 의하여 아암(1)이 수평방향 평면에서 모멘트(moment)를 받고 이에 따라 제2몸체부(50)가 탈거되고 그러면서 상기 아암(1)도 탈거된다. 이에 따라 상기 충돌물체에 가해지는 충격이 최소화된다. 이때, 상기 접점센서(18)는 몸체부(150)(50)들의 분리를 감지하고 이를 관제실 등에 알릴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주차장 차단기의 아암과 물체의 충돌이 있을 때 그 충격을 최소화하여 안전을 보장할 수 있는 주차장 차단기의 아암홀더를 제공한다.
이로서 본 고안의 목적이 달성되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은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사상에 따라 그 권리범위는 다음의 청구범위에 의한다.

Claims (5)

  1. 아암을 지지하여 그 회전에 따라 상기 아암이 회전하게 되는 주차장 차단기의 아암홀더에 있어서,
    (a) 그 내부를 관통하여 아암이 설치되는 아암홀더 본체부와;
    (b) 상기 아암홀더 본체부의 일측면에 선회 가능하게 부착되는 것으로서, 그 하측부분에서 상방내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이며 상기 아암의 회전시 하강하는 방향에 대하여 기울어져 형성되는 제1개구부와 상기 제1개구부의 상부측에서 이로부터 연속적으로 아암의 회전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2개구부를 포함하는 선회개구부가 형성된 선회판을 포함하며;
    (C) 상기 아암홀더본체부의 상기 일측면에는 상기 선회판의 제1개구부에 대응한 대응홈이 형성되고 상기 선회판의 제1개구부 및 상기 대응홈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주차장 차단기의 안전아암홀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홀더 본체부와 상기 선회판의 사이에는 상기 선회판의 제1개구부에 대응한 대응 개구부가 형성된 것으로서 그 상방에 스토퍼가 설치된 중간판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장 차단기의 안전아암홀더.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홀더 본체부는 아암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으로 분리되는 두 개의 몸체부를 포함하고,
    각각의 몸체부는 상기 아암을 지지하는 공간부를 가져 여기에 상기 아암이 적치되며,
    상기 몸체부 중 어느 하나는 상호간 대면하는 방향으로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다른 하나의 몸체부에는 상기 돌출부를 수용하는 수용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장 차단기의 안전아암홀더.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다수 개로 분할되고 전체적으로 유선형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장 차단기의 안전아암홀더.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홀더본체부의 각각의 몸체부에는 접점센서가 부착되어 상기 몸체부들이 분리될 경우 이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장 차단기의 안전아암홀더.
KR20-2002-0037761U 2002-12-18 2002-12-18 주차장 차단기의 안전 아암 홀더 KR20031338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7761U KR200313385Y1 (ko) 2002-12-18 2002-12-18 주차장 차단기의 안전 아암 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7761U KR200313385Y1 (ko) 2002-12-18 2002-12-18 주차장 차단기의 안전 아암 홀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3385Y1 true KR200313385Y1 (ko) 2003-05-14

Family

ID=494066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7761U KR200313385Y1 (ko) 2002-12-18 2002-12-18 주차장 차단기의 안전 아암 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338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5153B1 (ko) 2012-03-09 2013-11-29 안범준 차량 차단기용 구동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5153B1 (ko) 2012-03-09 2013-11-29 안범준 차량 차단기용 구동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42801B1 (en) Vehicle hood hinge
KR100405361B1 (ko) 자동차의 본네트용 힌지
JP4658582B2 (ja) フードラッチアセンブリのセーフティレバー作動構造
KR20050114623A (ko) 안전장치
JP2009243101A (ja) 車両のドアアウタハンドル構造
US7475921B2 (en) Device with an equipment door, an actuator unit and a bolting device element
KR200313385Y1 (ko) 주차장 차단기의 안전 아암 홀더
CN103950814B (zh) 轿门门锁门刀装置
CN113187332A (zh) 一种车落水及侧翻自动开窗和开锁装置
US6557209B1 (en) Device for restraining movement of a door
EP2796348B1 (en) Automobile hood link-type active hinge device
KR100649453B1 (ko) 좌우수 공용 가능한 유리도어용 도어록 장치
KR100404540B1 (ko) 맨홀뚜껑의 고정구조
KR100424017B1 (ko) 원통 형상의 본네트 잠금 장치
JPH0525977A (ja) 隔壁装置
JP2728374B2 (ja) ドアヒンジ装置
KR100358279B1 (ko) 플랫폼용 가동펜스
KR0131975Y1 (ko) 소형굴삭기의 콘솔박스 레버를 이용한 안전장치
CN217538447U (zh) 一种带撞击保护的门
CN113415702B (zh) 一种电梯外撑门锁结构及其控制方法
JP7103590B2 (ja) ドアロック装置及びそのドアロック装置の車両ドアへの取付方法
KR200182673Y1 (ko) 함체의 도어 고정장치
KR200205793Y1 (ko) 맨홀뚜껑의 고정구조
KR0140613B1 (ko) 자동차용 도어 자동 잠금해제장치
KR0117054Y1 (ko) 측면 충돌시 도어 열림 방지용 도어 자동 잠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12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