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74626B1 - 공기조화기의 오토셔터 가이드장치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의 오토셔터 가이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4626B1
KR100374626B1 KR10-2000-0035025A KR20000035025A KR100374626B1 KR 100374626 B1 KR100374626 B1 KR 100374626B1 KR 20000035025 A KR20000035025 A KR 20000035025A KR 100374626 B1 KR100374626 B1 KR 1003746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utter
guide
protrusion
guide groove
air conditio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50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00375A (ko
Inventor
양승대
Original Assignee
만도공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만도공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만도공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350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4626B1/ko
Publication of KR200200003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03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46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4626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2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sliding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082Grilles, registers or gu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콘 공기토출구 개폐용 셔터구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에어콘의 전면패널의 토출구를 개폐하는 셔터의 양측면에 직경이 각각 다르고 길이가 짧고 하부에 탄성돌부를 갖는 상부단축돌기 및 길이가 긴 하부단축돌기를 형성하고, 일체형 가이드홈을 갖고 하부장축돌기의 안내를 제어하는 걸림턱을 가이드부재에 형성하므로 가이드부재의 파손을 방지할 뿐만아니라 가이드구조를 단순화 하도록 하는 매우 유용하고 효과적인 발명이다. 또한, 셔터가 구동하지 못하더라도 구동모터의 로울러가 로울러이동부재의 미끄럼방지돌기에서 헛돌게 되므로 연결된 부품이 파손되는 경우가 발생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를 지닌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가이드부재에 형성된 가이드홈을 종래에는 두 개로 분리하여 형성하므로 인하여 금형제작의 어려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가이드부재가 파손되는 등의 문제점을 지니고 있었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의 오토셔터 가이드장치 { Device For Guiding The Auto Shutter For The Air-conditioner }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셔터를 구동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에어콘의 전면패널의 토출구를 개폐하는 셔터의 양측면에 직경이 각각 다르고 길이가 짧고 하부에 탄성돌부를 갖는 상부단축돌기 및 길이가 긴 하부단축돌기를 형성하고, 일체형 가이드홈을 갖고 하부장축돌기의 안내를 제어하는 걸림턱을 가이드부재에 형성하므로 가이드부재의 파손을 방지할 뿐만아니라 가이드구조를 단순화 하도록 하는 공기조화기의 오토셔터 가이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건물 혹은 가정집의 내부에 공기를 적절하게 데워주거나 식혀주기 위하여 사용하는 기구 장치로서, 에어콘과 히터등이 있다.
상기 공기조화기 중에서 특히, 에어콘은 벽걸이형과 스탠드형의 두가지 타입이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벽걸이 형은 용량이 작고 창문에 설치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방과 혹은 작은 거실등에 이용한다. 그리고, 스탠드형은 용량이 크기 때문에 큰 아파트의 거실등과 공간이 넓은 가정집에서 많이 이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스탠드형의 공기조화기는 주로 상측 전면부분에 공기를 토출하는 공기토출구가 형성되어지고, 상기 공기토출구에는 공기의 방향을 조절하는 풍향을 조절하는 풍향조절부재가 설치되어진다.
그리고, 상기 풍향조절부재에는 풍향을 상,하로 조절하는 상,하조절판과 좌,우로 조절하는 좌,우조절판이 부착되어서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풍향을 용이하게 조절하도록 한다.
최근에는 공기조화기 본체의 공기토출구를 통하여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셔터(Shutter)를 배면에 설치하도록 한다.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종래 발명의 구성을 예시 하도록 한다.
도 1은 종래의 공기조화기 공기토출구 개폐장치를 갖는 에어콘의 구성을 보인 도면이고, 도 2는 종래의 공기조화기 공기토출구 개폐장치를 갖는 에어콘의 구성 단면도이다.
종래 발명의 구성은, 각종의 기기들이 내장된 에어콘본체(10)의 전면패널(12)에 냉기가 토출되도록 형성된 토출구(16)와; 상기 토출구(16)의 배면에 설치되어서 토출구(16)를 차단하거나 개방하는 셔터(20)와; 상기 셔터(20)의 양측에 돌출 형성된 가이드돌기(22)가 가이드홈(32)에 삽입되어서 지지하는 가이드부재(30)와; 상기 셔터(20)의 배면에 돌출된 셔터고정부(24)에 고정되어서 셔터(20)를 작동하는 작동로드(70)와; 상기 작동로드(70)의 타단에 연결되어서 작동축(64)이 형성되고, 스프링(80)의 탄성력에 의하여 완충을 받는 랙연결부재(60)와; 상기 랙연결부재(60)가 삽입되어 이동을 안내하는 이동공(52)이 형성되고, 상기 랙연결부재(60)의 안내돌기(62)를 가이드하는 안내장공(54)이 형성되어 상,하로 작동하는 랙기어(50)와; 상기 랙기어(50)에 피니온기어(44)가 맞물려서 회전축(42)으로 동력을 발생하여 전달하는 구동모터(40)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태에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모터(40)를 작동하여 피니온기어(44)에 맞물려 있는 랙기어(50)를 하측으로 작동하게 되면, 랙기어(50)의 안내장공(54)에 안내돌기(62)가 삽입되어서 고정된 랙연결부재(60)가 거의 동시에 하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랙연결부재(60)의 하측 이동으로 작동축(64)에 연결된 작동로드(70)가 셔터(20)를 배면을 잡아당기게 된다.
상기 작동로드(70)는, 셔터(20)를 배면에서 잡아당겨서 가이드돌기(22)가 가이드부재(30)의 가이드홈(32)을 따라서 이동하여서 하측으로 열리므로 전면패널(12)의 토출구(16)를 개방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모터(40)을 역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한 반대과정을 거쳐서 셔터(20)가 닫히면서 전면패널(12)의 토출구(16)를 차단하게 된다.
상기 셔터(20)의 배면 부분에는 풍향조절부재(90)가 설치되어지고, 상기 풍향조절부재(90)의 상,하조절판(94)의 끼움돌기(96)는, 가이드부재(30)의 고정공(34)에 고정되어 지지된 상태로 상,하로 회전하여 풍향의 각도를 조절한다.
또한, 상기 좌,우조절판(92)은, 좌,우 방향의 풍향을 조절하도록 한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의 구동모터(40)에 결합된 피니온기어(44)와 이에 맞물린 랙기어(50)는 서로 맞물린 상태에서 상,하로 동작하여 셔터(20)를 개방하므로 별도의 완충수단이 없어서 랙기어(50)에 가이드되는 랙연결부재(60)가 스프링(80)에 의하여 완충되어지게 되므로 구성이 전반적으로 복잡하여질 뿐만 아니라 피니온기어(44)가 랙기어(50)에서 맞물려서 동작하므로 소음이 심하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셔터(20)에 이물질이 끼어서 이동하지 못하는 경우 랙 및 피니온기어에 무리가 가하여서 기어치가 파손되는 문제점을 지닌다.
그리고, 종래에는 가이드부재(30)의 가이드홈(32)이 두 개로 형성되어져서상기 셔터(20)의 양측면에 상,하측면으로 각각 형성된 가이드돌기(22)에 서로 다른 홈에 삽설되어져서 가이드 되어지도록 구성되므로 상기 가이드부재(30)의 가이드홈(32)을 금형으로 분리한 상태로 형성하는 것이 매우 어려울 뿐만아니라 가이드홈(32)이 분리되어서 형성되므로 가이드부재(30)가 폭이 넓어지고 약해지는 문제점을 지닌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에어콘의 전면패널의 토출구를 개폐하는 셔터의 양측면에 직경이 각각 다르고 길이가 짧고 하부에 탄성돌부를 갖는 상부단축돌기 및 길이가 긴 하부단축돌기를 형성하고, 일체형 가이드홈을 갖고 하부장축돌기의 안내를 제어하는 걸림턱을 가이드부재에 형성하므로 가이드부재의 파손을 방지할 뿐만아니라 가이드구조를 단순화 하는 것이 목적이다.
도 1은 종래의 공기조화기의 오토셔터 가이드장치를 갖는 에어콘의 구성을 보인 도면이고,
도 2는 종래의 공기조화기의 오토셔터 가이드장치를 갖는 에어콘의 구성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오토셔터 가이드장치를 갖는 에어콘의 구성을 보인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가이드홈을 갖는 가이드부재를 보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오토셔터 가이드장치의 작동상태를 보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부제의 일체가이드홈에 셔터의 상부 단축돌기와 하부 장축돌기가 각각 이동하는 상태를 보인 도면이고,
도 7은 도 4의 A-A'선 단면을 보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공기조화기본체 102 : 전면패널
104 : 토출구 110 : 가이드부재
111 : 일체형가이드홈 112 : 협소가이드홈
113 : 걸림턱부 115 : 협소절곡홈부
117 : 광폭가이드홈 118 : 가이드걸림턱
119 : 광폭절곡홈부 120 : 셔터
122 : 상부단축돌기 124 : 하부장축돌기
122 : 탄성돌부 130 : 풍향조절부재
132 : 좌,우조절판 134 : 상,하조절판
136 : 로울러이동부재 140 : 구동모터
142 : 회전축 150 : 회전고정체
152 : 고정요홈 154 : 끼움공
160 : 로울러 170 : 로울러 이동부재
176 : 작동축 180 : 작동로드
이러한 목적은 에어콘본체의 전면패널에 형성되어 내부에서 형성된 냉기를 토출하는 토출구와; 상기 토출구를 차단하거나 개방하는 셔터와; 상기 셔터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와; 상기 셔터의 배면부에 설치되어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상,하조절판 및 좌,우조절판으로 조절하는 풍향조절부재로 구성된 공기조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셔터의 상부 양측면에 돌출되어 저면에 굴곡져서 형성되는 탄성돌부가 형성된 상부 단축돌기와; 상기 상부 단축돌기로 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셔터의 하부에 상기 상부단축돌기에 비하여 직경이 작고 길이가 길도록 돌출 형성된 하부 장축돌기와; 상기 상부 단축돌기와 하부 장축돌기를 동시에 가이드하도록 폭이넓은 광폭가이드홈과 폭이 좁은 협소가이드홈이 일체로 형성된 일체형 가이드홈과; 상기 일체형가이드홈의 협소가이드홈을 이동하는 하부 장축돌기가 광폭가이드홈으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형성된 가이드걸림턱과; 상기 셔터의 배면에 일단이 고정된 작동로드의 타단에 돌출부의 작동축이 고정되고, 전면부에 나사산 형상으로 돌출된 미끄럼방지돌기를 갖는 로울러이동부재와; 상기 로울러이동부재의 미끄럼방지돌기에 탄성적으로 접촉되는 로울러가 삽설되어 회전하는 회전고정체와; 상기 회전고정체에 압입되고, 동력을 발생하여 상기 로울러이동부재를 상,하로 동작시키는 구동모터로 구성된 에어콘의 오토셔터 가이드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오토셔터 가이드장치를 갖는 에어콘의 구성을 보인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가이드홈을 갖는 가이드부재를 보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오토셔터 가이드장치의 작동상태를 보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부제의 일체가이드홈에 셔터의 상부 단축돌기와 하부 장축돌기가 각각 이동하는 상태를 보인 도면이고, 도 7은 도 4의 A-A'선 단면을 보인 도면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에어콘본체(100)의 전면패널(102)에 형성되어 내부에서 형성된 냉기를 토출하는 토출구(104)와; 상기 토출구(104)를 차단하거나 개방하는 셔터(120)와; 상기 셔터(12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110)와; 상기 셔터(120)의 배면부에 설치되어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상,하조절판(134) 및 좌,우조절판(132)으로 조절하는 풍향조절부재(130)로 구성된 공기조화장치에 있어서,상기 상부 단축돌기(122)로 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셔터의 하부에 상기 상부단축돌기에 비하여 직경이 작고 길이가 길도록 돌출 형성된 하부 장축돌기(124)와; 상기 상부 단축돌기(122)와 하부 장축돌기(124)를 동시에 가이드하도록 폭이 넓은 광폭가이드홈(117)과 폭이 좁은 협소가이드홈이 일체로 형성된 일체형 가이드홈(111)과; 상기 일체형가이드홈(111)의 협소가이드홈(112)을 이동하는 하부 장축돌기(124)가 광폭가이드홈(117)으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형성된 가이드걸림턱(118)과; 상기 셔터(120)의 배면에 일단이 고정된 작동로드(180)의 타단에 돌출부(174)의 작동축(176)이 고정되고, 전면부에 나사산 형상으로 돌출된 미끄럼방지돌기(173)를 갖는 로울러이동부재(170)와; 상기 로울러이동부재(170)의 미끄럼방지돌기(173)에 탄성적으로 접촉되는 로울러(160)가 삽설되어 회전하는 회전고정체(150)와; 상기 회전고정체(150)에 압입되고, 동력을 발생하여 상기 로울러이동부재(170)를 상,하로 동작시키는 구동모터(140)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일체형가이드홈(111)은, 상기 상부 단축돌기(122)와 상기 하부장축돌기(124)가 상측 이동할 때, 상기 셔터(120)가 전방으로 이동되도록 광폭절곡홈부(119)와 협소절곡홈부(115)를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일체형 가이드홈(111)에서 상기 상부 단축돌기(122)의 운동구간(b)이 끝나는 하측부분에 상기 협소가이드홈(112)이 상기 광폭가이드홈(117)과 구분되도록 걸림턱부(113)가 형성된다.
상기 회전고정체(150)의 외주면에 고정요홈(152)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요홈(152)에 삽입되는 고정돌부(162)를 로울러(160)의 내측면에 형성하도록 한다.
상기 로울러(160)의 외주면에는 접촉면을 증대하고, 탄성력을 발휘하도록 하는 탄성홈부(164)를 형성하도록 한다.
상기 로울러(160)를 장기간에 따른 사용 및 다른 하자로 인하여 만에 하나라도 미끄러짐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회전고정체(150)의 고정요홈(152)에서 고정돌부(162)를 이탈시켜 로울러(160)를 분리하여 새로운 상기 로울러(160)로 교환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셔터(120)의 상측돌기(122)가 가이드되는 상측돌기(122)의 운동구간(a)과 하부 장축돌기(124)의 운동구간(b)은, 서로 겹치는 운동구간이 존재하지만 상기 상부 단축돌기(122)가 굵고 짧으므로 상기 일체형가이드홈(111)에서 협소절곡홈부(115)로 진입할 수 없으므로 셔터(120)의 상부 단축돌기 및 하부 장축돌기(122)(124)는 상기 가이드부재(110)의 일체형가이드홈(111)에서 안정적인 가이드가 이루어지게 된다.
특히,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단축돌기(122)에 형성된 탄성돌부(123)는, "S"자 형상으로 형성되어지고, 상기 일체형가이드홈(111)의 광폭가이드홈(117)을 이동하면서 내벽면에 탄성적으로 접촉되므로 상기 상부단축돌기(122)가 우측으로 밀려지는 상태로 가이드 되어진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걸림턱(118)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단축돌기(122)은 걸려지지 않고, 상기 하부 장축돌기(124)가 이동할 때에만 걸려지도록 일체형가이드홈(111)의 전체 두께의 상측 부분에만 연결되어져 형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상세하게 살펴보도록 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공기토출구 개폐용 셔터구동장치의 사용 상태를 살펴 보게 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상시 공기조화기를 사용하지 않고,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공기토출구(104)를 통하여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로울러이동부재(170)가 최대한 상측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셔터(120)에 의하여 전면패널(102)의 토출구(104)가 차단되어진 상태로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셔터(120)를 개방하고자 한다면, 구동모터(140)를 작동하여 로울러(160)를 회전시켜서 미끄럼방지돌기(173)에 의해 접촉된 로울러이동부재(170)를 하측으로 이동시키도록 한다.
이와 같이, 상기 로울러이동부재(170)의 하측 이동에 의하여 작동축(176)에 고정된 작동로드(180)가 셔터(120)를 잡아당겨서 셔터(120)의 상부 단축돌기 및 하부 장축돌기(122)(124)가 가이드부재(110)의 광폭가이드홈(117)과 협소가이드홈(112)을 따라서 이동하므로 셔터(120)가 전면패널(102)의 토출구(104)를 개방하게 된다.
이 때, 상기 셔터(120)의 상부 단축돌기(122)가 일체형 가이드홈(111)의 광폭가이드홈(117)과 협소가이드홈(112)의 경계 부분에 형성되는 걸림턱부(113)에 걸려짐과 동시에 상기 하부 장축돌기(124)는 일체형가이드홈(111)의 협소가이드홈(112)의 하단부에 걸려지므로 셔터(120)의 하측 이동이 정지되어진다.
그리고, 상기 셔터(120)를 역방향으로 작동하여 전면패널(102)의 토출구(104)를 차단하고자 한다면, 구동모터(140)를 반대로 구동하여서 로울러이동부재(170)를 상측으로 이동하여 작동로드(180)를 통하여 셔터(120)를 상측으로 이동시키도록 한다.
이 때, 상기 셔터(120)의 상부 단축돌기 및 하부 장축돌기(122)(124)는, 각각 광폭가이드홈(117)과 협소가이드홈(112)을 따라서 이동하다가 직경이 작고 길이가 짧은 상부 단축돌기(122)는, 도 6 및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돌부(123)에 의하여 우측으로 밀려진 상태로 가이드걸림턱(118)의 저부를 통과하여 광폭가이드홈(117)을 이동하다가 광폭절곡홈부(119)로 진입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직경이 작고, 길이가 긴 하부 장축돌기(124)는, 협소가이드홈(112)을 따라 이동하다가 가이드턱(118)에 걸려짐과 동시에 협소절곡홈부(115)로 진입하게 되면서, 셔터(120)가 상측이동에서 수평이동을 전환되면서 전면패널(102)의 토출구(104)를 차단하게 된다.
한편, 상기 셔터(120) 혹은 기타 다른 링크 구조물에 이물질이 끼어서 셔터(120) 및 로울러 이동부재(170)등이 동작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더라도 구동모터(140)에 결합된 로울러(160)가 로울러이동부재(170)의 미끄럼방지돌기(173)에서 헛돌게 되므로 다른 링크 부품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에어콘의 오토셔터 가이드장치를 사용하게 되면, 에어콘의 전면패널의 토출구를 개폐하는 셔터의 양측면에 직경이 각각 다르고 길이가 짧고 하부에 탄성돌부를 갖는 상부단축돌기 및 길이가 긴 하부단축돌기를 형성하고, 일체형 가이드홈을 갖고 하부장축돌기의 안내를 제어하는 걸림턱을 가이드부재에 형성하므로 가이드부재의 파손을 방지할 뿐만아니라 가이드구조를 단순화 하도록 하는 매우 유용하고 효과적인 발명이다.
또한, 셔터가 구동하지 못하더라도 구동모터의 로울러가 로울러이동부재의 미끄럼방지돌기에서 헛돌게 되므로 연결된 부품이 파손되는 경우가 발생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를 지닌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가이드부재에 형성된 가이드홈을 종래에는 두 개로 분리하여 형성하므로 인하여 금형제작의 어려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가이드부재가 파손되는 등의 문제점을 지니고 있었다.

Claims (6)

  1. 에어콘본체의 전면패널에 형성되어 내부에서 형성된 냉기를 토출하는 토출구와; 상기 토출구를 차단하거나 개방하는 셔터와; 상기 셔터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와; 상기 셔터의 배면부에 설치되어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상,하조절판 및 좌,우조절판으로 조절하는 풍향조절부재로 구성된 공기조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셔터의 상부 양측면에 돌출되어 저면에 굴곡져서 형성되는 탄성돌부가 형성된 상부 단축돌기와;
    상기 상부 단축돌기로 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셔터의 하부에 상기 상부단축돌기에 비하여 직경이 작고 길이가 길도록 돌출 형성된 하부 장축돌기와;
    상기 상부 단축돌기와 하부 장축돌기를 동시에 가이드 하도록 폭이 넓은 광폭가이드홈과 폭이 좁은 협소가이드홈이 일체로 형성된 일체형 가이드홈과;
    상기 일체형 가이드홈의 협소가이드홈을 이동하는 하부 장축돌기가 광폭가이드홈으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형성된 가이드걸림턱과;
    상기 셔터의 배면에 일단이 고정된 작동로드의 타단에 돌출부의 작동축이 고정되고, 전면부에 나사산 형상으로 돌출된 미끄럼방지돌기를 갖는 로울러이동부재와;
    상기 로울러이동부재의 미끄럼방지돌기에 탄성적으로 접촉되는 로울러가 삽설되어 회전하는 회전고정체와;
    상기 회전고정체에 압입되고, 동력을 발생하여 상기 로울러이동부재를 상,하로 동작시키는 구동모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콘의 오토셔터 가이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일체형가이드홈은, 상기 상부 단축돌기와 상기 하부장축돌기가 상측 이동할 때, 상기 셔터가 전방으로 전방으로 이동되도록 광폭절곡홈부와 협소절곡홈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콘의 오토셔터 가이드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일체형 가이드홈에서 상기 상측돌기의 운동구간이 끝나는 하측부분에 상기 협소가이드홈이 상기 광폭가이드홈과 구분되도록 걸림턱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콘의 오토셔터 가이드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단축돌기에 형성된 탄성돌부는, "S"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일체형 가이드홈의 내벽면에 탄성적으로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콘의 오토셔터 가이드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고정체의 외주면에 고정요홈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요홈에 삽입되는 고정돌부를 로울러의 내측면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콘의 오토셔터 가이드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울러의 외주면에는 접촉면을 증대하고, 탄성력을 발휘하도록 하는 탄성홈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콘의 오토셔터 가이드장치.
KR10-2000-0035025A 2000-06-24 2000-06-24 공기조화기의 오토셔터 가이드장치 KR1003746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5025A KR100374626B1 (ko) 2000-06-24 2000-06-24 공기조화기의 오토셔터 가이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5025A KR100374626B1 (ko) 2000-06-24 2000-06-24 공기조화기의 오토셔터 가이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0375A KR20020000375A (ko) 2002-01-05
KR100374626B1 true KR100374626B1 (ko) 2003-03-04

Family

ID=196736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5025A KR100374626B1 (ko) 2000-06-24 2000-06-24 공기조화기의 오토셔터 가이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7462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8469B1 (ko) * 2002-11-20 2004-11-26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공기조화기용 슬라이딩 도어의 가이드레일
KR100495542B1 (ko) * 2002-11-20 2005-06-16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공기조화기용 슬라이딩 도어 개폐장치
KR100622010B1 (ko) * 2004-12-31 2006-09-18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에어컨의 오토셔터 작동장치
KR100734482B1 (ko) * 2005-11-30 2007-07-03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에어컨 셔터 구조
KR102527655B1 (ko) * 2017-11-28 2023-05-03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47374A (ko) * 1995-12-30 1997-07-26 김광호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KR970044344U (ko) * 1995-12-05 1997-07-31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용 오토셔터의 이송장치
KR970066344A (ko) * 1996-03-21 1997-10-13 김광호 공기조화기의 토출구 개폐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44344U (ko) * 1995-12-05 1997-07-31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용 오토셔터의 이송장치
KR970047374A (ko) * 1995-12-30 1997-07-26 김광호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KR970066344A (ko) * 1996-03-21 1997-10-13 김광호 공기조화기의 토출구 개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0375A (ko) 2002-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74626B1 (ko) 공기조화기의 오토셔터 가이드장치
KR102487340B1 (ko) 공기 조화기의 루버 장치
EP3812660B1 (en) Transmission assembly and air conditioner
KR100340325B1 (ko) 공기조화기의 공기토출구 개폐용 셔터구동장치
US6447391B1 (en) Device for actuating a shutter formed through a front panel of an air conditioner
KR100364902B1 (ko) 공기조화기의 공기토출구 개폐용 셔터구동장치
KR200211985Y1 (ko) 공기조화기의 오토셔터 작동장치
KR100509343B1 (ko) 전동식 루버개폐장치
KR100352257B1 (ko) 공기조화기의 오토셔터 작동장치
KR100350441B1 (ko) 공기조화기의 공기토출구 개폐용 셔터구동장치
KR100364903B1 (ko) 공기조화기의 공기토출구 개폐용 셔터구동장치
KR101720471B1 (ko) 신축형 셔터를 이용한 전동 루버 시스템
CN115012798A (zh) 百叶窗控制器
KR200341462Y1 (ko) 공기조화기의 오토셔터 개폐장치
KR100564352B1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모드도어 링크장치
KR101446523B1 (ko) 창호용 자연환기장치
KR200341460Y1 (ko) 공기조화기의 오토셔터 개폐장치
KR200341457Y1 (ko) 공기조화기의 오토셔터 개폐장치
KR102628883B1 (ko) 루버 개폐장치
KR200492236Y1 (ko) 시스템 루버의 작동손잡이
KR200340249Y1 (ko) 전동식 루버개폐장치
KR200341461Y1 (ko) 공기조화기의 오토셔터 개폐장치
KR200331770Y1 (ko) 전동식 갤러리 창호
CN217357440U (zh) 用于控制空调器面板的装置和空调器
KR200341458Y1 (ko) 공기조화기의 오토셔터 개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7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