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3467B1 - 교량의 가이드레일 장치 및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교량의 가이드레일 장치 및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3467B1
KR100393467B1 KR10-2003-0019023A KR20030019023A KR100393467B1 KR 100393467 B1 KR100393467 B1 KR 100393467B1 KR 20030019023 A KR20030019023 A KR 20030019023A KR 100393467 B1 KR100393467 B1 KR 1003934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st
bridge
guide rail
reinforcing plate
rai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90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31080A (ko
Inventor
강명석
고삼석
Original Assignee
강명석
고삼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명석, 고삼석 filed Critical 강명석
Priority to KR10-2003-00190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93467B1/ko
Publication of KR200300310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10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34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3467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0Railings; Protectors against smoke or gases, e.g. of locomotives; Maintenance travellers; Fastening of pipes or cables to bridges
    • E01D19/103Parapets, railings ; Guard barriers or road-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Abstract

본 발명은 교량의 가이드레일 장치 및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콘크리트재에 포스트를 하부 보강플레이트와 앙카볼트로 채결되어진 교량의 가이드레일 장치에 있어서, 포스트에 부착되어진 상부보강플레이트와 하부보강플레이트; 포스트와 H빔 사이에 완충재를 삽입하여 고정볼트로 채결되도록 한 포스트에 부착되어진 리브플레이트; 상기 H빔을 전면절곡부와 후면절곡부로 끼울 수 있도록 하고 보호캡후면은 평면이고 완충보조재가 형성된 보호캡전면은 구형으로 형성된 충격보호캡으로 구성되어진 교량의 가이드레일 장치를 제공한다.
아울러, 상기와 같은 교량의 가이드레일 장치를 시공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교량의 가이드레일이 견고한 H빔으로 되어있어 차량이 교량 아래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완충재와 충격보호캡을 통하여 차량의 파손정도 및 인명피해도 최소한 줄일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Description

교량의 가이드레일 장치 및 시공방법{CONSTRUCTION METHOD AND DEVICE OF GUIDE-RAIL FOR BRIDGE}
본 발명은 교량에 입설되어 차량 및 보행자의 낙하를 방지하고 돌발적인 사고에 대하여 그 충격을 완화시키고자 하는 교량의 가이드레일 장치 및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에는 가이드레일을 설치하여 만약의 사고에 대비하여 왔지만 단순히 콘크리트 바닥구조에 가이드레일을 고정시킨 것으로 아무리 견고하게 고정을 시켰다 하더라도 차량과의 충돌 시 그 충격력을 흡수하지 못하였고, 또한 일정강도를 지니지 못하여 그 충격력을 흡수하지 못하여 가이드레일이 파손되고 심지어 차량이 교량 하방으로 낙하되는 사고가 빈번하였으며, 경미한 충돌로도 차량은 크게 파손되고 승차한 인명의 피해 또한 속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교량의 가이드레일은 지상으로부터 상당한 높이에 설치되는 것이므로 통행차량에게는 생명선과 같아 좀더 기능적인 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여러가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교량의 가이드레일을 견고한 H빔으로 하여 차량이 교량 아래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완충재와 충격보호캡을 통하여 차량의 파손정도 및 인명피해도 최소한 줄일 수 있는 교량의 가이드레일 장치 및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콘크리트재에 포스트를 하부 보강플레이트와 앙카볼트로 채결되어진 교량의 가이드레일 장치에 있어서, 포스트에 부착되어진 상부보강플레이트와 하부보강플레이트; 포스트와 H빔 사이에 완충재를 삽입하여 고정볼트로 채결되도록 한 포스트에 부착되어진 리브플레이트; 상기 H빔을 전면절곡부와 후면절곡부로 끼울 수 있도록 하고 보호캡후면은 평면이고 완충보조재가 형성된 보호캡전면은 구형으로 형성된 충격보호캡으로 구성되어진 교량의 가이드레일 장치 및 그에 따른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레일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레일 장치의 분해 조립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레일 장치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충격보호캡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포스트 2 : 베이스플레이트
3 : H빔 4 : 충격보호캡
5 : 완충재 6 : 상부보강플레이트
7 : 하부보강플레이트 8 : 리브플레이트
9 : 앙카볼트 10: 고정볼트
11: 콘크리트재 101: 보호캡후면
102:보호캡전면 101a:후면절곡부
101b:전면절곡부 102a:완충보조재
이하에서는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레일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레일 장치의 분해 조립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레일 장치의 단면도로서 같이 설명한다.
먼저, 타설되어진 콘크리트재(11)에 박힌 앙카볼트(9)로 포스트(1)를 고정시킨 후 포스트(1) 하부에 용접으로 하부를 보강하기 위하여 하부보강 플레이트(7)를 전, 후면에 부착시키며, 상기 포스트(1) 상부 후단부에는 상부보강플레이트(6)를 역시 용접하여 포스트(1) 상부를 보강한다.
상기 포스트(1)에는 3단으로 적정한 간격이 유지된 리브플레이트(8)가 역시 용접으로 부착되어 있고, 상기 리브플레이트(8)와 H빔(3)과 완충재(5)에는 고정볼트(10)로 고정하기 위한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H빔(3)과 상기 리브플레이트(8)의 사이에는 충격흡수와 충격완화를 위하여 상기 리브플레이트(8)보다 크기가 작은 고무재질의 완충재(5)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포스트(1)에는 용접되어 부착된 상기 리브플레이트(8)를 통하여 고정볼트(10)를 이용하여 완충재(5)를 사이에 두고 H빔(3)을 고정할 수 있다.
상기 포스트(1)와 이에 부착된 부착물 및 H빔(3)에는 도색을 하여 미관을 깨끗하게 함은 물론이고 녹슬음을 방지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충격보호캡(4)의 단면도로서 보호캡후면(101)은 평면으로 하고 보호캡전면(102)은 구형으로 하며, 상기 H빔(3)을 전면절곡부(101b)와 후면절곡부(101a)로 끼울 수 있도록 하고 보호캡전면(102)에는 완충보조재(102a)가 형성되어 있어 충격을 흡수하도록 되어있다.
상기 충격보호캡(4)은 FRP계통이나 단단한 고무재질로 할 수 있고 색상을 다양화하여 미관을 보기 좋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야광도색을 하면 야간에도 쉽게 식별할 수 있어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교량의 가이드레일 장치는 시공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며 미관이 좋아 교량에만 한정된 것이 아니라 일반적인 도로나 고가에서도 사용이 가능하다
다음에는 교량의 가이드레일 시공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면, 먼저 교량의 일정부분에 포스트(1)를 설치하기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앙카볼트(9)를 삽입한 후 포스트(1)에 용접되어진 베이스플레이트(2)를 너트를 이용하여 상기 포스트(1)를 고정한다.
그리고, 포스트(1)의 하부에 용접으로 하부를 보강하기 위하여 하부보강플레이트(7)를 전, 후면에 부착시키며, 상기 포스트(1) 상부 후단부에는 상부보강플레이트(6)를 역시 용접하여 포스트(1) 상부를 보강한다.
상기 포스트(1)에는 3단으로 적정한 간격이 유지된 리브플레이트(8)를 역시 용접으로 부착하고, 상기 리브플레이트(8)와 H빔(3)과 완충재(5)에는 고정볼트(10)로 고정하기 위한 구멍을 형성한다.
상기 리브플레이트(8)에 고정볼트(10)를 이용하여 완충재(5)를 삽입하고 H빔(3)을 고정한다.
상기 H빔(3)에 충격보호캡(4)의 전, 후면절곡부(101b, 101a)를 씌워 충격을 완화시킨다.
상기와 같이 교량의 가이드레일 시공을 마친 후에는 충격보호캡(4)에 색상을 다양화하여 미관을 보기 좋게 할 수도 있고, 야광도색을 하여 야간에도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상술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인 교량의 가이드레일 장치 및 시공방법은 교량의 가이드레일을 견고한 H빔으로 하여 차량이 교량 아래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완충재와 충격보호캡을 통하여 차량의 파손정도 및 인명피해도 최소한 줄일 수 있는 유용한 방법이다.

Claims (2)

  1. 콘크리트재에 포스트를 하부 보강플레이트와 앙카볼트로 채결되어진 교량의 가이드레일 장치에 있어서,
    포스트에 부착되어진 상부보강플레이트와 하부보강플레이트;
    포스트와 H빔 사이에 완충재를 삽입하여 고정볼트로 채결되도록 한 포스트에 부착되어진 리브플레이트;
    상기 H빔을 전면절곡부와 후면절곡부로 끼울 수 있도록 하고 보호캡후면은 평면이고 완충보조재가 형성된 보호캡전면은 구형으로 형성된 충격보호캡으로 구성되어진 것에 특징이 있는 교량의 가이드레일 장치.
  2. 교량의 일정부분에 포스트를 설치하기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앙카볼트를 삽입한 후 포스트에 용접되어진 베이스플레이트를 너트를 이용하여 상기 포스트를 고정하는 교량의 가이드레일 시공방법에 있어서,
    포스트의 하부에 용접으로 하부를 보강하기 위하여 하부보강플레이트를 전, 후면에 부착시키는 단계;
    상기 포스트 상부 후단부에 상부보강플레이트를 역시 용접하여 포스트 상부를 보강하는 단계;
    상기 포스트에는 3단으로 적정한 간격이 유지된 리브플레이트를 역시 용접으로 부착하는 단계;
    상기 리브플레이트와 H빔과 완충재에는 고정볼트로 고정하기 위한 구멍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리브플레이트에 고정볼트를 이용하여 완충재를 삽입하고 H빔을 고정하는 단계;
    상기 H빔에 충격보호캡의 전, 후면절곡부를 씌워 충격을 완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교량의 가이드레일 시공방법.
KR10-2003-0019023A 2003-03-26 2003-03-26 교량의 가이드레일 장치 및 시공방법 KR1003934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9023A KR100393467B1 (ko) 2003-03-26 2003-03-26 교량의 가이드레일 장치 및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9023A KR100393467B1 (ko) 2003-03-26 2003-03-26 교량의 가이드레일 장치 및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1080A KR20030031080A (ko) 2003-04-18
KR100393467B1 true KR100393467B1 (ko) 2003-08-02

Family

ID=295790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9023A KR100393467B1 (ko) 2003-03-26 2003-03-26 교량의 가이드레일 장치 및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9346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70807B (zh) * 2016-06-15 2017-07-04 西南交通大学 桥梁碰撞缓冲抗震构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1080A (ko) 2003-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7728B1 (ko) 가드레일
CN110106784A (zh) 一种桥梁防护栏结构
KR100969810B1 (ko) 트러스 구조의 완충부를 구비한 차량안전 방호책
KR200391835Y1 (ko) 복합형 차량 방호책
KR200365454Y1 (ko) 가드레일용 지주대의 매설보강구조
KR100847736B1 (ko)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충격흡수용 가드레일
EP0575705A1 (en) Metallic safety barrier
KR200300015Y1 (ko) 도로용 가이드 레일
KR100393467B1 (ko) 교량의 가이드레일 장치 및 시공방법
KR200391781Y1 (ko) 가드레일용 지주대의 매설보강구조
KR100499530B1 (ko) 가드레일
KR101134563B1 (ko) 가드레일 장치
KR20120001028U (ko) 높이 조절식 보강 가드레일
KR200341898Y1 (ko) 가드레일
KR100769270B1 (ko) 완충용 가드레일
JP2001336125A (ja) 多機能支柱一体型防護柵
KR100561708B1 (ko) 충격흡수가 가능한 교량 난간 구조
KR20040068053A (ko) 교량의 가이드레일 장치 및 시공방법
JP3595391B2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防護柵
KR200329110Y1 (ko) 장식휀스망을 부착한 교량난간대
KR200336614Y1 (ko) 도로용 가드레일 구조
CN220521173U (zh) 一种道路桥梁用缓冲护栏
KR200272027Y1 (ko) 충격흡수형 도로안전 방호시설
CN211646156U (zh) 一种能够缓冲吸能的交通护栏
KR100526399B1 (ko) 충격흡수용 가드레일 겸용 난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2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