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4124Y1 - 분리형 2중 구이판 - Google Patents

분리형 2중 구이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4124Y1
KR200254124Y1 KR2020010024984U KR20010024984U KR200254124Y1 KR 200254124 Y1 KR200254124 Y1 KR 200254124Y1 KR 2020010024984 U KR2020010024984 U KR 2020010024984U KR 20010024984 U KR20010024984 U KR 20010024984U KR 200254124 Y1 KR200254124 Y1 KR 20025412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meat
fire
cap
seating protrus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49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자상
Original Assignee
신자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자상 filed Critical 신자상
Priority to KR20200100249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412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41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4124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Landscapes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고기를 얹어놓는 불판캡을 불판용기의 안착돌출부에 분리 가능하게 배치함으로써, 고기를 구운후에는 불판용기를 그대로 둔 상태에서 불판캡만을 들어올려 새것으로 교체할 수 있기 때문에 불판 교체작업 및 세척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구성한 분리형 2중 구이판에 관한 것으로, 이 2중 구이판은 중앙에 안착돌출부(114)가 형성되어 있고, 이 안착돌출부(114)의 둘레에는 국물받이홈(110a)이 형성되어 있으며, 외주부에는 손잡이(112)가 대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불판용기(110)와, 상기 불판용기(110)의 안착돌출부(114)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안착플랜지(120a)가 하향 절곡되어 있고, 표면에는 화기 방출구(124a)를 제공하도록 절개되어 있는 다수의 절개 돌기(124)가 구비되어 있는 불판캡(120)으로 구성된다.

Description

분리형 2중 구이판{SEPARATE TYPE DOUBLE ROAST PAN}
본 고안은 분리형 2중 구이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기를 얹어놓는 불판캡을 불판용기의 안착돌출부에 배치한 다음, 세척시나 교체시에는 불판용기로부터 불판캡을 간단하게 분리해낼 수 있도록 구성한 분리형 2중 구이판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은 생활이 윤택해지면서 육류의 소비가 늘어나고 있다. 적정량의 육류 섭취는 단백질과 필수아미노산을 비롯한 체내에 필요한 각종 영양분을 공급할 뿐만 아니라, 건강한 신체조직을 만드는데 있어서 많은 도움이 된다. 특히, 발육 및 성장기에 있는 어린이들은 채소류의 섭취와 함께 적정량의 육류 섭취를 통해서 균형 잡힌 신체의 발달을 기대할 수 있다.
일반가정이나 음식점에서는 육류의 조리를 위해서 여러 가지 형태의 조리용구를 이용하게 된다. 대표적인 조리용구로는 가스 또는 숯불을 열원으로 하는 석쇠 또는 팬이 있다. 그러나, 석쇠 위에 육류를 올려놓고 직접 불에 대어 굽게 되면, 고기를 굽는 동안에 자체적으로 발생하는 기름이나 양념 및 기타 물질들이 석쇠에 눌러 붙게 되어, 여러번 굽고 난 다음에 새로운 석쇠 또는 깨끗한 석쇠를 이용하여 매번 육류를 구워야 했다.
이러한 점을 해소하기 위해, 스테인레스, 알루미늄 및 스테인레스로 만들어진 불판을 개발하여 사용하기에 이르렀다. 현재, 음식점등에서 고기를 구울 때 주로 사용하는 불판은 숯불이나 가스버너를 사용하는 구이기의 상부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그 불판이 불에 의해 가열되면 불판 위에 고기를 올려 구워 먹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2000년 12월 5일 공개된 국내특허공개 제2000-0072303호에는 스테인레스 재질로 된 φ9∼10mm의 금속 봉을 원지름 30∼40㎝가 되도록 원형테로 형성하고 내부에 살을 돔(dome)형상으로 다수 용착시켜서 된 구이판이 개시되어 있다.
즉, 도 1은 상기 특허에 개시된 구이판(1)을 나타낸 것으로, 원형테(2)의 내부에는 φ9∼10mm로 된 살(3)이 10mm 간격으로 배열되어 용착되어 있고, 용착된 중앙부 살의 정점은 원형테(2)로부터 수직선상 5∼10㎝의 높이로 형성되고, 원형테(2)에 돔 형상으로 살이 용착된 양측에는 어른손이 인·입출 가능한 넓이를 갖는 공간부(7)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공간부(7)의 일측 원형테(2)를 상향으로 볼록 튀어나오도록 절곡시켜 손잡이(8)로 만든 구조를 갖는다. 미설명 부호 9는 숯불이 담겨지는 화덕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구이판(1)은 살(3)이 원호형태의 돔 형상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구이판(1)의 중앙부와 가장자리의 열전달 거리가 거의 동일해져 중앙부나 가장자리에 얹어놓은 고기가 구워지는 시간이 거의 같아지는 이점은 있으나, 어느 정도 고기를 굽게 되면, 살(3) 전체에 걸쳐서 고기나 양념장이 묻어서 타기 때문에 구이판 전체를 새것으로 바꿔야하므로 교체작업 및 세척작업에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
한편, 1998년 12월 5일 공개된 국내실용신안공개 제1998-66838호에는 이러한 점을 해소하기 위해 불판을 이중으로 만든 이중 구이판이 개시되어 있다.
도 2는 상술한 이중 구이판을 나타낸 도면으로, 10과 20은 상하 이중으로 배치된 제 1, 제 2 중앙열판이며, 이들 제 1 및 제 2 중앙열판(10),(20)은 원형의 테두리체(30) 상에 직선형으로 배열된 다수개의 구이봉(40)에 용착되어 있다. 또 제1 및 제 2 중앙열판(10),(20)은 상부로 돌출 형성된 다수 개의 돌출부(12)를 구비하고 있다. 이때, 이들 제 1 및 제 2 중앙열판(10),(20)과 다수개의 구이봉(40)은 중앙 상방으로 완만하게 돌출 융기되어 있어, 고기를 구을 때 배출되는 기름은 이들 돌출부(12)사이로 흘러서 밑으로 배출된다. 부호 50은 테두리체(30)의 양측에 용착된 손잡이이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이중 구이판은 2개의 중앙열판에 의해서 고기의 눌어붙음 현상을 줄일 수 있는 있으나, 여전히 갈비 등에 배어있는 양념장이 타서 열판에 달라붙는 현상을 지속되기 때문에, 주기적으로 상부의 열판을 교체하여야 하며, 이때, 중앙열판을 둘러싸고 있는 테두리체에도 고기가 눌러붙은 경우 함께 새것으로 교체해야 한다. 또한, 중앙열판과 테두리체에 얹어놓은 고기로부터 배출된 기름이 그대로 화로위로 떨어짐으로써, 연기 및 고기냄새가 실내로 확산되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불판캡을 불판용기로부터 탈착 가능하게 형성하여 어느 정도 고기를 굽고 난 후에는 불판캡만을 교체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구이판으로부터 흘러내리는 기름이나 양념장, 수분 등을 모아 포집함으로써 고기 냄새 및 연기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분리형 2중 구이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불판의 일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종래 불판의 다른 예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2중 구이판의 조립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한 2중 구이판의 분리 사시도,
도 5는 도 3에 도시한 2중 구이판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2중 구이판 110:불판용기
110a:국물받이홈 112:손잡이
114:안착돌출부 120:불판캡
120a:안착 플랜지 124:절개 돌기
124a:화기 방출구 126:걸림홀
130:집게 132:후크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분리형 2중 구이판은 육류용 구이판에 있어서, 중앙에 안착돌출부가 형성되어 있고, 이 안착돌출부의 둘레에는 국물받이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외주부에는 손잡이가 대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불판용기와, 상기 불판용기의 안착돌출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안착플랜지가 하향 절곡되어 있고, 표면에는 화기 방출구를 제공하도록 절개되어 있는 다수의 절개 돌기가 구비되어 있는 불판캡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2중 구이판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2중 구이판의 조립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한 2중 구이판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3에 도시한 2중 구이판의 단면도이다.
먼저,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이판의 효율적인 교체 및 세척작업을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불판캡(120)과 불판용기(110)로 이루어진 2중 구조의 구이판(100)을 제조함과 동시에, 상기 불판캡(120)을 불판용기(110)로부터 필요에 따라서 분리해낼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이중에서, 화로나 가스레인지의 상에 놓여지는 불판용기(110)는 전체적으로 냄비와 유사한 형태를 지니고 있으며, 용기의 외주부에는 운반을 위한 2개의 손잡이(112)가 서로 대향으로 부착되어 있다. 이 불판용기(110)의 중앙에는 원형홀 형태의 안착돌출부(114)가 형성되어 있다. 이 안착돌출부(114)상에는 본 고안의 불판캡(120)이 안착된다. 이를 위해서, 불판캡(120)의 외측 가장자리에는 하향으로 절곡된 안착플랜지(120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불판캡(120)의 표면에는 다수의 절개 돌기(124)가 대향으로 형성되어있으며, 절개된 2개의 절개 돌기(124)의 틈새로 화염이 방출되는 화기 방출구(124a)가 제공된다. 이 절개 돌기(124)는 표면으로부터 소정의 각도를 이루면서 상방으로 대향되게 배치되어 있어, 화로에 담겨진 숯불이나 가스레인지로부터 방출되는 화염이 절개 돌기(124)를 통해서 확산되면서 절개 돌기(124)주변에 올려놓은 고기를 익힌다. 이때, 고기에서 배출되는 기름은 절개 돌기(124)의 경사면을 따라 배출됨으로써, 화기 방출구(124a)를 통해 화염으로 떨어지는 것이 제지되어 연기 및 기름타는 냄새의 배출을 억제할 수 있다.
불판캡(120)의 중앙에는 걸림홀(126)이 형성되어 있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은 집게(130)의 후크(132)를 걸 수 있도록 하였다. 따라서, 불판캡(120)의 교체시에는 집게(130)의 하단에 형성된 후크(132)를 걸림홀(126)에 걸어서 불판캡(120)을 들어올리면 된다. 불판캡(120)의 안착플랜지(120a)의 직경은 조립성 및 화염방출의 억제를 위해서 불판용기(110)의 중앙에 형성된 안착돌출부(114)의 직경보다 약간 크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안착돌출부(114)의 둘레에는 오목한 형상의 국물받이홈(110a)이 형성되어 있어, 불판캡(120)의 표면으로부터 안착플랜지(120a)를 타고 흘러내리는 양념장이나 기름은 국물받이홈(110a)에 모아져서 포집된다. 통상, 국물받이홈(110a)에는 적정량의 물을 넣어 과열을 방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분리형 2중 구이판(100)은 화로 위나 가스레인지 위에 배치되는 불판용기(110)와, 이 불판용기(110)의 중앙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불판캡(120)으로 이루어져 있어, 어느 정도 고기를 굽고난 후 불판을 갈아야 할때에는 불판캡(120)의 중앙에 형성된 걸림홀(126)에 집게(130)의 후크(132)를 걸어맞춘 다음, 위로 들어올려 불판용기(110)로부터 불판캡(120)을 간단히 분리할 수 있다. 다음에, 깨끗한 새 불판캡(120)을 불판용기(110)의 안착돌출부(114)에 장착한 후에, 불판캡(120)에 고기를 얹어놓고 구을 수 있으므로, 불판캡(120)의 교체가 용이하다.
이상으로 설명한 본 고안에 의하면, 불판용기의 중앙에 안착돌출부를 형성함과 동시에, 이 안착돌출부의 둘레에는 국물받이홈을 형성함으로써, 불판캡만을 교체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불판캡으로부터 흘러내리는 기름이나 양념장, 수분 등을 모아 포집함으로써 고기 냄새 및 연기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2)

  1. 육류용 구이판에 있어서,
    중앙에 안착돌출부(114)가 형성되어 있고, 이 안착돌출부(114)의 둘레에는 국물받이홈(110a)이 형성되어 있으며, 외주부에는 손잡이(112)가 대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불판용기(110)와,
    상기 불판용기(110)의 안착돌출부(114)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안착플랜지(120a)가 하향 절곡되어 있고, 표면에는 화기 방출구(124a)를 제공하도록 절개되어 있는 다수의 절개 돌기(124)가 구비되어 있는 불판캡(12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2중 구이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불판캡(120)의 중앙에는 집게(130)의 후크(132)가 걸어맞춤되는 걸림홀(126)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2중 구이판.
KR2020010024984U 2001-08-17 2001-08-17 분리형 2중 구이판 Expired - Fee Related KR20025412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4984U KR200254124Y1 (ko) 2001-08-17 2001-08-17 분리형 2중 구이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4984U KR200254124Y1 (ko) 2001-08-17 2001-08-17 분리형 2중 구이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4124Y1 true KR200254124Y1 (ko) 2001-11-23

Family

ID=731070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4984U Expired - Fee Related KR200254124Y1 (ko) 2001-08-17 2001-08-17 분리형 2중 구이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412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0813A (ko) * 2020-01-13 2021-07-21 함필수 구이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0813A (ko) * 2020-01-13 2021-07-21 함필수 구이장치
KR102302786B1 (ko) * 2020-01-13 2021-09-14 함필수 구이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B2305358A (en) An outdoor grill
KR200433024Y1 (ko) 기름 배출 수단이 구비된 숯불구이판
KR200399822Y1 (ko) 구이용 불판
KR101562498B1 (ko) 구이용 화덕
KR200254124Y1 (ko) 분리형 2중 구이판
US20200297162A1 (en) Apparatus for cooking food
KR20090086679A (ko) 직화구이 석쇠 및 이를 이용한 직화구이기
KR200497835Y1 (ko) 구이용 불판
KR20160086624A (ko) 가정용 석쇠형 불판
KR20160112425A (ko) 인도어 및 아웃도어 겸용 스테이크 팬
CN211299581U (zh) 多功能锅及餐桌
KR960002976Y1 (ko) 다목적 조리기구
KR200245632Y1 (ko) 불판 겸용 냄비
KR102415058B1 (ko) 구이용 석쇠
KR101775149B1 (ko) 고기구이판
KR200266752Y1 (ko) 뚜껑이 분리되는 솥뚜껑형 구이판
KR20110053591A (ko) 직화 오븐기
US12213624B1 (en) Dual-mode moo ka ta-style cookware with removable cooking/grilling surface
KR200359184Y1 (ko) 구이기
KR200355889Y1 (ko) 고기 구이용 불판
KR200406422Y1 (ko) 조리 기구
KR102347762B1 (ko) 직화구이 및 간접구이 겸용 구이용 불판
KR200394369Y1 (ko) 고기 구이판
KR20230054528A (ko) 열 확산구조를 갖는 구이기
KR100319052B1 (ko) 숯불 고기구이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10817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11101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10818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UT0201 Request for technical evaluation

Patent event date: 20020403

Comment text: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code: UT02011R01D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
UT0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during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date: 20020816

Patent event code: UT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