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7636U - 접이식 공구대 - Google Patents

접이식 공구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7636U
KR20110007636U KR2020100000867U KR20100000867U KR20110007636U KR 20110007636 U KR20110007636 U KR 20110007636U KR 2020100000867 U KR2020100000867 U KR 2020100000867U KR 20100000867 U KR20100000867 U KR 20100000867U KR 20110007636 U KR20110007636 U KR 2011000763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l
perforated
perforated plate
wheel
pil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086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제선
Original Assignee
이제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제선 filed Critical 이제선
Priority to KR20201000008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07636U/ko
Publication of KR2011000763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7636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HWORKSHOP EQUIPMENT, e.g. FOR MARKING-OUT WORK; STORAGE MEANS FOR WORKSHOPS
    • B25H3/00Storage means or arrangements for workshops facilitating access to, or handling of, work tools or instru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orkshop Equipment, Work Benches, Supports, Or Storage Me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접이식 공구대는, 공구를 걸어 두는 공구 걸이 구멍이 형성되며 직립되는 평판 형상의 타공판; 상기 타공판의 양단을 지지하는 기둥; 상기 타공판 중 서로 인접한 2 개의 타공판이 서로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기둥의 연결 부위에 설치되는 힌지; 상기 타공판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기둥의 하단에 설치되는 휠; 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접이식 공구대{FOLDING TOOL STAND}
본 고안은 각종 공구나 물건을 걸어두는 공구대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접철 가능하여 공간 활용성이나 이동성이 뛰어난 접이식 공구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공구나 물건을 수납하는 공구대는 각 공구의 분류를 위하여 서랍식으로 되어 있으며 이동성 확보를 위하여 바퀴가 마련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러나, 이러한 공구대는 공구를 걸어두지 않을 때도 일정한 점유 공간을 차지하므로 공간 활용성 측면에서 비효율적인 점이 있고, 공구의 수납량과 상관없이 일정한 수의 서랍만 구비할 뿐이므로 공구대의 크기가 조절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서, 공간 활용성과 이동성이 뛰어난 접이식 공구대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일 실시예로서, 본 고안의 접이식 공구대는, 공구를 걸어 두는 공구 걸이 구멍이 형성되며 직립되는 평판 형상의 타공판; 상기 타공판의 양단을 지지하는 기둥; 상기 타공판 중 서로 인접한 2 개의 타공판이 서로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기둥의 연결 부위에 설치되는 힌지; 상기 타공판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기둥의 하단에 설치되는 휠; 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로서, 본 고안의 접이식 공구대는, 공구를 걸어두는 공구 걸이용 부품이 삽입 고정되는 공구 걸이 구멍이 다수 천공된 복수의 타공판이 접철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타공판의 하부에는 휠이 장착됨으로써 상기 타공판들이 서로 펼쳐지거나 접힌 상태에서 이동 가능하다.
본 고안에 따르면, 타공판의 회동에 의하여 접이식 공구대가 접철되므로 수납되는 공구의 개수에 비례하여 접이식 공구대의 펼쳐진 각도를 임의로 조절가능하므로 공간 활용성이 매우 뛰어나다. 또한, 설치 장소의 크기나 형상에 구애받지 않고 어떠한 형태나 좁은 공간에도 접이식 공구대의 설치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접이식 공구대가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접이식 공구대가 완전히 접힌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접이식 공구대가 완전히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접이식 공구대가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접이식 공구대가 완전히 접힌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접이식 공구대가 완전히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함께 참조하며, 본 고안의 접이식 공구대의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의 접이식 공구대는 타공판(10)과, 기둥(20)과, 힌지(30)와 휠(50a,50b)을 포함한다. 타공판(10)은 공구를 걸어 두는 공구 걸이 구멍(12)이 다수 형성되며 직립되는 평판 형상이다.
타공판(10)의 양단은 기둥(20)에 의하여 지지되며, 기둥(20) 사이에는 힌지(30)가 착탈 가능하게 마련된다. 따라서, 타공판(10) 중 서로 인접한 2 개의 타공판(10)이 서로 회동 가능하므로 접이식 공구대를 원하는 각도만큼 펼쳐서 원하는 설치 장소에 임의의 형상으로 설치할 수 있다.
또한, 타공판(10)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기둥(20)의 하단에 휠(50a,50b)이 설치되므로 접이식 공구대의 이동이 자유롭다. 휠(50a)의 설치를 위하여 기둥(20)의 하단에 수직하게 연장되는 휠 고정대(40)가 마련될 수 있다. 휠 고정대(40)는 양단에 휠(50a)이 각각 장착되어 타공판(10)이 전복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도 겸한다. 휠 고정대(40)가 지나치게 많이 설치되면 접이식 공구대의 접철이 제약될 수 있으므로 휠 고정대(40)는 하중이 많이 작용하는 일부분에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휠 고정대(40) 사이에 배치되는 휠(50b)은 기둥(20)의 하단부에 직접 고정됨으로써 접이식 공구대를 접었을 때 휠 고정대(40)가 접철을 방해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공구 걸이 구멍(12)에는 공구 걸이용 부품이 삽입 고정된다. 여기서, 공구 걸이용 부품의 예를 들면, 공구 걸이 후크(14), 공구 수납함(16) 등이 있으며, 그 밖에 공구 걸이 구멍(12)에 걸어서 고정되는 형상의 것이면 어떠한 실시예도 무방하다.
일 실시예로서, 공구 걸이 구멍(12)은 하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상으로서, 제1부(121) 및 제2부(122)를 포함한 단이 형성된 사다리꼴 형상이다. 즉, 공구 걸이 구멍(12)은 그 상측의 제1부(121)로부터 제2부(122)로 갈수록 좁아지게 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부(121) 및 제2부(122)의 정의는 상대적인 것이며, 공구 걸이 구멍(12)에 있어서 제1부(121)는 제2부(122)보다 상측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단이 진 사다리꼴에서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대변의 가장자리 벽을 의미하고, 제2부(122)는 제1부(121)보다 하측에 위치하는 것으로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대변의 가장자리 벽을 의미한다.
제1부(121) 사이의 최대 이격 거리를 L1, 제2부(122) 사이의 최소 이격 거리를 L2 라고 할 때, 공구 걸이 구멍(12)에 삽입 고정되는 지지물의 보스의 직경 d는 상기 L1 보다 작고 상기 L2 보다 큰 것이 특징이다. 여기서 지지물이라 함은 공구 걸이용 부품을 포함하여 공구 걸이 구멍(12)에 삽입 고정되는 하중을 갖는 모든 기구물을 의미한다.
본 고안의 접이식 공구대는 공구를 걸어두지 않고 단순 보관시는 도 2와 같이 접은 상태로 보관을 하고 공구 걸이용으로 사용할 때에는 도 1과 같이 공구 개수에 따라 필요한 만큼 펼쳐서 사용하거나 도 3과 같이 완전히 펼쳐서 사용할 수 있으므로 공간 활용성이나 디스플레이 용이성에 있어서 매우 탁월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접이식 공구대에 따르면 타공판(10)의 한 면에만 공구 걸이 구멍(12)을 천공하거나 양면 모두에 공구 걸이 구멍(12)을 형성함으로써 타공판(10)의 한 면 또는 양면 모두를 공구 걸이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사용상 유연성을 제공한다.
접이식 공구대가 위치하는 공간의 형상이 곡면으로 휘어진 형상, 'ㄱ'자 형상으로 구부러진 경우, 다수의 요철이 존재하는 벽면 등 위치 공간의 형태를 불문하고 타공판(10)의 펼쳐진 각도를 유연하게 조절함으로써 어떠한 공간에도 설치할 수 있는 사용상 장점이 있다.
심지어 공장이나 작업장에서 기계 설비와 기계 설비 사이의 좁은 공간에도 설치할 수 있고 작업 장소가 이동되었을 때는 휠(50a,50b)이 장착되어 자유롭게 주행 가능하므로 장소의 이동이 손쉬운 장점이 있다.
타공판(10)의 개수는 임의로 조절할 수 있으며 기둥(20)이 개수 및 힌지(30)의 착탈에 의하여 타공판(10)의 개수는 얼마든지 증가 또는 감소시킬 수 있는 설치상의 유연성이 확보된다.
이상에서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타공판 12...공구 걸이 구멍
121...제1부 122...제2부
14...공구 걸이 후크 16...공구 수납함
20...기둥 30...힌지
35...고정 볼트 40...휠 고정대
50a,50b...휠

Claims (6)

  1. 공구를 걸어 두는 공구 걸이 구멍이 형성되며 직립되는 평판 형상의 타공판;
    상기 타공판의 양단을 지지하는 기둥;
    상기 타공판 중 서로 인접한 2 개의 타공판이 서로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기둥의 연결 부위에 설치되는 힌지;
    상기 타공판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기둥의 하단에 설치되는 휠; 을 포함하는 접이식 공구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구 걸이 구멍은 하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상으로서, 상측의 제1부로부터 상기 제1부의 하측에 위치한 제2부로 갈수록 좁아지게 천공되는 접이식 공구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 사이의 최대 이격 거리를 L1, 상기 제2부 사이의 최소 이격 거리를 L2 라고 할 때, 상기 공구 걸이 구멍에 삽입 고정되는 지지물의 보스의 직경 d는 상기 L1 보다 작고 상기 L2 보다 큰 접이식 공구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의 하단에 수직하게 연장되는 것으로, 양단에 상기 휠이 각각 장착되는 휠 고정대; 를 더 포함하는 접이식 공구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휠 고정대는 복수로 마련되며, 상기 휠 고정대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휠은 상기 기둥의 하단부에 직접 고정되는 접이식 공구대.
  6. 공구를 걸어두는 공구 걸이용 부품이 삽입 고정되는 공구 걸이 구멍이 다수 천공된 복수의 타공판이 접철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타공판의 하부에는 휠이 장착됨으로써 상기 타공판들이 서로 펼쳐지거나 접힌 상태에서 이동 가능한 접이식 공구대.
KR2020100000867U 2010-01-26 2010-01-26 접이식 공구대 KR2011000763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0867U KR20110007636U (ko) 2010-01-26 2010-01-26 접이식 공구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0867U KR20110007636U (ko) 2010-01-26 2010-01-26 접이식 공구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7636U true KR20110007636U (ko) 2011-08-03

Family

ID=455965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0867U KR20110007636U (ko) 2010-01-26 2010-01-26 접이식 공구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07636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49441A (zh) * 2012-05-04 2012-08-29 南京航空航天大学 可折叠物流车
CN104889960A (zh) * 2014-01-27 2015-09-09 平湖市陈达仓储办公设备有限公司 一种工具箱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49441A (zh) * 2012-05-04 2012-08-29 南京航空航天大学 可折叠物流车
CN104889960A (zh) * 2014-01-27 2015-09-09 平湖市陈达仓储办公设备有限公司 一种工具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13202A (en) Portable, wall-mountable tool box-supply cabinet and work bench combination
EP2499289B1 (en) Drying rack
US20140145049A1 (en) Tool holder
CA2821531C (en) Foldable shelving unit and method for deploying and compacting same
US20110260384A1 (en) Fixture and method for supporting door panels during painting and finishing
US8291841B2 (en) Motorcycle support
JP6328544B2 (ja) 実験用什器の配線構造
US9216507B2 (en) Wall mounted work bench
KR20110007636U (ko) 접이식 공구대
KR20110092436A (ko) 절첩식 지지대를 구비한 가구
KR100834064B1 (ko) 접이식 받침대를 구비한 세탁물 건조대
KR20100008123U (ko) 벽면 부착형 행거
US20060254858A1 (en) Folding sawhorse
KR20140002190U (ko) 접이식 작업선 걸이대
KR200463856Y1 (ko) 벽면 부착형 상/하 슬라이드 행거
KR200447188Y1 (ko) 접이식 시스템선반
JP2017100481A (ja) 台車
KR200468716Y1 (ko) 접이식 선반
JP2010126968A (ja) 可搬式作業台
KR100653378B1 (ko) 조립식 작업대
JP6286266B2 (ja) 足場構築体におけるコーナー用朝顔の設置工法及びコーナー用朝顔装置
KR20090014836A (ko) 접이식 세탁물 걸이대
CN102705680A (zh) 一种显示器用的底座壁挂一体式机构
JP3155995U (ja) 折畳み式物載せ台
KR102083128B1 (ko) 플로어 스탠드 멀티 행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