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9895Y1 - 벽체거푸집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벽체거푸집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9895Y1
KR200249895Y1 KR2020010020125U KR20010020125U KR200249895Y1 KR 200249895 Y1 KR200249895 Y1 KR 200249895Y1 KR 2020010020125 U KR2020010020125 U KR 2020010020125U KR 20010020125 U KR20010020125 U KR 20010020125U KR 200249895 Y1 KR200249895 Y1 KR 20024989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member
formwork
vertical
bracket
leng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01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천우
Original Assignee
(주)상우정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상우정공 filed Critical (주)상우정공
Priority to KR20200100201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989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98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9895Y1/ko

Links

Landscapes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벽체거푸집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벽체의 일측에 설치된 거푸집을 받쳐서 고정지지하는 벽체거푸집 지지장치에서, 상기 거푸집의 일측면을 받치고 바깥쪽으로 브라켓트(14)와 다수의 걸림턱(16)이 구비되며 텔레스코픽형으로 길이를 가변하도록 된 수직지지부재(10)와, 상기 수직지지부재(10)의 하부선단에 힌지연결되어 지면에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부에 브라켓트(24)와 다수의 걸림턱(26)이 구비된 수평지지부재(20) 및, 상기 수직/수평지지부재(20)의 브라켓트(14,24) 사이에 힌지연결되거나 상기 수직/수평지지부재(20)의 걸림턱(16,26) 사이에 고정설치되며 길이조절부재(32)를 통해 길이를 가변시키도록 된 다수의 경사지지부재(30)를 포함하여, 1세트로써 크기에 무관하게 여러종류의 거푸집에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벽체거푸집 지지장치 { A support for form of wall }
본 고안은 벽체거푸집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측벽에 설치된 거푸집을 받쳐서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는 벽체거푸집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거푸집(form)은 콘크리트에 접하는 목재나 강재 막음널을 구조물 형상대로 조립설치하는데 사용된다. 이러한 거푸집은 구조물의 형상 및 표면이 마무리 될 때까지 콘크리트를 보호해주는 역할을 하므로 시멘트풀이 새어나가거나 하중에 의한 변동이 발생하지 않도록 견고히 설치하여야 한다.
기존의 측벽거푸집 지지장치는 실용신안등록 제143184호와 제143185호에 게재되어 있는데, 지지장치의 길이를 가변할 수 없으므로 측벽거푸집의 크기에 맞추어 개별적으로 제작해야 하고 조립 및 분해작업성이 좋지 않은 문제점을 지니고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크기에 무관하게 모든 거푸집을 지지할 수 있으며, 조립 및 분해작업이 편리하게 이루어 질 수 있는 벽체거푸집 지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거푸집의 일측면을 받치고 바깥쪽으로 브라켓트와 다수의 걸림턱이 구비되며 텔레스코픽형으로 길이를 가변하도록 된 수직지지부재와, 상기 수직지지부재의 하부선단에 힌지연결되어 지면에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부에 브라켓트와 다수의 걸림턱이 구비된 수평지지부재 및, 상기 수직/수평지지부재의 브라켓트 사이에 힌지연결되거나 상기 수직/수평지지부재의 걸림턱 사이에 고정설치되며 길이조절부재를 통해 길이를 가변시키도록 된 다수의 경사지지부재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벽체거푸집 지지장치에 의하면, 1세트로써 크기에 무관하게 여러종류의 거푸집에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거푸집을 조립 및 분해작업이 용이하므로 작업시간을 대폭적으로 단축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벽체거푸집 지지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수직지지부재와 수평지지부재의 연결부분을 도시한 구성도,
도 3a 내지 도 3d는 벽체거푸집에 지지장치를 순차적으로 조립하는 조립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벽체거푸집 지지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수직지지부재 12 : 힌지핀
14 : 브라켓트 16 : 걸림턱
18 : 고정핀 20 : 수평지지부재
22 : 연결브라켓트 24 : 브라켓트
26 : 걸림턱 27 : 스텃보울트
28 : 너트 29 : 받침편
30 : 경사지지부재 32 : 길이조절부재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예시도면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벽체거푸집 지지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수직지지부재와 수평지지부재의 연결부분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벽체거푸집 지지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푸집의 일측면을 받치는 수직지지부재(10)와, 이 수직지지부재(10)의 하부에 힌지연결되어 지면에 평형하게 배치된 수평지지부재(20) 및, 상기 수직지지부재(10)와 수평지지부재(20) 사이에 경사지게 설치된 다수의 경사지지부재(30)를 포함한다.
상기 수직지지부재(10)는 중공의 4각프레임으로 되어 있고 제1부재(10a)에 대해 제2부재(10b)가 삽입되어 텔레스코픽형으로 길이를 가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제1부재(10a)와 제2부재(10b)에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고정핀(12)을 사용하여 위치를 고정하도록 되어 있다. 물론, 수직지지부재(10)는 상기 제2부재(10b)가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관통홀이 형성되어 전체 길이를 일정한 간격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수직지지부재(10)는 상기 경사지지부재(30)의 상부선단을 고정지지하도록 바깥쪽으로 브라켓트(14)와 다수의 걸림턱(16)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연장설치되어 있다. 한편, 수직지지부재(10)는 하부에 힌지핀(18)이 삽입되어 상기 수평지지부재(20)와 연결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수평지지부재(20)는 ㄷ자형 프레임으로 되어 있고 한쪽선단에 연결브라켓트(22)가 설치되고 있다. 상기 연결브라켓트(22)에 관통홀이 형성되어 상기 힌지핀(18)을 통해 수평지지부재(20)는 수직지지부재(10)와 힌지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수평지지부재(20)는 상부에 상기 경사지지부재(30)의 하부선단을 고정지지하는 브라켓트(24)와 걸림턱(26)이 소정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다. 한편, 수평지지부재(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텃보울트(27)가 한쪽이 콘크리트바닥에 매설되고 다른쪽이 연결브라켓트(22) 상부에 돌출되어 너트(28)와 받침편(29)을 매개로 상기 연결브라켓트(22)에 압착되게 고정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수평지지부재(20)는 상기 스텃보울트(27)를 통해 콘크리트바닥에 견고히 고정되는 것이다.
상기 경사지지부재(30)는 봉형상으로 되어 있고 길이조절부재(32)를 통해 길이를 가변시키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길이조절부재(32)는 경사지지부재(30)의 연결선단부에 이중으로 나사결합되어 풀면 연결선단부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고 죄면 더 이상 연결선단부의 길이가 가변되지 않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경사지지부재(30)는 제1,2,3,4부재(30a,30b,30c,30d)로 나뉘어져 각각 상기 수직지지부재(10)와 수평지지부재(20) 사이에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1부재(30a)는 상기 수직/수평지지부재(10,20)의 브라켓트(14,24)에힌지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2,3부재(30b,30c)는 수직/수평지지부재(10,30)의 걸림턱(16,26)에 걸리도록 설치되는 한편, 상기 제4부재(30d)는 상부선단에 고정부가 형성되어 수직지지부재(10)의 제1부재(10a)에 연결핀(16)을 매개로 고정되고 하부선단이 수평지지부재(20)의 걸림턱(26)에 걸리도록 설치되어 있다.
도 3a 내지 도 3d를 참조하여 벽체거푸집에 지지장치를 조립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도 3a와 같이, 제1부재(10a)에 대해 제2부재(10b)를 인출시켜 수직지지부재(10)를 거푸집의 일측면을 받치고, 수평지지부재(20)를 콘크리트바닥에 고정시키면서 연결브라켓트(22)에 힌지핀(12)을 매개로 상기 수직지지부재(10)와 연결시킨다. 그 후 도 3b와 같이, 경사지지부재(30)의 제1부재(30a)를 상기 수직/수평지지부재(10,20)의 브라켓트(14,24)에 힌지연결하여 1차적으로 고정한다. 그 후, 경사지지부재(30)의 제2,3부재(30b,30c)를 수직/수평지지부재(10,20)의 걸림턱(16,26)에 걸쳐서 지지되도록 설치한다. 마지막으로 도 4b와 같이, 경사지지부재(30)의 제4부재(30d)를 고정하는데, 상부선단에 형성된 고정부를 수직지지부재(10)의 제1부재(10a)에 연결핀(16)을 매개로 고정시키고 아울러 하부선단이 수평지지부재(20)의 걸림턱(26)에 걸리도록 설치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벽체거푸집 지지장치의 사용상태도로서, 거푸집의 일측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수직지지부재(10)를 받치고 이들 수직지지부재(10)에 수평지지부재(20)를 연결하며, 상기 수직/수평지지부재(10,20) 사이에 경사지지부재(30)를 설치한 것을 도시하고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 구성에 의하면, 수직지지부재(10)가 거푸집의 크기에 맞추어 제1부재(10a)에 대해 제2부재(10b)를 텔레스코픽타입으로 길이를 가변시키고, 아울러 경사지지부재(30)가 길이조절부재(32)로써 길이를 가변시킬 수 있으므로 거푸집의 크기에 무관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벽체거푸집 지지장치에 의하면, 기존과 달리 수직지지부재와 경사지지부재의 길이를 가변시킬 수 있으므로 1세트로써 크기에 무관하게 여러종류의 거푸집에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거푸집의 조립 및 분해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므로 작업시간을 단축시켜 시공비를 절감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

  1. 벽체의 일측에 설치된 거푸집을 받쳐서 고정지지하는 벽체거푸집 지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의 일측면을 받치고 바깥쪽으로 브라켓트(14)와 다수의 걸림턱(16)이 구비되며 텔레스코픽형으로 길이를 가변하도록 된 수직지지부재(10);
    상기 수직지지부재(10)의 하부선단에 힌지연결되어 지면에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부에 브라켓트(24)와 다수의 걸림턱(26)이 구비된 수평지지부재(20); 및
    상기 수직/수평지지부재(10,20)의 브라켓트(14,24) 사이에 힌지연결되거나 상기 수직/수평지지부재(20)의 걸림턱(16,26) 사이에 고정설치되며 길이조절부재(32)를 통해 길이를 가변시키도록 된 다수의 경사지지부재(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거푸집 지지장치.
KR2020010020125U 2001-07-04 2001-07-04 벽체거푸집 지지장치 KR20024989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0125U KR200249895Y1 (ko) 2001-07-04 2001-07-04 벽체거푸집 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0125U KR200249895Y1 (ko) 2001-07-04 2001-07-04 벽체거푸집 지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9895Y1 true KR200249895Y1 (ko) 2001-11-16

Family

ID=730671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0125U KR200249895Y1 (ko) 2001-07-04 2001-07-04 벽체거푸집 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9895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7555B1 (ko) * 2005-03-08 2007-03-21 삼성물산 주식회사 벽체 거푸집 사선 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벽체 거푸집 설치 구조
KR101002266B1 (ko) * 2008-03-27 2010-12-20 (주)맥신 가변 지지대
KR101855472B1 (ko) 2017-07-27 2018-06-25 김기현 끼움홈연결구를 이용한 이중벽체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7555B1 (ko) * 2005-03-08 2007-03-21 삼성물산 주식회사 벽체 거푸집 사선 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벽체 거푸집 설치 구조
KR101002266B1 (ko) * 2008-03-27 2010-12-20 (주)맥신 가변 지지대
KR101855472B1 (ko) 2017-07-27 2018-06-25 김기현 끼움홈연결구를 이용한 이중벽체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84393Y1 (ko) 건축용 고하중 서포트
CN107975251B (zh) 一种装配式建筑墙板联合支撑装置
KR200249895Y1 (ko) 벽체거푸집 지지장치
CN215168026U (zh) 一种后浇悬空梁板的模板支撑结构
CN109025239B (zh) 一种建筑工程用攀爬支护装置
KR200365562Y1 (ko) 조립식 가구의 지주 및 그러한 지주로 구성되는 조립식가구
CN210398253U (zh) 一种占地面积小的工程检测设备用支架
KR100452187B1 (ko) 빨래건조대
CN213204439U (zh) 一种装配式建筑支撑框架结构
KR200165437Y1 (ko) 챠트걸이
JP2537584Y2 (ja) スラブ型枠用仮設ビーム
CN213710062U (zh) 一种吊顶伸缩机构及吊顶
KR200415826Y1 (ko) 건축용 서포트
CN219298485U (zh) 预留孔洞快速封堵装置
CN214034865U (zh) 一种建筑装配用墙体支撑设备
KR200378375Y1 (ko) 옹벽 및 합벽용 거푸집버팀대의 연장버팀대
KR200251964Y1 (ko) 빨래 건조대의 다리구조
CN220254057U (zh) 一种电缆桥架用支撑装置
KR200393432Y1 (ko) 거푸집용 지지대
KR200220882Y1 (ko) 스프링클러 지지대
JPH0691561A (ja) 折り畳み移動作業台
CN213308473U (zh) 一种货架立柱安装结构
CN209114849U (zh) 一种建筑装配式脚手架
KR200350007Y1 (ko) 콘크리트 합벽 거푸집 지지장치
KR200256659Y1 (ko) 건축용 패널 지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91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