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0188Y1 - 솥뚜껑 구이판 - Google Patents

솥뚜껑 구이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0188Y1
KR200330188Y1 KR20-2003-0021924U KR20030021924U KR200330188Y1 KR 200330188 Y1 KR200330188 Y1 KR 200330188Y1 KR 20030021924 U KR20030021924 U KR 20030021924U KR 200330188 Y1 KR200330188 Y1 KR 20033018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discharge hole
pot lid
oil discharge
m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19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육용
Original Assignee
신육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육용 filed Critical 신육용
Priority to KR20-2003-00219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018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018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0188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94Broiling rac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 A47J36/04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the materials being non-metall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솥뚜껑 구이판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손잡이(10)가 형성되는 상부 중앙 부위로부터 바깥쪽으로 점차 낮아지게 되어 육류가 올려 놓여져서 육류가 익혀지는 구이부(11)가 형성되는 솥뚜껑 구이판(1)을 형성함에 있어서, 1~3부피%의 참숯 성분을 포함하여 제작되면서, 점차 낮아지는 원주상의 최하단 단부(12)로부터 바깥쪽을 향하여 상부로 경사지면서 일체로 형성되는 경사단부(13)에 의하여 기름배출공(15)을 구비하는 원주상의 기름받이부(14)가 형성되고, 상기 기름받이부(14)에 흘러내려온 기름이 기름배출공(15)으로 모일 수 있도록 저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다리(17)(18)가 형성되며, 상기 다리(17)(18)는 기름배출공쪽의 다리(18) 보다 반대편 쪽 다리(17)의 높이가 더 높게 형성되어 흘러내린 기름을 기름배출공(15)으로 유도시켜서 한군데로 배출되게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솥뚜껑 구이판 {Cooking pan using lid of a kettle}
본 고안은 육류를 굽는 구이판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솥뚜껑의 형상으로 되는 구이판에서 육류를 구울 때에 육류에서 용해되어 흘러나오는 기름을 적절하게 배출시킬 수 있는 개량된 솥뚜껑 구이판에 관한 것이다.
주철제의 주물 제품인 솥뚜껑은 제작자의 측면에서는 제작이 용이하고, 사용자의 측면에서는 고전적이고 토속적인 분위기를 나타내는 특유한 형상과 이미지로 인하여, 육류를 굽는 구이판으로 각광받으면서 아예 구이판으로 사용할 목적으로 제작되어지고 있다.
일반적인 구이판에서 고려되어야 할 사항 중에 하나는 육류에서 용해되어 흘러나오는 기름을 배출시킬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다량의 기름이 고여 있게 되면 지방을 과다하게 섭취하게 되고, 기름이 타서 연기가 발생하고, 육류를 굽는 일도 번거로울 분만 아니라 고온의 기름이 튀어서 화상을 입을 우려가 있기 때문에 기름을 흡수할 수 있는 물체, 예를 들면 화장지를 사용하여 기름을 주기적으로 흡수시켜주는 경우도 있다.
구이판으로 사용되는 솥뚜껑은 상부 중앙이 높고, 바깥쪽으로 점차 낮아지게 되는 반원형의 형상으로 되기 때문에 육류를 구울 때에 기름이 자연스럽게 흘러내려서 배출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렇게 흘러내리는 기름은 구이판 바깥쪽 가장자리의 불특정한 위치에서 떨어지게 됨으로, 식음을 하는 동안에 테이블을 청결하게 유지하기 위해서는 떨어지는 기름을 처리하여야 한다. 그러나 단순한 솥뚜껑의 구조에서는 의도하는 위치로 기름이 흘러내리도록 유도할 수 있는 구조가 마련되어 있지 않아서 흘러내리는 기름으로 인하여 테이블이 오염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불특정하게 기름이 흘러내리는 부위가 발견되면 여러개의 그릇이나 용기를 기름받이로 사용하여야 하는 사용상의 불편한 점이 있고, 이러한 사용자의 불편을 덜어주기 위해서는 테이블 자체에 기름을 받을 수 있는 구조를 형성하여야 하는 제작상의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테이블 자체에 기름을 받을 수 있는 구조는 환형상의 기름받이를 테이블에 설치하는 것이다. 이러한 기름받이에는 물을 부여서 사용하게 되는데, 가열기의 고온이 전도되어 물이 증발되므로 물을 자주 보충하여야 하고, 부주의로 화상을 입을 수 있기 때문에 취급이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또한 기름 받이를 가스렌지에 올려놓을 경우 가스렌지와 맞추어 주기 위한 보조다리를 맞추는 과정도 불편하기 때문에 솥뚜껑 형상의 구이판에 대하여 구조적인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본 고안은 종래 솥뚜껑 구이판의 구조적인 개선을 통하여, 가스렌지와 같은 가열기 위에 안정되게 놓여지면서 육류에서 나오는 기름을 한군데에 모아서 신속하게 배출시킬 수 있게 하여, 종래 구이판에서의 문제점이 해결함과 동시에 이러한 구이판을 제작하는 과정에서 미량의 참숯 성분을 포함시킴으로써, 육류가 익는 과정에서 탄화되는 육류에서 배출되는 유해성분을 흡수할 수 있는 구이판을 제공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평면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저면을 나타낸 사시도
도 3는 본 고안의 저면도
도 4은 본 고안의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평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서 저면을 나타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a : 구이판 10 : 손잡이
11 : 구이부 12 : 최하단부
13 : 경사단부 14 : 기름받이부
15 : 기름배출공 17 : 다리
18 : 다리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조적인 특징은, 손잡이가 형성되는 상부 중앙 부위로부터 바깥쪽으로 점차 낮아지게 되어 육류가 올려 놓여져서 육류가 익혀지는 구이부가 형성되는 솥뚜껑 구이판을 형성함에 있어서, 1~3부피%의 참숯 성분을 포함하여 제작되면서, 점차 낮아지는 원주상의 최하단 단부로부터 바깥쪽을 향하여 상부로 경사지면서 일체로 형성되는 경사단부에 의하여 기름배출공을 구비하는 원주상의 기름받이부가 형성되고, 상기 기름받이부에 흘러내려온 기름이 기름배출공으로 모일 수 있도록 저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다리가 기름배출공쪽 보다 반대편 쪽의 높이가 더 높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구이판 저면에 형성되는 두개의 다리가 각각 높이가 다르게 되면서 기름배출공 쪽에 형성되는 다리의 높이가 낮게 형성되어 흘러내린 기름은 한군데의 기름배출공을 통하여 배출된다.
본 고안의 특징과 장점은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설명되는 실시예에 의하여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평면도를 사시도를 나타내고 있다. 이 도면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구이판(1)은 전형적인 솥뚜껑의 형상과 같이 중앙에 손잡이(10)가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10)가 형성되는 상부 중앙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만곡된 곡면으로 형성되면서 점차 낮아지는 구이부(1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이부(11)는 육류가 올려 놓여져서 익혀지는 곳으로, 육류가 익혀지면서 만곡된 곡면을 따라 흘러내리는 기름을 수용할 수 있도록 최하단부(12)로부터 위쪽으로 일정한 각도를 가지고 경사지게 돌출되는 경사단부(13)에 의하여 기름받이부(1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기름받이부(14)에서 경사단부(13)가 시작되는 최하단부(12)에는 흘러내린 기름을 한군데로 집적하여 배출하기 위한 기름배출공(15)이 천공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구이부(11)의 저면에는 가스렌지와 같은 가열기의 받침대(도시되지 아니함)에 안착시키기 위하여 반원형으로 되면서 적정한 공간(16)(16a)을 두고, 서로 대향하는 다리(17)(18)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각각의 다리(17)(18) 바닥면에는 가열기 받침대에 견고하게 놓여질 수 있도록 적정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서로 대향하는 안착홈(20)(21)이 형성되어 있다.
즉 도면에 도시된 예에서 높은쪽 다리(17)의 한편에 형성되는 안착홈(20a)(20b)(20c)은 낮은쪽 다리(18)의 한편에 형성되는 안착홈(21a)(21b)(21c)에 각각 대응하고, 높은쪽 다리(17)의 다른 한편에 형성되는 안착홈(20d)(20e)(20f)은 낮은쪽 다리(18)의 다른 한편에 형성되는 안착홈(21d)(21e)(21f)에 각각 대응하며, 높은쪽 다리(17)의 또 다른 한편에 형성되는 안착홈(20g)(20h)(20i)은 낮은쪽 다리(18)의 또 다른 한편에 형성되는 안착홈(21g)(21h)(21i)에 각각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구이판(1)이 가열기에 놓여지는 위치에 변위가 생기더라도 서로 대응하는 안착홈이 가열기의 받침대에 걸려질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다리(17)(18)는 가열기의 불꽃이 새어나가는 것을 차단하여 일정시간 동안 구이판 하부에 열기가 머무르게 하고, 공간(16)(16a)을 통하여 불꽃의 강약 정도를 육안으로 확인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다리(17)(18)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각각 높이가 다르게 되어 일정한 높이차'h'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높이차 'h'는 기름받이부(14)에 흘러내린 기름이 기름배출공(15)으로 유도되어 배출될 수 있도록 기름배출공(15)이 형성되는 쪽이 낮아지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본 고안은 솥뚜껑 구이판이 주로 삼겹살과 같은 돈육을 식음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점을 감안하여 사용하는 사람들에게 웃음을 주고, 편안한 마음으로 육류를 식음할 수 있도록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고유한 상징적 이미지를 가지고 있는 복돼지 모양(22)을 상부면에 형성하여 사용자들에게 즐거움을 줄 수 있도록 하였고, 그 복돼지 모양(22)이 형성되는 위치는 어느 위치에서도 바른 상태로 보일 수 있도록 3등분으로 분할된 위치에 나누어서 형성하였다.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과 상기 실시예의 설명을 토대로 하여 본 고안이 의도하는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실시가 본 고안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임은 자명하다.
도 6은 앞서 설명한 구이판(1)으로부터 변경실시 될 수 있는 일례의 구이판(1a)을 나타낸 다른 실시예로써 다리(17a)(18a)가 일자형으로 나란하게 형성된 구조를 나타내고 있으며, 그 작용과 효과는 상기한 실시예의 경우와 같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서로 높이가 다른 다리의 구조에 의하여 육류에서 나오는 기름을 한군데의 기름배출공으로 모아서 배출시킬 수 있게 됨으로써, 종래와 같이 구이판 전체를 올려놓고 물을 부어서 사용하는 기름받이가 필요 없고, 작은 크기의 기름받이를 사용하면 된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비교적 큰 크기의 기름받이를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어서 제품의 단가가 낮아지고, 취급이 용이하여 음식점에서 사용할 경우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가스렌지에 사용할 경우 다리 바닥에 형성된 안착홈에 의하여 가스렌지에 자유롭게 견고하게 올려놓을 수 있어서 안전성을 제공하며, 자체적으로 포함되어 있는 참숯 성분에 의하여 탈취 및 항균 효과를 나타내어 육류의 풍미를 높이고, 건강을 증진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손잡이가 형성되는 상부 중앙 부위로부터 바깥쪽으로 점차 낮아지게 되어 육류가 올려 놓여져서 육류가 익혀지는 구이부가 형성되는 솥뚜껑 구이판을 형성함에 있어서,
    점차 낮아지는 원주상의 최하단 단부로부터 상부로 경사지는 경사단부에 의하여 기름배출공을 구비하는 원주상의 기름받이부가 형성되고, 상기 기름받이부에 흘러내려온 기름이 기름배출공으로 모일 수 있도록 저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다리가 기름배출공쪽 보다 반대편 쪽의 높이가 더 높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솥뚜껑 구이판.
  2. 제 1 항에 있어서, 다리의 바닥면에 가열기의 받침대에 결합되는 안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솥뚜껑 구이판.
  3. 제 1 항에 있어서, 구이판이 1~3부피%의 숯가루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솥뚜껑 구이판.
KR20-2003-0021924U 2003-07-08 2003-07-08 솥뚜껑 구이판 KR20033018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1924U KR200330188Y1 (ko) 2003-07-08 2003-07-08 솥뚜껑 구이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1924U KR200330188Y1 (ko) 2003-07-08 2003-07-08 솥뚜껑 구이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0188Y1 true KR200330188Y1 (ko) 2003-11-13

Family

ID=494173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1924U KR200330188Y1 (ko) 2003-07-08 2003-07-08 솥뚜껑 구이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018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9185B1 (ko) 간편 조리기
KR100931277B1 (ko) 직화 오븐기
KR200399822Y1 (ko) 구이용 불판
KR100813904B1 (ko) 장어로스구이 조리장치
US20070295224A1 (en) Reversible grill
US20010023641A1 (en) Grilling device for a cooking appliance
KR200330188Y1 (ko) 솥뚜껑 구이판
KR200421281Y1 (ko) 분리형 숯불구이 불판
KR20110053591A (ko) 직화 오븐기
KR100520912B1 (ko) 솥뚜껑 구이 장치
KR200425481Y1 (ko) 전기 구이기
KR200352899Y1 (ko) 다용도 집열식 조리용기
CN211299581U (zh) 多功能锅及餐桌
KR200365191Y1 (ko) 3가지 이상의 복합메뉴를 제공하는 로스터
KR200278443Y1 (ko) 조리기구
KR102114976B1 (ko) 다용도 가마솥
KR20130090047A (ko) 기름 배출 석쇠 구이 장치
KR200245632Y1 (ko) 불판 겸용 냄비
KR200370796Y1 (ko) 분리형 구이판
JP2017023204A (ja) コンロ
CN105942886A (zh) 一种方便使用的新型煎烤锅
KR200418885Y1 (ko) 구이판
KR200302065Y1 (ko) 돌솥 돌구이기
KR200294394Y1 (ko) 솥뚜껑 구이 장치
KR200254124Y1 (ko) 분리형 2중 구이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