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9110Y1 - 장식휀스망을 부착한 교량난간대 - Google Patents

장식휀스망을 부착한 교량난간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9110Y1
KR200329110Y1 KR20-2003-0012473U KR20030012473U KR200329110Y1 KR 200329110 Y1 KR200329110 Y1 KR 200329110Y1 KR 20030012473 U KR20030012473 U KR 20030012473U KR 200329110 Y1 KR200329110 Y1 KR 20032911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rail
groove
decorative fence
hole
bo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24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채종술
Original Assignee
채종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채종술 filed Critical 채종술
Priority to KR20-2003-00124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911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911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9110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0Railings; Protectors against smoke or gases, e.g. of locomotives; Maintenance travellers; Fastening of pipes or cables to bridges
    • E01D19/103Parapets, railings ; Guard barriers or road-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4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longitudinal beams or rigid strips supported above ground at spaced points
    • E01F15/0407Metal r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14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specially adapted for local protection, e.g. for bridge piers, for traffic islands
    • E01F15/145Means for vehicle stopping using impact energy absorbers
    • E01F15/146Means for vehicle stopping using impact energy absorbers fixed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각종 도로에 있어 차량의 안전에 위험이 많은곳인 고가도로변이나 소규모 교량 및 낭떨어지부분의 도로변에 설치하여 차량의 충돌시 차량이 떨어짐과 충격을 흡수하여 차량과 인명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설치하는 차량용 난간대로 충돌시 안전성을 높여줌과 동시에 외관을 미려하게 하고 야간에 식별이 용이하며 난간대의 분리 결합을 용이하게한 장식휀스망을 부착한 교량난간대에 관 한 것이다.
본 고안은 전방에 삽입요홈(4)을 만들고 관통공(7b)을 만든 난간본체(1)에 있어서, 후방의 외곽테두리면(2)에 음각돌출문양(3)을 넣고 연결판(6)에 다수의 보울트공(5)과 바닥면(8)에 관통공(7)을 뚫고 양측 연결판(6)에는 다수의 보울트공(5a)을 만들고 바닥 고정판(11)에 관통공(7a)을 뚫은 연결판(6) 형상과 동일한 철재 보강판(10)을 밀착후 보울트(20)와 너트(21)로 결합 일체로 한 난간본체(1)의 삽입요홈(4)에,
전면에는 고휘도 테이프(40)를 접착하는 부착홈(32)을 후면에는 T형고정홈(34)을 형성하고 내면에 다수의 돌기(33)를 돌출시켜 철재파이프(31)를 삽입시킨 알루미늄재 외부 난간대(30)를 밀착시켜 보울트(20a)를 T형 고정홈(34)에 삽입 난간본체(1)의 관통공(7b)에 끼워 너트(21a)로 고정하고,
난간본체(1)의 상,하단 삽입요홈(4)에 고정된 알루미늄재 외부 난간대(30)에 장식 휀스망(50)의 브라켓트(51)를 밀착시켜 나사 결합하여 된 것이다.

Description

장식휀스망을 부착한 교량난간대{omitted}
본 고안은 각종 도로에 있어 차량의 안전에 위험이 많은곳인 고가도로변이나 소규모 교량 및 낭떨어지 부분의 도로변에 설치하여 차량의 충돌시 차량이 떨어짐과 충격을 흡수하여 차량과 인명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설치하는 차량용 난간대로 충돌시 안전성을 높여줌과 동시에 외관을 미려하게 하고 야간에 식별이 용이하며 난간대의 분리 결합을 용이하게 한 장식휀스망을 부착한 교량 난간대에 관 한 것이다.
종래에 사용하고 있는 차도용 난간대에 있어 난간파이프를 삽입하는 난간은 대부분 알루미늄 주물로서 외관은 깨끗하나 강도가 약하여 차량의 충돌시에는 쉽게 파손되어 차량이 외부로 밀려나는 위험이 많으며 난간파이프에 있어서도 충격을 흡수력이 떨어져 난간파이프가 쉽게 파손되어 차량을 안전하게 잡아주는 기능을 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 교량은 차량이나 인명의 안전에만 중점을 두고 시공하므로 외관은 미려하지 못한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점을 감안하여 교량의 난간대 설치가 쉽고 차량의 추돌시 파손됨을 최소한으로 줄여주고 난간대의 교체시에는 전면에서 난간대 만 추출하여 교체작업이 빠르고 지역이나 주변 환경에 알맞은 장식 홴스를 난간대에 설치하여 주변 환경과 어울리게 미려하게 만든것으로 이를 첨부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난간본체 일부 결합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종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배면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난간대 프레임 일부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난간대 측면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난간대 측면 단면도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난간대 측면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난간본체 2: 외곽테두리면
3: 음각돌출문양 5, 5a: 보울트공
6: 연결판 7, 7a, 7b: 관통공
10: 철재 보강판 11: 바닥고정판
20, 20a: 보울트 21, 21a: 너트
30: 외부 난간대 31: 철재 파이프
32, 32a: 부착홈 33: 돌기
34: T형고정홈 35, 35a: 단턱
40: 고휘도 테이프 41: 사각형 난간대
42: 2단 T형고정홈 50: 장식휀스망
51: 브라켓트
본 고안은 전방에 삽입요홈(4)을 만들고 관통공(7b)을 만든 난간본체(1)에 있어서, 후방의 외곽테두리면(2)에 음각돌출문양(3)을 넣고 연결판(6)에 다수의 보울트공(5)과 바닥면(8)에 관통공(7)을 뚫고 양측 연결판(6)에는 다수의 보울트공 (5a)을 만들고 바닥 고정판(11)에 관통공(7a)을 뚫은 연결판(6) 형상과 동일한 철재 보강판(10)을 밀착후 보울트(20)와 너트(21)로 결합 일체로 한 난간본체(1)의 삽입요홈(4)에,전면에는 고휘도 테이프(40)를 접착하는 부착홈(32)을 후면에는 T형고정홈 (34)을 형성하고 내면에 다수의 돌기(33)를 돌출시켜 철재파이프(31)를 삽입시킨 알루미늄재 외부 난간대(30)를 밀착시켜 보울트(20a)를 T형 고정홈(34)에 삽입 난간본체(1)의 관통공(7b)에 끼워 너트(21a)로 고정하며,난간본체(1)의 상,하단 삽입요홈(4)에 고정된 알루미늄재 외부 난간대(30)에 장식 휀스망(50)의 브라켓트(51)를 밀착시켜 나사 결합하여 된 것이다.
상기의 난간본체(1)에서 전방으로 개방한 삽입요홈(4)의 상,하단의 삽입 요홈(4)은 동일 선상에 위치하도록 만들고 중간의 삽입요홈(4)은 약간 후방으로 밀려난 상태로 형성한다.
이렇게 난간본체(1) 중간부분의 삽입요홈(4)이 후방으로 밀려나게 한 것은 상,하단 삽입요홈(4)에 결합되는 외부난간대(30)에 장식휀스망(50)을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장식휀스망(50)의 모서리 부분에 외부난간대(30)의 형상에 맞는 브라켓트(51)를 일체로 하여 각각 나사 결합하여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의 알루미늄재 외부 난간대(30)의 내경에 다수의 돌기(33)를 돌출 시킨 것은 철재 파이프(31)의 삽입시 철재 파이프(31)의 외면이 내경의 다수 돌기(33)에만 접촉되어 원활한 삽입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과 아울러 충격 흡수를 위한 공간 확보를 함께하기 위한 것으로, 철재 파이프(31)의 재질은 강도가 강하나 외부의 온도나 환경에 의해 부식이 쉽게되거나 도색의 탈색이 쉬운 일반 금속 철재 파이프를 삽입함으로 외관상으로는 나타나지 않은 상태에서 알루미늄재 외부 난간대(30)를 튼튼하게 지지하여 준다.
알루미늄재 외부 난간대(30)의 부착홈(32)에는 고휘도 테이프(40)를 부착하여 차량의 안전운행을 유도하여 주며 고휘도 테이프(40)가 부착홈(32)에 삽입되게 부착됨으로 테이프의 손실을 방지하여 오랫동안 테이프의 수명을 유지하여 준다.
그리고 일측에 형성한 T형고정홈(34)은 알루미늄 주물재 난간본체(1)의 난간삽입요홈(4)에 밀착후 T형고정홈(34)에 삽입하는 보울트(20a)를 관통공(7b)에 끼워 너트(21a)로 결합하여 알루미늄재 외부 난간대(30)와의 결속력을 높여주어 난간 본체(1)에서 고정과 움직임을 잡아주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을 차도용이나 교량용의 난간대로 시설하고자 하면 먼저 난간본체(1)의 연결판(6) 양측으로 철재 보강판(10)을 밀착시켜 보울트공(5)을 통해 각각 보울트(20)를 삽입 너트(21)로 채결하여 하나의 난간본체(1)로 형성한 다음 바닥면(8)의 관통공(7)(7a)을 일정한 설치 거리를 두고 설치한 지면의 보울트를 삽입하여 안전하게 고정하여 일정한 거리의 유지한다.
상기 처럼 난간본체(1)를 좌, 우로 일정한 거리를 두고 연속 반복적으로 지면에 고정한 다음 알루미늄재 외부 난간대(30)의 T형 고정홈(34)에 보울트(20a)를 삽입시켜 난간본체(1)의 관통공(7b) 위치로 이동시켜 삽입한 후 너트(21a)로 조여 고정한다.이렇게 알루미늄재 외부 난간대(30)가 난간본체(1) 각각의 삽입요홈(4)에 삽입되어 고정시킨다.알루미늄재 외부 난간대(30)를 난간본체(1)의 삽입요흠(4)에 삽입하여 안전하게 고정한 상태에서 장식휀스망(50)의 브라켓트(51)를 난간본체(1)의 상, 하에 고정한 알루미늄재 외부 난간대(30)에 나사로 고정한다.상기 장식휀스망(50)의 장식 형상 모양은 주위의 경관과 설치 고장의 특성에 맞게 다양한 모양으로 변형이 가능한 것으로 양측으로 설치된 난간본체(1)의 거리에 따라 한개 또는 두개를 연속적으로 설치가 가능하고, 난간본체(1)의 후방 외곽 테두리면(2)에 음각되는 음각돌출문양(3) 또한 난간본체(1)의 설치 장소의 지역이나 특성에 알맞게 변형이 가능하다.이와 같이된 본 고안은 운전자의 운전 부주의로 차량이 알루미늄재 외부 난간대(30)에 충돌하게 되면 먼저 알루미늄재 외부 난간대(30)에 부딪치면 1차적인 충격이 가해짐과 동시에 순간적으로 내경의 돌기(33)에 의 만들어진 공간에서 충격이 흡수되면서 다시 내부 철재 파이프(31)가 2차적으로 충격을 흡수하여 주어 난간대의 파손을 최소화 함과 동시에 난간대가 파손되어 차량이 낭떠러지나 교량 밖으로 튀어나가는 것을 방지하여 인명이나 차량에 가해지는 피해를 최소한으로 방지하여 준다.그리고 알루미늄 주물재 난간본체(1)에 직접적인 충격이 가해져도 알루미늄 주물재 난간본체(1)의 연결판(6)에 양쪽으로 결합하는 철재 고정판(10)의 높은 강도로 쉽게 뿌러지지 않아 차량이 도로나 교량 밖으로 튀어나가는 것을 최소화 함과 동시에 가벼운 충돌에는 파손되지 않아 보수유지에도 좋을 뿐아니라 알루미늄 주물재 난간본체(1)의 외곽테두리면(2)의 음각돌출문양(3)에 의해 외관이 미려하여 주변 시설환경에도 뛰어난 효과가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교량 외부난간대(30)에 차량의 추돌로 파손되었을 경우에는 파손부분이 결합된 난간본체(1)의 난간대 삽입요홈(4)의 관통공(7a)에 고정한 너트(21a)를 풀어 보울트(20a)를 분리하면 손쉽게 분리하여 전방으로 뽑아낼 수 있어 교체 작업이 빠른 시간내에 이루어 질 수 있다.
이와 같이된 본 고안에 있어 도 6처럼 외부 난간대(30)의 테이프 부착홈(32)과 T형고정홈(34) 사이 면 중간부분에 단턱(35)이 지게 하여 장식휀스망(50)의 결합시 별도로 장식휀스망(50)에 브라켓트(51)를 부착하지 않고 테두리에 구멍을 내어 보울트로 직접적으로 외부난간대(30)에 결합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렇게 사용되는 외부난간대(30)의 형상을 도 7처럼 사각형 난간대(41)로 형성하여 전방을 향하는 면은 테이프 부착홈(32a)을 만들고 후방에는 상,하로 일정간격을 두고 2단 T형고정홈(42)을 형성한다.
그리고 또 다른 형상으로는 도 8처럼 사각 난간대(41)의 일측면 중간에 단턱(35a)을 만들어 된다.
이와 같이 도 7처럼 된 사각형 난간대(41)의 형상으로된 것에는 장식휀스망(50)을 고정시 장식휀스망(5)의 테두리에 고정 브라켓트(51)를 결합한 상태에서 나사 결합하여야 하며 단턱(35a)이 지게 한 경우에는 장식휀스망(5)의 테두리에 직접 구멍을 관통시켜 나사로 단턱(35a)면에 결합하면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사각형 난간대(41)를 사용 할 경우에는 난간본체(1)의 난간대 삽입요홈(4)의 형상도 사각형으로 하여야 하며 철강보강판(10)의 난간대 삽입요홈(4a)도 사각형으로 만들어 사용한다.
이와 같이된 본 고안은 알루미늄재 외부 난간대에 고휘도 테이프를 부착함으로 운전자의 안전운전을 도와주고 운전자의 부주의로 차량이 충돌하게 되어도 알루미늄재 외부 난간파이프가 1차적으로 충격을 최대한으로 흡수하여 주고 내부의 철재 난간 파이프가 2차적으로 흡수하여 난간대의 파손을 최소한으로 줄여주어 사고 차량이 차도변이나 교량의 난간대 밖으로 뛰어나감을 최대한으로 막아주어 최대한의 인명 사고를 줄일 수 있으며 차량 추돌에 의해 파손부분이 발생하면 손쉽게 분리하여 교체가 가능하다.
그리고 상 하단의 난간대 사이에는 장식휀스망을 결합 하도록 함으로 교량이나 안전 난간대로 사용시 시공되는 곳의 주변 환경이나 장소에 알맞은 휀스망을 제작하여 설치하면 주변 환경에 잘어울려 미적 감각이 뛰어나며 난간본체에는 아름다운 음각문양을 넣어 외관이 미려하여 주위 환경도 밝게하여 주는 자연 친화적으로 설치 할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5)

  1. 전방에 삽입요홈(4)을 만들고 관통공(7b)을 만든 난간본체(1)에 있어서, 후방의 외곽테두리면(2)에 음각돌출문양(3)을 넣고 연결판(6)에 다수의 보울트공(5)과 바닥면(8)에 관통공(7)을 뚫고 양측 연결판(6)에는 다수의 보울트공 (5a)을 만들고 바닥 고정판(11)에 관통공(7a)을 뚫은 연결판(6) 형상과 동일한 철재 보강판(10)을 밀착후 보울트(20)와 너트(21)로 결합 일체로 한 난간본체(1)의 삽입요홈(4)에,
    전면에는 고휘도 테이프(40)를 접착하는 부착홈(32)을 후면에는 T형고정홈(34)을 형성하고 내면에 다수의 돌기(33)를 돌출시켜 철재파이프(31)를 삽입시킨 알루미늄재 외부 난간대(30)를 밀착시켜 보울트(20a)를 T형 고정홈(34)에 삽입 난간본체(1)의 관통공(7b)에 끼워 너트(21a)로 고정하고,
    난간본체(1)의 상,하단 삽입요홈(4)에 고정된 알루미늄재 외부 난간대(30)에 장식 휀스망(50)의 브라켓트(51)를 밀착시켜 나사 결합하여 됨을 특징으로 한 장식 휀스망을 부착한 교량난간대.
  2. 제 1항에 있어서, 난간본체(1)에서 전방으로 개방한 삽입요홈(4)의 상,하단의 삽입 요홈(4)은 동일 선상에 위치하도록 만들고 중간의 삽입요홈(4)은 약간 후방으로 밀려난 상태로 됨을 특징으로 한 장식휀스망을 부착한 교량난간대.
  3. 제 1항에 있어서, 외부 난간대(30)의 테이프 부착홈(32)과 T형고정홈(34) 사이 면 중간부분에 단턱(35)이 지게 하여 장식휀스망(50)의 결합시 별도로 장식휀스망(50)에 브라켓트(51)를 부착하지 않고 테두리에 구멍을 내어 보울트로 직접적으로 외부난간대(30)에 결합 하게 한 장식휀스망을 부착한 교량난간대.
  4. 제 1항에 있어서, 외부난간대(30)의 형상을 사각형 난간대(41)로 형성하여 전방을 향하는 면은 테이프 부착홈(32a)을 만들고 후방에는 상,하로 일정간격을 두고 2단 T형고정홈(42)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한 장식휀스망을 부착한 교량난간대.
  5. 제 4항에 있어서, 사각 난간대(41)의 일측면 중간에 단턱(35a)을 만들어 됨을 특징으로 한 장식휀스망을 부착한 교량난간대.
KR20-2003-0012473U 2003-04-22 2003-04-22 장식휀스망을 부착한 교량난간대 KR20032911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2473U KR200329110Y1 (ko) 2003-04-22 2003-04-22 장식휀스망을 부착한 교량난간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2473U KR200329110Y1 (ko) 2003-04-22 2003-04-22 장식휀스망을 부착한 교량난간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9110Y1 true KR200329110Y1 (ko) 2003-10-08

Family

ID=494166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2473U KR200329110Y1 (ko) 2003-04-22 2003-04-22 장식휀스망을 부착한 교량난간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911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7665B1 (ko) * 2021-02-16 2021-09-03 주식회사 웰콘 지주 보강 난간
CN114577133A (zh) * 2022-02-28 2022-06-03 临沂市政集团有限公司 一种用于公路路政桥梁护栏的定时监测维护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7665B1 (ko) * 2021-02-16 2021-09-03 주식회사 웰콘 지주 보강 난간
CN114577133A (zh) * 2022-02-28 2022-06-03 临沂市政集团有限公司 一种用于公路路政桥梁护栏的定时监测维护装置
CN114577133B (zh) * 2022-02-28 2023-09-19 临沂市政集团有限公司 一种用于公路路政桥梁护栏的定时监测维护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1142B1 (ko) 가드레일용 지주 고정장치
KR200329110Y1 (ko) 장식휀스망을 부착한 교량난간대
KR100969810B1 (ko) 트러스 구조의 완충부를 구비한 차량안전 방호책
KR100499530B1 (ko) 가드레일
KR200391781Y1 (ko) 가드레일용 지주대의 매설보강구조
KR100345739B1 (ko) 차도용 철재난간과 이에 설치되는 충격완화장치
KR200391860Y1 (ko) 가드레일용 차광판 고정브래킷
KR200453540Y1 (ko) 지주에 보호커버 및 반사판이 설치된 휀스
KR200422066Y1 (ko) 차량 이탈 방지턱
KR200341898Y1 (ko) 가드레일
KR200406222Y1 (ko) 난간의 결합 구조
KR100561708B1 (ko) 충격흡수가 가능한 교량 난간 구조
KR100657561B1 (ko) 차량 이탈 방지턱
KR100669814B1 (ko) 난간의 결합 구조
KR100393467B1 (ko) 교량의 가이드레일 장치 및 시공방법
KR20110001380U (ko) 가드레일의 설치 구조
KR100955790B1 (ko) 방호 울타리 및 그 시공방법
KR200423780Y1 (ko) 장식보호커버가 씌워지는 교량용 난간
KR100493116B1 (ko) 교량의 가이드레일 장치 및 시공방법
KR100622348B1 (ko) 옹벽용 시선유도패널
KR200305611Y1 (ko) 다종류의 완충재로 형성된 자동차 충돌방지대
KR200336513Y1 (ko) 무늬판을 손쉽게 장착할 수 있는 방호용 난간 지주
KR100964549B1 (ko) 자동차도로용 운전자 위험 인식매트
KR100919996B1 (ko) 와이어로프가 내장된 난간
KR20040003110A (ko) 도로용 방호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7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