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5355B1 - 퀵커플러용 메인핀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퀵커플러용 메인핀 고정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25355B1 KR102425355B1 KR1020210186418A KR20210186418A KR102425355B1 KR 102425355 B1 KR102425355 B1 KR 102425355B1 KR 1020210186418 A KR1020210186418 A KR 1020210186418A KR 20210186418 A KR20210186418 A KR 20210186418A KR 102425355 B1 KR102425355 B1 KR 10242535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ain pin
- fixing
- quick coupler
- main body
- piec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3604—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 E02F3/3609—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of the quick acting type, e.g. controlled from the operator seat
- E02F3/3622—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of the quick acting type, e.g. controlled from the operator seat with a hook and a locking element acting on a pin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3604—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 E02F3/3609—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of the quick acting type, e.g. controlled from the operator seat
- E02F3/3618—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of the quick acting type, e.g. controlled from the operator seat with two separating hoo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 Flanged Joints, Insulating Joints, And Other Joints (AREA)
- Gripping On Spind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장비 암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메인핀을 구비하는 본체; 상기 본체에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메인핀의 일부분을 감싸도록 배치되는 고정편; 상기 고정편에 조립되어 상기 메인핀의 나머지 부분을 감싸도록 배치되고, 상기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체결편; 및 상기 체결편을 상기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착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퀵커플러용 메인핀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중장비의 암대에 퀵커플러 또는 어태치먼트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메인핀이 퀵커플러로부터 공회전되는 것을 방지하여 퀵커플러 또는 어태치먼트의 회전 운동에 의해 메인핀이 회전되면서 퀵커플러 또는 어태치먼트가 암대로부터 분리되는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고, 기존의 퀵커플러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어 설치작업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퀵커플러용 메인핀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설현장이나 폐기물 집하장 및 철거현장 등은 작업 대상물의 하중과 부피로 인하여 많은 인력과 노동력이 필요함으로써, 최근에는 인력과 노동력을 줄이고 작업의 효율성을 높이고자 굴삭기를 사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건설현장이나 폐기물 집하장 및 철거현장 등에 적용되는 굴삭기는 버킷(bucket)의 안쪽 부분에 집게발을 장착하여 나무나 돌 및 폐 콘크리트 등을 운반 또는 시공하게 된다.
초기에 등장한 집게발에 관한 기술로 본 출원인의 발명자가 출원하여 등록받은 "굴삭기용 집게발 고정장치"(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51302호, 특허문헌 1)에는 굴삭기의 붐과 링크대에 커플러가 결합되고, 커플러의 하부 핀에 버켓이 장착되고, 상부 장핀은 붐과 연결되는 한편 버켓의 안쪽 방향에서 붐의 하단부에 집게발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붐의 상부에 부착된 브래킷과 집게발 사이에 집게발 회동실린더가 장착된 구성이 공개되어 있다.
이러한 특허문헌 1은 붐의 하부에 집게발 연결을 위한 브래킷을 설치하고, 이 브래킷의 집게가 회동 가능하게 핀을 설치하고, 붐의 내측 상부와 하부에 실린더 및 집게발 설치를 위한 브래킷이 용접 고정되고, 실린더와 집게발의 무게가 붐의 내측 면에 가해지기 때문에 붐의 표면에 막대한 하중이 가해지고, 이로 인해 이미 제조된 굴삭기의 붐에 집게발과 실린더를 장착할 경우 붐대에 크랙이 발생하여 손상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집게발이 붐대 후방으로 돌출되 있기 때문에 집게발이 장착된 상태에서 좁은 공간의 굴착 작업 등을 할 때 집게발이 걸리적거려 작업성이 떨어지는 문제점까지 발생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굴삭기용 집게발"(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69088호, 특허문헌 2)이 개발되었으며, 특허문헌2는, 집게발을 붐 후면부에 연결하는 것이 아니라, 퀵커플러의 상부 장핀에 연결되도록 하여 집게발의 후방 돌출을 최소화하고 붐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었다.
이처럼 퀵커플러의 상부 장핀에 회동 운동하는 집게발을 연결함에 따라 장핀의 회전이 방지되어야 하는데, 특허문헌2에서는 일측이 장핀이 결합되고 타측은 퀵커플러 측벽면에 고정플레이트가 용접되어 고정된다.
이러한 고정플레이트는 집게발의 고정 및 분리를 용이한 반면에, 집게발의 장착이 최초 굴삭기의 제조 과정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소비자가 굴삭기를 구입한 후에 집게를 설치해야 하므로 도색까지 완료된 퀵커플러의 몸체 표면에 고정볼트를 용접 고정하게 된다.
하지만 발전기를 포함한 용접 장비를 현장을 운반하여야 하고, 현장에서 설치 위치를 실측해야 하며, 용접 후에 표면처리를 해야 하고, 다시 도색을 해야 하게 되므로 부대 설치비용 증가가 막대하고, 퀵커플러의 표면이 용접 처리에 따른 열을 받아 손상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퀵커플러용 장핀 고정장치 및 이를 구비한 굴삭기용 집게발이 개발되었으며, 종래의 고정장치는, 집게발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장핀을 퀵커플러에 고정시키는 퀵커플러용 장핀 고정장치에서, 퀵커플러의 측벽면 내측에 접하는 내측벽면부와, 퀵커플러의 측벽면 외측에 접하는 외측벽면부와, 외측벽면부와 내측벽면부 상단을 연결하며 외측벽면부 및 내측벽면부와의 사이로 퀵커플러의 측벽면 상단이 끼워지는 끼움홈을 형성하는 연결부로 구성되고, 외측벽면부의 하부에는 고정볼트가 일체로 외측을 향해 돌출되게 연결되어 있으며, 외측벽면부의 상부에는 내측벽면부와 마주하는 부분에 복수 개의 나사공이 형성되어 있는 커플러끼움부재와, 몸체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어 나사공에 볼트결합되며, 나사 결합에 따라 단부가 나사공을 관통하여 퀵커플러의 측벽면 외측에 밀착되는 가압볼트와, 일측에는 고정볼트가 관통하는 고정볼트관통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타측에는 장핀이 끼움 결합되는 장핀체결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장핀체결공과 고정볼트관통공 사이의 벽면 중간에는 커플러끼움부재를 향해 밴딩된 밴딩부가 형성되어 있는 연결플레이트와, 고정볼트관통공을 통해 돌출된 고정볼트와 나사결합되는 너트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62323호(2019년 07월 18일 공고, 발명의 명칭 : 퀵커플러용 장핀 고정장치 및 이를 구비한 굴삭기용 집게발)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고정장치는, 장핀의 일단에 연결플레이트가 연결되고, 연결플레이트의 타단이 퀵커플러에 고정되기 때문에 연결플레이트의 일단과 타단이 고정되는 위치가 서로 다른 높이로 이루어지는 경우에 연결플레이트의 일단과 타단이 서로 다른 높이로 배치되어야 하므로 연결플레이트의 양단부를 이격시키는 굴곡부가 요구되므로 고정장치의 제작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하기 어렵고, 기존의 퀵커플러에 고정장치의 설치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중장비의 암대에 퀵커플러 또는 어태치먼트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메인핀이 퀵커플러로부터 공회전되는 것을 방지하여 퀵커플러 또는 어태치먼트의 회전 운동에 의해 메인핀이 회전되면서 퀵커플러 또는 어태치먼트가 암대로부터 분리되는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고, 기존의 퀵커플러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어 설치작업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퀵커플러용 메인핀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중장비 암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메인핀을 구비하는 본체; 상기 본체에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메인핀의 일부분을 감싸도록 배치되는 고정편; 상기 고정편에 조립되어 상기 메인핀의 나머지 부분을 감싸도록 배치되고, 상기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체결편; 및 상기 체결편을 상기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착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고정편은, 상기 메인핀의 일부분이 삽입되는 제1안착홈부; 상기 제1안착홈부로부터 간격을 유지하며 배치되고, 상기 체결편에 삽입되는 제1조립돌기; 및 상기 제1조립돌기와 상기 제1안착홈부 사이에 구비되는 제1결합단차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체결편은, 상기 메인핀의 나머지 부분이 삽입되는 제2안착홈부; 상기 제2안착홈부 양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결합단차에 안착되는 제2조립돌기; 및 상기 제2조립돌기의 외측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1조립돌기가 안착되는 제2결합단차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착탈부는, 상기 체결편 일측부에 구비되고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체결부재가 관통되는 체결홀부; 및 상기 체결홀부를 관통하여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퀵커플러용 메인핀 고정장치는, 퀵커플러에 일체로 고정되고 메일핀의 일부분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고정편과, 메인핀의 나머지 부분을 감싸도록 퀵커플러에 결합되어 고정편과 조립되는 체결편이 구비되므로 퀵커플러의 외벽에 밀착되게 위치하는 고정편과 체결편을 조립하여 메인핀의 회전운동을 구속할 수 있어 고정장치의 구조가 간단해 지고, 고정장치 제작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퀵커플러용 메인핀 고정장치는, 고정편과 체결편을 손쉽게 조립할 수 있고, 조립된 고정편과 체결편이 용이하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조립돌기 및 결합단차가 구비되므로 별도의 체결부재 없이 고정편과 체결편을 연결할 수 있어 고정장치 설치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보다 더 효과적으로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퀵커플러용 메인핀 고정장치는, 메인핀에 설치되는 스마트집게와 퀵커플러 외벽 사이의 간격에 고정편 및 체결편이 개재되어 메인핀을 구속하게 되므로 고정편과 체결편이 동일 평면상에 배치될 수 있어 고정편 및 체결편의 구조가 간단해지고, 고정편과 체결편을 보다 더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퀵커플러용 메인핀 고정장치는, 체결핀의 길이를 다양하게 제작하여 하나의 고정핀에 다양한 길이의 체결편을 선택하여 조립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크기의 퀵커플러에 설치 가능하도록 고정장치를 제작할 수 있고, 퀵커플러에 호환되는 크기의 고정장치를 선택하여 설치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크기의 퀵커플러에 손쉽게 고정장치를 설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핀 고정장치가 설치되는 퀵커플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퀵커플러용 메인핀 고정장치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퀵커플러용 메인핀 고정장치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퀵커플러의 간극조절부, 메인핀 고정부 및 구동부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퀵커플러의 고정블록 회전방지부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퀵커플러의 고정블록 회전방지부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퀵커플러의 유압공급부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퀵커플러의 유압공급부가 도시된 확대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퀵커플러의 유압공급부가 도시된 분해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퀵커플러용 메인핀 고정장치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퀵커플러용 메인핀 고정장치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퀵커플러의 간극조절부, 메인핀 고정부 및 구동부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퀵커플러의 고정블록 회전방지부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퀵커플러의 고정블록 회전방지부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퀵커플러의 유압공급부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퀵커플러의 유압공급부가 도시된 확대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퀵커플러의 유압공급부가 도시된 분해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퀵커플러용 메인핀 고정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핀 고정장치가 설치되는 퀵커플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퀵커플러용 메인핀 고정장치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퀵커플러용 메인핀 고정장치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퀵커플러의 간극조절부, 메인핀 고정부 및 구동부가 도시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퀵커플러의 고정블록 회전방지부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퀵커플러의 고정블록 회전방지부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퀵커플러의 유압공급부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퀵커플러의 유압공급부가 도시된 확대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퀵커플러의 유압공급부가 도시된 분해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퀵커플러는, 중장비 암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연결플레이트(12)를 구비하는 본체(10)와, 본체(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다양한 어태치먼트가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며, 회전플레이트(32)를 구비하는 회전블록(30)과, 회전블록(30)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되는 동력을 제공하도록 연결플레이트(12)와 회전플레이트(32) 사이에 구비되는 구동부(34)와, 암대를 따라 본체(10)에 공급되는 유압을 회전블록(30) 또는 어태치먼트에 공급하는 유압공급부(90)와, 본체(10)에 암대 또는 스마트집게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설치되는 메인핀(14)과, 메인핀(14)이 본체(10)로부터 공회전되는 것을 방지하여 본체(10) 또는 스마트집게가 암대로부터 오작동되어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메인핀(14) 고정부(70)와, 유압공급부(90)의 고정블록(52)이 본체(10)로부터 공회전되어 오작동 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고정블록(52)을 구속하는 고정블록(52) 회전방지부(80)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유압공급부(90)를 통해 본체(10)를 지나 회전블록(30)에 공급되는 유압에 의해 가동후크가 구동되면서 회전블록(30)에 어태치먼트를 연결할 수 있게 되고, 구동부(34)의 작동에 의해 회전블록(30)이 회전되면서 어태치먼트가 구동되어 다양한 작업을 진행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유압연결부(50)를 통해 어태치먼트에 전달되는 유압에 의해 어태치먼트가 구동되어 땅을 파거나 흙, 자갈, 모레 등의 이송대상물을 나르는 등의 다양한 작업을 진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체(10)의 메인핀(14)에 연결되는 스마트집게를 구동시켜 다양한 크기의 작업대상물을 거치하거나 분쇄할 수 있는데, 이때, 메인핀(14)에 연결되는 스마트집게 또는 암대의 회전운동에 의해 메인핀(14)이 본체(10)로부터 회전되는 것을 메인핀(14) 고정부(70)에 의해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메인핀(14) 고정부(70)는, 본체(10)에 일체로 결합되고, 메인핀(14)의 일부분을 감싸도록 배치되는 고정편(72)과, 고정편(72)에 조립되어 상기 메인핀(14)의 나머지 부분을 감싸도록 배치되고, 본체(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체결편(74)과, 체결편(74)을 본체(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착탈부(76)를 포함한다.
따라서 메인핀(14)을 고정시킬 때에는 고정편(72)을 본체(10)의 외벽과 메인핀(14)의 스토퍼(14b) 사이의 간격으로 삽입하여 메인핀(14)의 둘레면 일부분을 감싸도록 고정시키고, 메인핀(14)의 나머지 부분을 감싸도록 체결편(74)을 본체(10)의 외벽과 메인핀(14)의 스토퍼(14b) 사이의 간격에 삽입하여 고정편(72)과 체결편(74)을 조립하고, 체결편(74)에 착탈부(76)를 결합시켜 체결편(74)을 본체(10)에 고정함과 동시에 체결편(74)이 고정편(72)에 조립된 상태를 유지시키면서 메인핀(14)의 회전운동을 구속하게 된다.
본 실시예의 고정편(72)은, 메인핀(14)의 일부분이 삽입되는 제1안착홈부(72a)와, 제1안착홈부(72a)로부터 간격을 유지하며 배치되고, 체결편(74)에 삽입되는 제1조립돌기(72b)와, 제1조립돌기(72b)와 제1안착홈부(72a) 사이에 구비되는 제1결합단차(72c)를 포함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체결편(74)은, 메인핀(14)의 나머지 부분이 삽입되는 제2안착홈부(74a)와, 제2안착홈부(74a) 양단부에 배치되고, 제1결합단차(72c)에 안착되는 제2조립돌기(74b)와, 제2조립돌기(74b)의 외측부에 구비되고, 제1조립돌기(72b)가 안착되는 제2결합단차(74c)를 포함한다.
따라서 고정편(72)을 메인핀(14)의 둘레면 일부분에 밀착되도록 본체(10) 외벽과 메인핀(14)의 스토퍼(14b) 사이의 간격에 고정편(72)을 삽입하면 메인핀(14)의 둘레면 일부분이 제1안착홈부(72a)에 삽입되어 밀착되고, 메인핀(14)의 둘레면 나머지 부분을 감싸도록 체결편(74)을 본체(10) 외벽과 메인핀(14) 스토퍼(14b) 사이의 간격에 삽입하면 제1조립돌기(72b)가 제2결합단차(74c)에 안착되고, 제2조립돌기(74b)가 제1결합단차(72c)에 안착되면서 고정편(72)과 체결편(74)이 서로 연결되도록 조립된다.
여기서, 메인핀(14)의 둘레면에는 수평방향으로 고정홈부(14a)가 형성되고, 고정홈부(14a)는 메인핀(14)의 연장방향과 직교되거나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제2조립돌기(74b)는 제2안착홈부(74a) 양단부로부터 직선패널 모양으로 돌출되어 고정홈부(14a)에 삽입된다.
따라서 체결편(74)으로부터 직선패널 모양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제2조립돌기(74b)가 메인핀(14)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는 고정홈부(14a)에 삽입되고, 체결편(74)이 본체(10)에 일체로 결합되면 메인핀(14)이 본체(10)로부터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메인핀(14)의 둘레면에는 수평방향으로 고정홈부(14a)가 형성되고, 고정홈부(14a)는 메인핀(14)의 연장방향과 직교되거나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제2조립돌기(74b)는 제2안착홈부(74a) 양단부로부터 직선패널 모양으로 돌출되어 고정홈부(14a)에 삽입된다.
따라서 체결편(74)으로부터 직선패널 모양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제2조립돌기(74b)가 메인핀(14)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는 고정홈부(14a)에 삽입되고, 체결편(74)이 본체(10)에 일체로 결합되면 메인핀(14)이 본체(10)로부터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후에, 체결편(74)의 타측 단부를 착탈부(76)에 의해 본체(10)에 결합시키면 고정편(72) 및 체결편(74)에 의해 메인핀(14)의 둘레면이 모두 구속되므로 메인핀(14)이 본체(10)로부터 공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메인핀(14)의 양단부에는 메인핀(14)의 단면적과 비교하여 넓은 스토퍼(14b)가 형성되므로 스마트집게의 단부가 본체(10) 외벽과 스토퍼(14b) 사이의 간격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스마트집게와 본체(10) 사이의 간격에 고정편(72) 및 체결편(74)이 개재되어 고정편(72)과 체결편(74)이 조립된다.
본 실시예의 고정편(72)은, 메인핀(14) 둘레면 일부분을 감싸도록 본체(10) 외벽과 스토퍼(14b) 사이의 간격에 삽입된 후에 용접작업에 의해 본체(10) 외벽에 일체로 고정되고, 체결편(74)은 고정편(72)과 조립되도록 본체(10) 외벽과 스토퍼(14b) 사이에 삽입된 후에 착탈부(76)를 체결편(74) 및 본체(10)에 체결하여 체결편(74)을 본체(10)에 일체로 결합시키게 된다.
본 실시예의 착탈부(76)는, 체결편(74) 일측부에 구비되고 본체(10)에 결합되는 체결부재(76b)가 관통되는 체결홀부(76a)와, 체결홀부(76a)를 관통하여 본체(10)에 결합되는 체결부재(76b)를 포함한다.
체결편(74)의 일단에는 제2안착홈부(74a), 제2조립돌기(74b) 및 제2결합단차(74c)가 형성되고, 체결편(74)의 타단에는 체결홀부(76a)가 형성되므로 체결부재(76b)를 체결홀부(76a)에 삽입하여 본체(10)에 체결하면 체결편(74)이 본체(10)에 결합되어 고정편(72)과 체결편(74)의 조립상태를 유지시키게 된다.
본 실시예의 고정편(72)과 체결편(74)은, 제1조립돌기(72b) 및 제2조립돌기(74b)가 제1결합단차(72c) 및 제2결합단차(74c)에 의해 구속되도록 조립되므로 별도의 연결부재 없이 고정편(72)과 체결편(74)이 연결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고정편(72)과 체결편(74)의 조립을 손쉽게 이룰 수 있고, 고정편(72)과 체결편(74) 조립에 요구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고정편(72) 및 체결편(74)의 간단한 조립에 의해 메인핀(14)의 공회전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암대로부터 본체(10)가 회전되거나 스마트집게가 회전될 때에 메인핀(14)이 본체(10)로부터 공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메인핀(14) 공회전에 의한 오작동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는, 본체(10)에 연결되는 회전블록(30)이 구동부(34)의 작동에 의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되면서 다양한 작동을 구현하게 되는데, 이때, 본체(10)에 고정되고, 회전블록(30)의 회전축 역할을 하는 고정블록(52)이 본체(10)로부터 공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블록(52) 회전방지부(80)가 구비므로 회전블록(30)의 회전운동에 의해 고정블록(52)이 공회전되면서 발생되는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고정블록(52) 회전방지부(80)는, 본체(10)에 공급되는 유압이 연결되도록 유압라인을 구비하고, 본체(10)에 설치되는 고정블록(52)과, 고정블록(52)에 인접하게 배치되도록 본체(10)에 결합되는 구속부재(82)와, 구속부재(82)와 고정블록(52)을 연결하여 고정블록(52)이 본체(10)로부터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속고정부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고정블록(52)은 수직방향으로 긴 원기둥 모양으로 형성되고, 상부의 단면적이 보다 넓게 형성되어 볼트 모양과 유사한 모양으로 형성되고, 고정블록(52)의 상부에는 다수 개의 유압홀부(92a)가 형성되고, 각각의 유압홀부(92a)에 연결부재가 설치되어 다수 개의 유압튜브가 연결되고, 유압튜브 및 연결부재를 통해 공급되는 유압은 고정블록(52)의 내부에 형성되는 제1유압라인(92)을 따라 고정블록(52)의 하측으로 공급되고, 고정블록(52)의 하부에 연결되는 구동블록(54)에 유압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형성되는 고정블록(52)은 연결플레이트(12)를 관통하여 하측으로 연장되고, 고정블록(52)의 상부는 구속부재(82) 및 구속고정부에 의해 연결플레이트(12)에 고정되고, 고정블록(52)의 하부에는 구동블록(54)이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며, 구동블록(54)은 회전플레이트(32)에 결합되어 회전블록(30)에 일체로 연결된다.
따라서 고정블록(52)에 공급되는 유압은 유압공급부(90)에 의해 구동블록(54)을 지나 회전플레이트(32)에 공급되고, 회전플레이트(32)에 연결되는 공급관(99)을 따라 회전블록(30)에 구비되는 실린더 또는 회전블록(30)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어태치먼트에 유압을 공급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유압공급부(90)의 작동에 의해 본체(10)에 고정된 고정블록(52)과, 회전블록(30)에 설치되는 구동블록(54)을 따라 유입이 공급되고, 구동부(34)의 작동에 의해 회전블록(30) 및 구동블록(54)이 고정블록(52)을 중심으로 회전되어도 고정블록(52)으로부터 구동블록(54), 회전플레이트(32)를 통해 유압이 공급되므로 회전블록(30)에 설치되는 실린더의 구동 및 어태치먼트의 구동을 진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회전블록(30)이 고정블록(52)을 중심으로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되는 동안 고정블록(52)이 본체(10)로부터 공회전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는, 고정블록(52) 회전방지부(80)의 작용에 의해 고정블록(52)이 본체(10)로부터 공회전 되는 것을 방지하여 고정블록(52) 공회전에 의한 유압의 유실과, 고정블록(52), 연결플레이트(12) 또는 회전블록(30)의 변형 또는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구속고정부는, 고정블록(52)에 형성되는 구속홈부(84)와, 구속홈부(84)에 삽입되어 걸림결합되도록 구속부재(82)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는 구속돌기(86)와, 구속부재(82)를 관통하여 본체(10)에 결합되어 본체(10)와 구속부재(82)를 일체로 결합시키는 구속볼트(88)를 포함한다.
따라서 구속돌기(86)가 구속홈부(84)에 삽입되도록 구속부재(82)를 고정블록(52) 주변에 안착시킨 후에 구속볼트(88)로 구속부재(82)를 연결플레이트(12)에 고정시키면 구속부재(82)가 연결플레이트(12)에 일체로 고정된 상태에서 고정블록(52)의 회전운동을 구속하게 되므로 고정블록(52)이 본체(10)로부터 공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구속돌기(86)는, 구속부재(82)의 일단으로부터 고정블록(52)의 중심 측으로 돌출되는 제1돌기(86a)와, 구속부재(82)의 타단으로부터 고정블록(52)의 중심 측으로 돌출되는 제2돌기(86b)와, 구속부재(82)의 중앙부로부터 고정블록(52)의 중심 측으로 돌출되는 제3돌기(86c)를 포함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구속홈부(84)는, 제1돌기(86a)가 삽입되도록 고정블록(52)에 형성되는 제1홈부(84a)와, 제2돌기(86b)가 삽입되도록 고정블록(52)에 형성되는 제2홈부(84b)와, 제3돌기(86c)가 삽입되도록 고정블록(52)에 형성되는 제3홈부(84c)를 포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고정블록(52)의 둘레면에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제1홈부(84a), 제2홈부(84b) 및 제3홈부(84c)가 형성되고, 제1홈부(84a), 제2홈부(84b) 및 제3홈부(84c)에 삽입되는 제1돌기(86a), 제2돌기(86b) 및 제3돌기(86c)가 형성되는 구속부재(82)가 구속볼트(88)에 의해 연결플레이트(12)에 일체로 결합되므로 고정블록(52)은 구속부재(82)에 의해 회전운동이 구속된 상태로 연결플레이트(12)에 결합되어 본체(10)로부터 고정블록(52)이 공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는, 제1돌기(86a) 내지 제3돌기(86c)로 이루어지는 다수 개의 구속돌기(86)가 각각 제1홈부(84a) 내지 제3홈부(84c)로 이루어지는 구속홈부(84)에 삽입되므로 구속부재(82)로부터 고정블록(52)이 공회전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어 고정블록(52)이 본체(10)로부터 공회전되는 것을 보다 더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구속부재(82)는, 고정블록(52)의 둘레면을 감싸며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도록 곡선 모양으로 형성되므로 곡선모양으로 형성되는 구속부재(82)의 양단부 및 중앙부에 형성되는 제1돌기(86a), 제2돌기(86b) 및 제3돌기(86c)는 고정블록(52)의 중심 측으로 연장되고, 고정블록(52)에 형성되는 제1홈부(84a), 제2홈부(84b) 및 제3홈부(84c)에 제1돌기(86a), 제2돌기(86b) 및 제3돌기(86c)가 삽입되면 제1돌기(86a), 제2돌기(86b) 및 제3돌기(86c)가 고정블록(52)의 중심 측으로 연장되게 삽입되므로 고정블록(52)의 회전운동을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는 연결플레이트(12)와 구동부(34) 사이의 간격을 상쇄시켜 본체(10)와 구동부(34) 사이에 형성되는 간격에 의해 본체(10)로부터 구동부(34)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간극조절부(12a)가 구비되므로 회전형 퀵커플러를 장기간 구동시켜 본체(10)와 구동부(34) 사이에 간격이 형성되면 작업자는 간극조절부(12a)를 조작하여 본체(10)와 구동부(34) 사이의 간격을 상쇄시키면서 구동부(34)가 본체(10)로부터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간극조절부(12a)는, 연결플레이트(12)에 체결되는 조절볼트(12b)와, 조절볼트(12b)와 체결되고 연결플레이트(12)에 밀착되어 구동부(34)의 작동에 의해 전달되는 진동에 의해 조절볼트(12b)가 연결플레이트(12)로부터 회전되면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너트부재(12c)를 포함한다.
따라서 회전형 퀵커플러가 장기간 구동되어 본체(10)와 구동부(34) 사이에 간격이 형성되면 작업자는 공구를 사용하여 조절볼트(12b)를 회전시키면서 조절볼트(12b)의 단부를 구동부(34) 측으로 돌출시키므로 연결플레이트(12)와 구동부(34) 사이의 간격에 조절볼트(12b)가 위치되면서 구동부(34)의 링플레이트(39)를 가압하게 되므로 구동부(34)가 본체(10) 측으로 전진 또는 후진되는 유동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구속부재(82)에 의해 고정블록(52)의 공회전이 방지되고, 조절볼트(12b)에 의해 구동부(34)가 연결플레이트(12) 측으로 유동되는 것이 방지되므로 퀵커플러가 장기간 구동되면서 고정블록(52) 또는 구동부(34)가 유동되면서 발생되는 퀵커플러의 변형 또는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퀵커플러의 수명이 연장되고, 퀵커플러의 유지 보수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유압공급부(90)는, 중장비의 암대에 설치되는 본체(10)의 고정블록(52)에 구비되고, 유압이 통과되는 제1유압라인(92)과, 고정블록(5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구동블록(54)에 구비되고, 제1유압라인(92)을 통해 공급되는 유압이 통과되는 제2유압라인(94)과, 구동블록(54)과 결합되고, 본체(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블록(30)에 설치되는 회전플레이트(32)에 구비되고, 제2유압라인(94)을 통해 공급되는 유압이 통과되는 제3유압라인(96)을 포함한다.
따라서 고정블록(52)에 공급되는 유압이 제1유압라인(92), 제2유압라인(94) 및 제3유압라인(96)을 따라 회전플레이트(32)에 구비되는 장착돌기(97)의 장착홀부(98)까지 공급되므로 장착홀부(98)에 설치되는 커넥터(99a)를 통해 어태치컨트에 연결되는 공급관(99)에 유압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제2유압라인(94)을 따라 회전블록(30)의 실린더로 유압을 공급하는 유로로부터 별도의 유압튜브를 분기하여 설치하는 작업을 생략하고, 구동블록(54)을 회전플레이트(32)에 설치하는 작업만으로 고정블록(52)에 공급되는 유압을 어태치먼트에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제3유압라인(96)은, 구동블록(54)이 삽입되는 회전플레이트(32)의 창착홈부에 형성되는 연결홀부(96a)와, 연결홀부(96a)로부터 회전플레이트(32)를 따라 측 방향으로 분기되는 수평라인(96b)과, 수평라인(96b)으로부터 굴곡되어 회전플레이트(32)의 장착돌기(97)까지 연장되는 수직라인(96c)을 포함한다.
따라서 구동블록(54)을 회전플레이트(32)에 설치할 때에 회전플레이트(32)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단차홈부(32a)에 구동블록(54)의 하단을 삽입하고, 구동블록(54)의 저면에 형성되는 제2유압라인(94)의 연결라인(94b)이 연결되어 통하도록 배치시키면 제1유압라인(92)과 제3유압라인(96)이 통하도록 연결된다.
본 실시예의 제1유압라인(92)은, 고정블록(52)의 상부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유압홀부(92a)와, 유압홀부(92a)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유압라인과 통하도록 연결되고, 고정블록(52)의 둘레면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1유압홈부(92b)를 포함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제2유압라인(94)은, 제1유압홈부(92b)와 대향되도록 구동블록(54)의 내벽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2유압홈부(94a)와, 제2유압홈부(94a)로부터 연장되고 하측 방향으로 굴곡되어 회전플레이트(32) 측으로 연장되는 연결라인(94b)을 포함한다.
구동블록(54)은 고정블록(52)의 하부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원통 모양으로 형성되고, 내벽에 복수 개의 제2유압홈부(94a)가 형성되므로 구동블록(54)에 고정블록(52)이 삽입된 상태에서 구동블록(54) 및 회전블록(30)이 회전되어도 링 모양으로 형성되는 제1유압홈부(92b) 및 제2유압홈부(94a)에 의해 제1유압라인(92)과 제2유압라인(94)이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고정블록(52)에 형성되는 다수 개의 유압홀부(92a)를 통해 유압이 공급되면 제1유압홈부(92b)에 충전되고, 제1유압홈부(92b)에 대향되게 배치되는 제2유압홈부(94a)를 따라 유압이 전달되어 연결라인(94b)을 따라 하측으로 공급되어 회전블록(30) 내부에 설치되는 실린더 또는 회전블록(30) 하단에 연결되는 어태치먼트에 유압이 전달되면서 어태치먼트와 퀵커플러의 착탈작동 및 어태치먼트의 구동을 진행할 수 있게 된다.
구동블록(54)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연결라인(94b) 중 한 쌍의 연결라인(94b)은, 구동블록(54)의 하단에 구비되는 유압튜브와 연결되어 회전블록(30) 내부에 설치되는 실린더에 유압을 제공하게 되고, 연결라인(94b) 중 나머지 한 쌍의 연결라인(94b)은, 회전플레이트(32)의 단차홈부(32a) 상면으로 노출되는 연결홀부(96a)와 통하도록 연결되어 수평라인(96b) 및 수직라인(96c)을 따라 어태치먼트에 유압을 공급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장착돌기(97)에는 수직라인(96c)과 공급관(99)을 연결하는 커넥터(99a)가 설치되도록 장착홀부(98)가 형성되고, 수직라인(96c)은 장착홀부(98)와 통하도록 연결되므로 회전플레이트(32) 저면 양측 단부에 구비되는 한 쌍의 장착홀부(98)에 커넥터(99a)가 설치되어 어태치먼트의 구동을 진행하는 유압의 공급라인 및 회수라인을 이루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연결홀부(96a), 수평라인(96b) 및 수직라인(96c)은, 각각 한 쌍씩 구비되고, 회전플레이트(32)의 일측 및 타측에 연결홀부(96a), 수평라인(96b) 및 수직라인(96c)이 구비되어 유압 공급라인과 회수라인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어태치먼트에 공급되는 유압을 공급 또는 회수하기 위해 실린더로 공급되는 유압라인으로부터 분기되는 별도의 유압튜브를 설치하지 않고, 구동블록(54)을 회전플레이트(32)에 결합시키는 작업만으로 어태치먼트에 공급되는 유압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중장비의 암대에 퀵커플러 또는 어태치먼트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메인핀이 퀵커플러로부터 공회전되는 것을 방지하여 퀵커플러 또는 어태치먼트의 회전 운동에 의해 메인핀이 회전되면서 퀵커플러 또는 어태치먼트가 암대로부터 분리되는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고, 기존의 퀵커플러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어 설치작업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퀵커플러용 메인핀 고정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는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퀵커플러용 메인핀 고정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퀵커플러용 메인핀 고정장치가 아닌 다른 제품에도 본 발명의 고정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본체 12 : 연결플레이트
12a : 간극조절부 12b : 조절볼트
12c : 너트부재 14 : 메인핀
14a : 고정홈부 14b : 스토퍼
30 : 회전블록 32 : 연결플레이트
34 : 구동부 36 : 모터
37 : 기어샤프트 38 : 전달기어
39 : 링플레이트 50 : 유압연결부
52 : 고정블록 54 : 구동블록
57 : 체결볼트 70 : 고정부
72 : 고정편 72a : 제2안착홈부
72b : 제1조립돌기 72c : 제1결합단차
74 : 체결편 74a : 제2안착홈부
74b : 제2조립돌기 74c : 제2결합단차
76 : 착탈부 76a : 체결홀부
76b : 체결부재 80 : 회전방지부
82 : 구속부재 84 : 구속홈부
84a : 제1홈부 84b : 제2홈부
84c : 제3홈부 86 : 구속돌기
86a : 제1돌기 86b : 제2돌기
86c : 제3돌기 88 : 구속볼트
90 : 유압공급부 92 : 제1유압라인
92a : 유압홀부 92b : 제1유압홈부
94 : 제2유압라인 94a : 제2유압홈부
94b : 연결라인 96 : 제3유압라인
96a : 연결홀부 96b : 수평라인
96c : 수직라인 97 : 장착돌기
98 : 장착홀부 99 : 공급관
99a : 커넥터
12a : 간극조절부 12b : 조절볼트
12c : 너트부재 14 : 메인핀
14a : 고정홈부 14b : 스토퍼
30 : 회전블록 32 : 연결플레이트
34 : 구동부 36 : 모터
37 : 기어샤프트 38 : 전달기어
39 : 링플레이트 50 : 유압연결부
52 : 고정블록 54 : 구동블록
57 : 체결볼트 70 : 고정부
72 : 고정편 72a : 제2안착홈부
72b : 제1조립돌기 72c : 제1결합단차
74 : 체결편 74a : 제2안착홈부
74b : 제2조립돌기 74c : 제2결합단차
76 : 착탈부 76a : 체결홀부
76b : 체결부재 80 : 회전방지부
82 : 구속부재 84 : 구속홈부
84a : 제1홈부 84b : 제2홈부
84c : 제3홈부 86 : 구속돌기
86a : 제1돌기 86b : 제2돌기
86c : 제3돌기 88 : 구속볼트
90 : 유압공급부 92 : 제1유압라인
92a : 유압홀부 92b : 제1유압홈부
94 : 제2유압라인 94a : 제2유압홈부
94b : 연결라인 96 : 제3유압라인
96a : 연결홀부 96b : 수평라인
96c : 수직라인 97 : 장착돌기
98 : 장착홀부 99 : 공급관
99a : 커넥터
Claims (4)
- 중장비 암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메인핀을 구비하는 본체;
상기 본체에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메인핀의 일부분을 감싸도록 배치되는 고정편;
상기 고정편에 조립되어 상기 메인핀의 나머지 부분을 감싸도록 배치되고, 상기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체결편; 및
상기 체결편을 상기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착탈부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편은,
상기 메인핀의 나머지 부분이 삽입되는 제2안착홈부;
상기 제2안착홈부 양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고정편을 이루는 제1결합단차에 안착되는 제2조립돌기; 및
상기 제2조립돌기의 외측부에 구비되고, 상기 고정편을 이루는 제1조립돌기가 안착되는 제2결합단차를 포함하고,
상기 제2조립돌기는 상기 제2안착홈부 양단부로부터 직선패널 모양으로 돌출되고, 상기 메인핀의 둘레면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는 고정홈부에 상기 제2조립돌기가 삽입되어 상기 메인핀의 회전운동을 구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퀵커플러용 메인핀 고정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편은,
상기 메인핀의 일부분이 삽입되는 제1안착홈부;
상기 제1안착홈부로부터 간격을 유지하며 배치되고, 상기 체결편에 삽입되는 상기 제1조립돌기; 및
상기 제1조립돌기와 상기 제1안착홈부 사이에 구비되는 상기 제1결합단차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퀵커플러용 메인핀 고정장치.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부는,
상기 체결편 일측부에 구비되고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체결부재가 관통되는 체결홀부; 및
상기 체결홀부를 관통하여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상기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퀵커플러용 메인핀 고정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86418A KR102425355B1 (ko) | 2021-12-23 | 2021-12-23 | 퀵커플러용 메인핀 고정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86418A KR102425355B1 (ko) | 2021-12-23 | 2021-12-23 | 퀵커플러용 메인핀 고정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425355B1 true KR102425355B1 (ko) | 2022-07-27 |
Family
ID=827015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86418A KR102425355B1 (ko) | 2021-12-23 | 2021-12-23 | 퀵커플러용 메인핀 고정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25355B1 (ko)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20192064A1 (en) * | 2001-06-13 | 2002-12-19 | Ashley Heiple | Implement coupling assembly |
KR200310979Y1 (ko) * | 2003-01-13 | 2003-04-21 | 주식회사수산중공업 | 굴삭기의 어태치먼트 장착용 클램프 |
KR200369145Y1 (ko) * | 2004-09-20 | 2004-12-03 | 주식회사 케이 이 에이 아이 | 중장비용 작업장치의 어탯치먼트 |
US20170121928A1 (en) * | 2015-10-29 | 2017-05-04 | Caterpillar Inc. | Stick and coupler assembly |
KR101962323B1 (ko) * | 2019-02-08 | 2019-07-18 | 유한회사 대한중공업 | 퀵커플러용 장핀 고정장치 및 이를 구비한 굴삭기용 집게발 |
US10829905B1 (en) * | 2020-08-21 | 2020-11-10 | Michael A. Goodhind | Heavy duty equipment shim |
-
2021
- 2021-12-23 KR KR1020210186418A patent/KR102425355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20192064A1 (en) * | 2001-06-13 | 2002-12-19 | Ashley Heiple | Implement coupling assembly |
KR200310979Y1 (ko) * | 2003-01-13 | 2003-04-21 | 주식회사수산중공업 | 굴삭기의 어태치먼트 장착용 클램프 |
KR200369145Y1 (ko) * | 2004-09-20 | 2004-12-03 | 주식회사 케이 이 에이 아이 | 중장비용 작업장치의 어탯치먼트 |
US20170121928A1 (en) * | 2015-10-29 | 2017-05-04 | Caterpillar Inc. | Stick and coupler assembly |
KR101962323B1 (ko) * | 2019-02-08 | 2019-07-18 | 유한회사 대한중공업 | 퀵커플러용 장핀 고정장치 및 이를 구비한 굴삭기용 집게발 |
US10829905B1 (en) * | 2020-08-21 | 2020-11-10 | Michael A. Goodhind | Heavy duty equipment shim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271162Y1 (ko) | 굴삭기의 굴착장비 착탈용 커플러 | |
US5465513A (en) | Device for quick connection of hydraulic tubings | |
CN110453742B (zh) | 一种液压挖掘机全自动快换装置 | |
CN101449006A (zh) | 快速联接器 | |
JP2013204365A (ja) | 作業機械 | |
KR102425355B1 (ko) | 퀵커플러용 메인핀 고정장치 | |
WO2012067014A1 (ja) | 建設機械の旋回フレーム | |
KR101859269B1 (ko) | 굴삭기용 유압호스 자동 연결장치 | |
KR102187972B1 (ko) | 굴삭기의 유압호스 자동 연결장치 | |
EP1124017B1 (en) | Hydraulically driven working machine | |
KR100974277B1 (ko) | 건설기계의 유압배관 고정장치 | |
CN210946949U (zh) | 一种液压挖掘机全自动快换装置 | |
CN112178325B (zh) | 用于液压软管联接件的配件固定装置、工程机械以及方法 | |
US20090084454A1 (en) | Apparatus for fixing hydraulic pipes for zero tail swing excavator | |
KR102425356B1 (ko) | 퀵커플러용 고정블록 회전방지장치 | |
US8857549B2 (en) | Control valve attachment structure for construction machine | |
KR102467902B1 (ko) | 회전형 퀵커플러용 유압공급장치 | |
JP3030396B2 (ja) | 掘削機におけるバケット等の作業具の作動装置 | |
JP2004108055A (ja) | 建設機械の作業装置 | |
CN213654972U (zh) | 消音器安装支架及包括其的发动机和作业机械 | |
JP4664156B2 (ja) | 建設機械 | |
CN208701794U (zh) | 一种一体电控回转式挖掘机属具连接装置 | |
JP4236645B2 (ja) | 旋回作業機におけるロータリジョイントの取付構造 | |
KR102713421B1 (ko) | 중장비용 조향 핸들유닛 | |
CN212896533U (zh) | 带有破碎功能的加强土方工程铲斗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