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0979Y1 - 굴삭기의 어태치먼트 장착용 클램프 - Google Patents

굴삭기의 어태치먼트 장착용 클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0979Y1
KR200310979Y1 KR20-2003-0000954U KR20030000954U KR200310979Y1 KR 200310979 Y1 KR200310979 Y1 KR 200310979Y1 KR 20030000954 U KR20030000954 U KR 20030000954U KR 200310979 Y1 KR200310979 Y1 KR 20031097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mp
attachment
excavator
cast steel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095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수산중공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수산중공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수산중공업
Priority to KR20-2003-000095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097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09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0979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3604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 E02F3/3609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of the quick acting type, e.g. controlled from the operator seat
    • E02F3/3622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of the quick acting type, e.g. controlled from the operator seat with a hook and a locking element acting on a p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좌우 양측으로 분할 구성되어 주강으로 구성되는 클램프 본체부의 상 하부에 2회의 곡선부를 형성하여 어태치먼트의 보스부 간섭을 피하도록 하면서, 상기 버킷 또는 브레이커등과 같이 어태치먼트의 핀이 장착되는 후크부 내측 주연으로 착설되는 보강 플레이트에 의해 변형 발생을 방지하며, 클램프에 별도의 베이스 플레이트 및 용접부위가 필요없도록 하여, 굴삭기의 아암 선단부와 어태치먼트 사이의 장착 높이를 짧게 형성하면서도 상기 클램프의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이에따라 굴삭기의 운전실 또는 붐 등의 손상을 최소화시키면서, 주강 클램프로 인한 클램프의 내구성을 가일층 향상시킬 수 있는 굴삭기의 어태치먼트 장착용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그 기술적인 구성은, 좌우 양측으로 클램프(100a)(100b)가 분할 구성되어 주강에 의해 일체의 사출물로 형성되며, 상기 클램프(100a)(100b) 사이의 내부 하측으로 지지 플레이트(190)가 결합되어 고정되어, 상기 클램프 본체부(100)의 높이를 짧게 형성하면서, 상기 어태치먼트(150)의 고정핀(160)이 장착되는 고정후크(170)의 내측 주연에는, 변형 방지를 위하여 보강 플레이트(200)가 착설되는 것을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굴삭기의 어태치먼트 장착용 클램프{A Clamp for Coupler in Excavator Attachment}
본 고안은 굴삭기의 붐 선단의 아암(Arm)에 결합되어 작업을 수행하는 버킷 또는 브레이커 등과 같은 각종 어태치먼트(Attachment)를 결합하는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 이는 특히, 좌우 양측으로 분할 구성되어 주강으로 구성되는 클램프 본체부의 상 하부에 2회의 곡선부를 형성하여 어태치먼트의 간섭을 피하도록 하면서, 상기 버킷 또는 브레이커등과 같이 어태치먼트의 핀이 장착되는 후크부 내측 주연으로 착설되는 보강 플레이트에 의해 변형발생을 방지하며, 클램프에 별도의 베이스 플레이트 및 용접부위가 필요없도록 하여, 굴삭기의 아암 선단부와 어태치먼트 사이의 장착 높이를 짧게 형성하면서도 상기 클램프의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이에따라 굴삭기의 운전실 또는 붐 등의 손상을 최소화시키면서, 주강 클램프로 인한 클램프의 내구성을 가일층 향상시키며, 굴삭기와 각종 어태치먼트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탈,부착시킬 수 있도록한 굴삭기의 어태치먼트 장착용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굴삭기의 붐 선단의 아암과 연결되어 각종 토목작업을 수행하는 버킷 또는 브레이커등과 같은 어태치먼트는, 상기 붐 선단의 아암과 어태치먼트의 결합부 사이에 클램프를 개재하여, 상기 어태치먼트를 탈,부착 시킴으로써, 다양한토목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같은 기술과 관련된 종래의 굴삭기 어태치먼트 장착용 클램프에 있어서는, 대한민국 등록 실용신안공보 20-0203266호에 알려져 있다.
즉, 그 구성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같이, 클램프 본체(1)의 베이스 플레이트(2) 상부 양측으로 상부 브라켓트(4)가 용착(W)에 의해 착설되며, 상기 상부 브라켓트(4)에는 보스구멍(5)이 형성되어 클램프 핀(6)으로 굴삭기 아암(7)의 선단부와 고정토록 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의 하부 양측에는 하부 브라켓트(8)가 용착(W)에 의해 착설되고, 상기 하부 브라켓트(8)의 일측에는 고정후크(9)가 고정되고, 이와 대향하는 반대방향에는 유압 실린더(미도시)로서 작동되는 가동후크(10)가 각각 설치되어, 버킷 또는 브레이커등과 같은 어태치먼트(11)의 고정핀(12)을 걸어 고정토록 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종래의 굴삭기 어태치먼트 장착용 클램프는 도 3에 도시한 바와같이, 클램프 본체(1)의 베이스 플레이트(2)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 브라켓트(4)의 보스구멍(5)에 굴삭기 아암(7)의 선단부에 형성되는 핀구멍(미도시)과 일치시킨후, 클램프핀(6)으로 상기 아암의 고정후,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의 하부에 위치되는 하부 브라켓트(8)의 일측 고정후크(9)에 버킷 또는 브레이커등과 같은 어태치먼트(11)의 고정핀(12)을 걸어놓고, 재차 유압 실린더로서 작동되는 가동후크(10)에는 어태치먼트(11)의 타측 고정핀(12)을 걸어 상기 유압실린더를 작동시키는 동작에 의해 가동후크(10)가 상기 어태치먼트(11)의 고정핀(12)고정시키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같은 클램프에 있어서는, 클램프 본체(1)의 베이스 플레이트(2) 상부 및 하부 양측으로 상부 브라켓트(4) 및 하부 브라켓트(8)를 용착(W)에 의해 결합시킴으로써 이의 제작이 어렵게 되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설치로 인한 클램프 본체의 높이(H)가 길어지게 되어, 버킷등과같은 어태치먼트의 조립 및 해체가 어렵게 됨은 물론, 상기 버켓등을 장착후 작업시 운전실과 버킷의 충돌에 따른 손상 및 붐의 충돌에 따른 손상등이 발생하게 되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특히, 아암(7)의 선단부와 클램프 본체(1)를 개재하여 연설되는 어태치먼트(11)는 단순히 고정핀(12)을 통해 클램프 본체(1)와 결합되는 관계로, 상기 어태치먼트를 통한 작업시 가해지는 하중이 고정핀(12)과 연결되는 고정 및 가동후크에 집중되어, 쉽게 마모 및 파손이 발생하게 되며, 상기와같은 클램프 본체(1)는, 폭이 서로 다른 다양한 어태치먼트를 연결시, 이와 폭이 같은 클램프를 각각 제작해야 하는등 많은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좌우 양측으로 분할 구성되어 주강으로 구성되는 클램프 본체부의 상,하부를 2회의 곡선부로 형성하여, 어태치먼트의 보스부 간섭을 피하도록 하면서, 상기 버킷 또는 브레이커등과 같이 어태치먼트의 핀이 장착되는 후크부 내측 주연으로 착설되는 보강 플레이트에 의해 변형 발생을 방지하며, 클램프에 별도의베이스 플레이트 및 용접부위가 필요없도록 하여, 굴삭기의 아암 선단부와 어태치먼트 사이의 장착 높이를 짧게 형성하면서도 상기 클램프의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이에따라 굴삭기의 운전실 또는 붐 등의 손상을 최소화시키면서, 주강 클램프로 인한 클램프의 내구성을 가일층 향상시키고, 특히 다양한 폭을 갖는 어태치먼트에 클램프의 지지 플레이트의 폭을 조정하여 각종 어태치먼트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탈,부착시킬 수 있도록한 굴삭기의 어태치먼트 장착용 클램프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도 1은 종래 굴삭기의 어태치먼트 장착용 클램프의 개략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상태 단면 구조도.
도 3은 종래의 어태치먼트 장착용 클램프의 사용상태 구조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굴삭기의 어태치먼트 장착용 클램프의 개략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인 굴삭기의 어태치먼트 장착용 클램프의 결합상태 단면 구조도.
도 6는 본 고안에 의한 클램프의 내측 구조를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클램프 본체부 100a, 100b...클램프
110...곡선부 120...아암
130...클램프 핀 140...보스구멍
150...어태치먼트 160...고정핀
170...고정후크 180...가동 후크
190...지지 플레이트 200...보강 플레이트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수단으로서 본 고안은, 상하부를 일체형 주강으로 이어주는 곡선부가 형성되고, 상기 상하부의 곡선부는 측면으로 또 다른 곡선을 형성하여 높이를 짧게 형성토록 하며, 상부 양측으로 굴삭기 붐의 아암 선단부와 클램프핀으로 고정되는 보스구멍이 형성되며, 하부 양측에는 어태치먼트의 고정핀과 결합되는 고정 및 가동 후크가 설치되어 좌우 양측으로 분할 구성되는 클램프 본체부;
상기 클램프 본체부의 내측으로 결합되어, 양측으로 분할된 클램프를 지지 고정토록 설치되는 지지 플레이트; 및
어태치먼트의 핀이 장착되는 후크부 내측 주연으로 변형 방지를 위하여 착설되는 보강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의 어태치먼트 장착용 클램프를 마련함에 의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양측으로 분할 구성되는 클램프는, 주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굴삭기의 어태치먼트 장착용 클램프의 개략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인 굴삭기의 어태치먼트 장착용 클램프의 결합상태 단면 구조도로서, 본 고안의 클램프 본체부(100)는 좌우 양측으로 클램프(100a)(100b)가 분할 구성되어 주강에 의해 일체의 사출물로 형성되며, 상기 클램프 본체부(100)는 그 상하부에 2회의 곡선으로 구성된 곡선부(110)가 형성되고, 상기 상하부의 곡선부(110)는 측면으로 또 다른 구형 곡선을 형성하여 높이를 짧게 형성토록 한다.
이때, 상기 양측 클램프(100a)(100b)의 상부 양측에는 굴삭기 붐의 아암(120) 선단부와 클램프 핀(130)으로 고정되는 보스구멍(140)이 형성되며, 하부 양측에는 어태치먼트(150)의 고정핀(160)과 결합되는 고정후크(170)와, 유압 실린더로 가동되는 가동 후크(180)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클램프 본체부(100)의 높이를 짧게 형성하면서, 상기 양측 클램프(100a)(100b)를 지지 고정토록, 상기 클램프(100a)(100b) 사이의 내부 하측으로 지지 플레이트(190)가 결합되어 고정되며, 상기 어태치먼트(150)의 고정핀(160)이 장착되는 고정 및 가동후크(170)(180)의 내측 주연에는, 변형 방지를 위하여 보강플레이트(200)가 착설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와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4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주강에 의해 일체로 구성되는 클램프(100a)(100b)가 좌우 양측으로 분할 구성되어 클램프 본체부(100)를 형성하게 되며, 상기 각각의 클램프(100a)(100b)는 상하부에 2회의 곡선으로 형성되는 곡선부(110)가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클램프(100a)(100b) 상하부의 곡선부(110)는 측면으로 또 다른 구형 곡선을 형성하여, 어태치먼트(150)의 보스부 간섭을 피하도록 하고, 상기 클램프 본체부(100)의 상부 양측에는 굴삭기 붐의 아암(120) 선단부와 클램프 핀(130)으로 고정된다.
또한, 상기 클램프 본체부(100)의 하부 양측에는 어태치먼트(150)의 고정핀(160)과 결합되는 고정후크(170)와, 유압 실린더로 가동되는 가동 후크(180)가 설치토록 됨으로써, 버킷 또는 브레이커등과 같이 어태치먼트(150)가 상기 클램프 본체부(100)에 결합되어 토목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상기 좌우 양측 클램프(100a)(100b)는, 그 사이의 내부 하측으로 지지 플레이트(190)가 결합되어 고정됨으로써, 종래와 같이 클램프에 별도의 베이스 플레이트 및 용접부위가 필요없도록 하여, 굴삭기의 아암(120) 선단부와 어태치먼트(150) 사이의 장착 높이(h)를 짧게 형성하면서도 상기 클램프 본체부(100)의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상기 버켓등을 장착후 작업시 운전실과 버킷의 충돌에 따른 손상 및 붐의 충돌에 따른 손상등이 발생하게 되는것을 미연에 방지시킬 수 있다.
이에 더하여서, 상기 어태치먼트(150)의 고정핀(160)이 장착되는 양측 클램프(100a)(100b)의 고정 및 가동후크(170)(180)는, 그 내측 주연으로 변형 방지를 위한 보강 플레이트(200)가 착설되어, 작업시 하중이 집중적을 가해지는 후크부를 가일층 견고하게 보강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인 굴삭기의 어태치먼트 장착용 클램프에 의하면, 좌우 양측으로 분할 구성되어 주강으로 구성되는 클램프 본체부의 상,하부로 2회의 곡선부를 형성하여 어태치먼트의 보스부 간섭을 피하도록 하면서, 상기 버킷 또는 브레이커등과 같이 어태치먼트의 핀이 장착되는 후크부 내측 주연으로 착설되는 보강 플레이트에 의해 변형발생을 방지하고, 클램프에 별도의 베이스 플레이트 및 용접부위가 필요없도록 하여, 굴삭기의 아암 선단부와 어태치먼트 사이의 장착 높이를 짧게 형성하면서도 상기 클램프의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이에따라 굴삭기의 운전실 또는 붐 등의 손상을 최소화시키면서, 주강 클램프로 인한 클램프의 내구성을 가일층 향상시키며, 특히 다양한 폭을 갖는 어태치먼트에 클램프의 지지 플레이트의 폭을 조정하여 각종 어태치먼트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탈,부착시킬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고안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고안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용이하게 알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Claims (2)

  1. 굴삭기의 어태치먼트 장착용 클램프에 있어서,
    상하부를 일체형 주강으로 이어주는 곡선부(110)가 형성되고, 상기 상하부의 곡선부는 측면으로 또 다른 곡선을 형성하여 높이를 짧게 형성토록 하며, 상부 양측으로 굴삭기 붐의 아암(120) 선단부와 클램프 핀(130)으로 고정되는 보스구멍(140)이 형성되며, 하부 양측에는 어태치먼트(150)의 고정핀(160)과 결합되는 고정 및 가동 후크(170)(180)가 설치되는 클램프(100a)(100b)가 좌우 양측으로 분할 구성되는 클램프 본체부(100);
    상기 클램프 본체부(100)의 양측 클램프(100a)(100b) 내부 하측으로 결합되어, 양측으로 분할된 클램프(100a)(100b)를 지지 고정토록 설치되는 지지 플레이트(190); 및
    어태치먼트(150)의 고정핀(160)이 장착되는 고정 및 가동후크(170)(180) 내측 주연으로 변형 방지를 위하여 착설되는 보강 플레이트(20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의 어태치먼트 장착용 클램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 양측으로 분할 구성되는 클램프(100a)(100b)는, 주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의 어태치먼트 장착용 클램프.
KR20-2003-0000954U 2003-01-13 2003-01-13 굴삭기의 어태치먼트 장착용 클램프 KR20031097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0954U KR200310979Y1 (ko) 2003-01-13 2003-01-13 굴삭기의 어태치먼트 장착용 클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0954U KR200310979Y1 (ko) 2003-01-13 2003-01-13 굴삭기의 어태치먼트 장착용 클램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0979Y1 true KR200310979Y1 (ko) 2003-04-21

Family

ID=494051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0954U KR200310979Y1 (ko) 2003-01-13 2003-01-13 굴삭기의 어태치먼트 장착용 클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097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6912Y1 (ko) * 2007-08-27 2009-12-09 김용귀 굴삭기용 링크
KR102425355B1 (ko) * 2021-12-23 2022-07-27 주식회사 뉴제이케이 퀵커플러용 메인핀 고정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6912Y1 (ko) * 2007-08-27 2009-12-09 김용귀 굴삭기용 링크
KR102425355B1 (ko) * 2021-12-23 2022-07-27 주식회사 뉴제이케이 퀵커플러용 메인핀 고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22786B2 (ja) カウンタウェイトの着脱装置
WO2006098082A1 (ja) フロント作業機の配管構造
US20130093213A1 (en) Upper slewing body and operating machine having the same
KR20060043739A (ko) 건설 기계
KR100483336B1 (ko) 트랙터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백호 유닛
KR200310979Y1 (ko) 굴삭기의 어태치먼트 장착용 클램프
JP5674577B2 (ja) ブーム
KR100819958B1 (ko) 붐 어셈블리
KR101551478B1 (ko) 작업차용 프론트 로더 및 이를 구비하는 농용 작업차
US8387714B2 (en) Rear implement mounting frame construction for tractor
JP2000248583A (ja) 旋回式油圧駆動作業機
JP4365506B2 (ja) アタッチメント連結装置
JP4940189B2 (ja) バックホーのブーム構造
JP3965609B2 (ja) 建設機械等のアウトリガー
JP3697837B2 (ja) フォークリフトの油圧配管装置
CN111691473A (zh) 工程机械的连杆
JP4675925B2 (ja) トラクタの補強枠構造
CN218894126U (zh) 铲斗及作业机械
JP2005163375A (ja) 建設機械のアーム
KR100922771B1 (ko) 작업기의 장척구조부재
KR200187218Y1 (ko) 용접 구조물
JP4446471B2 (ja) 建設機械のブームとアームの連結構造
JPH0748760Y2 (ja) バックホーブームのシリンダー支持構造
JP4592238B2 (ja) 油圧配管の固定装置
JP2802001B2 (ja) フロントローダのフレーム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15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