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3208Y1 - 자동차 히터 컨트롤러의 블로워스위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히터 컨트롤러의 블로워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3208Y1
KR200313208Y1 KR20-2003-0004331U KR20030004331U KR200313208Y1 KR 200313208 Y1 KR200313208 Y1 KR 200313208Y1 KR 20030004331 U KR20030004331 U KR 20030004331U KR 200313208 Y1 KR200313208 Y1 KR 20031320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low
partition wall
moving contactor
detent
flang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433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동훈
Original Assignee
우리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리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우리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3-000433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320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320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3208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02Details
    • H01H19/10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9/20Driving mechanisms allowing angular displacement of the operating part to be effective in either dir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65Control members, e.g. levers or knob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02Details
    • H01H19/10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9/14Operating parts, e.g. turn kno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1/00Applications
    • H01H2231/026Ca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tary Switch, Piano Key Switch, And Lever Switch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 히터 컨트롤러의 블로워스위치에 관한 것으로서, 중공의 칸막이벽이 그 내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칸막이벽의 배면에 인접한 내주면을 따라 디텐트클릭단이 형성된 케이스와; 정면에 상기 칸막이벽의 중공에 삽입되는 중공 결합축이 형성되고, 배면에 탄성부재를 개재하여 단자판이 결합되며, 측면에는 상기 디텐트클릭단에 걸려지는 다수개의 디텐트가 케이스 반경방향을 향하여 돌출설치된 무빙컨택터와; 양단 사이에 칸막이벽 정면의 중공 플랜지부에 의하여 지지되는 플랜지부가 형성되고, 일단은 제어패널 전면의 스위치 노브에 연결되며, 타단은 상기 칸막이벽의 중공을 관통하여 무빙컨택터의 중공 결합축에 끼워지는 결합회전축과; 상기 무빙컨택터에 결합되며, 정면에 무빙컨택터의 단자판과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다수개의 단자판을 구비한 단자부와;를 포함하여 구성되므로,
부품개수와 조립공수를 감소할 수 있으며, 무빙컨택터의 회전에 의한 디텐트와 디텐트클릭단의 마찰 및 마찰음도 크게 저감될 뿐 아니라, 결합회전축의 유동을 극력 방지함으로써, 블로워스위치의 작동안정성과 내구성이 크게 향상된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자동차 히터 컨트롤러의 블로워스위치{Blower switch of heater controler for car}
본 고안은 자동차 히터 컨트롤러의 블로워스위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스위치노브에 결합된 결합회전축을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블로워스위치의 작동안정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킨 블로워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히터 컨트롤러는 차량 내부를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냉방장치(A/C), 난방장치(HEATER) 또는 환기장치 등을 제어 및 조절하는 장치이며, 히터 컨트롤러의 제어패널에는 냉온풍의 풍속이나 풍량을 조절하기 위해서 블로워모터의 팬과 연결된 블로워스위치가 설치된다.
도 1은, 종래의 히터 컨트롤러의 블로워스위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블로워스위치는, 냉난방의 단수를 선택하기 위하여 제어패널(P)의 전면에 장착되는 스위치노브(10)와, 제어패널 후면의 하우징(H)에 장착되며 상기 스위치노브(10)와 샤프트(30)에 의하여 연결되는 원통형의 디텐트 케이스(20)로 구성된다.
상기 디텐트 케이스(20)의 내부에는, 중공(41) 주위로 디텐트클릭단(45)이 형성된 클릭단부(40)와, 디텐트클릭단에 걸려지는 디텐트볼(51)을 구비하고 그 배면에는 단자판(52)을 구비한 무빙컨택터(50), 클릭단부의 중공(41)에 삽입되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그 양단이 스위치노브(10) 및 무빙컨택터(50)에 각각 고정결합되는 샤프트(30), 상기 무빙컨택터의 단자판(52)과 점 접촉하며 블로워모터의 팬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자판(61)을 구비한 단자부(60)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클릭단부(40) 및 단자부(60)는 후크(44,62) 또는 가이드(43)를 각각 구비하고 있어 디텐트 케이스(20)에 형성된 후크홈(21, 21') 또는 가이드홈(미도시)에 고정결합된다.
냉난방의 단수를 선택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스위치노브(10)를 돌리면, 스위치노브와 샤프트(30)로 연결된 무빙컨택터(50)가 회전하게 되고, 사용자가 원하는 단수에 스위치노브(10)를 위치시키는 순간, 무빙컨택터의 디텐트볼(51)이 클릭단부(40)에 형성된 디텐트클릭단(45) 사이 간격에 위치하여 스위치노브가 정지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블로워스위치는, 무빙컨택터의 디텐트볼이 걸려지는 클릭단부를 별개의 단품으로 구성하고 이를 디텐트 케이스에 후크결합하는 구조로 되어 있어 부품개수가 증가하고, 조립공정이 증가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디텐트클릭단이 클릭단부의 정면에 고정설치되어, 디텐트볼이 클릭단부의 디텐트클릭단을 긁고 지나갈 때의 충격이 크고, 이러한 충격에 의하여 후크결합된 클릭단부가 유동됨으로 인하여 디텐트볼과 디텐트클릭단 사이의 마찰음이 더욱 커지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한편, 클릭단부의 유동이 심한 경우에는, 클릭단부의 중공에 지지되는 샤프트가 흔들리게 되어 블로워스위치의 내구성에 영향을 끼칠 뿐 아니라, 샤프트에 의하여 지지되는 무빙컨택터의 단자판과 단자부 단자판 간의 점 접촉 정확성이 떨어져 작동오차가 생길 수 있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디텐트 케이스의 내주면에 클릭단을 일체로 형성하고, 디텐트를 상기 케이스의 반경방향으로 설치하여 작동안정성과 내구성을 향상시킨 블로워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자동차 히터 컨트롤러 블로워스위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히터 컨트롤러의 제어패널과 블로워스위치의 구성을 정면 쪽에서 바라본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블로워스위치의 구성을 배면 쪽에서 바라본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블로워스위치 케이스의 단면도 및 배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블로워스위치의 결합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스위치노브, 100...가이드홀,
P...제어패널, H...하우징,
200...커버, 300...결합회전축,
310..플랜지부, 400...케이스,
410...칸막이벽, 415...무빙컨택터 스토퍼,
411...중공 플랜지부, 420...중공,
430...디텐트클릭단, 500...무빙컨택터,
510...중공 결합축 520...탄성부재,
530...단자판, 540...디텐트,
600...단자부, 620...단자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블로워스위치는, 자동차 히터 컨트롤러부의 제어패널에 설치되는 블로워스위치에 있어서,
중공의 칸막이벽이 그 내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칸막이벽의 배면에 인접한 내주면을 따라 디텐트클릭단이 형성된 케이스와;
정면에 상기 칸막이벽의 중공에 삽입되는 중공 결합축이 형성되고, 배면에 탄성부재를 개재하여 단자판이 결합되며, 측면에는 상기 디텐트클릭단에 걸려지는 다수개의 디텐트가 케이스 반경방향을 향하여 돌출설치된 무빙컨택터와;
양단 사이에 칸막이벽 정면의 중공 플랜지부에 의하여 지지되는 플랜지부가 형성되고, 일단은 제어패널 전면의 스위치 노브에 연결되며, 타단은 상기 칸막이벽의 중공을 관통하여 무빙컨택터의 중공 결합축에 끼워지는 결합회전축과;
상기 무빙컨택터에 결합되며, 정면에 무빙컨택터의 단자판과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다수개의 단자판을 구비한 단자부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합회전축의 플랜지부와, 상기 칸막이벽 정면의 중공 플랜지부 사이에는 탄성부재가 개재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칸막이벽 정면의 중공 플랜지부에 중공의 중심방향으로 연장됨과 동시에 정면을 향하여 절곡된 절곡 연장부가 구비되어 상기 탄성부재가 상기 절곡 연장부와 결합회전축의 플랜지부 사이에 개재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칸막이벽 배면에는 무빙 컨택터 스토퍼가 돌출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디텐트는, 그 탄성력이 무빙컨택터의 반경방향을 향하여지도록 무빙컨택터 내에 설치된 탄성부재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히터 컨트롤러의 제어패널과 블로워스위치의 구성을 정면 쪽에서 바라본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블로워스위치의 구성을 배면 쪽에서 바라본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블로워스위치 케이스의 단면도 및 배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블로워스위치의 결합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블로워스위치는, 제어패널(P)의 전면에 장착된 스위치노브(100)와 결합회전축(300)에 의하여 연결되는 케이스(400)와, 상기 케이스의 전면에 장착되는 커버(200)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장착되는 무빙컨택터(500) 및 케이스의 일단부를 폐쇄하며 케이스에 결합되는 단자부(600)와, 스위치노브(100)와 무빙컨택터(500)에 그 양단이 각각 결합되는 결합회전축(30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어패널 쪽을 정면, 그와 반대쪽을 배면으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케이스(400)의 외주면과 내주면의 상하단 부근에는, 커버(200) 및 단자부(600)의 둘레면에 각각 형성된 가이드(202,602)와 후크(201, 601)가 각각 결합되도록 가이드홈 및 후크홀이 형성되어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케이스(400) 내부에는 중공(420)의 칸막이벽(410)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칸막이벽의 배면에 인접한 케이스 내주면을 따라 디텐트클릭단(43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디텐트클릭단의 단면은, 각 클릭단 사이 지점(431)을 꼭지점으로 하며 각 변이 케이스 내주면의 접선방향과 평행한 다각형의 형태가 된다. 클릭단(430)의 단수는, 설계단수에 대응하여 더 많게 하거나 작게 할 수 있다. 후술하는 무빙컨택터의 디텐트(540)는, 상기 클릭단 표면을 긁고 지나가서, 상기 클릭단 사이 지점(431)에서 정지하게 된다.
상기 칸막이벽 정면의 중공 플랜지부(411)의 단부에는, 중공(420)의 중심방향으로 연장됨과 동시에 정면을 향하여 절곡된 절곡 연장부(411a)가 형성되며, 상기 절곡 연장부 사이에는 상기 중공보다 작은 직경의 중공(412)이 형성된다(도 4a참조). 또한, 상기 칸막이벽의 배면에는 무빙컨택터 스토퍼(415)가 돌출형성되어 있다(도 4b 참조).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케이스(400)는 양면이 개방된 형태로 할 수도 있으나, 부품개수를 줄이기 위하여 커버(200)가 결합되는 쪽 단부를 막고 그 단부에 결합회전축(300)이 삽입되는 중공을 형성함으로써, 커버가 필요하지 않는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다.
칸막이벽(410)의 배면 쪽에는, 정면에 중공 결합축(510)이 돌출형성된 무빙컨택터(500)가 설치된다. 상기 중공 결합축(510)의 중공에는 후술하는 결합회전축(300)의 단부(301)가 끼워지는데, 이 때 상기 결합회전축 단부(301)가 상기 중공에 꼭 끼워지도록 중공 결합축(510)의 중공형태와 결합회전축 단부(301)의 단면형태를 동일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무빙컨택터(500)의 배면에도 중공 결합축이 돌출형성되며, 상기 회전축에는 탄성부재(520)가 감겨있다. 또, 상기 회전축의 단부에는 상기 탄성부재(520)와 연결되어 그 신축에 의하여 전후이동되는 단자판(530)이 결합되며, 상기 단자판의 중앙에는 중공이 형성되어 있어 회전축이 이를 통하여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단자판(530)의 소정위치에는, 후술하는 단자부(600)의 단자판(620)과 점 접촉하는 돌출부(53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무빙컨택터(500)의 측면에는 상기 케이스 내주면의 디텐트클릭단(430)에 걸려지는 다수개의 디텐트(540)본 실시예에서는 2개)가 케이스 반경방향을 향하여 돌출설치되어 있다.
한편, 무빙컨택터(500)의 형태는, 후술하는 단자부(600)의 형태에 대응하여 원형으로 할 수도 있으나, 도 2 및 도 3과 같이, 반원형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디텐트(540)는 반원 하단 측면에 형성된 홈(541)에 끼워져 있다.
결합회전축(300)은, 그 양단 사이에 플랜지부(310)가 형성되며, 상기 플랜지부는 칸막이벽 정면의 중공 플랜지부(411)에 의하여 지지된다. 상기 결합회전축의 일단은 커버(200)의 중공(210)을 관통하여 제어패널(P) 전면의 스위치 노브(100)에 연결되며, 타단은 상기 칸막이벽의 중공(420)을 관통하여 무빙컨택터(500)의 중공 결합축(510)에 끼워진다. 스위치노브(100)에 끼워지는 결합회전축(300)의 일단부(302) 단면은 D자형으로 커팅되어 스위치노브에 고정결합되며(도 2 참조), 타단부(301) 단면은 상술한 바와 같이 무빙컨택터의 중공 결합축(510)에 형성된 중공에 대응되는 형태로 되어 있다(도 3 참조).
한편, 상기 결합회전축(300)의 플랜지부(310)와, 칸막이벽 정면 중앙의 플랜지부(411)정확히는, 플랜지부의 절곡 연장부) 사이에는 탄성부재, 예컨대 임팩트 스프링(S)이 설치되어 있다.
단자부(600)는, 정면에 무빙컨택터의 단자판(530)과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다수개의 단자판(620)이 설치되어 있으며, 그 정면 중앙에는 무빙컨택터(500) 배면의 중공 결합축에 끼워지는 돌출부(61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다수개의 단자판(620)은 블로워모터의 팬모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블로워스위치의 결합과정 및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블로워스위치의 전면에 커버(200)를 결합시킨 다음, 커버의 중공(210)에 결합회전축(300)을 삽입한다. 그리고, 결합회전축의 플랜지부(310)와 타단(301) 사이에 탄성부재(S)를 개재한 채, 케이스 내 칸막이벽 중공(420)에 결합회전축(300)을 삽입하고, 결합회전축의 타단부(301)를 무빙컨택터의 중공 결합축(510)에 끼움으로써, 무빙컨택터(500)를 케이스(400) 내에 설치한다. 다음, 무빙컨택터 배면의 중공 결합축에 단자부(600)의 돌출부(610)를 끼움과 동시에, 단자부 둘레면의 후크(601)와 가이드(602)를 케이스의 후크홀 및 가이드 홈에 각각 결합하면, 디텐트 케이스의 조립이 완료된다. 상기 케이스 조립체를, 그 결합회전축(300)이 커버의 중공(210) 및 제어패널의 지지홀(110)을 관통하여 제어패널(P)의 전면으로 돌출되도록, 도 2의 제어패널-하우징 결합체에 형성된 설치공(미도시)에 설치한 다음, 돌출된 결합회전축(300)에 스위치노브(100)를 끼우면 블로워스위치의 조립과정이 종료한다.
사용자가 원하는 단수의 냉방 또는 난방기능을 선택하기 위하여, 스위치노브(100)를 돌리면, 이에 고정결합된 결합회전축(300)의 회전에 따라, 무빙컨택터(500)가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그 배면의 단자판(530)에 형성된 돌출부(531)가 단자부(600)의 단자판(620)과 접촉하며 회전하게 된다. 이 때, 무빙컨택터의 측면에 설치된 디텐트(540)는, 케이스 내주면의 디텐트클릭단(430)을 타고 넘으며 이동하게 되고, 사용자가 원하는 단수에 이르면 디텐트(540)가 클릭단사이 지점(431)에서 멈추게 되며, 배면의 단자판(530)에 형성된 돌출부(531)도 단자부의 단자판(620) 중 하나와 접촉한 상태에서 멈추게 되어 냉난방의 단수가 선택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특징은, 디텐트클릭단과 무빙컨택터를 지지하기 위한 칸막이벽을 케이스 내에 일체로 형성하여 종래의 블로워스위치에 있어서의 클릭단부가 별개로 요구되지 않는다는 데 있다.
또한, 무빙컨택터가 회전 시에 디텐트와 디텐트클릭단 사이의 마찰저항을 줄이기 위하여, 상기 디텐트를 무빙컨택터의 반경방향을 향하여 탄성력이 작용하도록 무빙컨택터 측면 홈 내에 설치된 탄성부재에 의하여 지지되도록 하는 것도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이 될 수 있다. 즉, 디텐트클릭단 사이에서는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디텐트는 케이스 반경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지만, 무빙컨택터가 회전하여 디텐트가 디텐트클릭단에 접할 때에는, 디텐트가 반경방향의 역방향으로 후퇴하고, 디텐트가 디텐트클릭단 사이에 위치할 때에는 다시 반경방향으로 돌출되어 디텐트 기능을 수행하게 구성함으로써, 무빙컨택터 회전시의 케이스와 디텐트와의 마찰을 최소로 하고 있으므로, 마찰음도 크게 감소하게 된다.
한편, 도 5와 같이, 결합회전축의 플랜지부와 칸막이벽의 중공 플랜지부 사이에 개재된 탄성부재(임팩트 스프링)는, 차량이 충격을 받을 때 그 충격을 흡수하여 블로워스위치를 보호하기 위한 완충작용을 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블로워스위치는, 종래와 같이 클릭단부를 별개로 형성하지 않고, 디텐트클릭단을 케이스 내주면에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부품개수와 조립공수를 감소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칸막이벽을 케이스에 일체로 형성하고 칸막이벽의 중공에 의하여 결합회전축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므로, 결합회전축의 유동이 거의 없을 뿐 아니라, 디텐트를 케이스 자체에 형성하기 때문에 무빙컨택터의 회전에 의한 디텐트와 디텐트클릭단의 마찰음도 크게 저감된다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디텐트와 디텐트클릭단 사이의 마찰을 최소화하여 결합회전축의 유동을 극력 방지함으로써, 블로워스위치의 작동안정성과 내구성이 크게 향상된다는 장점이 있다.

Claims (5)

  1. 자동차 히터 컨트롤러부의 제어패널에 설치되는 블로워스위치에 있어서,
    중공(420)의 칸막이벽(410)이 그 내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칸막이벽의 배면에 인접한 내주면을 따라 디텐트클릭단(430)이 형성된 케이스(400)와;
    정면에 상기 칸막이벽의 중공(420)에 삽입되는 중공 결합축(510)이 형성되고, 배면에 탄성부재(520)를 개재하여 단자판(530)이 결합되며, 측면에는 상기 디텐트클릭단(430)에 걸려지는 다수개의 디텐트(540)가 케이스 반경방향을 향하여 돌출설치된 무빙컨택터(500)와;
    양단 사이에 칸막이벽 정면의 중공 플랜지부(411)에 의하여 지지되는 플랜지부(310)가 형성되고, 일단(302)은 제어패널(P) 전면의 스위치 노브(100)에 연결되며, 타단(301)은 상기 칸막이벽의 중공(420)을 관통하여 무빙컨택터(500)의 중공 결합축(510)에 끼워지는 결합회전축(300)과;
    상기 무빙컨택터(500)에 결합되며, 정면에 무빙컨택터의 단자판(530)과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다수개의 단자판(620)을 구비한 단자부(600)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히터 컨트롤러의 블로워스위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회전축(300)의 플랜지부(310)와, 상기 칸막이벽(410) 정면의 중공플랜지부(411) 사이에 탄성부재(S)가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히터 컨트롤러의 블로워스위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벽(410) 정면의 중공 플랜지부(411)의 단부에는, 중공(420)의 중심방향으로 연장됨과 동시에 정면을 향하여 절곡된 절곡 연장부(411a)가 형성되며, 상기 탄성부재(S)는 상기 절곡 연장부(411a)와 결합회전축(300)의 플랜지부(310) 사이에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히터 컨트롤러의 블로워스위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벽(410) 배면에 무빙컨택터 스토퍼(415)가 돌출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히터 컨트롤러의 블로워스위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텐트(540)는, 그 탄성력이 무빙 컨택터(500)의 반경방향을 향하여지도록 무빙컨택터 내에 설치된 탄성부재에 의하여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히터 컨트롤러의 블로워스위치.
KR20-2003-0004331U 2003-02-14 2003-02-14 자동차 히터 컨트롤러의 블로워스위치 KR20031320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4331U KR200313208Y1 (ko) 2003-02-14 2003-02-14 자동차 히터 컨트롤러의 블로워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4331U KR200313208Y1 (ko) 2003-02-14 2003-02-14 자동차 히터 컨트롤러의 블로워스위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3208Y1 true KR200313208Y1 (ko) 2003-05-16

Family

ID=494065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4331U KR200313208Y1 (ko) 2003-02-14 2003-02-14 자동차 히터 컨트롤러의 블로워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320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41326A (en) Discharge direction control device for air conditioner
JPH09156345A (ja) 車両用空調装置
JP2016538180A (ja) 自動車用の通気口ダイヤル
US4523434A (en) Air ventilator
KR200313208Y1 (ko) 자동차 히터 컨트롤러의 블로워스위치
CN112303904B (zh) 风道组件、风轮装置及吹风设备
KR100374626B1 (ko) 공기조화기의 오토셔터 가이드장치
JP3697842B2 (ja) 天井埋込形空気調和機
KR101118219B1 (ko) 듀얼 타입 스위치
JP2002078295A (ja) 電動送風機及び電気掃除機
EP1251281B2 (en) Tangential ventilating device
JP7193171B2 (ja) 送風機
CN217401295U (zh) 进风组件及具有其的风扇
JP2003002049A (ja) 車両用ルーバ
JPH11231956A (ja) ピニオンギアの取付構造
CN220016115U (zh) 阀体组件
KR100340325B1 (ko) 공기조화기의 공기토출구 개폐용 셔터구동장치
KR101118728B1 (ko) 스위치
JP6991735B2 (ja) 空気調和装置の室内機
JPH1151418A (ja) 空気調和機
KR200329655Y1 (ko) 공기조화장치용 도어 구동부 결합구조
KR0165985B1 (ko) 자동차의 콘트롤 스위치 어셈블리
KR100364903B1 (ko) 공기조화기의 공기토출구 개폐용 셔터구동장치
JP2001231215A (ja) ファンモータの取付装置
KR101241153B1 (ko) 공조모드 변경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30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