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1854Y1 - 엘리베이터홀 안전망 지지대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홀 안전망 지지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1854Y1
KR200311854Y1 KR20-2003-0000024U KR20030000024U KR200311854Y1 KR 200311854 Y1 KR200311854 Y1 KR 200311854Y1 KR 20030000024 U KR20030000024 U KR 20030000024U KR 200311854 Y1 KR200311854 Y1 KR 20031185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hole
jaw
elevator hall
safety 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00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학준
오성우
Original Assignee
쓰리엠안전개발(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쓰리엠안전개발(주) filed Critical 쓰리엠안전개발(주)
Priority to KR20-2003-00000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185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185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1854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04G3/24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or for buildings of particular shape, e.g. chimney stacks or pyl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61Safety-nets; Safety mattresses; Arrangements on buildings for connecting safety-lines
    • E04G21/3266Safety n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엘리베이터 홀의 측벽에 홀의 수평면에 경사지게 설치하는 엘리베이터홀 안전망 지지대에 있어서,
길이의 중앙을 절단하여 엘리베이터홀의 홀턱에 설치하는 고정용의 고정부(21)와, 고정부(21)의 양단에 힌지 결합되어 접힘 또는 풀림기능을 수행하는 절첩부(22)로 이루어지며, 풀림시 사각꼴을 이룬 사각프레임(20)과;
고정부(21)와 절첩부(22)의 양단에 설치되어 절첩부(22)가 힌지 기능을 수행토록 하는 힌지체(30)와;
일측은 고정부(21)를 홀턱 단면부위에 고정시키는 고정반관(41)을 가지며, 반대측은 홀턱(a)에 자신을 고정시키는 고정헤드(42)를 가지는 홀턱 걸이구(43)를 포함하여 구성한 엘리베이터홀 안전망 지지대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접친 상태로 폭을 반으로 줄여 이동하므로 이동에 따른 공간이 반으로 줄어드는 효과를 제공하여 운반비를 줄일 수 있고,
사용시에는 길이를 특별히 조정하는 것이 아니라 단순히 펼치기만 사면 조립이 완성되어 조립에 따른 시간을 줄일 수 있고, 특별히 숙련공이 필요치 않아 인건비를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홀 안전망 지지대{Safety net frame for elevator hole}
본 고안은 엘리베이터홀 안전망 지지대에 관한 것으로, 엘리베이터홀에 설치하는 안전망의 지지대를 길이조절식을 지양하고 사각프레임을 고정부와 절첩부로 나누어 양단이 힌지체로 결합되도록 하여, 이동시 절첩식으로 절첩 하므로 폭이 작아 이동에 유리하고, 설치시 절첩을 해지하기만 하면 프레임으로 완성되므로 설치가 용이하도록 한 엘리베이터홀 안전망 지지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엘리베이터홀 안전망 지지대는 국내실용신안등록 제 20-0150256호 기술이 알려져 있으며, 이는 도 1 의 사시도와 도 2 의 설치상태 단면도와 같이 안전망을 지지하는 지지대의 길이와 폭을 신축조절 할 수 있도록 하부몸체(13)와 상부몸체(15)의 길이폭을 조절하는 길이조절부는 파이프로 형성된 하부 몸체(13)의 선단에 각각 삽입되어 길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하는 상부 몸체(15)를 나사로 형성된 고정핀(14)에 의하여 고정되게 하고, 폭을 조절하는 폭조절부는 상부 몸체(15)의 양단이 각각 양단에 삽입되는 폭조절대(18)에 삽입되어진 상태를 나사로 형성된 고정핀(17)에 의하여 고정하고, 상기 하부 몸체(13)의 양단에 각각 양단이 삽입되는 연결파이프(5)는 나사로 형성된 고정핀(7)에 의하여 고정하고 연결파이프(5)의 타단은 홀턱걸이 몸체(3)에 고정핀(4)으로 고정하며,
상기 하부몸체(13)의 폭을 조절하기 위하여 하부몸체(13)에 양단이 각각 삽입되어진 연결파이프(5)에 형성된 홀턱걸이 몸체(3)와, 상기 홀턱걸이 몸체(3)와이에 연결되어진 홀턱집게 몸체(10)에 구성되어 홀턱(a)에 지지대를 고정시키는 고정부는 상기 홀턱걸이 몸체(3)에 고정되어 홀턱(a)의 상부에 얹혀저 고정되도록 하는 홀턱걸이(9)와, 상기 홀턱집게 몸체(10)에 삽입되어 상하로 이동할 수 있고 나사로 된 고정핀(12)에 의하여 홀턱집게 몸체(10)에 고정되어 콘크리트로 된 홀턱(a)의 하부에 닿도록 하는 홀턱 하부집게(11)와, 상기 홀턱집게 몸체(10)가 손잡이(1)에 의하여 회전되는 상하조절볼트(2)에 의하여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예시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은 조절 사용하는 편리함은 있으나, 이러한 조정 자체가 추가로 작업이 요구되는 것이어서 사용상의 불편이 있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이를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조절을 위한 별도의 조절 수단이 필요 없이 접은 상태로 이동하고 필요시 단순히 펼쳐 사용 가능토록 하는 새로운 방식의 안전망 지지대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사각꼴의 프레임을 상호 반으로 접힘 가능토록 길이의 중앙부에 힌지체를 설치하고, 사용시에는 힌지체를 중심으로 펼쳐서 사용 가능토록 하는 안전망 지지대를 제공토록 한다.
도 1 은 일반적인 안전망의 사시도,
도 2 는 도 1 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3 은 본 고안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4 는 도 3 의 A-A 선 단면도,
도 5 는 도 4 의 B-B 선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사각프레임 21;고정부
22;절첩부 30;힌지체
31;힌지봉 31-1,31-2;힌지링
32,33;힌지링 34;고정나사
41;고정반관 42;고정헤드
43;홀턱걸이구 44;기준돌기
45;아래돌기 46;조정나사
즉, 본 고안은 엘리베이터 홀의 측벽에 홀의 수평면에 경사지게 설치하는 엘리베이터홀 안전망 지지대에 있어서, 길이의 중앙을 절단하여 엘리베이터홀의 홀턱에 설치하는 고정용의 고정부와, 고정부의 양단에 힌지 결합되어 접힘 또는 풀림기능을 수행하는 절첩부로 이루어지며, 풀림시 사각꼴을 이룬 사각프레임과;
고정부와 절첩부의 양단에 설치되어 절첩부가 힌지 기능을 수행토록 하는 힌지체와;
일측은 고정부의 홀턱 대응 부위를 고정시키는 고정링을 가지며, 반대측은 홀턱에 고정시키는 고정헤드를 가지는 홀턱 걸이구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홀 안전망 지지대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은 본 고안의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로, 길이의 중앙을 절단하여 엘리베이터홀의 홀턱에 설치하는 고정용의 고정부(21)와, 고정부(21)의 양단에 힌지 결합되어 접힘 또는 풀림기능을 수행하는 절첩부(22)로 이루어지며, 풀림시 사각꼴을 이룬 사각프레임(20)과;
고정부(21)와 절첩부(22)의 양단에 설치되어 절첩부(22)가 힌지 기능을 수행토록 하는 힌지체(30)와;
일측은 고정부(21)를 홀턱 단면부위에 고정시키는 고정반관(41)을 가지며, 반대측은 홀턱(a)에 자신을 고정시키는 고정헤드(42)를 가지는 홀턱 걸이구(43)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홀턱걸이구(43)는 일측에는 고정부(21)를 지지하도록 단면이 시(C)형상인 고정반관(41)을 일체로 융착하고,
반대측에는 홀턱(a)의 상단과 접하도록 돌출한 기준돌기(44)를, 기준돌기(44)의 홀턱(a)두께에 상응하는 하부위치에 고정헤드(42)가 오도록 홀턱걸이구(43)의 하단에서 수평으로 연장한 아래돌기(45)를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고정헤드(42)의 높낮이는 조정나사(46)를 사용하여 조절토록 구성한다.
도 4 는 본 고안을 나타내는 도 3 의 A-A 선 확대 단면도이고, 도 5 는 도 4 의 B-B 선 단면도로, 힌지체(30)는 링상으로 고정부(21)의 단부를 감싸고 양단을 고정나사(34)로 결합하여 고정시키는 힌지링(32)과, 절첩부(22)의 단부를 감싸고 양단을 역시 고정나사(34)로 고정시키는 힌지링(33)과, 양 힌지링(32,33)을 힌지 결합하는 힌지봉(31)과, 힌지봉(31)을 지지하며 힌지링(32,33)의 저면에 일체로 형성된 힌지링(31-1, 31-2)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한 본 고안은 평소에는 절첩부(22)를 힌지봉(31)을 중심으로 도 3 의 점선상태로 접어 보관 및 이동하다가 사용시에는 절첩부(22)를 힌지봉(31)을 중심으로 펼치면 도 3 의 실선 상태를 이룬다. 이 경우 사각프레임(20)의 길이(L1)는 바람직하기는 예를 들어 엘리베이터홀의 길이 보다는 길도록 하였기에, 엘리베이터홀턱(a)에 홀턱걸이구(43)를 사용하여 고정한 후, 고정부(21)를 고정반관(41)에 안치시켜 당접토록 하고 엘리베이터홀에 안치시키면, 자연스럽게 도 2 와 같이 사각프레임(20)이 엘리베이터홀에 경사지게 설치된다. 물론 본 고안의 도면에서는 도 1 에 보인 청소용 로프와 안전망의 설치는 생략하였기에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설치할 경우 힌지링(32,33)은 상호 당접하고 설치시의 각도가 경사지므로, 엘리베이터홀에 당접한 설치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사각프레임의 폭이 고정부(21)와 절첩부(22)로 접은 만큼 줄어들어 이동에 유리하고, 사용시에도힌지체를 이용하여 펼치기만 하면 사용이 가능하여 편리하다.
물론 본 고안은 홀턱(a)의 폭에 따라 사용 시 홀턱걸이구(43)의 고정헤드(42)를 일체로 된 조정나사(46)를 사용하여 풀거나 조이면 홀턱(a)의 두께에 상관없이 범용으로 사용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엘리베이터홀에 사용하는 안전망을 구성할 때 길이 조절방식의 조립식을 지양하고, 접힘과 풀림 방식으로 설치와 사용이 용이하고 운반도 용이하도록 하는 등의 편리함을 제공한다.
즉, 본 고안은 접친 상태로 폭을 반으로 줄여 이동하므로 이동에 따른 공간이 반으로 줄어드는 효과를 제공하여 운반비를 줄일 수 있고,
사용시에는 길이를 특별히 조정하는 것이 아니라 단순히 펼치기만 사면 조립이 완성되어 조립에 따른 시간을 줄일 수 있고, 특별히 숙련공이 필요치 않아 인건비를 줄일 수 있다.

Claims (2)

  1. 엘리베이터 홀의 측벽에 홀의 수평면에 경사지게 설치하는 엘리베이터홀 안전망 지지대에 있어서,
    길이의 중앙을 절단하여 엘리베이터홀의 홀턱에 설치하는 고정용의 고정부(21)와, 고정부(21)의 양단에 힌지 결합되어 접힘 또는 풀림기능을 수행하는 절첩부(22)로 이루어지며, 풀림시 사각꼴을 이룬 사각프레임(20)과;
    고정부(21)와 절첩부(22)의 양단에 설치되어 절첩부(22)가 힌지 기능을 수행토록 하는 힌지체(30)와;
    일측은 고정부(21)를 홀턱 단면부위에 고정시키는 고정반관(41)을 가지며, 반대측은 홀턱(a)에 자신을 고정시키는 고정헤드(42)를 가지는 홀턱 걸이구(43)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홀 안전망 지지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홀턱걸이구(43)는 일측에는 고정부(21)를 지지하도록 단면이 시(C)형상인 고정반관(41)을 일체로 융착하고,
    반대측에는 홀턱(a)의 상단과 접하도록 돌출한 기준돌기(44)를, 기준돌기(44)의 홀턱(a)두께에 상응하는 하부위치에 고정헤드(42)가 오도록 홀턱걸이구(43)의 하단에서 수평으로 연장한 아래돌기(45)를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고정헤드(42)의 높낮이는 조정나사(46)를 사용하여 조절토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홀 안전망 지지대.
KR20-2003-0000024U 2003-01-02 2003-01-02 엘리베이터홀 안전망 지지대 KR20031185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0024U KR200311854Y1 (ko) 2003-01-02 2003-01-02 엘리베이터홀 안전망 지지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0024U KR200311854Y1 (ko) 2003-01-02 2003-01-02 엘리베이터홀 안전망 지지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1854Y1 true KR200311854Y1 (ko) 2003-05-09

Family

ID=494056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0024U KR200311854Y1 (ko) 2003-01-02 2003-01-02 엘리베이터홀 안전망 지지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185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2279Y1 (ko) 2010-06-07 2011-02-16 유은상 엘리베이터 홀 추락방지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2279Y1 (ko) 2010-06-07 2011-02-16 유은상 엘리베이터 홀 추락방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76957A (en) Portable scaffold assembly with movable anchor
KR20200000858U (ko) 조립식 구조를 갖는 고소작업대
KR200311854Y1 (ko) 엘리베이터홀 안전망 지지대
JP3217663U (ja) 開閉式テント
JPH09228489A (ja) 天井用目地装置
KR102362725B1 (ko) 창호 시공용 낙하방지망 조립체
KR102640124B1 (ko) 족장 피스
JP2004137881A (ja) 日よけ、雨よけなどの遮蔽を、支持体に固定する装置
KR20090014836A (ko) 접이식 세탁물 걸이대
KR200358782Y1 (ko) 교량 상부 슬라브의 거푸집 받침대
JPH076373Y2 (ja) 安全ネット用持送り枠
JP7455422B2 (ja) 支持具
JP5508191B2 (ja) 地下構造物施工用鉄筋支持金具
JP3019857U (ja) 張出足場の吊持金具
JPH0457682A (ja) 折畳式作業台
KR200249895Y1 (ko) 벽체거푸집 지지장치
KR200337457Y1 (ko) 접힘이 가능한 수평받침대를 구비하는 거푸집 수직지지대
KR20110007636U (ko) 접이식 공구대
JP2012117340A (ja) 仮設用朝顔装置
JP2011099243A (ja) テント
KR200439600Y1 (ko) 난간 지주
KR0129896Y1 (ko) 공사현장용 안전휀스 고정장치
KR100538091B1 (ko) 접힘이 가능한 수평받침대를 구비하는 거푸집 수직지지대
JP3101239U (ja) 窓枠固定式フック
JPH07207923A (ja) 枠組足場の端部枠用手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41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