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0126Y1 - 휠체어 카 리프트장치 - Google Patents

휠체어 카 리프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0126Y1
KR200330126Y1 KR20-2003-0022087U KR20030022087U KR200330126Y1 KR 200330126 Y1 KR200330126 Y1 KR 200330126Y1 KR 20030022087 U KR20030022087 U KR 20030022087U KR 200330126 Y1 KR200330126 Y1 KR 20033012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chair
support
fixing
support fram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20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래
Original Assignee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filed Critical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Priority to KR20-2003-00220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012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01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012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3/00Ambulance aspects of vehicles; Vehicles with special provisions for transpor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r their personal conveyances, e.g. for facilitating access of, or for loading, wheelchairs
    • A61G3/02Loading or unloading personal conveyances; Facilitating access of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or exit from, vehicles
    • A61G3/06Transfer using ramps, lifts or the like
    • A61G3/063Transfer using ramps, lifts or the like using lifts separate from the vehicle, e.g. fixed on the pave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휠체어 카 리프트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간단한 버튼 조작만으로도 휠체어를 차량에 탑재하거나 내리는 작업이 운전석 도어의 근접 위치에서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장애인을 위한 사용의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휠체어 카 리프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는 차량의 운전석 도어측으로 차량의 상부측 베이스(1) 상에 횡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베이스(1) 상의 구동모터(23) 및 기어박스(22)와 연계되는 구동축(2)과; 상기 차량의 운전석 도어에 간섭되지 않게 구동축(2) 상에 일단이 고정되어 함께 회전 구동되는 한 쌍의 회전아암(3)과; 상기 회전아암(3)의 타측단에 각각 회전이 자유롭게 연결되고, 다수의 횡대(4A)에 의해 보강되면서 휠체어 고정부(6)를 포함하는 휠체어 지지프레임(4)과; 상기 휠체어 지지프레임(4)의 회전각도 범위를 제한하는 프레임 지지부(5)와;로 구성됨으로써 간단한 버튼 조작만으로도 휠체어를 차량에 탑재하거나 내리는 작업이 운전석 도어의 근접 위치에서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이로인해 장애인을 위한 사용의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휠체어 카 리프트장치{A wheelchair car lifting apparatus}
본 고안은 휠체어 카 리프트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간단한 버튼 조작만으로도 휠체어를 차량에 탑재하거나 내리는 작업이 운전석 도어의 근접 위치에서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장애인을 위한 사용의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휠체어 카 리프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리에 장애를 가져 휠체어의 사용이 불가피한 장애인들은 차량 이동시 그 차량에 휠체어를 탑재하여 이동하게 되는 것으로서, 상기 휠체어는 통상적으로 차량의 트렁크 부분에 휠체어 장착을 위한 별도 구조물을 부착시켜 사용하게 된다.
이의 사용예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차량 이동후, 사용자는 우선 운전석에서 하차하여 휠체어가 장착된 차량의 트렁크 위치까지 이동해야만 된다. 이때 다리에 장애를 갖는 장애인들에게는 그 이동거리가 부담스러울 수 밖에 없고, 이동후에 다시 차량에 부착된 구조물로부터 휠체어를 분리시키거나 직접 들어서 장착해야만 되므로 시간이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장애인들로 하여금 사용의 상당한 번거로움 및 불편성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간단한 버튼 조작만으로도 휠체어를 차량에 탑재하거나 내리는 작업이 운전석 도어의 근접 위치에서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장애인을 위한 사용의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차량의 상부측에 휠체어를 자동 탑재한 후, 다시 그 외부가 자동으로 커버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휠체어 지지프레임에 휠체어를 장착하거나 분리하는 것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휠체어가 장착된 휠체어 지지프레임이 회전아암으로부터 흔들림없이 안정감있게 절첩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차량의 운전석 도어측으로 차량의 상부측 베이스 상에 횡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베이스 상의 구동모터 및 기어박스와 연계되는 구동축과; 상기 차량의 운전석 도어에 간섭되지 않게 구동축 상에 일단이 고정되어 함께 회전 구동되는 한 쌍의 회전아암과; 상기 회전아암의 타측단에 각각 회전이 자유롭게 연결되고, 다수의 횡대에 의해 보강되면서 휠체어 고정부를 포함하는 휠체어 지지프레임과; 상기 휠체어 지지프레임의 회전각도 범위를 제한하는 프레임 지지부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휠체어 카 리프트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의 일측에 덮개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덮개는 덮개구동부에 의해 자동으로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며, 상기 덮개구동부는 덮개의 일측 내벽에 안내홈을 갖는 측면고정판이 고정되고, 상기 안내홈에는 베이스 상에 고정된 액츄에이터의 작동로드 단부측에 일체로 형성된 측방의 연결핀이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 장착된 것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휠체어 고정부는 휠체어 지지프레임의 상.하 횡대에 각각 일단이 고정되고, 타측단에는 바퀴삽입홈이 형성된 바퀴고정편과; 상기 바퀴고정편의 타측부 휠체어 지지프레임 상에 구비되어 휠체어의 프레임을 고정하는 휠체어 프레임고정부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휠체어 프레임고정부는 휠체어 지지프레임에 직각을 이루는 돌출 방향으로 후방측이 회동축으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면서 상기 휠체어 지지프레임에 일체로 간격을 두고 형성된 상.하부지지턱에 의해 지지되고, 전방측에는 수직의 고정홈을 포함하는 수평의 안내홈과, 고정턱이 하부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내부에는 상기 안내홈에 레버가 위치되는 삽입봉이 구비된 지지봉과; 상기 지지봉의 고정턱에 대응되는 고정공이 후방측 밑면부에 형성되고, 상기 고정공의 상부측에는 개방부가 형성되어 그 개방부에 의해 하부측을 지지턱으로 형성하며, 상기 지지턱의 전방측 하부에는 서로 대칭되는 반원형태의 상부고정홈 및 하부고정홈을 갖는 상부블록과 하부블록이 하부 양측의 조임나사에 의해 결합된 체결구가 일체로 형성된 지지관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 지지부는 베이스 상에 슬라이드공을 갖는 지지판이 수직으로 입설되고, 상기 지지판과 휠체어 지지프레임의 사이에는 상기 휠체어 지지프레임의 상단부에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단은 측방의 스톱핀이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스톱핀이 지지판의 슬라이드공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 장착된 것으로 구성되고; 상기 기어박스의 외측과 베이스의 후방에 접점돌편을 갖는 리미트스위치가 장착되고, 기어박스에 연결된 구동축의 단부측에는 스위치 작동바가 편심되게 돌출 형성되어 상기 스위치 작동바와 휠체어 지지프레임과 리미트 스위치의 접촉에 의해 구동모터의 회전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이 장착된 상태를 보인 자동차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휠체어 프레임고정부 구성을 보인 분리사시도.
도 4는 도 3의 조립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바퀴고정편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기어박스를 보인 사시도.
도 7a 내지 도 7d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도.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베이스
11:덮개
12:덮개구동부
121:액츄에이터 121A:작동로드
121B:연결핀 122:측면고정판
122A:안내홈
2:구동축
21:베어링 하우징 22:기어박스
23:구동모터
3:회전아암 4:휠체어 지지프레임
4A:횡대
5:프레임 지지부
51:지지판 51A:슬라이드공
52:링크 52A:스톱핀
6:휠체어 고정부
6A:휠체어 프레임고정부
61:지지대
611:상부지지턱 611A:상부지지홈
612:하부지지턱 612A:하부지지홈
62:지지봉
621:삽입봉 621A:레버
622:안내홈 622A:고정홈
623:고정턱
63:회동축
64:지지관
641:개방부 642:지지턱
643:고정공
65:체결구
651:상부블록 651A:상부고정홈
652:하부블록 652A:하부고정홈
653:조임나사
6B:바퀴고정편 6C:바퀴삽입홈
6D:회전슬라이드공
7:리미트 스위치 7A:접점돌편
8:스위치 작동바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이 장착된 상태를 보인 자동차의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차량의 상부측에 베이스(1)가 통상의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 및 조립되는 것으로서, 상기 베이스(1)의 후방측에는 덮개(11)가 힌지 결합되어 베이스(1)의 상부측으로 개폐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덮개(11)는 베이스(1)의 덮개(11) 사이의 일측에 구비된 덮개구동부(12)에 의해 자동으로 열고 닫힐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베이스(1)의 전방측 횡방향에 걸쳐 구동축(2)이 양측의 베어링 하우징(21)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또한, 상기 구동축(2)의 일측부는 기어박스(22)를 통해 구동모터(23)와 연계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구동축(2) 상에는 한 쌍의 회전아암(3)의 일단이 상기 구동축(2)과 연동될 수 있게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아암(3)의 타측단에는 휠체어가 직접 장착되는 휠체어 지지프레임(4)의 양단이 회전이 자유롭게 연결되어 있고, 상기 휠체어 지지프레임(4)은 다수의 횡대(4A)에 의해 보강되는 것이며, 휠체어 고정부(6)에 의해 휠체어 지지프레임(4)에 휠체어가 고정 및 장착된다.
이와함께 일측부가 구동모터(23) 및 기어박스(22)와 연계된 구동축(2)의 타측부 베이스(1) 상에는, 상기 구동축(2)의 회전에 의해 회전아암(3)과 함께 들려지는 휠체어 지지프레임(4)이 내측으로 접혀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프레임 지지부(5)가 구비된다.
도 2는 본 고안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다.
상기 베이스(1)의 후방측에 힌지 결합된 덮개(11)는 덮개구동부(12)에 의해 자동으로 베이스(1)의 상부측을 개폐시키게 되는 것으로서, 상기 덮개구동부(12)는 베이스(1) 상에 전원 공급으로 작동로드(121A)가 전후진되는 액츄에이터(121)가 고정되고, 덮개(11)의 일측 내벽에는 이동범위를 제한하는 안내홈(122A)을 갖는 측면고정판(122)이 고정되며, 상기 측면고정판(122)의 안내홈(122A)에 액츄에이터(121)의 작동로드(121A) 단부측에 일체로 형성된 연결핀(121B)이 삽입되어 상기 안내홈(122A)을 따라 슬라이드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 지지부(5)는 베이스(1) 상에, 측방의 슬라이드공(51A)을 갖는 지지판(51)이 입설되어 있는 것이며, 상기 지지판(51)과 휠체어 지지프레임(4)의 사이는 링크(52)에 의해 연결되는 것으로서, 상기 링크(52)의 일단은 회전아암(3)의 연결부 상부측에 휠체어 지지프레임(4) 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단은 측방의 스톱핀(52A)이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스톱핀(52A)이 지지판(51)의 슬라이드공(51A) 삽입된 것에 의해 상기 지지판(51)에 연결된다.
또한, 휠체어 고정부(6)는 휠체어 지지프레임(4)의 일측부에 형성되는 휠체어 프레임고정부(6A)와, 상기 휠체어 지지프레임(4)의 타측부 상.하 횡대(4A) 상에형성되는 바퀴고정편(6B)으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한 각 구성요소 및 장치들의 동작은 콘트롤러(미도시됨)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며, 상기 콘트롤러는 운전석으로 연결된 조작반(미도시됨)의 신호를 받아 각각의 구성요소 및 장치들에 동작명령을 내리게 되는 것으로서, 이는 통상적인 제어방법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여기서 미설명 부호 7B는 제2 리미트 스위치로서, 이는 휠체어 지지프레임(4)을 포함하는 회전아암(3)이 접혀지면서 접촉되는 것에 의해 작동되고, 감지신호로써 제어부로 송출하여 구동축(2)의 구동 및 회전을 정지시키게 된다.
도 3은 본 고안의 휠체어 프레임고정부 구성을 보인 분리사시도이다.
휠체어 프레임고정부(6A)는 휠체어 지지프레임(4)의 전방측으로 돌출되게 지지대(6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지대(61)의 선단에는 상기 지지대(61)와 직각을 이루는 방향으로 파이프 형태의 지지봉(62) 후방측이 회동축(63)에 의해 상.하 회동이 자유롭게 고정 및 지지되어 있는 것이며, 그 후방측은 지지대(61)의 선단에 간격을 두고 일체로 형성된 상부지지턱(611) 및 하부지지턱(612)에 의해 상.하부가 지지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상부지지턱(611)에 하방 개구형의 반원형태로 상부지지홈(611A)이 형성되어 있고, 하부지지턱(612)에는 상기 상부지지홈(611A)과 대칭되게 상방 개구형의 반원형태로 하부지지홈(612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봉(62)의 전방측 내부에 삽입봉(621)이 전후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롭게 구비되어 있으며, 지지봉(62)의 선단부측에는 길이방향으로안내홈(62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안내홈(622)은 선단 하부측으로 연이어 형성된 고정홈(622A)을 포함하는 것이며, 삽입봉(621)에는 상기 안내홈(622) 및 고정홈(622A) 내부에 위치되는 레버(621A)가 외향 돌출되게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지지봉(62)의 선단 저면부에는 고정턱(623)이 일체로 하향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와함께 지지봉(62)의 전방측에는 실질적으로 휠체어 지지프레임(미도시됨)에 고정되는 체결구(65)가 하부에 일체로 형성된 지지관(64)이 장착되는 것으로서, 상기 지지관(64)은 선단이 막히고 후방측으로 개방된 형태의 파이프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며, 그 후방측은 다시 상부측으로 트여진 개방부(641)가 형성되고, 이 개방부(641) 하부측은 상기 지지봉(62)의 고정턱(623)이 삽입되는 고정공(643)을 갖는 지지턱(642)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지지봉(62)는 휠체어의 크기에 따라 적합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상하방향으로 조절하여 장착하게 되어 있다.
상기 체결구(65)는 지지관(64)의 하부측에 일체로 형성되고 하방 개구형의 반원형태의 상부고정홈(651A)이 형성된 상부블록(651)과, 상기 상부블록(651)의 하부측에 조임나사(653)로 결합되고 상기 상부고정홈(651A)과 대칭되게 하부고정홈(652A)이 형성된 하부블록(652)으로 구성된다.
도 4는 도 3의 조립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지지봉(62)의 후방측은 회동축(63)을 중심으로 상.하 회전이 가능한 것이며, 그 후방측은 상부지지턱(611)과 하부지지턱(612)에 의해 상.하가 지지되고, 지지봉(62)의 전방측에는 지지관(64)이 삽입 고정되는 것으로서, 상기 지지관(64)의 고정은 먼저, 지지관(64)의 개방부(641)를 통해 상기 지지관(64)의 지지턱(642)이 지지봉(62)의 하부측에 맞대어지게 하는데, 이때 상기 지지턱(642)에 형성된 고정공(643)에 지지봉(62)이 고정턱(623)이 삽입되게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는 삽입봉(621)의 레버(621A)를 안내홈(622)의 전방측으로 밀어 상기 삽입봉(621)을 지지관(64) 내부로 전진 및 삽입시키게 되는 것이며, 레버(621A)를 다시 하부측 고정홈(622A)에 위치되게 함으로써 그 삽입상태의 유지가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때 상기 지지관(64)의 하부측 체결구(65)를 구성하는 상부블록(651)의 상부고정홈(651A)은 휠체어 지지프레임(4)의 상부측에 위치되고, 하부블록(652)은 상부블록(651)으로부터 분리된 상태이며, 사용자는 다시 그 분리된 하부블록(652)의 하부고정홈(652A)이 휠체어 지지프레임(4)의 하부측에 접하게 상부블록(651)에 조임나사(653)로 결합함으로써 일련의 작업을 완료하게 되는 것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바퀴고정편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다.
이 바퀴고정편(6B)은 휠체어 바퀴를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바퀴고정편(6B)은 휠체어 지지프레임(4)의 상.하부측 횡대(4A) 상에 일단이 용접 등으로 고정되고, 타측단부에는 휠체어 바퀴가 삽입 고정되는 바퀴삽입홈(6C)이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는데, 이때 원으로 형성된 휠체어 바퀴에 부합되게 그 형상에 맞춰 다소 각도가 틀어진 형태로 구비된다.
바퀴고정편(6B)는 휠체어의 종류에 따라 바퀴의 크기에 맞추어 조절될 수 있도록 상하로 조절이 가능하며, 회전슬라이드공(6D)에 의해 최적으로 바퀴를 고정할수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기어박스를 보인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구동축(2)의 외곽 기어박스(22) 상에 상부측으로 접점돌편(7A)을 갖는 리미트 스위치(7)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구동축(2)의 단부측에는 편심되게 스위치 작동바(8)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스위치 작동바(8)가 구동축(2)과 함께 회전하면서 리미트 스위치(7)의 접점돌편(7A)과 접촉되는 것에 의해 상기 구동축(2)의 회전제어가 이루어지도록 구성한 것이다.
다음은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도 7a 내지 도 7d를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7a는 본 고안의 펼쳐진 상태를 보인 측면도로서, 휠체어(100)는 전술한 바와 같은 휠체어 프레임고정부(6A)와 바퀴고정편(6B)로 구성된 휠체어 고정부(6)에 의해 휠체어 지지프레임(4)에 고정 및 장착된다.(도 4,5 참조.)
이러한 상태에서 구동모터(23) 및 기어박스(22)를 통한 구동축(2)의 구동이 시작되면, 상기 구동축(2)과 함께 회전되는 회전아암(3)이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측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회전아암(3)에 회전이 자유롭게 결합된 휠체어 지지프레임(4)이 들려진다. 이때 상기 휠체어 지지프레임(4)은 프레임 지지부(5)를 구성하면서 단부측 스톱핀(52A)이 지지판(51)의 슬라이드공(51A) 끝에 걸린 링크(52)에 의해 차량 쪽으로 회전되지 못하고 수직상태를 유지한 상태로 들려진다.
그리고 구동축(2)은 계속 회전하게 되는 것이며,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회전아암(3)이 둔각을 이루는 시점부터 휠체어 지지프레임(4)이 접혀진 상태가 되면서 도 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1) 상에 접힌 상태로 안착되는 것이며, 그 후 덮개(11)가 액츄에이터(121) 작동에 의해 베이스(1)의 상부측을 커버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구동축(2)에 의한 일련의 작동 제어는 구동축(2)과 함께 회전되는 스위치 작동바(8)가 리미트 스위치(7)의 접점돌편(7A)에 접촉됨에 따른 신호에 의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며, 다시 덮개(11)를 열고 휠체어(100)를 내려 놓는 동작은 구동축(2)의 역회전에 의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간단한 버튼 조작만으로도 휠체어를 차량에 탑재하거나 내리는 작업이 운전석 도어의 근접 위치에서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장애인을 위한 사용의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차량의 상부측에 휠체어를 자동 탑재한 후, 다시 그 외부가 자동으로 커버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그 커버 본연의 기능과 함께 탑재된 휠체어의 외부를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사용자의 단순 레버조작에 의해 휠체어를 휠체어 지지프레임으로부터 분리하거나 장착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사용의 간편성을 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프레임 지지부에 의해 휠체어 지지프레임이 회전아암에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절첩동작의 안정성을 기할 수 있는 효과도 갖게 된다.

Claims (5)

  1. 차량의 운전석 도어측으로 차량의 상부측 베이스(1) 상에 횡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베이스(1) 상의 구동모터(23) 및 기어박스(22)와 연계되는 구동축(2)과;
    상기 차량의 운전석 도어에 간섭되지 않게 구동축(2) 상에 일단이 고정되어 함께 회전 구동되는 한 쌍의 회전아암(3)과;
    상기 회전아암(3)의 타측단에 각각 회전이 자유롭게 연결되고, 다수의 횡대(4A)에 의해 보강되면서 휠체어 고정부(6)를 포함하는 휠체어 지지프레임(4)과;
    상기 휠체어 지지프레임(4)의 회전각도 범위를 제한하는 프레임 지지부(5)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휠체어 카 리프트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1)의 일측에 덮개(11)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덮개(11)는 덮개구동부(12)에 의해 자동으로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며, 상기 덮개구동부(12)는 덮개(11)의 일측 내벽에 안내홈(122A)을 갖는 측면고정판(122)이 고정되고, 상기 안내홈(122A)에는 베이스(1) 상에 고정된 액츄에이터(121)의 작동로드(121A) 단부측에 일체로 형성된 측방의 연결핀(121B)이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 장착된 것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휠체어 카 리프트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휠체어 고정부(6)는 휠체어 지지프레임(4)의 상.하 횡대(4A)에 각각 일단이 고정되고, 타측단에는 바퀴삽입홈(6C)이 형성된 바퀴고정편(6B)과;
    상기 바퀴고정편(6B)의 타측부 휠체어 지지프레임(4) 상에 구비되어 휠체어(100)의 프레임을 고정하는 휠체어 프레임고정부(6A)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휠체어 카 리프트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휠체어 프레임고정부(6A)는 휠체어 지지프레임(4)에 직각을 이루는 돌출 방향으로 후방측이 회동축(63)으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면서 상기 휠체어 지지프레임(4)에 일체로 간격을 두고 형성된 상.하부지지턱(611)(612)에 의해 지지되고, 전방측에는 수직의 고정홈(622A)을 포함하는 수평의 안내홈(622)과, 고정턱(623)이 하부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내부에는 상기 안내홈(622)에 레버(621A)가 위치되는 삽입봉(621)이 구비된 지지봉(62)과;
    상기 지지봉(62)의 고정턱(623)에 대응되는 고정공(643)이 후방측 밑면부에 형성되고, 상기 고정공(643)의 상부측에는 개방부(641)가 형성되어 그 개방부(641)에 의해 하부측을 지지턱(642)으로 형성하며, 상기 지지턱(642)의 전방측 하부에는 서로 대칭되는 반원형태의 상부고정홈(651A) 및 하부고정홈(652A)을 갖는 상부블록(651)과 하부블록(652)이 하부 양측의 조임나사(653)에 의해 결합된 체결구(65)가 일체로 형성된 지지관(64)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휠체어 카 리프트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지지부(5)는 베이스(1) 상에 슬라이드공(51A)을 갖는 지지판(51)이 수직으로 입설되고, 상기 지지판(51)과 휠체어 지지프레임(4)의 사이에는 상기 휠체어 지지프레임(4)의 상단부에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단은 측방의 스톱핀(52A)이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스톱핀(52A)이 지지판(51)의 슬라이드공(51A)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 장착된 것으로 구성되고;
    상기 기어박스(22)의 외측과 베이스(1)의 후방에 접점돌편(7A)을 갖는 리미트 스위치(7)가 장착되고, 기어박스(22)에 연결된 구동축(2)의 단부측에는 스위치 작동바(8)가 편심되게 돌출 형성되어 상기 스위치 작동바(8)와 휠체어 지지프레임(4)와 리미트 스위치(7)의 접촉에 의해 구동모터(23)의 회전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 휠체어 카 리프트장치.
KR20-2003-0022087U 2003-07-09 2003-07-09 휠체어 카 리프트장치 KR20033012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2087U KR200330126Y1 (ko) 2003-07-09 2003-07-09 휠체어 카 리프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2087U KR200330126Y1 (ko) 2003-07-09 2003-07-09 휠체어 카 리프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0126Y1 true KR200330126Y1 (ko) 2003-10-17

Family

ID=493393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2087U KR200330126Y1 (ko) 2003-07-09 2003-07-09 휠체어 카 리프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012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7536B1 (ko) 2005-11-18 2007-06-14 창림정공(주) 차량용 휠체어 리프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7536B1 (ko) 2005-11-18 2007-06-14 창림정공(주) 차량용 휠체어 리프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054771A1 (en) Cupboard-style furniture item
KR200330126Y1 (ko) 휠체어 카 리프트장치
WO2010024173A1 (ja) ドア開閉機構
JP4632126B2 (ja) 折戸装置
JP4765129B2 (ja) 窓開閉装置
JPH10328239A (ja) 車両用乗降補助装置
JP3957991B2 (ja) 収納式幼児用ベッドにおけるベッド回動構成体
JP3556752B2 (ja) 扉開閉装置
JP3363474B2 (ja) 便座及び便蓋の取付け構造
KR100572378B1 (ko) 운동기구
JP3556751B2 (ja) 扉開閉装置
GB2428736A (en) Hinge with detent mechanism for releasable retention in a particular condition
JP4150526B2 (ja) 車両の2つ折戸における握り
JP3651625B2 (ja) 車椅子用昇降装置
EP4353213A1 (en) Foot rest
JP3167724U (ja) ドア開閉機構
JP3193766B2 (ja) 便座及び便蓋の取付け構造
KR200276371Y1 (ko) 유모차 손잡이 조절장치
JPH0740954U (ja) 軸芯調整式トップピボット
JPH1159276A (ja) 車両に装備されるスロープ板装置
JP2004520503A (ja) 改良された固定具を備えた天窓
JP3738023B2 (ja) 扉開閉装置
JPH0748119Y2 (ja) 起床式ベッド装置
JPH09303037A (ja) 扉開閉用ダンパー
JPH11193665A (ja) トイレブース用回転スライドドア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2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