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5985B1 - 자동차의 콘트롤 스위치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콘트롤 스위치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5985B1
KR0165985B1 KR1019960031473A KR19960031473A KR0165985B1 KR 0165985 B1 KR0165985 B1 KR 0165985B1 KR 1019960031473 A KR1019960031473 A KR 1019960031473A KR 19960031473 A KR19960031473 A KR 19960031473A KR 0165985 B1 KR0165985 B1 KR 01659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switch
housing
mode
plat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314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08644A (ko
Inventor
송재학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10199600314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65985B1/ko
Publication of KR9800086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86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59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598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65Control members, e.g. levers or knob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 Rotary Switch, Piano Key Switch, And Lever Switc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콘트롤 스위치 어셈블리(CONTROL SWITCH ASS'Y)에 관한 것으로서, 단일의 하우징에 각각의 스위치를 설치하여 원가를 절감을 시키고, 작업 공정수를 줄이며, 미관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 진공에 의해 조절되는 모드선택수단과, 전기장치에 의해 조절되는 송풍조절수단과, 케이블에 의해 조절되는 온도조절수단과, 상기 각각의 수단이 다단의 외주면에 순차적으로 설치되어 소정각도 회전되도록 형성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삽입 고정되며, 상기 하우징에 설치된 단자와 대응되는 위치에 단자가 매설되고, 후단으로는 단자와 연통되는 단자대를 형성한 단자박스와, 상기 하우징의 일측 외주면에 설치되고, 다단으로 형성되되, 그 다단의 면에는 각 수단에 상응되는 그림모드가 그려진 모드판과, 상기 하우징이 고정되고, 외주면으로는 다수개의 걸림턱을 형성한 케이스와, 패키지패널 소정위치에 상기 케이스가 고정되는 절개구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우징은 동일축을 중심으로 외경이 점차적으로 커지는 동심형상으로, 상기 모드선택수단과, 송풍조절수단이 대응되는 위치에 소정각도로 단자가 매설되고, 그 단자들의 직각면에는 소정각도로 슬로트홀이 형성되는데, 상기 모드선택수단이 설치되는 후단으로는 다수개의 진공단자를 돌설시키고, 상기 온도조절수단과 대응되는 후단으로는 케이블박스를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모드선택수단은 소정폭을 갖는 원통형상으로 다단으로 형성시키되, 후면 상측에 설치된 고정돌기가 상기 하우징의 소정각도로 형성된 슬로트홀에 끼워져 회전되고, 내부 소정위치에는 스프링에 의해 작동되는 강구가 삽입된 통전박스와 통전되는 단자판을 매설시켜 상기 단자박스와 통전되며, 후면에는 소정길이를 갖고 봉형상인 연동바를 매설한 모드조절스위치와, 원통형상으로 일측표면에 상기 모드조절스위치의 연동바에 걸리는 연동바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모드조절스위치와 연동되는 밀착판과, 원통형상으로 고무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밀착판 후면에 설치되며, 일측표면에는 소정형상으로 진공유로를 돌설한 진공판과, 상기 모드조절스위치와 밀착판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밀착판과 진공판을 눌러 진공을 유지시키는 인장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되며, 상기 송풍조절수단은 소정폭을 갖는 원통형상으로 형성시키되, 후면에 설치된 고정돌기가 상기 하우징의 소정각도로 형성된 슬로트홀에 끼워져 회전되고, 내부 소정위치에는 스프링에 의해 작동되는 강구가 삽입된 통전박스와 통전되는 단자판을 매설시켜 상기 단자박스와 통전되는 송풍조절스위치가 형성되고, 상기 온도조절수단은 소정폭을 갖는 원형으로 형성시키되, 후면으로는 상기 하우징의 일측 끝단부가 끼워지는 고정홈이 형성되고, 그 고정홈 중앙으로부터 소정길이로 고정핀을 매설한 온도조절스위치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끼워지고, 상기 온도조절스위치와 연동되며, 외주면으로는 소정폭을 갖는 나선형의 캠을 일체로 형성한 판캠과, 일측 돌기가 와이어와 고정되고, 반대측은 고리가 고정되며, 와이어의 중앙부를 피복한 형상으로, 상기 온도조절스위치의 회전으로 인하여 판캠의 외주면에 상기 돌기가 슬라이딩되어 와이어가 전후진되는 케이블로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콘트롤 스위치 어셈블리(CONTROL SWITCH ASS'Y)
본 발명은 자동차의 콘트롤 스위치 어셈블리(CONTROL SWITCH ASS'Y)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모드선택스위치와, 송풍조절스위치와, 온도조절스위치를 다단으로 형성된 원통형상의 하우징에 설치하여 원가를 절감을 시키고, 작업 공정수를 줄이며, 미관을 향상시키기 위한 자동차의 콘트롤 스위치 어셈블리(CONTROL SWITCH ASS'Y)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콘트롤 스위치 어셈블리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난방, 환기, 전면유리 서리제거 및 측면유리서리제거의 기능으로 설계되어 있고, 상기 자동차의 콘트롤 스위치 어셈블리는 공기 흡입구로부터 공기의 유동을 형성하고 전달하여 흡입공기를 가열해주는 송풍기와, 엔진 냉각수의 열을 흡입공기에 전달하여 공기를 가열해주는 히터코어와, 히터 코어를 통과하는 공기를 분배 덕트로 분배하는 온도조절밸브와, 공기 유동을 조절하여 공기를 분배 덕트로 분배하는 모드밸브를 조작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자동차의 콘트롤 스위치 어셈블리는 패키지패널(81)의 중앙부위에 장착된 3개의 로터리스위치 즉 진공에 의해 조절되는 모드선택스위치(10)와, 케이블에 의해 조절되는 온도조절스위치(40)와, 전기장치에 의해 조절되는 송풍조절스위치(30)와, 상기 3개의 조절스위치를 패키지패널(81)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형성한 케이스(70)로 이루어진다.
종래 자동차의 콘트롤 스위치 어셈블리(CONTROL SWITCH ASS'Y)는 단일의 케이스에 모드선택스위치(10)와, 송풍조절스위치(30)와, 온도조절스위치(40)를 설치한 구조이므로, 각각의 스위치를 제작 하여야 하고, 또 조립도 각각 해야하므로 공정수가 많아지고, 3개의 스위치를 패키지패널(81) 중앙위치에 설치하였기 때문에 크기가 커서 미관상으로도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원가를 절감을 시키고, 작업 공정수를 줄이며, 미관을 향상시키기 위한 새로운 형태의 자동차의 콘트롤 스위치 어셈블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진공에 의해 조절되는 모드선택수단과, 전기장치에 의해 조절되는 송풍조절수단과, 케이블에 의해 조절되는 온도조절수단과, 상기 각각의 수단이 외주면에 순차적으로 설치되어 소정각도로 회전되도록 형성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삽입 고정되며, 상기 하우징에 설치된 단자와 대응되도록 단자가 매설되고, 후단으로는 단자대를 형성한 단자박스와, 상기 하우징의 외주면에 끼워져 고정되고, 다단으로 설치되며, 그 다단의 면에는 각 수단에 상응되는 그림모드가 그려진 모드판과, 상기 하우징이 고정되고, 측면으로는 다수개의 걸림턱을 형성한 케이스와, 패키지패널 소정위치에 상기 케이스가 고정되는 절개구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우징은 동일축을 중심으로 외경이 점차적으로 커지는 동심형상으로, 상기 모드선택수단과, 송풍조절수단이 대응되는 위치에 소정각도로 단자가 매설되고, 그 단자들의 직각면에는 소정각도로 슬로트홀이 형성되는데, 상기 모드선택수단이 설치되는 후단으로는 다수개의 진공단자를 돌설시키고, 상기 온도조절수단과 대응되는 후단으로는 케이블박스를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모드선택수단은 소정폭을 갖는 원통형상으로 다단으로 형성시키되, 후면 상측에 설치된 고정돌기가 상기 하우징의 슬로트홀에 끼워져 회전되고, 내부 소정위치에는 스프링에 의해 작동되는 강구가 삽입된 통전박스와 통전되는 단자판을 매설시켜 상기 단자박스와 통전되며, 후면하단에는 소정길이를 갖고 봉형상인 연동바를 매설한 모드조절스위치와, 원통형상으로 일측표면에 상기 모드조절스위치의 연동바에 걸리는 연동바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모드조절스위치와 연동되는 밀착판과, 원통형상으로 고무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밀착판 후면에 설치되며, 일측표면에는 소정형상으로 진공유로를 돌설한 진공판과, 상기 모드조절스위치와 밀착판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밀착판과 진공판을 눌러 진공을 유지시키는 인장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되며, 상기 송풍조절수단은 소정폭을 갖는 원통형상으로 형성시키되, 후면에 설치된 고정돌기가 상기 하우징의 슬로트홀에 끼워져 회전되고, 내부 소정위치에는 스프링에 의해 작동되는 강구가 삽입된 통전박스와 통전되는 단자판을 매설시켜 상기 단자박스와 통전되는 송풍조절스위치가 형성되고, 상기 온도조절수단은 소정폭을 갖는 원형으로 형성시키되, 후면으로는 상기 하우징의 일측 끝단부가 끼워지는 고정홈이 형성되고, 그 고정홈 중앙으로부터 소정길이로 고정핀을 매설한 온도조절스위치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끼워지고, 상기 온도조절스위치와 연동되며, 외주면으로는 소정폭을 갖는 나선형의 캠을 일체로 형성한 판캠과, 일측 돌기가 와이어와 고정되고, 반대측은 고리가 고정되며, 와이어의 중앙부를 피복한 형상으로, 상기 온도조절스위치의 회전으로 인하여 판캠의 외주면에 상기 돌기가 슬라이딩되어 와이어가 전후진되는 케이블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기존 자동차의 콘트롤 스위치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콘트롤 스위치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콘트롤 스위치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모드조절스위치의 통전박스 부위를 나타내는 확대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모드조절스위치의 고정돌기부위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온도조절 스위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콘트롤 스위치 어셈블리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모드선택수단, 30: 송풍조절수단,
40: 온도조절수단, 50: 하우징,
60: 단자박스, 65: 모드판,
70: 케이스, 80: 절개구,
81: 패키지패널.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콘트롤 스위치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콘트롤 스위치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진공에 의해 조절되는 모드선택수단(10)과, 전기장치에 의해 조절되는 송풍조절수단(30)과, 케이블에 의해 조절되는 온도조절수단(40)과, 상기 각각의 수단이 외주면에 순차적으로 설치되어 소정각도로 회전되도록 형성한 하우징(50)과, 상기 하우징(50)의 내부에 삽입 고정되며, 상기 하우징(50)에 설치된 단자(51)(51a)(51b)(51c)와 대응되도록 단자(61)(61a)(61b)(61c)가 매설되고, 후단으로는 단자대(62)를 형성한 단자박스(60)와, 상기 하우징(50)의 외주면에 끼워져 고정되고, 다단으로 설치되며, 그 다단의 면에는 각 수단에 상응되는 그림모드가 그려진 모드판(65)과, 상기 하우징(50)이 고정되고, 측면으로는 다수개의 걸림턱(71)을 형성한 케이스(70)와, 패키지패널(81) 소정위치에 상기 케이스(70)가 고정되는 절개구(80)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우징(50)은 동일축을 중심으로 외경이 점차적으로 커지는 동심형상으로, 상기 모드선택수단(10)과, 송풍조절수단(30)이 대응되는 위치에 소정각도로 단자(51)(51a)(51b)(51c)가 매설되고, 그 단자(51)(51a)(51b)(51c)들의 직각면에는 소정각도로 슬로트홀(52)(53)이 형성되며, 상기 모드선택수단(10)이 설치되는 후단으로는 다수개의 진공단자(54)를 돌설시키고, 상기 온도조절수단(40)과 대응되는 후단으로는 케이블박스(55)를 일체로 형성한 것이다.
상기 하우징(50)은 케이스(70)의 후단으로부터 조립되며, 볼트(57a)로 케이스(70)와 조립된다.
한편, 상기 모드선택수단(10)은 소정폭을 갖는 원통형상으로 다단으로 형성시키되, 후면 상하부에 설치된 고정돌기(11)가 상기 하우징(50)의 슬로트홀(52)에 끼워져 회전되고, 내부 소정위치에는 스프링(12)에 의해 작동되는 강구(13)가 삽입된 통전박스(14)와 통전되는 단자판(15)을 매설시켜, 상기 단자박스(60)와 통전되며, 후면 하단에는 소정길이를 갖고 봉형상인 연동바(16)를 매설한 모드조절스위치(17)와, 원통형상으로 일측표면에 상기 모드조절스위치(17)의 연동바(16)에 걸리는 연동바고정홈(18)이 형성되고, 상기 모드조절스위치(17)와 연동되는 밀착판(19)과, 원통형상으로 고무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밀착판(19) 후면에 설치되며, 일측표면에는 소정형상으로 진공유로(20)를 돌설한 진공판(21)과, 상기 모드조절스위치(17)와 밀착판(19)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밀착판(19)과 진공판(21)을 눌러 진공을 유지시키는 인장코일스프링(22)으로 구성된다.
상기 밀착판(19)과 진공판(21)은 서로 연동될 수 있도록 각각 다수개의 관통공(24)과, 그와 대응되는 크기의 고정돌기(23)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송풍조절수단(30)은 소정폭을 갖는 원통형상으로 형성시키되, 후면에 설치된 고정돌기(31)가 상기 하우징(50)의 슬로트홀(53)에 끼워져 회전되고, 내부 소정위치에는 스프링(32)에 의해 작동되는 강구(33)가 삽입된 통전박스(34)와 통전되는 단자판(35)을 매설시켜 상기 단자박스(60)와 통전되는 송풍조절스위치(36)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온도조절수단(40)은 소정폭을 갖는 원형으로 형성시키되, 후면으로는 상기 하우징(50)의 일측 끝단부가 끼워지는 고정홈(41)이 형성되고, 그 고정홈(41) 중앙으로부터 소정길이로 고정핀(42)을 매설한 온도조절스위치(43)와, 상기 하우징(50)의 내부에 끼워지고, 상기 온도조절스위치(43)와 연동되며, 외주면으로는 소정폭을 갖는 나선형의 캠(44)을 일체로 형성한 판캠(45)과, 일측은 돌기(49)가 와이어(46)와 고정되고, 반대측은 고리(47)가 고정되어 와이어(46)의 중앙부를 피복한 형상으로, 상기 온도조절스위치(43)의 회전으로 인하여 판캠(45)의 외주면에 상기 돌기(49)가 슬라이딩되어 전후진되는 케이블(48)로 이루어진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모드조절스위치의 통전박스 부위를 나타내는 확대단면도로서, 상기 하우징(50)에 소정각도로 형성된 단자(51b)는 소정폭을 갖고 그 외주면에 다수개 설치되며, 중앙으로 강구(13)의 외면이 접촉되도록 다수개의 펀칭면(13a)이 형성되며, 상기 통전박스(15)는 상기 하우징(50)에 설치한 단자(51b)와 접촉되지 않도록 모드조절스위치(17)의 내면에서부터 일정거리 떨어진 상태에서 매설된다. 그리고, 상기 통전박스(15)의 일측에 설치된 단자판(15)은 하우징(50)에 설치된 입력단자(51c)와 항시 접촉되도록 돌기(23a)가 형성되며, 상기 모드조절스위치(17)의 통전박스(14)와 단자판(15)는 서로 통전되도록 전도체(24)를 이용하여 서로 연결시킨다.
상기 하우징(50)에 매설한 단자(51b)는 단자박스(60)에 매설한 단자(61b)와 항시 접촉될 수 있도록 돌기(56)가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50)에 매설한 단자(51)(51a)(51b)(51c)의 위치와 단자박스(60)에 매설한 단자(61)(61a)(61b)(61c)의 위치는 서로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매설되도록, 상기 하우징(50)의 후면에 형성한 나사관통공(56a)의 위치를 결정하며, 상기 나사(56)를 이용하여 단자박스(60)가 하우징(50)에 고정된다.
상기 송풍조절스위치(36)의 통전박스(34)부위도 위와 같은 동일형상으로 형성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모드조절스위치의 고정돌기부위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상기 고정돌기(11)부위는 분할 형성되는데, 그 이유는 상기 하우징(50)의 슬로트홀(52)에 끼우기 쉽고, 또 상기 슬로트홀(52)에 고정된 후에 탄성력에 의하여 슬로트홀(52)로부터 이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송풍조절스위치(36)의 고정돌기(31)부위도 위와 같은 동일형상으로 형성된다.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온도조절 스위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상기 온도조절스위치(43)의 고정핀(42)은 상기 판캠(45)과 연동시키기 위하여 고정핀(42)의 일측면에 돌출부(49)가 형성되고, 이와 대응되는 판캠(45)의 고정구멍(25)에는 상기 돌출부(49)가 끼워지는 돌출홈(26)이 형성된다.
상기 모드판(65)은 케이스(70)의 후면으로부터 볼트(66)로 조립되며, 상기 모드조절스위치(10)의 그림모드는 상기 모드판(65)의 상단에 소정각도로 표현되고, 상기 송풍조절스위치(36)의 그림모드는 상기 모드판(65)의 중단에 소정각도로 표현되며, 상기 온도조절스위치(43)의 그림모드는 상기 모드판(65)의 하단에 소정각도로 표현되도록 한다.
위와 같이 형성된 자동차의 콘트롤 스위치 어셈블리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콘트롤 스위치 어셈블리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온도조절수단(40)을 이용하여 자동차 내부 온도를 조절할 경우에는 온도조절스위치(43)를 모드판(65)의 그림모드에 따라 소정각도로 회전시키면, 상기 온도조절스위치(43)의 고정핀(42)에 형성한 돌출부(49)는 상기 판캠(45)에 형성한 돌출홈(26)에 끼워져 고정되있는 상태이므로, 온도조절스위치(43)와 같은 방향으로 회전되며, 이 회전에 의해 나선형상으로 판캠(45)의 외주면에 형성된 캠(44)이 회전하게 되고, 하우징(50)의 케이블박스(55)에 설치된 와이어(57)의 돌출부(58)는 판캠(45)의 외주면을 따라 전진을 하게 된다.
상기 동작을 역순으로 실시하게 되면 와이어(46)의 돌기(45)는 판캠(45)의 외주면을 따라 후진을 하게된다.
위와 같이 상기 케이블(48) 내부에 설치된 와이어(46)가 전·후진 함에 따라 자동차 내부에 설치된 난방 및 에어콘디셔닝장치를 구분하는 버플(BUFFLE)를 조작하게 되며, 이에 따라 자동차 실내온도가 조절된다.
상기 송풍조절수단(30)을 이용하여 자동차 내부 송풍강도를 조절할 경우에는, 입력단자박스(95)가 설치된 상태에서 송풍조절스위치(36)를 모드판(65)의 그림모드에 따라 소정각도로 회전시키면 되는 데, 초기 상태에서는 전원이 하우징의 단자(51a)에만 흐르는 상태로 유지되다가 송풍조절스위치(36)를 회전시키면, 상기 하우징(50)에 설치한 단자(51)의 펀칭면(23)에 강구(33)가 다단으로 걸리면서 송풍기의 출력이 강해지게 되고, 운전자가 원하는 그림모드에서 멈추는 경우에도 원하는 송풍강도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의 슬로트홀(53)을 소정각도로 형성하였기 때문에 그림모드를 벗어나지 않는 상태에서 소정각도로만 회전 가능하게 되며, 상기 작업을 역순으로 시행하면 송풍기의 출력은 점차적으로 약해지게 된다,
상기 모드조절수단(10)을 이용하여 자동차 환기장소를 조절할 경우에는 모드조절스위치(17)를 모드판(65)의 그림모드에 따라 소정각도로 회전시키면, 초기 상태에서는 전원이 단자(51c)에만 흐르는 상태로 유지되다가 모드조절스위치(17)를 회전시키는 경우에는 상기 하우징(50)에 설치한 단자(58)의 펀칭면(59)에 강구(13)가 다단으로 걸리게되고, 이와 동시에 모드조절스위치(17)는 밀착판(19)을 연동시키고, 상기 밀착판(19)이 회전됨에 따라 후면에 진공유로(20)를 형성한 진공판(19)이 회전되며, 진공을 출력함에 따라 진공탱크의 진공을 자동차의 소정위치에 다수개 설치한 버큠(VACUUM)으로 보내 버큠의 작동으로 인해 버플(BUFFLE)을 작동시켜 환기장소가 조절된다.
운전자가 원하는 그림모드에서 멈추는 경우에도 원하는 장소의 환기를 유지할 수 있게 되며, 그리고, 상기 하우징의 슬로트홀(52)을 소정각도로 형성하였기 때문에 그림모드를 벗어나지 않는 상태에서 소정각도로만 회전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은 진공에 의해 조절되는 모드선택수단과, 전기장치에 의해 조절되는 송풍조절수단과, 케이블에 의해 조절되는 온도조절수단과, 상기 각각의 수단이 다단의 외주면에 순차적으로 설치되어 소정각도로 회전되도록 다단으로 형성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삽입 고정되며, 후단으로는 단자대를 형성한 단자박스와, 상기 하우징의 외주면에 끼워져 고정되고, 그 다단의 면에는 각 수단에 상응되는 그림모드가 그려진 모드판과, 상기 하우징이 고정되고, 인스트루먼트패널에 고정되는 케이스와, 인스트루먼트패널 소정위치에 절개구를 형성하면, 원가를 절감을 시키고, 작업 공정수를 줄이며, 인스트루먼트패널의 작은 공간에도 설치할 수 있으므로 미관을 향상시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진공에 의해 조절되는 모드선택수단(10)과;
    전기장치에 의해 조절되는 송풍조절수단(30)과;
    케이블에 의해 조절되는 온도조절수단(40)과;
    상기 각각의 수단이 다단의 외주면에 순차적으로 설치되어, 소정각도 회전되도록 다단으로 형성한 하우징(50)과;
    상기 하우징(50)의 내부에 삽입 고정되며, 상기 하우징(50)에 설치된 단자(51)(51a)(51b)(51c)와 대응되는 위치에 단자(61)(61a)(61b)(61c)가 매설되고, 후단으로는 단자(61)(61a)(61b)(61c)와 연통되는 단자대(62)를 형성한 단자박스(60)와;
    상기 하우징(50)의 일측 외주면에 설치되고, 다단으로 형성되되, 그 다단의 면에는 각 수단에 상응되는 그림모드가 그려진 모드판(65)과;
    상기 하우징(50)이 고정되고, 측면으로는 다수개의 걸림턱(71)을 형성한 케이스(70)와;
    패키지패널(81) 소정위치에 상기 케이스(70)가 고정되는 절개구(8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콘트롤 스위치 어셈블리(CONTROL SWITCH ASS'Y).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50)은 동일축을 중심으로 외경이 점차적으로 커지는 동심형상으로, 상기 모드선택수단(10)과, 송풍조절수단(30)이 대응되는 위치에 소정각도로 단자(51)(51a)(51b)(51c)가 매설되고, 그 단자(51)(51a)(51b)(51c)들의 직각면에는 소정각도로 슬로트홀(52)(53)이 형성되며, 상기 모드선택수단(10)이 설치되는 후단으로는 다수개의 진공단자(54)를 돌설시키고, 상기 온도조절수단(40)과 대응되는 후단으로는 케이블박스(55)를 일체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콘트롤 스위치 어셈블리(CONTROL SWITCH ASS'Y).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선택수단(10)은 소정폭을 갖는 원통형상으로 다단으로 형성시키되, 후면 상측에 설치된 고정돌기(11)가 상기 하우징(50)의 소정각도로 형성된 슬로트홀(52)에 끼워져 회전되고, 내부 소정위치에는 스프링(12)에 의해 작동되는 강구(13)가 삽입된 통전박스(14)와 통전되는 단자판(15)을 매설시켜 상기 단자박스(60)와 통전되며, 후면에는 소정길이를 갖고 봉형상인 연동바(16)를 매설한 모드조절스위치(17)와;
    원통형상으로 일측표면에 상기 모드조절스위치(17)의 연동바(16)에 걸리는 연동바고정홈(18)이 형성되고, 상기 모드조절스위치(17)와 연동되는 밀착판(19)과;
    원통형상으로 고무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밀착판(19) 후면에 설치되며, 일측표면에는 소정형상으로 진공유로(20)를 돌설한 진공판(21)과;
    상기 모드조절스위치(17)와 밀착판(19)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밀착판(19)과 진공판(21)을 눌러 진공을 유지시키는 인장코일스프링(22)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콘트롤 스위치 어셈블리(CONTROL SWITCH ASS'Y).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조절수단(30)은 소정폭을 갖는 원통형상으로 형성시키되, 후면에 설치된 고정돌기(31)가 상기 하우징(50)의 소정각도로 형성된 슬로트홀(53)에 끼워져 회전되고, 내부 소정위치에는 스프링(32)에 의해 작동되는 강구(33)가 삽입된 통전박스(34)와 통전되는 단자판(35)을 매설시켜, 상기 단자박스(60)와 통전되는 송풍조절스위치(36)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콘트롤 스위치 어셈블리(CONTROL SWITCH ASS'Y).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조절수단(40)은 소정폭을 갖는 원형으로 형성시키되, 후면으로는 상기 하우징(50)의 일측 끝단부가 끼워지는 고정홈(41)이 형성되고, 그 고정홈(41) 중앙으로부터 소정길이로 고정핀(42)을 매설한 온도조절스위치(43)와;
    상기 하우징(50)의 내부에 끼워지고, 상기 온도조절스위치(43)와 연동되며, 외주면으로는 소정폭을 갖는 나선형의 캠(44)을 일체로 형성한 판캠(45)과;
    일측 돌기(49)가 와이어(46)와 고정되고, 반대측은 고리(47)가 고정되며, 와이어(46)의 중앙부를 피복한 형상으로, 상기 온도조절스위치(43)의 회전으로 인하여 판캠(45)의 외주면에 상기 돌기(49)가 슬라이딩되어 와이어가 전후진되는 케이블(48)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콘트롤 스위치 어셈블리(CONTROL SWITCH ASS'Y).
KR1019960031473A 1996-07-30 1996-07-30 자동차의 콘트롤 스위치 어셈블리 KR01659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1473A KR0165985B1 (ko) 1996-07-30 1996-07-30 자동차의 콘트롤 스위치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1473A KR0165985B1 (ko) 1996-07-30 1996-07-30 자동차의 콘트롤 스위치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8644A KR980008644A (ko) 1998-04-30
KR0165985B1 true KR0165985B1 (ko) 1999-01-15

Family

ID=194681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31473A KR0165985B1 (ko) 1996-07-30 1996-07-30 자동차의 콘트롤 스위치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6598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73406B2 (en) 2012-01-06 2015-07-07 Hyundai Motor Company Air conditioner controlling device for vehicle
KR20190030376A (ko) * 2017-09-14 2019-03-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공조장치-isg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73406B2 (en) 2012-01-06 2015-07-07 Hyundai Motor Company Air conditioner controlling device for vehicle
KR20190030376A (ko) * 2017-09-14 2019-03-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공조장치-isg 제어 시스템 및 방법
US11472259B2 (en) 2017-09-14 2022-10-18 Hyundai Motor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ir conditioning and ISG systems for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8644A (ko) 1998-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21527A (en) Rotary-type door apparatus having two engagement portions for manual or automatic driving
US4802405A (en) Automotive air-conditioner
US20110107869A1 (en) Integrated control apparatus for heating, ventilating, and air conditioning system for vehicle
US5281049A (en) Air direction control means for vehicle climate control means
KR100427634B1 (ko) 차량용 벤트 그릴
US4355752A (en) Control device and method for an air conditioning installation of the passenger space in a motor vehicle
US5924332A (en) Damper door controller for automotive air conditioner
KR0165985B1 (ko) 자동차의 콘트롤 스위치 어셈블리
US8173923B2 (en) Rotary switch assembly for air conditioner in vehicle
US20020022447A1 (en) Vehicle air conditioner with manually operated operation member
JP2007517723A (ja) 調節装置、および暖房機構または空気調和機構
CN112303904B (zh) 风道组件、风轮装置及吹风设备
KR100932627B1 (ko) 차량의 공조장치용 캠과 액츄에이터 결합구조
JP3323717B2 (ja) 車両用空気調和装置のダンパ駆動機構
JP4000667B2 (ja) 車両用空調装置
KR100727868B1 (ko) 공조유니트의 도어 구동장치의 캠세팅 구조
JP4239433B2 (ja) 車両用空調装置
JPS6318246Y2 (ko)
KR100299796B1 (ko) 자동차의 공기 조화 장치용 온도 조절 장치
JPS61268942A (ja) 空気調和装置の吹出グリル偏向機構
KR100845263B1 (ko) 자동차 공조장치의 도어조작용 캠기구
KR100594843B1 (ko) 자동차 공조장치의 송풍모드 전환장치
KR101241153B1 (ko) 공조모드 변경 장치
JPH0645368Y2 (ja) 自動車用空気調和装置
KR101445555B1 (ko) 차량 공조장치용 캠 및 구동유닛의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