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8219B1 - 듀얼 타입 스위치 - Google Patents

듀얼 타입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8219B1
KR101118219B1 KR1020090099526A KR20090099526A KR101118219B1 KR 101118219 B1 KR101118219 B1 KR 101118219B1 KR 1020090099526 A KR1020090099526 A KR 1020090099526A KR 20090099526 A KR20090099526 A KR 20090099526A KR 101118219 B1 KR101118219 B1 KR 1011182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or
contact
base member
locking wall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95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42726A (ko
Inventor
유원종
손창수
Original Assignee
우리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리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우리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995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8219B1/ko
Publication of KR201100427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27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82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82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02Details
    • H01H19/10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02Details
    • H01H19/10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9/14Operating parts, e.g. turn kno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1/00Applications
    • H01H2231/026Ca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tary Switch, Piano Key Switch, And Lever Switc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듀얼 타입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서, 중앙부의 바닥면으로부터 링 형상의 걸림벽이 돌출되고, 상기 걸림벽의 외주면과 이격되는 링 형상의 제2 걸림벽이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바닥면상에 접촉단자가 구비되는 베이스부재; 상기 걸림벽의 내측에 삽입되어 베이스부재에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되는 로터; 및 상기 제2 걸림벽의 외주면에 그 내주면이 접하도록 관통된 형상을 가지며, 상기 베이스부재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외측 로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듀얼 타입 스위치에 의하면, 자동차 공조장치 등의 풍량 조절을 위한 로터와, 풍향 조절을 위한 외측 로터를 하나의 베이스부재에 결합시킴으로써, 듀얼 스위치로서 기능하게 하여 제조시 원가절감을 발생시킬 수 있는 경제적인 잇점이 있다.
스위치, 듀얼 타입, 로터, 회전전극단자부, 접촉단자, 외측 로터, 탄성부재

Description

듀얼 타입 스위치{DUAL TYPE SWITCH}
본 발명은 듀얼 타입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풍량 조절과 풍향 조절 기능, 또는 그 이외의 조명 및 온도 조절 기능 등이 하나의 스위치 조립체에서 가능하도록 하는 듀얼 타입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공조패널의 전면 데쉬보드에는 공조장치를 조절하기 위한 공조스위치 조립체들이 부착되는 공조패널부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공조스위치 조립체로는 통상 중공 스위치가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공조스위치 조립체는, 냉방장치를 온/오프(On/Off)시키는 에어컨 스위치, 송풍기의 단수를 조절하는 풍량조절 스위치, 자동차 실내에 대한 토출풍향을 조절하는 모드조절 스위치, 토출공기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 스위치 등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야간에 노브에 표시된 인디케이터의 조명을 위한 램프도 내장되어 있다.
즉, 종래에는 상기 에어컨 스위치, 풍량조절 스위치, 모드조절 스위치, 온도조절 스위치가 각각 별개로 구성되므로, 각각의 스위치를 선 조립하고 이를 공조패널부에 결합하기 위해서는 상당한 조립공정이 추가되어야만 하므로 공수 증가에 따 른 제조 원가 비용의 상승이 불가피한 단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상기 공조스위치 조립체 중 일예로 풍량조절 스위치는, 그 동작에 따른 신호를 컨트롤부로 전달하도록 컨트롤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링 형상의 금속전극패턴, 상기 금속전극패턴과 접점되는 전극단자부가 구비된 노브 등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금속전극패턴은 대략 링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접지단자, OFF단자, 복수의 풍량조절단자로 구성되어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접지단자는 링 형상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략 180도의 각도를 가지도록 원호 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나머지 180도 범위에 OFF단자, 풍량조절단자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해, 상기 노브를 180도 이상 회전시킬 경우, 상기 전극단자부와 금속전극패턴 사이에서 정상적인 접점이 형성되지 않으므로 스위치의 오동작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또한, 180도의 각도를 가지는 공간에 상기 OFF단자, 복수의 풍량조절단자(1 ~ 4단)를 모두 배치시켜야만 했으므로, 상기 OFF단자 및 풍량조절단자의 원주방향 길이가 작게 형성될 수 밖에 없어 사용자가 노브를 회전시켜 풍량 조절 단수를 변경하고자 할 때 정확하게 단수를 변경시키는 것이 불편하였다.
즉, 사용자가 적정 이상의 힘으로 노브를 회전시키면 현재 설정된 단수가 이웃하는 단수로 변경되는 것이 아니라, 이웃하는 단수를 스킵하여 다음 단수로 변경되는 현상이 발생하였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즉 상기 노브가 180도 이상 회전되어도 무방 한 구조를 실현하기 위해, 종래에는 상기 금속전극패턴을 동심을 가지며 서로 다른 반경을 가지는 제1 금속전극패턴과 제2 금속전극패턴의 2줄 패턴으로 구성하며, 제1 금속전극패턴을 접지단자로 구성하고 제2 금속전극패턴을 OFF단자 및 풍량조절단자로 구성하였다.
그러나, 상기 구조의 적용 시에는, 금속전극패턴의 반경 증가로 인한 전체 공조스위치 조립체의 외경이 증가하여 캠팩트한 외관 사이즈를 구현하기 힘든 단점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자동차 공조 장치 등의 풍량 조절과 풍향 조절 기능 등이 하나의 스위치를 통해 가능하도록 하여 제조 원가를 보다 감소시킬 수 있는 듀얼 타입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의 듀얼 타입 스위치는, 중앙부의 바닥면으로부터 링 형상의 걸림벽이 돌출되고, 상기 걸림벽의 외주면과 이격되는 링 형상의 제2 걸림벽이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바닥면상에 접촉단자가 구비되는 베이스부재; 상기 걸림벽의 내측에 삽입되어 베이스부재에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되는 로터; 및 상기 제2 걸림벽의 외주면에 그 내주면이 접하도록 관통된 형상을 가지며, 상기 베이스부재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외측 로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부재의 가장자리 주변의 상기 바닥면에는 원호 형상의 안내홀이 형성되고, 상기 외측 로터의 하부에는 상기 안내홀에 삽입되는 가이드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외측 로터의 외주면과 이격되어 외관을 형성하도록 베이스부재에 결합되어 고정되는 커버부; 상기 로터에 결합되어 상기 로터와 동시에 회전하는 연 결회전부; 상기 연결회전부에 후크 결합되며 외부에 노출되어 상기 연결회전부와 로터를 회전시키는 중앙 노브; 및 상기 외측 로터에 후크 결합되며 외부에 노출되어 상기 외측 로터를 회전시키는 외측 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로터의 하부에 연결되며, 상기 접촉단자와 접촉하는 회전전극단자부를 포함하되, 상기 걸림벽 내측의 상기 바닥면에는 걸림벽의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구간에서 단차진 상측 단차면과 하측 단차면이 형성되며, 상기 회전전극단자부에는 상기 상측, 하측 단차면에 배치된 접촉단자에 동시에 접촉하도록, 상기 상측 단차면의 접촉단자에 접촉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접촉부와, 상기 하측 단차면의 접촉단자에 접촉하는 하나의 제2 접촉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부재에는, 상기 로터의 일부분에 접촉되어 상기 로터가 상기 걸림벽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지지대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부재의 걸림벽 내측에는 관통 형상의 가이드관이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상기 로터는 상기 가이드관의 외주면에 접하도록 중앙부에 관통 형상의 지지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듀얼 타입 스위치에 의하면, 자동차 공조장치 등의 풍량 조절을 위한 로터와, 풍향 조절을 위한 외측 로터를 하나의 베이스부재에 결합시킴으로써, 듀얼 스위치로서 기능하게 하여 제조시 원가절감을 발생시킬 수 있 는 경제적인 잇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듀얼 타입 스위치가 인쇄회로기판상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듀얼 타입 스위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듀얼 타입 스위치의 베이스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4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터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터, 회전전극단자부 및 접촉단자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듀얼 타입 스위치의 로터를 나타내는 배면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듀얼 타입 스위치에서 회전전극단자부의 회전에 따른 접촉단자와의 접촉 관계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듀얼 타입 스위치의 외측 로터를 나타내는 배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듀얼 타입 스위치는, 차량의 데쉬보드에 장착되어 차량내 장착된 공기조화기로부터 발생된 냉기 또는 온기의 차량 실내로의 토출량 및 토출 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부재(100), 로터(200), 회전전극단자부(300), 지지대(400), 연결회전부(500), 외측 로터(600), 커버부(700), 중앙 노브(800) 및 외측 노브(900)를 포함하여 이루 어진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부재(100)는 차량용 공기조화기(압축기,응축기,팽창밸브,증발기 포함)에서 생성되어 차량 실내로 토출되는 공기의 풍량을 제어하는 컨트롤부(미도시)와 연결되도록, 상기 데쉬보드 내측의 외부에 노출되지 않는 인쇄회로기판(110)상에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베이스부재(100)의 바닥면(120) 상에는 상기 컨트롤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촉단자(130) 즉, 복수의 전극패턴이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부재(100)는 ABS,PS,HIPS 등의 플라스틱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접촉단자(130)가 인서트되어 접촉단자와 일체로 사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베이스부재(100)의 중앙부에는 링 형상의 걸림벽(140)이 상기 바닥면(120)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며, 후술하는 외측 로터(600)의 회전을 지지하기 위해 상기 걸림벽(140)과 동심을 가지며 이격되는 또 다른 링 형상의 제2 걸림벽(150)이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데 상기 외측 로터(600)에 대한 설명은 아래에서 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부재(100)의 걸림벽(140) 내측에는 중앙부가 관통된 형상의 가이드관(160)이 상기 바닥면(120)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있다.
덧붙여, 상기 접촉단자(130)는 상기 가이드관(160) 내측을 제외한 베이스부재(100)의 바닥면(120)에 배치됨이 가능하며, 구체적으로는 상기 걸림벽(140)과 가이드관(160) 사이의 바닥면상에 배치되는 링 형상의 제1 접촉단자와, 상기 제1 접 촉단자에 띠 형상으로 일체로 연결되거나 핀 형상으로 연결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110)에 직접적으로 실장되는 제2 접촉단자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로터(200)는 상기 걸림벽(140)의 내측에 삽입되어 베이스부재(100)에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되는데, 구체적으로 상기 로터(200)의 중앙부에는 상기 가이드관(160)의 외주면에 접하도록 관통 형상의 지지관(210)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하부에는 플랜지(220)가 일체로 구비되어 있다. 즉, 상기 로터(200)는 후술하는 중앙 노브(800)에 의해 상기 걸림벽(140) 내측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가이드관(160)에 지지되어 있다.
한편,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로터(200) 구체적으로, 상기 플랜지(220)의 하부에는 상기 접촉단자(130)와 접촉하도록 회전전극단자부(300)가 연결되며, 상기 회전전극단자부(300)는 상기 로터(200)의 플랜지(220)에 형성된 걸림턱(221)에 후크 결합되어 연결된다. 이때, 상기 회전전극단자부(300)는 상기 걸림턱(221)에 걸리되 로터(200)의 지지관(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거리만큼 제한적인 이동이 가능하도록 복수의 걸림편(310)을 가지고 있다.
덧붙여, 상기 로터(200)가 걸림벽(140) 내측에서 상기 가이드관(160)에 삽입 완료되었을 때, 상기 회전전극단자부(300)가 상기 접촉단자(130)에 밀접하도록 하여 접촉불량 등에 의한 오동작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회전전극단자부(300)와 상기 로터(200) 사이에 전술한 밀착 접촉을 위한 구성으로 복수의 탄성부재(320)가 개재된다. 일 예로, 상기 탄성부재(320)는 통상의 코일 스프링으로 적용이 가능하며,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호 마주보는 상기 로터(200)의 플랜지(220)의 저면과 회전전극단자부(300)의 상면에 각각 형성된 복수의 걸림돌기(330)에 양단이 삽입되어 회전전극단자부(300)를 탄성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한편,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부재(100)에 구비되는 접촉단자(130)는, 접지단자(131), OFF단자(132) 및 서로 이격된 복수의 풍량조절단자(133)로 구성된다.
상기 접지단자, OFF단자 및 풍량조절단자의 기본 기능은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적용되어 온 구성이므로 이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7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접촉단자(130)가 배치되는 베이스부재(100)의 바닥면(120), 좀 더 구체적으로 상기 걸림벽(140) 내측의 링 형상의 바닥면에는, 상기 걸림벽(140)의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구간에서 단차가 형성되며 이에 따라 구분되는 상측 단차면과 하측 단차면이 형성된다. 덧붙여, 상기 상측, 하측 단차면은 상호 연결부위에 형성된 단턱(121)에 의해 구별되며, 이하 상기 걸림벽(140)의 돌출 끝단과의 사이에서 상대적으로 가까운 거리를 형성하는 부분을 상측 단차면이라 정의하고, 상대적으로 먼 거리를 형성하는 부분을 하측 단차면이라 정의한다.
즉, 상기 베이스부재(100)에는 상기 단턱(121)에 의해 구분되는 상하 복층 구조의 바닥면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전극단자부(300)는 상기 단턱(121)에 걸려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그 회전동작이 제한되어 진다.
여기서, 상기 접지단자(131)의 일부는 상기 상측 단차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OFF단자(132) 및 대략 1단 ~ 4단으로 풍량 조절하기 위한 복수의 풍량조절단자(133)의 일부는 상기 하측 단차면 상에 배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회전전극단자부(300)는, 상기 로터(200)의 회전시에 상기 상측, 하측 단차면에 배치된 접촉단자(접지단자, OFF단자 및 풍량조절단자 포함)에 동시에 접촉하도록, 즉 상기 상측 단차면에 배치된 접지단자(131)와 접촉하고, 상기 하측 단차면에 배치된 OFF단자(132) 및 풍량조절단자(133) 중 어느 하나와 접촉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회전전극단자부(300)에는 제1 접촉부(340)와 제2 접촉부(350)가 형성되는데, 상기 제1 접촉부(340)는 적어도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2개 이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접지단자(131)에 접촉하도록 절곡되고, 상기 제2 접촉부(350)는 하나로 구비되어 상기 로터(200)의 회전에 따라 상기 OFF단자(132) 및 풍량조절단자(133) 중 택일하여 접촉하도록 절곡된다.
일 예로, 상기 제1,제2 접촉부(340,350)는 링 형상의 회전전극단자부(300)의 일부분이 절곡됨으로써 회전전극단자부(300)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통상 회전전극단자부(300)는 구리 등의 금속재로 이루어지므로 상기 제1,제2 접촉부(340,350)는 일반적인 프레스 공정을 통해 절곡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접촉부(340)와 제2 접촉부(350)의 절곡된 깊이는 서로 상이해야 함은 물론이고 또한, 상기 OFF단자(132) 및 풍량조절단자(133) 중 어느 하나와 접촉하는 제2 접촉부(350)의 절곡된 깊이가 상대적으로 더 크게 형성됨은 물론이다.
전술한 방법 이외에, 상기 제1,제2 접촉부(340,350)는 별도의 구성으로 이루어져 용접 등에 의해 회전전극단자부(300)에 부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부재(100)를 평면상에서 바라보았을 때, 상기 상측 단차면의 형성 각도는 링 형상의 접촉단자의 중심에 대해 140 ~ 160도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 접촉부(340)가 원주방향으로 이격된 2개의 구성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로터(200)가 200 ~ 220도 회전하는 동안에도 상기 제1 접촉부(340)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접지단자(131)에 항상 접촉하는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상기 제2 접촉부(350)는 OFF단자(132) 및 풍량조절단자(133)와의 접점 위치가 선택적으로 변경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해서 종래의 180도 회전보다 큰 각도의 로터(200) 회전이 가능하게 되며, 더불어 대략 200 ~ 220도의 각도 범위 내에 OFF단자, 1 ~ 4단의 풍량조절단자 등 5개의 단자가 배치될 수 있으므로, 종래의 180도 범위 내에 5개의 단자가 배치되는 경우에 비해 각 단자들의 원주방향 폭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상기 단자들의 원주방향 폭이 작음으로 인해 사용자가 로터(200)를 회전시켜 풍량 조절 단수를 변경하고자 할 때 원하는 단수를 스킵하여 다음 단수로 변경되는 불편한 점을 보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탄성부재(320)에 의해 제1 접촉부(340)와 제2 접촉부(350)의 접촉단자(130)로의 밀착이 가능하게 되는데, 상기 탄성부재(320) 이외의 구성을 통해 상기 밀착 접촉을 더욱 효과적으로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로터(200)가 상기 걸림벽(14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미동하여 전술한 밀착 정도가 감소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베이스부재(100)에는 로터(200)의 일부분에 접촉하여 로터(200)의 길이방향 이동을 제한하도록 지지대(400)가 장착된다.
이러한 지지대(400)는 베이스부재(100)의 걸림벽(140) 외주면에 돌출 형성된 복수의 걸림턱(170)에 후크 결합되어 고정되며, 이때 상기 지지대(400)의 하면부는 로터(200)의 플랜지(220)의 상측면과 접촉되어 로터(200)를 가압하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 로터(200)는 걸림벽(140) 내측에서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며 걸림벽(140)의 길이 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되고 이에 따라, 상기 탄성부재(320) 즉 스프링의 일단이 확실하게 고정되면서 회전전극단자부(300)는 접촉단자(130)에 밀착되는 상태를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듀얼 타입 스위치는 전술한 구성 이외에 외측 로터(600), 커버부(700), 연결회전부(500), 중앙 노브(800), 외측 노브(900), 기능표시부(920) 및 푸쉬버튼부(9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재(100)에는 상기 걸림벽(140)의 외주면과 이격되며 걸림벽(140)과 동심을 가지는 제2 걸림벽(150)이 형성되는데, 상기 외측 로터(600)는 상기 제2 걸림벽(150)의 외주면에 그 내주면이 접하도록 관통된 형상을 가지며, 상기 베이스부재(100)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외측 로터(600)는 차량용 공기조화기(미도시)로부터 토출되는 공기의 토출방향을 조절하도록 풍향변경부(미도시)와 케이블(610)로 연결되는데, 상기 풍향변경부는 당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구성으로 적용이 가능하므로 이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걸림벽(150) 외측의 상기 베이스부재(100)의 바닥면(120)에는 일정 각도를 가지는 원호 형상의 안내홀(180)이 관통 형성되어 있으며,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외측 로터(600)의 하부에는 상기 안내홀(180)에 삽입되는 가이드돌기(620)가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돌기(620)에 상기 케이블(610)의 일단이 고정되어 연결된다.
한편, 상기 가이드돌기(620)는 상기 안내홀(180) 내에서만 왕복 회전이 가능하도록 제한되므로, 상기 외측 로터(600) 또한 안내홀(180)의 형성 각도와 동일한 각도 내에서만 좌우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제한된다.
본 발명은 상기 로터(200)의 회전을 통해 차량 실내로 토출되는 공기(냉기 또는 온기)의 풍량을 조절할 수 있으며, 상기 외측 로터(600)의 회전을 통해 상기 공기의 차량 실내로 토출되는 방향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듀얼 타입 스위치는 한 몸체인 모듈에서 공기의 풍량 및 토출 방향 모드를 조절할 수 있는 듀얼 스위치로서 기능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커버부(700)는 외측 로터(600)의 외주면과 이격되어 외관을 형성하도록 베이스부재(100)의 최외곽 외주면에 형성된 걸림후크(190)에 결합 고정된다.
상기 연결회전부(500)는 상기 로터(200)에 후크 결합되어 후술하는 중앙 노브(800)의 회전에 따라 로터(200)와 더불어 회전이 이루어진다.
상기 중앙 노브(800)는 일부분이 외부에 노출되도록 상기 연결회전부(500)에 후크 결합되며, 사용자가 중앙 노브(800)를 회전시킴에 따라 연결회전부(500)와 로터(200)는 연동하여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외측 노브(900)는 표면 전체가 외부에 노출되도록 상기 외측 로터(600)에 후크 결합되며, 사용자가 외측 노브(900)를 회전시킴에 따라 외측 로터(600)는 연동하여 회전된다.
이외에, 상기 기능표시부(920)는 자체 회전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상기 베이스부재(100)의 제2 걸림벽(150)의 내주면에 형성된 걸림턱(191)에 후크 결합되며, 외부에 노출되는 상면에는 풍량 조절 단수를 표시하는 숫자 및 문자, 예를 들면 Off, 1,2,3,4 등의 문구가 인쇄되며, 또한 공기의 토출 방향을 표시하는 복수의 문양 및 기호 등이 2열로 인쇄된다.
상기 푸쉬버튼부(940)는 상기 인쇄회로기판(110)에 실장된 택트 스위치(941) 등과 접촉하도록 상기 베이스부재(100)의 가이드관(160) 내측에 삽입되며, 사용자가 푸쉬버튼부(940)를 누름에 따라 차량내 설치된 공기조화기의 운전을 ON/OFF 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해당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예컨대, 상기 로터(200)와 외측 로터(600)는 풍량 및 토출방향을 조절하는 기능뿐만 아니라 온도조절이나 조명 강도 조절 기능 등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듀얼 타입 스위치는 자동차 공조 스위치 외에 범용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듀얼 타입 스위치가 인쇄회로기판상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듀얼 타입 스위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듀얼 타입 스위치의 베이스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도 4의 평면도.
도 6은 도 4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터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터, 회전전극단자부 및 접촉단자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듀얼 타입 스위치의 로터를 나타내는 배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듀얼 타입 스위치에서 회전전극단자부의 회전에 따른 접촉단자와의 접촉 관계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듀얼 타입 스위치의 외측 로터를 나타내는 배면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베이스부재 110: 인쇄회로기판
120: 바닥면 121: 단턱
130: 접촉단자 131: 접지단자
132: OFF단자 133: 풍량조절단자
140: 걸림벽 150: 제2 걸림벽
160: 가이드관 170: 걸림턱
180: 안내홀 190: 걸림후크
191: 걸림턱 200: 로터
210: 지지관 220: 플랜지
221: 걸림턱 300: 회전전극단자부
310: 걸림편 320: 탄성부재
330: 걸림돌기 340: 제1 접촉부
350: 제2 접촉부 400: 지지대
500: 연결회전부 600: 외측 로터
610: 케이블 620: 가이드돌기
700: 커버부 800: 중앙 노브
900: 외측 노브 920: 기능표시부
940: 푸쉬버튼부 941: 택트 스위치

Claims (6)

  1. 중앙부의 바닥면으로부터 링 형상의 걸림벽이 돌출되고, 상기 걸림벽의 외주면과 이격되는 링 형상의 제2 걸림벽이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바닥면상에 접촉단자가 구비되는 베이스부재;
    상기 걸림벽의 내측에 삽입되어 베이스부재에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되는 로터; 및
    상기 제2 걸림벽의 외주면에 그 내주면이 접하도록 관통된 형상을 가지며, 상기 베이스부재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외측 로터를 포함하며,
    상기 로터의 하부에 연결되며, 상기 접촉단자와 접촉하는 회전전극단자부를 포함하되,
    상기 걸림벽 내측의 상기 바닥면에는 걸림벽의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구간에서 단차진 상측 단차면과 하측 단차면이 형성되며,
    상기 회전전극단자부에는 상기 상측, 하측 단차면에 배치된 접촉단자에 동시에 접촉하도록, 상기 상측 단차면의 접촉단자에 접촉하도록 절곡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접촉부와, 상기 하측 단차면의 접촉단자에 접촉하도록 절곡되어 있는 하나의 제2 접촉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접촉부의 절곡 깊이는 상기 제1 접촉부의 절곡 깊이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타입 스위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재의 가장자리 주변의 상기 바닥면에는 원호 형상의 안내홀이 형성되고, 상기 외측 로터의 하부에는 상기 안내홀에 삽입되는 가이드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타입 스위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로터의 외주면과 이격되어 외관을 형성하도록 베이스부재에 결합 되어 고정되는 커버부;
    상기 로터에 결합되어 상기 로터와 동시에 회전하는 연결회전부;
    상기 연결회전부에 후크 결합되며 외부에 노출되어 상기 연결회전부와 로터를 회전시키는 중앙 노브; 및
    상기 외측 로터에 후크 결합되며 외부에 노출되어 상기 외측 로터를 회전시키는 외측 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타입 스위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재에는, 상기 로터의 일부분에 접촉되어 상기 로터가 상기 걸림벽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지지대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타입 스위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재의 걸림벽 내측에는 관통 형상의 가이드관이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상기 로터는 상기 가이드관의 외주면에 접하도록 중앙부에 관통 형상의 지지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타입 스위치.
KR1020090099526A 2009-10-20 2009-10-20 듀얼 타입 스위치 KR1011182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9526A KR101118219B1 (ko) 2009-10-20 2009-10-20 듀얼 타입 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9526A KR101118219B1 (ko) 2009-10-20 2009-10-20 듀얼 타입 스위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2726A KR20110042726A (ko) 2011-04-27
KR101118219B1 true KR101118219B1 (ko) 2012-03-19

Family

ID=440480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9526A KR101118219B1 (ko) 2009-10-20 2009-10-20 듀얼 타입 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821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05914A (zh) * 2014-12-30 2016-07-27 Tcl空调器(中山)有限公司 导风角度换算器、空调室内机及导风角度的设置方法
KR102233524B1 (ko) * 2020-10-02 2021-03-29 (주)엔씨테크 듀얼 이엠오 스위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95026U (ko) * 1984-11-28 1986-06-19
KR200389705Y1 (ko) * 2005-04-13 2005-07-14 주식회사 제이에스테크 공조패널의 로터리 스위치구조
KR100503896B1 (ko) * 2002-11-05 2005-07-26 동아전기부품 주식회사 자동차용 송풍 스위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95026U (ko) * 1984-11-28 1986-06-19
KR100503896B1 (ko) * 2002-11-05 2005-07-26 동아전기부품 주식회사 자동차용 송풍 스위치
KR200389705Y1 (ko) * 2005-04-13 2005-07-14 주식회사 제이에스테크 공조패널의 로터리 스위치구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05914A (zh) * 2014-12-30 2016-07-27 Tcl空调器(中山)有限公司 导风角度换算器、空调室内机及导风角度的设置方法
CN105805914B (zh) * 2014-12-30 2018-11-02 Tcl空调器(中山)有限公司 导风角度换算器、空调室内机及导风角度的设置方法
KR102233524B1 (ko) * 2020-10-02 2021-03-29 (주)엔씨테크 듀얼 이엠오 스위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2726A (ko) 2011-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42240B1 (en) Dial type switch mechanism
US7163455B2 (en) Operating device for air conditioner for vehicle
US7811160B2 (en) Operating device of vehicle air conditioner
KR101118219B1 (ko) 듀얼 타입 스위치
US8399787B2 (en) Switch lever for vehicle
KR101118728B1 (ko) 스위치
JP5981146B2 (ja) 操作装置
JP3886783B2 (ja) 車両用レバー装置
KR200389705Y1 (ko) 공조패널의 로터리 스위치구조
US20060286919A1 (en) Door actuator having dual output shaft for air conditioner of automotive vehicles
JP2001184969A (ja) スイッチ機構及びこのスイッチ機構を具備する操作パネル
CN205523536U (zh) 一种集成旋钮式汽车空调控制器
US6624366B2 (en) Lever switch for vehicle
CN112867895B (zh) 室外单元和具有该室外单元的空气调节器
JP2001229780A (ja) 操作パネル
US7132955B2 (en) Domestic appliance
JP4064153B2 (ja) 車輌空調用コントロール操作装置
CN212907505U (zh) 一种触控式开关控制总成
KR20100001424A (ko) 듀얼 감촉형 회전식 스위치
KR100354138B1 (ko) 에어컨 조작스위치와 일체로 형성하는 송풍기 조작스위치
KR100495078B1 (ko) 자동차 공조패널의 로터리스위치
KR100217562B1 (ko) 자동차의 실내등 스위치
CN110632974A (zh) 一种仪表盘亮度控制开关
JP4300152B2 (ja) 回転式操作装置のスイッチ機構
JPH03251644A (ja) スイッチ機能を有するベントグリ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